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스피노자에서 언어와 정치

        박기순 ( Ki Soon Park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7 시대와 철학 Vol.18 No.2

        언어는 사물들을 분리하고 분류하는 체계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그것은 질서화 능력으로 표상되며, 질서의 조직자 그 자체이다. 모든 체계는, 그것이 과학적인 것이든 정치적인 것이든, 직접 및 간접적으로 언어의 이 탁월한 능력에 기초해 있다. 스피노자는 바로 언어의 본성에 대한 성찰을 통해서 모든 체계가 갖는 본성이 무엇이며 그것이 전화가능 하다면 어떠한 방식으로 가능한가를 묻는다. 이것으로부터 우리는 ``언어의 정치``라는 스피노자적 문제틀을 발견하게 된다. 그에 따르면 언어는 복잡하고 안정적인 물체, 따라서 스피노자적 의미에서 본성을 유지하지만 무수히 많은 방식으로 변이 가능한 물체와 같다. 안정성과 변이성. 이로부터 언어를 매개로 해서 이해된 언어 정치의 다음과 같은 특징이 도출된다. 1. 정치는 현실에 대한 계보학적 분석을 제일의 작업으로 요청한다. 2. 정치는 전통과 현재의 부정이 아니라 전화 혹은 미끄러트림에 있다. On nomme les choses. Or, la nomination n`est rien d`autre que le discernement et le classement, ce en quoi consiste justement tout systeme qu`il soit scientifique ou politique. Spinoza entreprend donc d`eclairer la nature de tout systeme a travers des analyses du langage, et de montrer la maniere dont on peut le transformer. D`ou vient la problematique spinoziste qu`on peut appeler "politique du langage". Selon Spinoza, le langage est comme un corps complexe et stable, et partant susceptible d`etre variable infiniment tout en restant lui-meme. A partir de quoi, Spinoza elabore une methode genealogique comme travail sur le langage et celui du langage. On peut en tirer un trait essentiel de la politique spinoziste du langage: celle-ci ne consiste dans la rupture avec la tradition ou avec le present, mais dans son glisssement.

      • KCI등재
      • KCI등재

        논문 : 알튀세르와 랑시에르

        박기순 ( Ki Soon Park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0 시대와 철학 Vol.21 No.3

        이 논문은 알튀세르에 대한 랑시에르의 비판과 결별을 되돌아보면서, 그것이 랑시에르의 사상적 전개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지하다시피, 알튀세르는 20세기의 대표적인 맑스주의 철학자였으며, 맑스주의에 대한 그의 독특한 독해는 `주체도 목적도 없는 과정`, `중층결정`, `호명된 주체`, `우발성의 유물론` 등의 개념적 유산들을 우리에게 남겨주었다. 랑시에르는 1970년대 중반 『알튀세르의 교훈』이라는 책을 통해 자신의 스승인 알튀세르와 결별한다. 그의 비판은 매우 단호하고 신랄하였다. 이것은 이 결별이 되돌이킬 수 없는 것임을 암묵적으로 의미한다. 실제로 랑시에르는 그 이후에도 자신의 이러한 비판적 태도를 유지하고 있으며, 자신의 스승과의 어떤 화해의 노력도 보이지 않는다. 우리는 이 글에서, 그 결별 이후 그것에 대해 침묵하고 있는 두 철학자를 대신해서 어떤 화해와 만남을 시도하기보다는 그 차이와 결별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고 사유함으로써, 첫째로, 알튀세르에 대한 비판이 랑시에르의 철학을 이해하는 데 결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밝히고, 둘째, 두 철학자가 공통의 사유대상으로 삼고 있지만 바로 거기에서 갈라서고 있는 문제, 즉 정치에 대한 사유, 혹은 정치와 철학과의 관계의 문제를 재사유해보고자 한다. 알튀세르의 랑시에르에 대한 비판은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알튀세르주의는 사회를 두 부분으로 분할하는 분할의 논리, 불평등의 논리로서, 대중의 정치를 사유할 수 없는 치안(police)의 논리이다. 둘째, 알튀세르에게 수미일관하게 유지되고 있는 것은 `이론적 실천의 자율성` 혹은 `철학의 자율성`이다. 이 철학의 자율성 속에서 정치 개념으로서의 계급투쟁은 한 갓 철학적 범주로 전환되고, 그렇게 정치는 철학 속으로 봉합된다. 랑시에르는 『프롤레타리아의 밤』(1981), 『무지한 스승』(1987), 『불화』(1995) 등의 책에서 이러한 알튀세르 사상에 반대하면서 대중운동은 무엇보다도 지적운동이었다는 점, 따라서 정치는 그가 `근원적 평등`이라고 부르고 있는 것으로부터 이해되어야 하며, 철학은 이 역설적인 문제로서 등장하는 평등을 그 대상으로 한다는 점을 주장하게 된다. Cet article a pour objectif de mettre en clair les effets produits par la critique faite par Jacques Ranciere de Louis Althusser, son maitre, sur l`evolution de ses pensees philosophiques et sur leur direction. Comme on le sait bien, L. Althusser est sans doute l`un des representants de la philosophie marxiste qui a produit les concepts tels que `proces sans sujet ni fin`, `sujet interpele`, `materialisme de l`aleatoire` etc. J. Ranciere a rompu avec L. Althusser en publiant La lecon d`Althusser en 1974. Ses critiques a l`egard de son maitre ont ete si determinantes et si severes que sa separation avec L. Althusser semblait irreversible. En effet, il n`a jamais revisite cette separation pour se concilier avec son maitre. Nous ne voulons pas, a notre tour, tenter dans ce present ecrit leur conciliation philosophique pour deux philosophes qui se taisent sur l`evenement philosophique qui les a separe. Au contraire, nous pensons qu`il nous est plus utile de mettre au point la difference entre deux en tant que telle. Ce faisant, nous voulons, primo, montrer que la critique rancierienne de L. Althusser est determiannte pour la comprehension des pensees philosophiques de J. Ranciere, et, secundo, poser a nouveau comme notre question philosophique ce qui a ete central pour deux penseurs, mais sur quo ils s`est separes, c`est-a-dire la pensee de la politique, ou plus precisement la relation entre philosophie et politique. Les critiques rancieriennes de L. Althsser se resument en deux points. Primo, l`athusserisme est une logique qui introduit une division dans la societe civile, et pour cette raison merite d`etre appelee logique du partage et de l`inegalite. Or, cette logique inegalitaire, selon J. Ranciere, fait disparaitre la politique. Secundo, ce qui est maintenu dans tout l`ouvre de L. Althusser est l`autonomie de la pratique theorique ou de la philosophie. C`est dans cette autonomie, dit J. Ranciere, que la lutte des classes comme une categorie de la politique se transforme dans celle de la philsophie, et que la politique se sature donc dans la philosophie. J. Ranciere oppose a ces idees althusseirennes ses theses propres qui s`elaboreront apres la separation dans ses oeuvres telles que La nuit des proletaires, Le maitre ignorant, La mesentente etc. Il affirme contre L. Althusser que le mouvement des masses est avant tout intellectuel, que la politique doit etre pensee a partir de ce qu`il appelle `egalite fondamentale`, et que la philosophie a pour objet l`egalite qui apparait sous le signe d`un paradoxe.

      • KCI등재

        랑시에르의 로댕 -미학적 사건으로서의 로댕과 그 정치성

        박기순 ( Ki Soon Park ) 한국미학회 2013 美學 Vol.76 No.-

        이 글은 랑시에르의 로댕 해석을 다룬다. 그는 자신이 미학체제라고 부르고 있는 것을 구성하는 하나의 장면 혹은 사건으로서 로댕을 제시한다. 로댕에 대한 그의 논의가 우리에게 특별히 흥미로운 점은, 그가 로댕에게서 당시대의 상이한 예술적 실천들이 만나고 소통할 수 있는 공통의 지반을 발견하고 있다는 점이다. 생성의 존재론이 바로 그것이다. 그러나 이 존재론은 직접적으로 로댕의 새로운 조형예술이 고유하게 갖는 정치성이 무엇인지를 설명해주지 못한다. 존재론이 정치성을 함축하는 것은 분명하지만, 미학의 정치성은 존재를 표현하는 예술적 문체에 의해서 규정되기 때문이다. 이 글은 이러한 관점에서, 로댕의 예술적 실천이 함축하고 있는 생성의 존재론과 이 존재 이해를 표현하고 있는 그의 고유한 방식, 그리고 그것이 제시하고 있는 정치성을 주제적으로 다룬다. 우리가 보기에 랑시에르의 로댕 해석은, 그가 플로베르를 분석하면서 제시하고 있는 ‘인상주의 시학’에 기초해 있다. 따라서 이 글은 로댕-플로베르 동일성에 기대어, 이 인상주의 시학이 갖는 정치성의 고유성이 어디에 있는지를 해명한다. 이러한 작업은, 랑시에르가 재정립하고 있는 미학 개념과 그것에 고유한 정치성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해 줄 것이다. J. Ranciere presente la sculture d`A. Rodin comme un evenement qui constitue l`une des scenes du regime esthetique des arts. Ce qui nous est particulierement interessant dans cette presentation est que le philosophe francais trouve chez Rodin un espace commun pour les differents genres de practice artistique de son temps. Il s`agit de l`ontolgie du devenir. Cette ontologie de Rodin n`explique pas en elle-meme le propre de la politique impliquee dans son nouvel art sculptural. Car la politique de l`esthetique est definie par le style artistique, bien qu`il soit evident que l`ontologie implique en elle-meme une politique en ce sens qu`elle constitue une realite et l`oppose a l`autre. Nous abordons dans cette perspective, primo, l`ontologie impliquee dans la pratique artistique de Rodin, secundo, sa maniere artistique propre d`exprimer sa comprehension ontologique, et tertio, la politique presentee par ce style artistique. Il nous semple que la critique rancierienne de Rodin est dans la continuite avec sa critique de G. Flaubert qui pourrait se resumer dans la poetique impressioniste. Nos analyses sur la politique de la poetique impressioniste de Rodin sont donc guidees par l`identite Rodin-Flaubert. Ce travail permettra, pensons-nous, de comprendre concretement ce qu`est l`esthetique reinterpretee par J. Ranciere, ainsi que la politique propre a cet regime esthetique des arts.

      • KCI등재

        스피노자의 코나투스 개념과 목적론의 문제

        박기순(Park, Ki-Soon)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5 철학사상 Vol.57 No.-

        ‘스피노자의 코나투스 개념과 목적론의 문제’는 현대 스피노자 연구에서 중요한 해석적 쟁점을 구성하고 있다. 베넷의 문제제기로부터 촉발된 이 논쟁은 30여년 동안 다양한 논의들을 산출하였다. 우리는 이 글에서 그 주요 논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이 논쟁이 제기하였던 주요 문제들에 답하고자 한다. 우리가 보기에 이 논쟁이 갖는 의미와 중요성은, 스피노자 철학체계에 대한 이해가 어떻게 코나투스 개념의 해석에 의존해 있는가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 있다. 우리는 이 글에서 세 가지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1) 스피노자가 코나투스 개념에 대한 규정에서 비정합성을 보이고 있다고 주장한 베넷은 스피노자 철학체계를 둘로 쪼개진 체계로 규정한다. 2) 코나투스를 목적론적 방식으로 읽을 것을 제안하는 베넷의 비판자들 특히 가렛은 스피노자의 철학 안에 목적론을 도입함으로써 근대 기계론을 넘어서려는 전통의 계승자 스피노자를 그의 코나투스 개념에서 발견한다. 3) 위의 두 입장을 비판하면서 이 글에서 옹호하고자 했던 제3의 입장은 코나투스에 대한 반목적론적 해석이다. 이 해석은, 전통의 유산인 코나투스 개념을 데카르트의 기계론의 관점에서 재해석함으로써 철저한 반목적론의 철학체계를 구성한 스피노자를 제시한다. 이를 통해 이 글은 스피노자의 형이상학이 근대 자연학의 성과 위에서 구축된 것임을 보여주고자 한다. “Spinoza’s concept of conatus and the problem of teleology” constitutes one of the core issues in contemporary studies on Spinoza. This issue, first raised by J. Bennett, has generated diverse discussions by many Spinozist scholars. This article aims to critically review their major arguments and to respond to them.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the polemics on conatus and teleology consist in demonstrating how the philosophical system of Spinoza depends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of conatus. Thus, this article will review three approaches: 1) J. Bennett, who argues that Spinoza is inconsistent in defining his concept of conatus, claims that the philosophical system of Spinoza is broken backed. The opponents to Bennett’s argument propose the teleological reading of conatus; especially by introducing teleology in the philosophy of Spinoza, D. Garrett brings a new insight to Spinoza’s understanding, which is Spinoza overcoming modern mechanism. 3) The third position, which the article takes, holds the anti-teleological interpretation of conatus, and argues that such a reading is consistent with the philosophical system of Spinoza. This article argues that Spinoza reinterpreted the traditional notion of conatus in the perspective of the Cartesian mechanism; thus, he constituted the thoroughly anti-teleological system of philosophy. In so doing, this article demonstrates that Spinoza’s metaphysics wa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modern physics.

      • KCI등재

        논문 : 스피노자와 니체의 관계 -감정과 기억의 문제를 중심으로-

        박기순 ( Ki Soon Park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6 시대와 철학 Vol.27 No.1

        이 글은 스피노자와 니체 사이의 철학적 관계가 갖는 복합성을 해명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스피노자-니체의 관계가 스피노자를 자신의 선구자로 인정한 니체의 고백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간단하게 규정될 수 없다는 점은 이미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 고백 이후에 스피노자에 대한 니체의 태도는 찬양에서 비난으로 점점 더 변해갔기 때문이다. 이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 우리는 먼저 1881년 스피노자에 대한 독해에서 니체를 매혹시켰던 것은 감정론, 특히 감정을 치유해야 할 병리적 현상이 아니라 고유한 힘을 가지고 있는 자연적 현상으로 이해한 스피노자의 근대적 전환이었고, 그로 하여금 스피노자에 등을 돌리게 한 것은 바로 이 감정을 이성의 지배함에 둠으로써 그 고유한 힘을 거세한 이성의 우위성 논제였음을 논증한다. 여기에서 등장한 이성과 감정의 대립은 두 철학자에게 기억과 망각에 대한 이해의 문제로 재정립된다. 기억의 이중적 의미와 그것에 부여하고 있는 중요성에서 스피노자와 니체는 서로 만나고 있지만, 그것을 평행론 모델과 신체모델이라는 서로 상이한 이론틀 속에서 개념화함으로써 두 철학자는 갈라서고 있다. 니체가 말하듯이 이 차이는 시대적 조건에서 연유하는 차이이지만, 그 차이는 못지않게 큰 것으로 보인다. This article aims at delineating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Spinoza and Nietzsche regarding their conceptions of emotion and memory. Although Nietzche acknowledges that Spinoza is his precursor, his stance on Spinoza`s philosophy is changed over the course of time from admiration to condemnation. I argue, first, that what attracted most Nietzsche`s attention in his readings on Spinoza in 1881 was the spinozist theory of emotions. Nietzsche was particularly impressed at Spinoza`s radical change of perspective on emotions which was once perceived as the pathological symptoms to be cured and yet which Spinoza sees as natural phenomena having their proper powers. Secondly, I examine how Nietzsche`s disagreement on the spinozist thesis of the supremacy of reason over emotion lead to his definitive break from Spinoza. The two philosophers` different conceptions on reason and emotion result in the diverged perceptions on memory and oblivion. Nietzsche`s notion of a double conception of memory has some affinity with the spinozist conception of memory. Yet their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memory to dissimilar models, respectively a model of parallelism (Spinoza) and that of body (Nietzche), separates the two philosophers.

      • KCI등재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개념 - 문학적 기원에 기초한 미학적 해석

        박기순 ( Park Ki-soon ) 한국미학회 2017 美學 Vol.83 No.1

        푸코가 1966-67년에 처음 사용했던 `헤테로토피아` 개념은 오랫동안 망각 속에 있다가 푸코 사후에 지리학, 도시공학, 건축학, 문화연구, 미학 등의 영역에서 다양한 연구와 활용의 대상이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폭발적 관심은 동시에 적지 않은 혼동을 수반하였다. 이 연구는, 이 개념이 푸코 철학 전체의 이해에서 결정적인 중요성을 갖는 문학비평의 작업을 통해 형성되었음을 밝힘으로써, 헤테로토피아에 관한 푸코의 텍스트가 안고 있는 애매성을 해명한다. 그 문학적 기원을 통해 볼 때 헤테로토피아는 문학적 사유 경험, 보다 정확히 말하면 그 위반의 경험을 통해서 구성되는 `절대적으로 다른` 공간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해석은 랑시에르에서 보다 분명한 형태로 나타나게 될 헤테로토피아에 대한 미학적 이해의 길을 열어 놓는다. The concept of heterotopia, which Michel Foucault first conceived in 1966-67, has become, after his death, an object of various studies and applications in the fields of geography, urbanism, architecture, cultural studies, and aesthetics among others. Nonetheless, the explosive interests in and debates on heterotopia are grounded on much confusion and ambiguity on its notion. Thus, this article aims to elicit the notion of heterotopia in Foucault`s texts by placing it within the early literary critiques of Foucault, the crucial text to understand his philosophical endeavors and problematics afterward. From the perspective of its literary origin, the author argues that heterotopia is a `absolutely different` space from the rest of social space, constituted by the experiences of transgression which literary thinking fosters. This perspective opens the way for an aesthetic interpretation of heterotopia which Jacques Ranciere develops further into a central subject of his aesthetic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