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수학적 증명의 조망가능성

        박만엽 중앙대학교부설 중앙철학연구소 2005 철학탐구 Vol.17 No.-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비트겐슈타인의 수학철학을 중심으로 수학적 증명의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서 핵심적 역할을 하는 ‘조망가능성’ 개념을 해명함과 동시에 그것이 후기의 철학에서 어떤 식으로 연관되는지를 논의하는 데 있다. 비트겐슈타인의 수학철학을 특징짓는 주된 요인들 중 하나인 반-플라톤주의는 외연주의에 대한 거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무한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논점은 우리의 인식적 능력의 한계에 있는 것이 아니라 ‘무한’ 개념의 논리적 문법을 철저하게 탐구하는 데 있다. 수학적 증명의 조망가능성에 대한 문제는 러셀의 논리주의 비판에로 연결되며, 동어반복적 변형으로부터 산수식을 증명할 수 있다는 러셀 식의 증명 방식은 조망가능하지 않다. 창조적 개념형성을 강조하는 비트겐슈타인의 증명에 대한 관점은 증명의 유형을 구성하는 것을 옹호한다. 비트겐슈타인을 엄격한 유한주의로 해석하는 더밋의 논증은 무한이 법칙의 속성이지 외연의 속성이 아니라는 비트겐슈타인의 생각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다는 점에서 설득력이 없다. 증명의 조망가능성 개념을 철학에로 확장시킨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적 관점은 수학의 다채성 개념이 철학에도 적용되고 있음을 보이는 결정적 단서가 된다. 결론적으로 비트겐슈타인이 증명을 조망가능성과 연결시킨 것은 증명에 대한 그의 독특한 사고방식의 전환, 즉 봄의 방식을 일깨우기 위한 생각에서 비롯된 것이다.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following aspects: With priority given to Wittgenstein's philosophy of mathematics, the concept of mathematical proof' surveyability is elucidated and it will be discussed how it is connected with his later philosophy. In order to this study, above all it will be needed that the problem of anti-Platonism and grammar is deeply investigated. According to Wittgenstein, logical inferring is just not the same sort of things as ‘wff's proof.’ Futhermore, he maintains that in order to function at all within a proof the symbols in logic and mathematics must have some meaning outside the axiomatic system. However, Wittgenstein insists that mathematics doesn't need any foundation. Because mathematical proof is above all human institutions, it must be able to convince us of what it is supposed to prove. Therefore mathematical proof must be surveyable. With respect to this, Dummett's suggestion which Wittgenstein is in the position of a full-blooded finitism is wrong. Finally, I will argue that the concept of surveyability is more extended in his later philosophy. In so doing, I will show that the concept of motley in mathematics is also applied in philosophy. Consequently, Wittgenstein's surveyability is closely related to the new way of seeing.

      • KCI등재후보

        ‘규칙따르기 역설’에 대한 크립키 논증의 비판적 분석

        박만엽 한국논리학회 2006 論理硏究 Vol.9 No.1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a concept of Wittgenstein's rule-following in considering his later philosophy's trace. Wittgenstein's remark on rule-following is the central and basic argument of the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 138-242 and Remarks on the Foundations of Mathematics section I and VI. In Wittgenstein on Rules and Private Language(1982), Kripke regards the problem of ‘rule-following paradox’ as a new form of a philosophical scepticism. This paper is focused on examining what is the Wittgenstein's ultimate aim to present ‘rule-following paradox.’ Taking the significance and limit of Kripke's argument on ‘rule-following paradox,’ I will argue as follow these: i) In Wittgenstein, rule playes a leading role that leads our action. ii) Mathematics is human's intellectual practice that follows severe rule. iii) Wittgenstein's viewpoint on rule-following is indifferent from inductive skepticism. iv) In this respect, it is problematic that Wittgenstein estimate a skeptic, or a relativist. v) Wittgenstein emphasize ‘way of seeing’ that is not seized a theory, or a presupposition. 비트겐슈타인의 규칙따르기 개념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그의 후기 철학의 궤적을 살피는데 있어서 중요하다. 비트겐슈타인의 규칙따르기 문제에 대해 회의적 해석으로 유명한 크립키는 탐구의 201절을 문제 삼으며 ‘역설’의 문제를 새로운 형식의 철학적 회의주의로 간주했다. 본 논문은 규칙의 역설에 대한 크립키의 논증이 비트겐슈타인의 관점과 무엇 때문에 충돌하는지를 밝히면서 그와 함께 비트겐슈타인이 ‘규칙의 역설’을 제시한 궁극적 이유를 규명하는데 있다. 규칙의 역설에 대한 크립키 논증의 의의와 한계를 비판적으로 다룸으로서 필자는 다음과 같은 점을 주장할 것이다. 비트겐슈타인에게 있어서 규칙은 우리들의 행동을 이끄는 지침의 역할을 하며, 규칙의 문제를 추론과 연관시켜 수학이 엄격한 규칙을 따르는 인간의 지적 활동이며, 규칙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관점은 귀납적 회의주의와 무관하다. 이런 맥락에서 비트겐슈타인을 회의주의자 혹은 상대주의자로 평가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그런 점에서 비트겐슈타인은 오히려 어떤 이론이나 선입견에 사로잡히지 않은 봄의 방식을 강조한 철학자로 평가하는 것이 옳다.

      • 비판적 사고와 논증 분석-‘발표와 토론’을 중심으로-

        박만엽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11 사고와표현 Vol.4 No.1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problem ‘Critical Thought andArgument Analysis’. In this paper, especially, this problem is discussedwith “Presentation and Debate” class management that is doing by theUniversity of Seoul. Critical Thinking is an active thought thatpositively analyze, synthesize and evaluate some subject or issues. Through critical thinking, we can comprehend various problems innew view of point that comprehensively understand certain subject orissues and can be derivate through it. This critical thinking is areasoning thought based on our rational ability, reasoning thought is areasonable thought based on some reason or ground. Thus, in order todo critical thinking we continuatively re-examinate belief or knowledgebased on evidence. On the basis of this context, this paper will bediscussed following problems. (1) I consider main characters ofcritical thinking. After this, I will show that critical thinking based onlife world is ultimately productive and positive activities in our life. With the scheme of argument analysis, I will propose anmethodological model applying on newspaper article. Here, especially,it will be argued on the focus ‘constructive element and evaluativecriterion of critical thinking’. (3) “Presentation and Debate” is aprocess that go beyond argumentation on the basis argument. Consequently, the meeting of critical thinking, arguementaion andrheroric is concluded as productive and positive activity in our life. 이 글은 ‘비판적 사고와 논증분석’이라는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문제는 특히 서울시립대학교에서 행하는 “발표와 토론” 수업에서 논의되고 있다. 비판적 사고는 어떤 주제나 쟁점이 되는 주장을 적극적으로 분석하고 종합하며 평가하는 능동적 사고이다. 비판적 사고를 통해 우리는 어떤 주제나 쟁점들에 대해폭넓게 이해하고 그로 인해 파생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들을 새로운 관점에서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비판적 사고는 우리의 이성적 능력을 바탕으로 추리하는사고이며, 추리하는 사고는 어떤 이유나 근거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합당한 사고이다. 따라서 비판적 사고를 하기 위해서는 증거에 비추어 믿음이나 지식을 지속적으로 재검토하고, 의식적이고 반성적인 사고를 끊임없이 해야만 한다. 또한 비판적 사고는 우리 사회의 여러 가지 갈등적 요인들을 비폭력적으로 해결할 가능성에 대한 확신을 강화하고, 건강한 사회비평의 가능성을 옹호함으로써 생활세계에서 의사소통의 장을 여는 데 중요한 매개역할을 한다. 이런 맥락에서 이 글은다음과 같은 점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전개한다. 첫째, 비판적 사고의 주된 특징들을 살핀다. 그런 연후에 비판적 사고는 궁극적으로 우리의 삶에 있어서 생산적이며, 긍정적인 사고의 활동으로서 창의적인사고방식의 혁신을 포함한다는 것을 보인다. 둘째, 비판적 사고를 학습하기 위한 전략으로 논증분석의 틀을 가지고 그것을신문사설 분석에 구체적으로 적용하는 방법론적 모델을 제시할 것이다. 여기서는 특히 비판적 사고의 구성요소와 평가기준에 맞추어 논의를 전개한다. 셋째, 발표와 토론은 궁극적으로 논증을 기반으로 해서 논증행위로 넘어가는과정임을 논의한다.

      • 서울시립대학교 <발표와 토론> 수업 운영에대한 사례보고

        박만엽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08 사고와표현 Vol.1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aimed at informing someinstances-reporting of “Presentation and Debate” class managementthat is doing by the University of Seoul. Especially, it is noticeablethat “Presentation and Debate” class management’ way that is doingby University of Seoul is different from other university’ ways. Thecharacteristic mode is an practical use of off-line and on-line that isoperating in University of Seoul’ homepage. As it is well known,individual’ thought is well conveyable by socialization process, that is“Presentation and Debate”. On the basis of these problematicconsciousness, I will take as following problems: (1) practical andacademical communication ability. (2) problem-solving ability (3)suggesting ability of critic and alternative. (4) living experience ofdemocratic debate’ culture. My way of “Presentation and Debate” class management that isdoing by University of Seoul is divided as follows 6th steps: (1)General sketch and orientation about “Presentation and Debate” classmanagement’ ways. Team fomation. (2) Analysis of newspaper article. (3) Team presentation and debate. (4) panel debate. (5) Mini-debatemeeting(game) (6) Individual presentation and final valuation. In order to accept student’s various requirement, consequently, it isneeded to develop various materials for effective debate and theproblem of rhetorical application that is based on pragmatics. 본 논문은 서울시립대학교에서 행해지는 <발표와 토론> 수업 운영에 대한 사례보고를 알리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시립대학교에서 행해지는 <발표와 토론> 수업의 특징은 학생과 교수 그리고 실습조교(TA)가 모두 학교에서 운용하는 홈페이지 에듀클래스를 이용하는 이른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병행하면서 수업을 진행한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발표가 생활세계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문제와 담론들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타자에게 전하는 언어적 활동이라면, 토론은 나와 타자간에 다양한 생각의 비판적 교환을 전제로 하는 언어적 활동이라 할 수 있다. 개인의 생각은 발표와 토론이라는 사회화 과정을 거쳐야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발표와 토론> 수업을 통해 실질적인 의사소통 능력과 문제에 대한 적극적인해결 능력을 기르고 민주적 토론 문화를 체험할 수 있게 한다. 필자가 담당하는 <발표와 토론> 수업은 다음과 같은 6가지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1) 수업에 대한 전반적 스케치 및 오리엔테이션, 이론 강의 및 조 편성. (2)신문사설 분석 (3) 조 발표 밑 토론 (4) 패널 토론 (5) 미니토론대회 (6) 개인 발표 및 최종 평가. 결론적으로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효과적인 말하기에 대한 다양한 소재와 화용론에 기반을 둔 수사학의 올바른 적용과 응용이라는 점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프레게의 논리철학

        박만엽 중앙대학교부설 중앙철학연구소 1993 철학탐구 Vol.10 No.-

        이상과 같은 논의에 비추어 보건대, 프레게가 내놓은 이론 체계의 설명과 동기가 일관성있게 진행되었다고 볼 수는 없다. 그런 까닭에 프레게 철학의 정확한 해석은 물론 그 영향력을 평가하는데 있어서도 상당한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결론적으로, 프레게가 자신의 이론 체계에서 염두해 둔 것은 '사고의 도식' 으로서의 의미의 객관성이었지 단순한 '실재의 기술'은 분명히 아니었다. 비트겐슈타인의 자신 그의 생애 마지막까지 프레게의 숭배자로 남았으며 <논고>뿐만 아니라 후기 <철학탐구>에까지 결정적 영향력이 있었다고 토로하고 있음을 비추어 보건대 프레게가 현대 분석철학의 새로운 장을 연 것은 틀림없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