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학생 영작문 오류분석에 나타난 L2 처리 양상

        박길수 ( Park Kil-su ) 대한영어영문학회 2003 영어영문학연구 Vol.29 No.3

        The positive interpretation of learner errors shows that errors are systematic and that they are to reveal the learners' transitional competence, i.e., how well they process the target language. The researcher has explored both the typology of the errors Korean college freshmen made in their essay assignment and the possible source of the errors so as to find out the aspects of the students' L2 processing and of their L2 acquisition. The subjects were made up of 20 medical students and 20 non-medical students studying at a university in Seoul. Data elicitation was done via the evaluation of the T-unit performance and the identification of the 13 morpho-syntactic error types. The results net: (1) varying degrees of analogy or overgeneralization errors; (2) the simplification or addition of morpho-syntactic units to economize the information processing; (3) transfer phenomena equivalent to juxtapositional speech, etc. These errors seem to contain a certain complexity that cannot be fully interpreted only in terms with the traditional view of L2 processing. It appears that the explanation must involve either the Pidginists' theory or the multifaceted network architecture of Connectionism.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lso thought to indicate that there must be a careful way to be developed for helping the students emerge from the possible pidginization or fossilization of their L2 system. < Anyang University >

      • KCI등재

        왕양명의 일성(一性) 이론 연구 - 주희의 성론과 비교를 중심으로 -

        박길수 ( Park Kil-su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9 儒學硏究 Vol.49 No.-

        이 글은 왕양명(王陽明, 1472-1528)의 일성론(一性論)의 주요 내용과 의의를 심층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그의 일성론은 무엇보다도 주자학의 성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의 결과이다. 그의 성론은 대체로 두 가지 독창적인 특징을 띤다. 먼저 그는 주자학과 달리 고자(告子)의 생지위성(生之謂性)과 성즉기(性卽氣) 개념을 통합한 단일한 기질지성(氣質之性)을 강조하고 나아가 독창적인 일성(一性) 개념을 제시한다. 다음으로 그는 사덕(四德)과 사단(四端)을 모두 표덕(表德)으로 간주하여 기질지성에서 발생한 이발(已發)의 덕으로 규정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그는 주자학이 형이상과 형이하의 구분을 기준으로 제시했던 다양한 성과 덕 개념을 단일한 일성의 범주로 통합한다. 왕양명이 이처럼 성은 내외(內外)가 없다는 전제 아래 주자학의 모든 성론을 통일한 까닭은 새로운 성론을 이론적으로 정립하려는 것이 아니라, 무엇보다도 각 개체가 심신지학(心身之學)의 성학(聖學) 이념에 근거하여 그들의 성(性)을 실질적으로 체인하고 함양할 수 있는 보다 실천적인 방법론을 제시하는 데 있다. This paper is considering on investigation of the single nature theory of Wangyangming. Most of all, His single nature’s theory is the results of critical reflections on the nature theory suggested by Zhuxi’s learning. His theory has two unique characteristics. First, in contrast to Zhuxi’s arguments, WangYangMing emphasize the single ‘QiZhizhiXing(氣質之性)’ which unify ‘XingjiQi(性卽氣)’ with Gaozi(告子)’s ‘ShengzhiweiXing(生之謂性)’ theory, and present view that ‘nature is only one’. Second, He regards The Four Virtue(四德) and The Four Sprout(四端) as ‘revealed virtues(表德)’, defines them as ‘already produced(已發)’ virtues at the same time. Through this course, he tries to dismantle various nature and virtues which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criterion of ‘XingerShang(形而上)’ and ‘XingerXia(形而下)’. The reason why he unify all the nature theory which Zhuxi had suggested as one nature’s category, is not based on the theocratical interest but on the practical interest. In other words, he tries to provide the more practical methodology which each learner can directly embody and cultivate his own nature in his or her daily life.

      • KCI등재

        정명도의 인설 연구(Ⅱ)

        박길수(Park, Kil-Su) 한국동양철학회 2020 동양철학 Vol.- No.53

        이 글은 北宋의 유학자인 程明道(이름은 程顥, 1032-1085)의 仁說을 고찰한 것이다. 여기서는 선행 연구에 이어서 求仁 공부의 전제와 내용, 그리고 특징과 境界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는 구인 공부의 전제로 生意와 自得을 제시한다. 그리고 만물의 內感에 근거하여 구인 공부의 인간학적 근거로 知覺을 제시한다. 이때 지각은 타자의 고통에대한 공감적 痛覺을 의미한다. 또한 구인 공부의 구체적인 방법으로 誠敬 공부를 제시한다. 誠은 일종의 自省 방법으로 仁의 본체를 확증하는 공부 방법이고, 敬은 必有 事焉의 전제 위해서 仁의 작용을 勿忘勿助의 방식으로 확충하는 공부이다. 그런데 정명도가 성경을 구인 공부로 제시한 배경에는 마음의 現前性을 體認하는 것이 仁을 완성하는 길이라는 생각이 전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성경은 공부 방법이자 동시에 경계의 성격을 띤다. 따라서 주체는 성경 공부를 통해서 한편으로는 만물일체의 근거로서 인의 본체를 체인할 수 있는 동시에 사회적으로는 博施濟衆의 이념에 도달할 수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n(仁) theory of ChengMingDao, a Confucian scholar of the North Song era in China. Here based on following the results of previous paper, writer have examined the premise, contents, characteristics and goals of his theory of Ren seeking. ChengMingDao regards realizing the living things’ will as the main goals of Ren seeking. And he suggests self-acquisition and perception as the grounds of Ren seeking.In his Ren theory, Self-acquisition contains nature and practice at the same time, perception is a sort of painful sense of compassion or sympathy arising from empathy for others’ s suffering. Also sincerity and piety are the main ways of Ren seeking, the former is the methods of expanding Ren’ s working in wuwangwuzhu(勿忘 勿助)’ s way, the latter is the methods of confirming Ren’ s nature in reflective way in everyday life. Especially what is noteworthy in his theory of Ren seeking is emphasis on the presence of mind and heart. In other words, as Ren seeking always entails the embodying of mind and heart, sincerity and piety become a method of practice and at the same time a higher stage of cultivation. therefore a agent can embody the original substance of Ren and at the same time save the massive widely through the constant practice of sincerity and piety.

      • KCI등재후보

        천도교소년회 초기 활동 연구 -『천도교회월보』를 중심으로-

        박길수 ( Park Kil-su ) 방정환연구소 2021 방정환연구 Vol.5 No.-

        2021년 5월 1일은 천도교소년회 창립 100주년이다. 천도교소년회는 방정환을 정점으로 하는 한국 어린이운동의 모체라는 상징적인 의미가 있다. 그동안 어린이운동은 방정환을 비롯한 운동가나 어린이날 행사, 그리고 동화 구연 활동이나 동화 작품을 중심으로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천도교소년회를 창립한 이후 초기 3년간의 활동은 어린이운동의 기본정신을 이해하는 중요한 관건이 된다. 이 시기의 천도교소년회 활동은 주로 <천도교회월보>라고 하는 천도교의 기관지에 많이 실려 있는 바, 그 내용을 깊이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볼 때, 천도교소년회 회원들의 구성 특징, 초기 활동의 구체적인 내용, 그리고 방정환을 비롯한 지도자와 소년회원 간의 소통, 어린이운동을 접한 소년들의 정서적 변화 등을 알 수 있었다. 천도교소년회 초기 활동 연구는 앞으로 소년회원들의 활동과 그 정서적 변화 등을 면밀히 검토함으로써, 어린이운동의 원형을 재구성하는 데로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May 1, 2021 marks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foundation of the Cheondogyo Boys and Girls’ Association. The Cheondogyo Boys and Girls’ Association has a symbolic meaning of being the mother of the Korean children’s movement, which culminates in Bang Jung-hwan. Until now, children’s movements have been studied mainly by activists, children’s day events, and fairy tale-telling activities and fairy tale works, including Bang Jung-hwan. However, the early three-year activities since the foundation of the Cheondogyo Boys and Girls’ Association are important to understand the basic spirit of the children’s movement. The activities of the Cheondogyo Boys and Girls’ Association during this period are mainly published in the organ of Cheondogyo, called < Monthly Journal of Cheondo Church(天道敎會月報) >, and it is necessary to take a deep look at the contents. Through this, we could se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ion of the members of the Cheondogyo Boys and Girls’ Association, the details of the initial activities, communication between leaders including Bang Jung-hwan, and members of Boys and Girls’ Association, and changes of members’ emotion. The early activities of the Cheondogyo Boys and Girls’ Association can be expanded to reconstruct the original form of the children’s movement by closely examining the activities of the youth members and their emotional changes in the future.

      • KCI등재

        유학의 생명 사상과 규범적 의의

        박길수 ( Park¸ Kil-su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0 儒學硏究 Vol.53 No.-

        이 글은 『주역』의 생명 사상과 그에 대한 송명 유학자들의 견해를 중심으로 유학의 생명 사상과 규범론적 의의를 고찰한 것이다. 유학의 생명 사상은 두 방향으로 전개된다. 하나는 생생불이의 생도(生道)인 우주의 창조성이고, 다른 하나는 생의(생의)로 대변되는 모든 개체 생명체들의 의지이다. 그런데 우주의 창조성에서 개체 생명으로 절화하는 과정은 단순히 동일한 분화를 반복하는 것이 아니라 언제나 자기 조직화 운동 과정에서 새로운 속성이 발현하는 창발성을 수반한다. 이 때문에 모든 생명체는 결과적으로 예측과 결정이 불가능한 창조적 본성을 갖는다. 그래서 모든 생명체는 일차적으로 고유한 생의에 기초한 자득(自得)을 본질로 삼는다. 따라서 생명 윤리의 관점에서 볼 때 모든 생명체들이 상호 조화롭게 공존하려면 적어도 호생(好生)과 서(恕)에 기초한 새로운 생명 윤리의 정립이 요구된다. 호생은 ‘생명을 살리기를 좋아한다’는 의미로 생명 윤리의 근본 이념에 해당하고, 서는 생의에 대한 공감 및 역지사지에 근거하여 상호 호혜성을 실현하는 방식으로 생명 윤리의 방법론을 구성하는 원칙이 된다. 최근에 성행하는 현대의 생명 이론과 윤리 이론들이 대체로 서양의 학문적 전통을 바탕으로 동물과 의학의 범주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추세를 감안할 때 유학의 생명 사상과 규범적 의의는 동양적 생명 이론과 생명 윤리를 정립하는데 필요한 새롭고 중요한 단초들을 제공할 수 있다. This article is centering on considering the life thought and its normative sinificance of Confucian history, focusing on the life thought of The Book of Change and the opinions of Song-Ming Confucian scholars. The life thought of Confucianism had unfolded in two directions. One is the endless creativity of the universe; the other is the will of all individual living beings. However, the process of involving from the creativity of the universe to all the individual life does not simply repeat the same reproduction and differentiation, but always involves the emergence of new attributes in the process of self-organization movements. Because of this, all living things consequently have a creative nature that cannot be predicted and determined. So, all living beings have unique properties in their own nature. Therefore, from the point of view of Confucianism, in order for all living things to coexist in harmon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w bioethics based on ‘virtues of saving life’ and ‘the principle of reciprosity based on empaty for life’. The former is the fundamental idea of new bioehtics, and the latter is the methodological principle of making new bioethics. Considering the trend of recent prevailing modern life theories and ethical theories, which have generally developed around the theories of animals and medicine based on Western academic traditions, the life thoughts and normative significance of Confucianism can provide new and important clues necessary to establish Eastern life theory and bioethics.

      • KCI등재

        程明道의 仁說연구 (I)

        박길수(Park, Kil-Su) 한국양명학회 2015 陽明學 Vol.0 No.41

        이 글은 북송(北宋)의 유학자인 정호(程顥:1032-1085, 호는 明道)의 仁사상을 우주론과 존재론의 측면에서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해명한 것이다. 먼저 우주론의 관점에서 仁의 본질을 고찰하면, 仁은 생도(生道)와 생의(生意)라는 두 가지 특징을 함축한다. 이때 생도는 천도(天道)의 부단한 창조성을 가리키고, 생의는 각 개체의 고유한 생명의 의지를 가리킨다. 다음으로 존재론의 관점에서 보면, 이러한 仁의 우주론적 본질과 특징은 독특한 존재 논리와 근거로 전개되는데 일본(一本), 감응(感應), 철상철하(徹上徹下)가 그것이다. 먼저, 일본은 명도 사상에서 가장 독창적인 개념 가운데 하나로서 그것은 천도(天道)와 인도(人道)의 근원은 완전히 동일하다는 천인무간(天人無間)을 핵심으로 한다. 다음으로, 감응(感應)은 모든 사물의 자기 생성과 존재 방식의 기제(mechanism)를 설명한 것으로 한 사물이나 사태는 오직 가장 근원적인 두 가지 상이한 속성과 운동의 대립과 통일에 의해서만 발생하고 전개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철상철하는 두 가지 의미를 지닌다. 하나는 존재론의 측면에서 ‘도즉기(道卽器)’, 곧 형이상(形而上)과 형이하(形而下)의 존재가 철저하게 하나로 관통되어 있다는 것을 천명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수양론의 측면에서 하학(下學)과 상달(上達)이 완전히 통일되어 있다는 것을 가리킨다. 이처럼 명도가 우주론과 존재론의 측면에서 仁사상의 근거와 배경을 정립한 까닭은 무엇보다도 천인합일(天人合一)이라는 궁극적 이념을 전제로 구인(求仁) 공부의 최고 경계로서 ‘일(一)’ 을 제기하려고 했기 때문이다. 이때 일(一)은 수양의 주체와 타자가 조금의 간극도 없이 완전히 하나가 된 상태를 상징하는 것으로 오직 주-객의 대립과 갈등으로 상징되는 이분법적 가치와 논리를 철저하게 극복했을 때에만 비로소 완전하게 체현되는 성인의 이상적인 경지로 볼 수 있다. 명도의 전체 仁사상에서 이러한 우주론과 존재론적 구도와 의의는 이후 전개된 그의 구체적인 仁說의 사상적 토대를 이룬다. This research systematically explains and analyzes the theory of 仁 (Ren, benevolence) proposed by CheongHao, one of Confucian scholars in BeiSong, from the point of Cosmology and Ontology. First, to investigate the essence of 仁 theory from Cosmology’s perspective, 仁 connotes two characteristics, which is ShengDao (Cosmic Creativity itself) and Shengyi(Vitality). In this context, ShengDao refers to the continuous creativity of the law of Heaven while Shengyi points to the individual’s own willingness to live. Next, from Ontology’s perspective, these Cosmological essence and features of 仁 develop through unique logic and theoretical bases of existence, which are Yiben(Monism), Ganying(cosmic resonance) and Cheshangchexia (penetrating from the bottom to the top). To start with, Yiben(Monism) is one of the most creative concepts among theory of MingDao, which centers around the idea of TianRenWujian(harmony between the heaven and human), meaning that the origins of the way of Heaven and the way of Human are the same. Next, Ganying illustrates the mechanism of self-creation and existence of every object, illustrating how one object or situation can only be produced and unfolded through the conflicts and unification of two most essentially different features and movement. Lastly, Cheshangchexia implies two meanings. One is DaojiQi from the perpective of Ontology, which declares that the existence of Xingershang(The upper principle or law) and Xingerxia(The lower materials or objects) is thoroughly penetrated in unilateral way and the other one is that from self-cultivation theory‘s aspect, Xiaxue and Shangda is completely unified. The reason why MingDao established its basis and background of Ren theory from the perspective of Cosmology and Ontology is to propose ‘Yi(Oneness, Unification)’ as the utmost boundary in the study of QiuRen(seeking benevolence) under the premise of TianRenheyi(harmony between the heaven and human) as the ultimate philosophy. In this respect, Yi symbolizes the state of complete synchronization between the One and the Other of self-cultivation without even the slightest disparity, an ideal stage of the Saint which can only be embodied when the dichotomous value and logic represented by the conflicts and confrontation between subject and object have been overcome. The structure and implications of Cosmology and Ontology within MingDao’s Ren theory in general forms the theoretical basis for his RenShuo that developed subsequently.

      • KCI등재

        정부 3.0정책 구현을 위한 선제적 민군 갈등관리시스템 구축방안

        박길수(Kil Su Park),박효선(Hyo Sun Park)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4 Crisisonomy Vol.10 No.1

        현재 군 주둔지역의 주민과 지자체는 지역 주민의 재산권과 생활권 보장을 주장하며 군부대 신설 반대와 이전을 요구하고 있다. 이로 인해 군은 막대한 국방 예산 손실과 갈등 유발 및 전투력 손실이 발생되어 민군 갈등관리 방식에 대한 검토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방부에서도 갈등관리를 위한 전담조직의 편성 및 역량 강화를 위한 종합시책을 수립하고 통합적인 갈등관리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갈등예방과 갈등발생 수준 판단 등이 체계적이고 구체화 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민군갈등관리체계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민군갈등 이론을 토대로 정부 3.0정책의 패러다임 측면에서 갈등관리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연구의 틀을 정립하고, 공공갈등관리시스템과 기존의 민군갈등관리시스템을 비교분석하여 선제적 민군갈등관리시스템을 도출하였다. 이 시스템은 조직, 절차, 교육이라는 3가지 축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조직측면에서는 갈등관리실무 및 심의위원회, 갈등대응시스템, 갈등요소 분석체계로 구성되었으며 둘째, 절차측면에서는 군 조직 특성에 적합한 갈등과제 선정 및 관리, 업무협조절차 등으로 구성하였고 셋째, 교육측면에서는 갈등관리실무자의 역량강화를 위해 맞춤형 갈등관리 교육체계로 구축하였다. 이러한 선제적 민군갈등관리시스템은 전방향 협업시스템 구축을 통하여 똑똑하고(Smart) 전문성이 있으며(Skill), 소통 및 협업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서(Synergy) 국방정책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하고(Solution), 국민에게 최고의 국방서비스를 제공하여 (Service) 정부 3.0정책 패러다임을 실질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민군갈등관리 체계로 정착될 수 있을 것이다. Currently, in areas where the military is present, residents and municipal governments claim their property rights and living standards that go as far as opposing the installation of new units and the removal of existing military presence. Therefore, the military needs to reexamine their conflict management methods as huge defense budget losses, rising conflicts, and dwindling combat strength is expected to occur. Accordingly, the MND has established a comprehensive remedy by creating branches to exclusively deal with dispute resolution and capacity augmentation, and managing an integrated conflict resolution system. However, the anticipated effect, conflict prevention and assessment of actual conflict is not yet systemized or crystallized. Thus, this study attempts to derive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military-civilian conflict management system and seek remedies to the said limitations. In order to achieve this effect, we review the M-C conflict theory from the perspective of M-C relations and compare public conflict management system and M-C conflict management system to suggest a new M-C crisis control system. This research yielded a new M-C CCS under the framework of organization, procedure and education. From the organization dimension, we were able to compose a conflict management practice/council, conflict response system, and conflict element analysis system; from the procedural aspect, conflict task selection and management tailored to military organizational traits, and business cooperation protocol; from the educational dimension, conflict resolution training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the working level staff. Preemptive M-C CCS will promote an omni-directional Smart and professional cooperation system, Synergy, Skill, successful Solution toward national defense policies, and the optimum national defense Service to the Korean people and hence realize the Government 3.0 paradigm.

      • KCI등재후보

        ‘개벽청년’ 방정환 연구 -천도교청년교리강연부 및 청년회동경지회 활동을 중심으로-

        박길수 ( Park¸ Kil-su ) 방정환연구소 2021 방정환연구 Vol.6 No.-

        방정환은 한국 근대 아동문학의 선구자, 아동문화운동가, 아동교육가, 소년운동가, 언론·출판인, 천도교청년운동가, 동화구연가, 민족운동가, 독립운동가 등의 다양한 정체성을 포괄하는 인물이다. 이에 따라 방정환에 대한 연구는 문학 분야를 중심으로 하되 다양한 방면에서 이루어져 왔다. 방정환과 천도교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도 적지 않은 성과를 남겼다. 방정환의 어린이운동의 사상적 배경으로는 동학 교조 수운 최제우의 시천주 사상, 해월 최시형 선생의 어린이 존중사상, 의암 손병희의 인내천 사상 등이 주로 거론된다. 특히 최근 들어서는 방정환의 어린이운동의 배경으로 개벽 사상을 언급하는 연구도 나타나고 있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동학의 개벽사상이 방정환 활동의 심층적이고 본질적인 특성으로 보아야 한다고 제안하고 그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방정환이 전개한 활동, 즉 어린이운동(동화구연과 어린이예술-공연 활동, 강연, 소년운동협회 등 조직 활동), 문학 활동(번안, 창작, 구연) 등이 모두 ‘다시개벽운동’으로 재정의될 수 있다. 나는 방정환의 천도교 수련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천도교청년교리강연부’ 시절의 수업 내용과, 또 본격적인 활동이 전개되는 토대를 마련하는 ‘천도교청년회 동경지회’ 시절의 천도교(청년) 활동, 그리고 어린이 부문 이외의 청년(민족) 운동의 이력을 종합하여, 방정환을 ‘개벽운동가로서의 방정환’ 또는 ‘개벽청년 방정환’이라고 정의하고 그의 활동을 재구성해 보았다. 이는 방정환을 ‘어린이운동가(문학가)’와 ‘천도교 활동가’로 이원화하는 것이 아니라, 그의 모든 활동이 천도교 활동으로서, 그 핵심 철학이 ‘다시개벽’이었음을 밝히는 일이다. 이 과정에서 그동안 방정환의 운동적 역량 강화에서 ‘김기전’에 국한되었던 영향의 자장을 박달성과 천도교청년교리강연부의 강사들에게까지 확장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논문에서 나는 어린이 운동을 비롯한 방정환의 모든 활동이 천도교의 인내천주의의 시대적 표현인 ‘개벽사상’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나는, 그런 점에서 방정환의 모든 활동을 ‘개벽운동’으로 정의하고 자리매김할 필요성이 있음을 논증했다. 이러한 관점의 연구로서는 이제 막 출발점에 선 셈이다. 이 논문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앞으로 더 많은 연구를 해야 할 과제와, 연구를 계속할 수 있는 동력(자료)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Bang Jung-Hwan is a pioneer of modern Korean children’s literature, a child culture activist, a child educator, a activist for a boy and girl, a media publisher, a Young Men’s Cheondogyoian Association activist, a fairy tale storyteller, a national activist, and an independence activist. Accordingly, research on Bang Jung-Hwan has been conducted not only in literature, but also in various field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ang Jung-Hwan and Chondoism also left considerable results. As for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Bang Jung-Hwan’s children’s movement, the Sicheonju(侍天主) idea of Donghak teacher Suun Choi Je-woo, Hae-wol Choi Si-hyeong’s idea of respect for children, and Uiam Sohn Byeong-hee’s idea of Innaecheon are mainly mentioned. In particular, recently, research has been published that mentions the idea of Gaebyeok as the background of the Bang Jung-Hwan Children’s Movement. In this paper, I propose that the Gaebyeok ideology of Donghak should be viewed as an in-depth and essential characteristic of Bang Jung-Hwan’s activities and present the rationale. Activities that Bang Jung-Hwan developed, namely, children’s movements (storytelling, children’s art-performance activities, lectures, organized activities such as the Youth Movement Association) and literary activities (translation, creation, oral presentation) can all be redefined as ‘Dashi Gaebyeok Movement.’ The contents of the classes during the ‘Cheondogyo Youth Doctrine Lecture Club’, where Bang Jung-Hwan’s training in Chondoism was intensive, and the Chondogyo (youth) activities during the ‘Cheondogyo Youth Association Tokyo Branch’, which laid the foundation for full-scale activities, and By synthesizing the history of the youth (national) movement, I defined Bang Jung-Hwan as ‘Bang Jung-Hwan as a Gaebyeok activist’ or ‘Gaebyeok youth Bang Jung-Hwan’ and reconstructed his activities. This is not to divide Bang Jung-Hwan into two categories: ‘Children’s activist (literary writer)’ and ‘Cheondogyo activist’, but revealing that all his activities were Chondogyo activities, and that his core philosophy was ‘Dashi Gaebyeok’. In this process, the field of influence, which had been limited to ‘Kim Ki-Jeon’ in the strengthening of Bang Jung-Hwan’s athletic Cheondogyo Youth Doctrine Lecture Club. In this paper, I argued that all of Bang Jung-Hwan’s activities, including the children’s movement, were based on the ‘gaebyeok ideology’, an expression of time’s of Cheondogyo’s Innaecheonism. And I argued that in that respect, all of Bang Jung-Hwan’s activities need to be defined and positioned as the ‘gaebyeok movement’. In this thesis, I mainly dealt with the period that provided the driving force and foundation for Bang Jung-Hwan’s activities, namely, the period when Bang Jung-Hwan formed his thoughts and ideas, the process of initiation to Cheondoism, the Cheondogyo Youth Doctrine Lecture Club and the Chondogyo Youth Association Tokyo Branch. Research from this point of view is just beginning. In the process of preparing this thesi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existence of the task to be further researched and the power (data) to continue the research.

      • KCI등재

        왕양명 철학에서 도덕 감정과 즐거움의 문제

        박길수(Park, Kil-Su) 한국양명학회 2014 陽明學 Vol.0 No.38

        본 논문은 명대(明代) 중기의 대표적인 심학자인 왕수인(王守仁:1368-1661)의 새로운 심체(心體) 개념과 도덕 감정에 관한 이론을 도덕 심리학의 관점에서 재조명한 것이다. 기존의 정주학자들과 달리, 그는 즐거움[樂]을 심의 본체로 규정하고 이를 토대로 새로운 도덕 감정론을 제시한다. 그리고 마음의 이상적인 경계인 중화(中和)를 외부의 구체적인 사태와 관련하여 적절하게 실현된 칠정(七情)의 중절(中節)로 규정한다. 특히 이러한 그의 사상 가운데 가장 독창적인 부분은, 기존에 심리학 영역에 속했던 여러 감정 상태나 정서들, 곧 근심, 불안, 즐거움, 기쁨, 안정 등의 범주를 도덕 철학의 영역과 범위 안에 통합시켜 설명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그는 기쁨이나 평안함, 또는 안정과 같은 긍정적 정감을 마음의 본체인 즐거움이 외부 사태와 관련하여 적절하게 실현되었을 때 자연스럽게 유출되는 본체의 필연적인 작용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그의 매우 독창적인 사상은 기존의 송명 이학사와 비교해 볼 때 크게 두 가지 의의를 지닌다. 하나는 그가 기존의 정주학파가 심성론의 영역에서 각기 상이한 함의를 지니는 것으로 제시하였던 것으로 성체(性體)와 심체(心體) 개념을 단일한 범주로 통합하였다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은 송명 철학사에서 공안낙처(孔顔樂處)와 관련하여 역대로 가장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어온 대립적인 경외(敬畏)와 쇄락(灑落)을 이원성과 대립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다른 하나는 기존의 순리위락(順理爲樂) 사상을 보다 진전시켜 도덕성의 실현과 관련하여 도덕 감정과 도덕 심리를 통일할 수 있는 새로운 장을 마련하였다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양명은 주체의 도덕적 동기와 행위가 더 이상 수동적이고 타율적인 도덕적 의무나 외적 강제 때문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본래부터 마음의 본체를 구성하는 즐거움과 기쁨으로 인해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촉발될 수 있는 토대를 새롭게 정초한다. 요약하면, 양명의 새로운 본체론과 도덕 감정론은 기존에 양분되던 도덕 철학과 도덕 심리학의 범주들을 근본적으로 통일함으로써 확립되었고, 또한 이것이 그가 송명 유학사에 기여한 가장 독창적인 부분이자 중요한 업적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paper sheds new lights on Wang Shou Ren(王守仁:1368-1661)’s theory of Xinti(心體) and moral emotion, a representative philosopher during the period of mid-Ming Dynasty. Distinct from traditional ChengZhu School, he defined Le(樂) as the substance of mind(心), suggesting a new moral psychology based on his own theory. He characterizes Zhonghe(中和), which is an ideal state of mind, as Zhongjie (中節) of Qiqing(七情) which is emerged appropriately, pertinent to the specific external state of affairs. Among his new perspective and understanding of relationship of benti(本體, The mind’s original state) and emotion, an unprecedented idea is such that he incorporated several emotional states or feelings, namely anxiety, uneasiness, hilarity, pleasure, stability, which entirely belonged to the field of psychology, into the field of emotion or moral substance and integrated them. Particularly, he considers positive feelings or emotions, such as hilarity or stability, as necessary signs which show up when pleasure, consisting of the substance of mind, is naturally and wholly emerged. Such unique idea of Wang Shou Ren has two important significances when it is compared to existing Song-Ming Neo-Confucianism. The first is that he fundamentally unified Jingwei(敬畏)and Shuaile(灑落), which used to be in conflict with each other in KongYanLeChu(孔顔樂處) in Song-Ming Neo-Confucianism by combining the concept of Xingti(性體) and Xinti(心體) into a single category, which was viewed as a separate concept in mind-heart theory in ChengZhu School. The second is that he has proposed a new way to merge moral emotion and psychology into one related to the realization of morality by further developing an existing Shunliweile thought. Through this process, Wang Shou Ren rejects the idea that an agent’s internal ethical motivation and definitive action is formed because of a passive and heteronomous ethical duty or external regulations. Rather, he establishes a new foundation where an agent’s internal ethical motivation and definitive action can be actively and voluntarily incited in virtue of pleasure and hilarity which primarily comprise the substance of mind. In summary, that Wang Shou Ren established his new theory of substance and moral emotion by essentially unifying the fields of moral philosophy and moral psychology, which used to be divided with each other can be evaluated as the most significant accomplishment and unique factor which contributed to Song-Ming Neo-Confucianism.

      • KCI등재

        유학의 철학상담 방법론 연구 -공자의 비방법론의 방법을 중심으로-

        박길수(Park, Kil-Su)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과학연구 Vol.0 No.67

        이 글은 철학상담의 관점에서 유학의 방법론을 고찰한 것이다. 유학이 우환의식과 경계(境界)를 추구하는 측면에서 볼 때 유학은 일차적으로 ‘삶의 기술로서 철학’의 성격을 띤다. 이 점은 서(恕)와 중용(中庸)의 방법론적 성격을 고찰하면 분명해진다. 유학에서 인(仁)의 실천 방법으로서 서는 상호 공감에 기초하여 내담자에게 유비적 사고와 자각을 일깨우는 방법으로 그것을 체득하는 과정은 체화된 인지이다. 따라서 서의 결과는 역지사지와 호혜성에 근거한 삶의 실천지로 결정화된다. 또한 유학에서 중용은 최고의 덕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중용의 덕은 독립적인 실체나 원리가 아니라, 과부족의 양단(兩端)을 넘어서 시중(時中)을 실현할 수 있는 심신의 역동적인 평형감각과 그 실현 방식을 가리킨다. 이 점에서 중용 또한 방법론적 성격을 지닌다. 이처럼 유학에서 서와 중용이 방법론적 성격을 띠는 까닭은 본체와 방법의 융합에서 비롯된 것으로 ‘방법초월적 방법’, 또는 ‘비방법론적 방법’으로 규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론은 현대의 철학상담에서 몇 가지 의의를 제공한다. 특히 상담자가 다양한 내담자들의 현실적인 문제점을 현상학적 방식으로 공감하고 배려하는 동시에 내담자들에게 또한 능동적이고 자발적으로 현실의 문제들을 몸소 자각하고 그에 따른 삶의 실천적 지혜를 모색하고 계발할 수 있는 동기와 기법을 제공해준다. This article examined the methodology of Confucius’ philosophical counseling. First, writer outlined fundamental concern and stage of life of Concucianism. This work explained that Confucianism is “philosophy as an art of living”, which have various practical wisdoms and technique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life. Next, writer discussed the methodological characterisitc of Seo(恕). Particularly, Seo means a method of embodied knowing based on empathy and its purpose is to acquire a pronesis through a unity of wisdoms and methods. Finally, writer elucidated the characteristics of Zhongyong(中庸) from the perspective of methodology. When considering its specific feature, it have indicated a dynamic sense of balance of mind and affairs in everyday life thorugh pursuing a sense of the middle way. In conclusion, Seo and Zhongyong can be difined as ‘“Beyond-Method” Method’or ‘“Non-Method” methodology’which consisted of unitification of virtue and method. this methodological worldview in Confucianism provide implications for modern philosophical counseling. Especially it suggests that counselor refrains from actively intervening in the counseling process and pays attention to the client"s peculiar personality, needs, intellectual level, and solution ability. In addition to, it is oriented to induce awareness that clients can voluntarily reflect on their problems within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ir lives and solve them in a middle 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