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학 교과서에 나타난 민요 교육의 문제점 연구

        박관수 ( Gwan Su Bak ) 국어교육학회 2008 國語敎育學硏究 Vol.33 No.-

        국문학계나 국어교육학계에서 민요 교육에 대한 논의는 그리 활발한 편은 아니다. 민요학계에서는 민요 교육에까지 연구 영역이 확대되지 않았고, 국어교육학계에서도 민요 교육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형편이다. 본고의 논의는 기왕에 출판된 제7차 문학 교과서(상·하) 총 36권을 대상으로 교과서들이 민요 자체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느냐에 초점을 맞추었다. 18종의 문학 교과서 중 15개의 교과서에서 민요에 대해 구체적인 기술을 했는데, 그 기술 중 대부분이 오류를 범하고 있었다. 장르, 개체요 차원의 민요에 대한 이해는 물론 사설의 내용 자체에 대한 이해의 오류도 많았다. 이러한 오류는 문학 교과서 집필진 중 민요나 민요교육 전공자는 거의 없기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한 오류들은 어떤 현상에 대해 분석을 잘못했기 때문에 발생했다기보다는 기왕의 자료를 단순 차용하고 있기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기왕에 출판된 다른 교과서를 거의 표절 수준으로 차용했기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오류를 없애는 방안으로는 관련 학자들이 집필진으로 참여하는 것이 제일 좋을 것이다. 현실적으로 이 방안이 불가능할 경우 적어도 관련 학자들에게 교과서를 검토를 하게 하거나 자문을 구하는 과정을 거쳐야 할 것이다. In the field of Korean Literature or Korean Education, discussions regarding Korean Folk Song Education are not very active. Research has not yet been expanded in to education in the field of Korean Folk Song, and Korean Education does not pay much interest in it either. This paper focuses on whether the existing 36 Korean Literature textbooks (7th edition) used in Korean high schools have fully comprehended the Korean Folk Song itself. Out of the total of 18 classifications of textbooks, 15 books have made thorough explanations on Korean Folk; however, many were found to be in error. In addition to misunderstandings made on the genres of Korean Folk, there were numerous errors made on the content of editorial itself. These misinterpretations have been made because there are almost no experts on Korean Folk or Korean Folk Education in the textbook editing crew. These errors occurred not due to wrong analysis, but due to repeated usage of existing misinformation-usage almost to the extent of plagiarism. The best solution to the eradication of these errors would be to engage the experts concerning Korean Folk in the editing process. In cases where this solution is realistically difficult to fulfill, it will be absolutely necessary that the experts at least proof read or give useful advice.

      • KCI등재

        홍천 지역 기우 풍속의 존재 양상

        박관수(Bak, Gwansu)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4 사회과학연구 Vol.53 No.2

        이 논문은 강원도 홍천강 유역에서 전승하는 기우 풍속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그 지역에서 전승했던 기우 풍속에 직·간접으로 참여했던 사람들을 현장 조사했다. 그리고 기우 행위에 참여한 사람들이 자신들의 기우 행위에 대해 어떤 향유의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 행위가 어떤 사회문화적 환경 속에서 전승되었는가도 파악하고자 했다. 홍천군 지역의 기우 풍속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다. 홍천강 인접 지역에서는‘여자들이 강가에서 키로 물을 까부는 방식’이 전하지만, 그 외의 지역에서는‘외아들이 있는 집의 잿간에 물을 뿌리는 방식’,‘동물을 소에 집어넣는 방식’,‘산에 올라가 제를 지내는 방식’등이 있다. 이러한 기우 방식들은 지형적, 지리적 특성과는 무관하다. 기우 풍속들은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구체적으로는 서로 다른 방식으로 그 행위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이유는, 기우 풍속의 전승이 강제성을 기반으로 하는 고정성과 자율성을 기반으로 하는 유동성의 교직 속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 양자의 교직 방식은 시대와 장소에 따라 다르고, 상황 상황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기우제를 제외한 대부분의 기우 풍속은 여자들이 시끄럽게 떠들면서 방정맞은 행동을 한다든지, 동물의 피를 뿌린다든지, 동물을 신성한 소에 집어넣는다든지, 비린내를 풍기는 등의 부정적인 행위를 통해 하늘을 노하게 한다. 그러면 하늘이 그 부정을 씻어 내리게 하기 위해 비를 뿌린다고 한다. 이러한 향유의식은 일종의 남성우월적인 집단적 관념이 작동한 결과다. 원래는 여성들이 하늘에 기원을 하여 현장적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는 것이 그 행위의 본래적 동기였는데, 그 위에 남성우월적인 관념이 덧씌워져 그 행위들이 폄하되는 상태에서 전승이 이루어졌다. This paper mainly deals with rain-calling ceremonies passed down in the Hong Cheon river region. People who had participated in such ritual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 were interviewed on the spot for accurate explanations on the rituals. How people still enjoyed the memories of their participation at rain-calling rituals, and in what sociocultural environment the rituals were passed down are the two main points of discussion. Rain-calling ceremonies in the Hong Cheon region are surprisingly diverse. At places near the Hong Cheon river, a custom of “women winnowing water at the riverside” is the norm, whereas there are other forms of rituals in other areas: “splashing water at an ashery of a home of with an only son”, “spilling animal blood and putting some in a cow”, and “conducting rituals on the top of a mountain.” Topographic and geological characteristics do not play any role in the transmission of such means of rituals. Also, the specific methods and actions of rituals may be a little different from town to town. Various forms of rain-calling ceremonies have some core aspects in common, but there are slight differences among one another when it gets specific. In other words, fixedness based on compulsion and flexibility based on autonomy are knit together to influence the transmission of rain-calling customs. Exactly how the two elements - fixedness and flexibility - are merged is different from place to place, time to time, and situation to situation. Rituals for rain, if cases when only pure rituals are held without any practices are excluded, are intended to infuriate the heavens with contaminating actions such as women chatting loudly with each other, spilling animal blood, or giving off fishy smell of blood so that the divine being will let it rain in order to rid off the filthiness. In this sense, a collective idea of male chauvinism can be said to have played a big role. The original motive of the aforementioned practices was to have women make contacts with the heavens, but it later was influenced by male chauvinism only to belittle the practices done by women during which the ceremonies were handed down.

      • KCI등재

        정선아리랑의 감각적 가사가 가창자에게 미치는 심리치유적 효과

        박관수(Bak, Gwan-su) 한국민요학회 2021 한국민요학 Vol.63 No.-

        본 논문에서는 정선아리랑의 심리치유적 효과를 이해하기 위해 게슈탈트 심리치유 이론을 원용했다. 정선아리랑에는 시각, 촉각, 청각, 미각, 후각 등을 드러내는 감각어가 있고, 여러 단어를 조합하여 감각을 간접적으로 드러내는 가사들이 있다. 이와 동시에 게슈탈트 심리치유의 주제어들인 욕구, 행위, 사회적 환경 등을 드러내는 가사들도 있다. 본고에서는 감각적 가사들에 논의를 집중했다. 이를 위해 어느 가창자가 자신의 소리를 녹음한 테이프를 자료로 선택했다. 이 테이프에 수록되어 있는 모든 소리에는 감각적 가사가 존재했다. 놀이 참여자들은 이러한 가사들을 지속적으로 접하면서, 자신의 감각을 자각한다. In this paper, Gestalt psychotherapy theories were used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healing effect of Jeongseongarirang. In Jeongseonarirang, sensuous words that show sight, touch, hearing, taste, and smell, and there are lyrics that indirectly show senses by combining several words. At the same time, there are lyrics that show needs, actions, and social environments, which are the keywords of Gestalt psychotherapy theories. In this paper, the discussion was focused on Sensuous lyrics. To this end, a singer selected a tape that recorded his songs as a material. Sensuous lyrics existed in all the songs contained in this tape. Play participants are aware of their senses while constantly encountering these lyrics.

      • KCI등재

        〈어러리〉와 〈자진어러리〉의 관련양상 재검토

        박관수(Bak, Gwan-su) 한국민속학회 2017 韓國民俗學 Vol.65 No.-

        기왕의 연구에서는 〈어러리〉와 〈자진어러리〉를 동일 범주의 하위 양식들로 파악하고 있다. 본고는 〈어러리〉와 〈자진어러리〉가 동일 범주의 하위 양식들인지를 파악하는 작업이다. 필자는 이를 검토하기 위해 양자가 동일 악곡구조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지, 동일 지역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지, 동일 기능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지를 검토했다. 그 결과 양자는 동일악곡구조, 동일 지역, 동일 기능을 기반으로 하고 있지 않음을 밝혔다. 이러한 입증은 〈어러리〉와 〈엮음어러리〉, 〈어러리〉와 〈자진어러리〉 등의 존재양상이나 존재의미를 새롭게 밝히는 데 유용한 논거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is deducted as in the following statements. 〈Eoreori〉 and 〈Jajin Eoreori〉 do not depict the same tonal composition, function, nor were they chanted from the same region. Therefore, it discovered the existence of fallacy; both do not fall under the identical category. In other words, both do not share enough of the cultural traits to be classified under the same category. Both are not like isomers or allomorph, nor were they derived in between the shift from one type to another. The study propose for this to be used as a basis of argument that discuss the existent aspects or the underlining meaning of either 〈Eoreori〉 and 〈Yeokkeumeoreori〉 or 〈Eoreori〉 and 〈Jajin Eoreori〉. Along with the discussion result, it is reconfirmed that 〈Menari〉, 〈Eoreori〉, and the traditional Korean ballad, 〈Eorang Taryeong〉 were sung in Gangwondo while planting young rice plants. Furthermore, 〈JajinEoreori〉 were sung in partial areas of Gangneung-si, not the entire district. These verifications impose the following future tasks on the writer. What kinds of sounds they chant while transplanting young rice plants is another question to be answered. Moreover, the writer wants to question the validity of 〈Jajinarari〉 sang as 〈Mosimneunsori〉 only in parts of Gangneung-si and identify its aspects. Moreover, the fact that 〈Mosimneunsori〉 so called as 〈Jajinarari〉 not originally passed down in Gangwondo gives a room for the writer to inquire the reason for this aspect to be present and to scrutinize the form of 〈Mosimneunsori〉.

      • KCI등재

        민요 용어의 설정 재고 -“향토민요”와 “통속민요”를 중심으로-

        박관수 ( Gwan Su Bak ) 남도민속학회 2012 남도민속연구 Vol.24 No.-

        민요의 용어에는 ‘향토민요’, ‘전통민요’, ‘토착민요’, ‘토속민요’, ‘토민민요’, ‘통속민요’, ‘흥민요’, ‘창민요’, ‘유행민요’, ‘근대민요’, ‘신민요’, ‘창작민요’ 등이 있다. 이들 용어들은 각각 사용되는 맥락이 다르겠지만, 이들을 거칠게 분류하면 ‘향토민요’, ‘통속민요’, ‘신민요’로 귀속된다. 이와 같이 분류를 하기 전에는 20세기 전반부 학자들은 ‘향토민요’와 ‘통속민요’를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민요로 생각했고, 이에 대한 대타적인 용어로 ‘신민요’를 사용했다. 이러한 분류 방식은 고정옥, 임동권 등에게 이어졌다. 최근의 연구자들은 민요를 ‘향토민요’와 ‘통속민요’로 구분하였다. 이는 양자가 기층민들에 의해 불린다는 사실만을 전제로 하고 있다. 그렇지만 ‘향토민요’는 기층민들에의해 생산되고, ‘통속민요’는 전문예능인들에 의해 생산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양자를민요의 하위 범주로 대등하게 다룰 수는 없음은 물론 ‘통속민요’를 민요의 하위 범주에포함시킬 수 없다. 대부분의 학자들이 민요는 기층민들이 생산하여 기층민들이 즐기는양식이라는 개념에 동의하고 있기 때문에 ‘통속민요’는 민요의 하위 범주에 속할 수 없는 것이다. 나아가 ‘향토민요’에서 ‘향토’라는 수식어도 불필요하다. 여러 연구자들이 민요를 ‘향토민요’와 ‘통속민요’로 구분함에 따라 구체적인 연구들에서도 여러 문제점들이 노출된다. 연구자들은, 제보자들이 ‘통속민요’를 논농사를 할때 불렀다고 해서 이를 논농사요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이는 ‘통속민요’가 ‘향토민요’가되는 결과를 낳는다. 논농사요는 ‘향토민요’이기 때문이다. 또한, 용어 개념에 견인되어 실상을 잘못 파악하기도 한다. <어러리>가 기층민들이 생산한 노래이기 때문에 노동요에만 한정하여 논의를 진행하기도 하고, ‘향토민요’와 ‘통속민요’는 동일한 민요이기 때문에 그 음악적 특징이 별반 다르지 않다고도 한다. 그리고 ‘향토민요’와 ‘통속민요’를 대부분의 사람들이 널리 부른다는 점에서만 논의를 하고, 그 생산자들의 성격이다름을 논의에 포함시키지 않기도 한다. 그 결과 여러 논의들은 현상의 특정한 면만을보든지 잘못된 결론에 이르기도 한다. Many terms exist to identify Korean folk songs. Local folk songs (향토민요),traditional folk songs (전통민요), aboriginal folk songs (토착민요), native folk songs (토속민요), indigenous folk songs (토민민요), popular folk songs (통속민요), merrymaking folk songs (흥민요), narrative folk songs (창민요), trendy folk songs (유행민요), modern folk songs (근대민요), new folk songs (신민요), and composed folk songs (창작민요) are only a few of the immensely diverse terminology of Korean folk songs. Although these terms, with their different connotations, are used in different contexts, they can be roughly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local folk songs (향토민요), popular folk songs (통속민요), and new folk songs (신민요). Before Korean folk songs were divided into such categories, scholars of the early and mid-20th century did not differentiate local folk songs and popular folksongs, but thought of the masoneset, contrasted by the group of “newfolksongs.” This type of categorization was continued by the scholars Ko Jeong-Ok and Lim Dong-Gwon. Recent scholars, on the other hand, have divided folk songs into local folk songs and popular folk songs. This classification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both kinds of folk songs are sung by the common people. However, considering that local folk songs are generated naturally in the daily lives of commoners and popular folk songs are created by professional entertainers, these two groups cannot be dealt in a parallel manner. Neither can popular “folk songs” be truly considered folk songs, which all scholars agree to be songs created and enjoyed by the common people. Regarding these points, one can also see that the word “local” is unnecessary in the term “local folk songs,” as the very nature of folk songs guarantee that they are generated locally. Yet the problems do not end here. Much more inaccuracy can be found within particular researches, in which many scholars continue to erroneously divide folk songs into local folk songs and popular folk songs. For instance, researchers sometimes classify popular folk songs into rice farming songs (논농사요) after hearing from informants that popular folk songs were sung during rice farming. However, such a classification disguises popular folk songs as local folk songs,confusing people with inaccurate terminology and blurring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particular folk songs. More examples can be found in abundance. Eoreori, a folk song created by commoners, is sometimes restricted as a type of a work song (노동요), although it can be classified in other ways as well. Local folk songs and traditional folk songs are sometimes seen to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because they both are folk songs, despite their dissimilar roots. Furthermore, local folk songs and popular folk songs are occasionally discussed only on the grounds that they are widely sung by the people, and their different roots are left out from deliberation. Such ignorance and inaccuracy lead to a neglect of particular characteristics of folk songs or flawed conclusions about their nature.

      • KCI등재

        경쟁형 놀이의 탈일상성

        유영근(Yoo, Young-Geun),박관수(Bak, Gwan-Su) 실천민속학회 2014 실천민속학연구 Vol.23 No.-

        경쟁형 놀이는 놀이 참가자들이 경쟁 구도 하에서 즐기는 놀이의 형태를 말한다. 본고에서는 놀이에 경쟁이 존재하는 현상에 대해 주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놀이의 탈일상성에 대해 논의한 후, 탈일상성이 경쟁형 놀이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논의하고 한다. 본고에서는 놀이를 특별한 목적이나 생존 자체에는 직접 관계가 없을지라도 그것 자체로써 흥미가 있는 것을 스스로 느끼는 활동의 총칭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경쟁은 같은 목적에 관하여 서로 겨루어 다툼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정의는, 탈일상성이 목적성 유무와 밀접하게 연관되기 때문에 놀이의 목적성에 주목하면서 탈일상성에 대한 논의를 가능하게 한다. 위의 정의들을 고려하면, 놀이가 경쟁의 형태를 띤다는 것은 모순처럼 보인다. 경쟁형 놀이는 말 그대로 ‘놀이’이기에 무목적성을 지녀야 하는데, ‘경쟁형’이라는 수식어가 추가되면서 ‘경쟁형 놀이’는 “일정한 목적이 존재하는 형태의 목적이 없는 것”이라는 모순적인 개념으로 정의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부 놀이들은 경쟁성을 바탕으로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목적은 현실에서의 이해관계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목적과 현실에서의 이해관계와 무관한 목적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경쟁형 놀이에서는 놀이 구성원들이 공동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경쟁하되, 그 목적은 현실에서의 이해관계와는 무관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 때문에 아무런 목적 없이도 경쟁이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경쟁형 놀이에서의 목적은 놀이 특성 중 하나인 탈일상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경쟁형 놀이의 탈일상성 형성에 기여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각각의 요인들이 탈일상성을 형성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는 본인이 직접 놀이들을 경험하고 채록한 ??초?중등 학생들의 놀이문화??라는 책을 바탕으로 하고자 한다. Competitive play refers to the type of play where participants are under the form of competition. This paper focuses on the existence of competition in plays. For this, this paper will first discuss about play"s escape from daily life, and then deal with the roles escape from daily life plays in competitive plays. This paper defines plays as something that is done without specific objective or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survival itself, but has characteristics which allow people involved to be interested or have fun and competition as fighting or rivaling on the same objective. Such definitions, since escape from daily life gets to be closely related with the concept of objective, allow the discussion on escape from daily life while focusing on objectives of the plays to be done. Considering the definitions above, it seems like a paradox for plays to be competitive. Competitive play, since it is a type of play, must have no objective while, since it is competitive, it should have specific objective at the same time. Then the term competitive play is defined as something that is done without any objective, which has characteristics of fighting or rivaling on the same objective. Such definition is clear paradox. However, some of the competitive plays indeed were found. However, the concept objective can be divided into two: one that is directly related to daily life and another that is not. From this perspective, competitive play can be understood as participants rivaling for some objectives that are relevant only in the play, not in the daily life. This explains how competition can be done without objectives. Objectives in competitive plays are closely related to escape from daily life,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competitive plays. This paper will analyze the factors that contribute in the formation of escape from daily life in competitive plays, and elaborate on how each factors contributes in the formation. Such discussions will be substantiated by ??Play Culture of Elementary, Middle School Students??, which is a direct field recording of various plays researched by the author himsel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