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동적 행정행위의 현황과 전망

        박가림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22 행정법연구 Vol.- No.68

        As artificial intelligence penetrates all sectors of society, concerns and expectations are intersecting.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be used in public administration field because it is aimed at a large number of people and text data such as laws and legal precedents are accumulated. So far the study of fully automatic administrative activity has been continued in administrative law. However, these studies hastily anticipate the stage of completely autonomic administration without human intervention and have repeated abstract discussions. Now is the time to establish a practical approach for each administrative field, starting with the fundamental question of whether automatic administration is possible and necessary as a more realistic step.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automated or digitized status of our administrative activities and to explore what the legal system should be to respond feasible changes. Therefore we firtstly intend to collect and understand related studies such as electronic administration and automatic administrative actions, and also analyze various conceptual definitions related of administrative actions. In addition, laws and regulations of electronic or automatic administrative actions are examined. In the next chapter, in order to specifically grasp the current status of automic administrative action, the significance and problem of electronic notification activities, including the National Secretary Service, which is currently most widely used as a public administrative service, are derived and legal characteristics are identified. And then, various types of automic administration are classified into automation of internal tasks, information providing through search engines, decision assistance by sequence prediction, and the automatic acceptance of a report. For these types, the automation stage of each administration and legal nature of administrative law are examined. Meanwhile, it will be expected that as automatic administration receives a number of complaints through automatic systems, it could approach democratic administration and ensure the same conclusion on the same conditions. Also, by guaranteeing the same conclusion on the same conditions, it will be able to meet the principle of equality. There are two suggestions in lieu of the conclusion. The first one is researches on individual legislation for fully automatic administrative actions should be conducted proactively, the second one is opinions of experts and users in each legal field should be sufficiently reflected before building a legal AI system.

      • KCI등재

        재량처분에 대한 사법심사기준 정량화 방안의 모색 - 챗GPT를 활용한 판례 데이터베이스 분석을 중심으로 -

        박가림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法學硏究 Vol.34 No.1

        In previous cases related to judicial review of discretionary actions in administrative law, the focus has been on determining whether there was an abuse or deviation of discretionary power, resulting in insufficient assessment of individual reasons and explanation. Identifying specific reasons for judicial review of discretionary actions is necessary, as it influences the claims and evidentiary directions of the parties involved in administrative litigation and affects administrative authorities' actions.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quantitatively extracting individual judgment elements through attempts to concretize and typify the reasons for judicial review. As a premise for finding a quantitative method for judicial review criteria, Chapter 2 of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cases related to discretionary actions by building a database and utilized ChatGPT in the process. Although ChatGPT could not directly derive analytical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it could perform tasks that coding experts previously conducted and offer assistance in exploring analysis methods through question-and-answer interactions. Based on this analysis experience, Chapter 3 researched methods to schematize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a general judgment criterion for discretionary dispositions. The study expressed and coded the comparative magnitude of public and private interests using decision trees and considered ways to fill in each of the specific elements encompassed within public and private interests. We proposed how these criteria could be utilized in future judicial review outcome prediction systems and in arguments and evidence in actual trials. Quantifying the judgment factors by analyzing the judicial review criteria for discretionary dispositions of administrative agencies means filling in the reasons for judgments at the abstract level to a level that the general public can understand, thereby increasing the predictability of the court's judgments, enhancing trust in administrative precedents, and creating a meaningful link that can lead to reasonable discretionary dispositions and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the rights and interests of the people. In subsequent studies, artificial intelligence is used in the process of subdividing public and private factors and each subdivided element is quantified, so that anyone can understand the difficult discretion of the courts. Additionally, it is hoped that courts can deliver more rational and explainable decisions by being aware of the increasingly fine-grained aspects of judgment.

      • KCI등재

        개인정보의 기술적·관리적 보호조치에 대한 고찰 -대법원 2021. 8. 19. 선고 2018두56404 판결-

        박가림 한국행정판례연구회 2022 행정판례연구 Vol.27 No.2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services provide significant benefits to users, but behind them, there is a risk of computer security incident(ex.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If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is leaked in large quantities by so-called hacking, the biggest issue is whether the service provider complies with technical and managerial protection measures. This decision determined whether the Plaintiff, the provider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services, violates the duty of protection measures of personal information by law.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make a detailed judgment on whether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a system to prevent illegal access and infringement accidents were appropriate and whether the duty of protective measures to prevent disclosure or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was fulfilled. Since the criteria for protection measures is used the basis for administrative sanctions, the clarity and strict interpretation principles are applied, and accordingly, the violation of the duty of protective measures is passively interpreted, and the liability of the business is eased. On the other hand, it should be reviewed whether it is reasonable that the notice in this case, which has the form of administrative rules, has the nature of a legal order as a guideline for sanctions, and there is room for violation of the comprehensive commission support rule in light of the regulatory system and scope of delegation of the notice. And as a detailed issue, it is necessary to check whether a web server or web page is included i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how to determine the criteria for intrusion prevention and intrusion detection functions to be included in the interpretation of laws and regulations. As the guideline of protection measures set by the notice of this case falls under the sanctions standard and the strict interpretation principle is applied, it may be pointed out that the court may make a too passive judgment to exempt service providers and give them a false perception that it is not a legal problem even with minimal protection measures. In particular, when comparing changes in the legal system, which is actively using personal information due to the revision of the three data laws, the trend of overseas laws such as GDPR and CPRA, and the degree of administrative orders for violation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n depth. 정보통신서비스는 그 이용자에게 상당한 편익을 가져다주지만 그 이면에는 개인정보의 유출이라는 위험이 상존하고 있다. 이용자의 개인정보가 이른바 해킹에 의하여 대량으로 유출된 경우 서비스제공자의 기술적 · 관리적보호조치 준수 여부가 법적 책임 소재에 있어서 가장 큰 쟁점이 된다. 대상판결의 경우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인 원고가 구 정보통신망법 제28조 제1항, 그 시행령 제15조 및 이 사건 고시 제4조 제5항 및 제9항이 정하는 보호조치의무의 위반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하여 판단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불법적인 접근이나 침해의 방지를 위한 시스템의 설치 및 운영이 적절하였는지, 개인정보의 공개나 유출을 방지해야 하는 보호조치 의무를 다하였는지에 대한구체적인 판단이 필요하다. 보호조치 기준은 행정상 제재의 근거로 작용함에따라 명확성원칙과 엄격해석 원칙이 적용되어 사업자의 의무위반 여부를 소극적으로 해석하게 되고, 민사상 손해배상책임의 요건으로 그대로 적용됨에따라 사업자의 책임이 완화되는 결과를 낳게 된다. 한편, 행정규칙의 형식을가진 이 사건 고시가 제재처분의 기준으로서 법규명령적 성질을 가지고 있는것이 타당한지 검토되어야 하고, 위 고시의 규정체계 및 위임의 범위에 비추어 포괄위임금지원칙에 위배되는지 판단되어야 한다. 그리고 세부 쟁점으로서 웹 서버나 웹 페이지가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포함되는지 여부 및 법령의해석상 갖추어야 할 침입 차단 및 침입탐지 기능을 갖춘 설비의 기준은 무엇인지, 설비가 정상적으로 운영되었는지 여부를 어떻게 판단할지에 대한 논리적 점검이 필요하다. 이러한 논리적 분석을 통하여 이 사건 고시가 정한 보호조치의 기준이 제재기준으로서 엄격해석 원칙이 적용됨에 따라 법원이 지나치게 소극적인 판단을 하여 서비스제공자에게 면책을 주고 최소한의 보호조치만을 갖추어도 법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잘못된 인식을 심어줄 우려가 있다는 점이 지적된다. 특히, 가명정보 활용 등 데이터 3법의 개정으로 개인정보의 활용이 활발해지고 있는 우리 법령체계의 변화, GDPR이나 CPRA 등 개인정보 보호를 엄격하게 규정하고 있는 해외법령의 추세 및 위반사례에 대한 행정명령의 정도 등을 비교할 때 보호조치 의무 위반에 대한 판단이 어느 선에서 적당한 것인지 깊이 있는 고민이 필요하다

      • KCI등재

        대행 관련 법제도 분석 및 개선방안

        박가림 한국행정법학회 2024 행정법학 Vol.26 No.-

        대행은 현행법상 관련 조문이 많이 있지만 법령상 정의가 통일되어 있지 아니하고 활용 형태도 다양하다. 따라서 대행과 관련한 법집행의 혼란을 방지하고 행정사무의 대행을 통한 행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법령상 정비가 요청된다. 본 연구는 행정권한 또는 사무의 대행에 대한 법적 개념을 인접 개념과의 비교 및 관련 판례 분석을 통하여 대행 고유의 법리를 체계화하고, 대행을 조문화한 현행법에 대한 조사, 법적 쟁점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발전된 입법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2장에서는 대행 관련 법이론 및 판례를 분석하였다. 대행의 경우 대행기관에게 사실상 독립적인 행정권한을 부여하지만 그 권한이 법적으로 이전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권한과 책임이 이전되는 위임이나 위탁과 구분되고, 행정청의 지시에 따라 비독립적으로 행정사무를 기술적으로 집행하는 행정보조인과도 구별되며, 피대리청에게 모든 법률 효과가 기속되고 대리인임이 명시되지 않는 경우가 없다는 점에서 대리와도 차이점이 있다. 요컨대, 대행제도는 그 법적 효과가 피대행기관에게 최종적으로 귀속되므로 그 권한과 책임이 피대행기관에 유보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대행과 관련하여 대법원 판례는 대행자 명의에 의한 처분의 효력을 부정하거나 긍정하는 등 대행이라는 용어에 치우치지 않고 실질적인 법적 성격에 따라 판단하고 있다. 헌법재판소에서는 주로 직업의 자유와 관련하여 대행제도의 위헌 여부를 판단한 바 있다. 3장에서는 법률의 본문에 대행을 규정하고 있는 현행법을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대행 관련 조문들을 유형화하였다. 피대행기관인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법령에 근거하여 행정사무를 민간에게 맡기는 형태, 행정청이 행정사무를 다른 행정기관에게 대행하게 하는 형태, 직무수행자의 궐위가 발생한 경우에 그 권한과 업무를 맡기는 형태로 분류된다. 이와 같은 유형화를 바탕으로 살피면 대행을 규정한 모든 현행법상의 조문에 적용될 수 있는 대행제도의 일반원칙을 발견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나타난다. 그 밖에도 ‘위탁 또는 대행’이라고 규정한 조문들도 상당수 존재하는바, 행정사무의 대행에 특유한 쟁점사항을 법제도화하는 동시에, 위탁이나 위임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대행조문을 정비하는 병렬적인 방식으로 법체계를 정비하는 방향이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이를 바탕으로 대행제도의 정비방안을 제시하면, 대행의 일반원칙 및 대행사무에 관한 일반조문을 신설하여 대행의 법적 근거, 피대행기관의 권한 및 책임의 유보, 세부적 내용에 대한 위임근거를 만드는 것을 우선으로 해야 한다. 그리고 대행에 대한 규제 조문도 함께 마련하여 피대행기관인 행정청에 지휘・감독 권한이 있다는 점을 일반조항으로 두고, 그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대행사무 처리에 대한 지시나 시정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권한을 피대행기관에게 유보하며, 대행의 정지나 취소로 인하여 제3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손해에 대한 대외적 책임의 소재를 성문화할 것이 요구된다. 이와 함께 대행을 규정한 개별법상 조문들이 구체적 법적 성격에 부합할 수 있도록 위탁, 위임, 직무대리 등으로 용어를 정비하는 방안을 추진하여 법적 정합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The agency system of administrative affairs has many provisions under the current law, but there is no unified definition provision.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confusion in law enforcement an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administration through the agency of administrative affairs, a legal reorganization is required. This study attempted to systematize the legal principles of the agency system through comparison with adjacent concepts and analysis of related precedents, to identify a general principles through investigation and categorizing of the current law that codified the agency. Chapter 2 analyzes legal theories and precedents related to the agency system. In the case of an agency, it is distinguished from delegation or consignment to which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are transferred in that the agency is given virtually independent administrative authority, but the authority is not legally transferred, and it is also different from an administrative assistant who technically executes administrative affairs independently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administrative agency. The agency system is characterized by the reservation of its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because all legal effects are bound to the agency and the agency is not specified as an agent. Regarding agency, the Supreme Court cases judge the term agency based on the meaning of the actual use of the term agency, such as denying or affirming the effect of disposition in the name of the agent by grasping the legal nature of the agency in detail. In the case of the Constitutional Court, there are many judgments on whether the agency system related to freedom of occupation is unconstitutional. In Chapter 3, provisions related to agency are categorized based on the results of an investigation of the current laws. It is classified into a type in which the state or local government, which is the agency to act, entrusts administrative affairs to the private sector based on laws and regulations, a form in which an administrative agency entrusts administrative affairs to another administrative agency, and a case in which the administrative agency entrusts the authority and duties in the event of an vacancy of a job performer. Examining based on these types of work, there are limitations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the general principles of the agency system that apply to all the provisions under the current law that stipulate agency. In addition, there are many articles that stipulate ‘entrustment or agency’, so it seems desirable to reorganize the legal system in a parallel way that legalizes issues specific to administrative agency and reorganizes agency articles used in the same sense as entrustment or delegation. If a plan to improve the agency system is presented based on these implications, it should prioritize creating a general rule on the agency's general affairs, and making preliminary guidelines on the permission, basis, reservation of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of the agency. It needs to improve legal consistency by preparing regulatory provisions for the agency, making it a general provision that the administrative agency has the authority to direct and supervise administrative affairs. It is necessary to reserve the authority to take measures such as ordering or correcting the agency's handling of administrative affairs, and to codify where external responsibility may arise to third parties due to the suspension or cancellation of the agency.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amend the provisions under the individual laws that stipulate agency into entrustment, delegation, and acting on duty to meet specific leg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법률 온톨로지의 이해와 적용

        박가림,최승원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法學論集 Vol.23 No.2

        This paper describes a legal ontology that is involved to make a specification of a legal conceptualisation for the purpose of utilizing legal knowledge system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of law. A legal ontology is a part of ontology, that is defined as ‘explicit conceptualisations of a domain’. Ontologies serve as an agreed communication language for the agents through describing and structuring the entities and relations that need to be acquired for some domain, which enable to develop domain theories, system design, and knowledge exchange. Ontologi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of formalism or the degree of abstraction, and can divided by a method, for instance, EO, TOVE, Methontology, On-To-Knowledge. A legal ontology has been used as a basis for the design of legal knowledge systems. So far, many authors attempted to specify their conceptualisation of the legal domain in a legal ontology: (1) McCarty’s Language for Legal Discourse, A-HOHFELD language applying to Hohfeld’s fundamental legal conceptions in judicial reasoning; (2) a Functional Ontology of Law of Vanlente, A.; (3) the Frame-Based Ontology of Kralingen and Visser; (4) CLO(The Core Legal Ontology), LRI-Core Ontology, and LKIF-Core Ontology as recent upper level ontologies; (5) the CLIME project as a domain ontology. These suggestions are distinguished as description and categorizing of the elements of legal knowledge, which is dependent on the purpose of their legal ontologies. In our country, there are few legal ontologies for the purpose of a semantic search in a legal domain by organizing legal regulations. After the review of those legal ontologies we arrived at the following findings: legal ontologies play an important role in conceptualising legal knowledges in representation formats; it provides a foundation to exchange legal knowledges between human and computers, which can be applied to semantic searching, legal knowledge base systems, Frequently asked questions(FAQ), and automatic reasoning. We found that many researchers in legal theory are needed to describe computational formalism in their legal theoretical underpinning. In addition, in order to actually build and utilize ontology in various legal fields, it will be important to play an intermediary role of knowledge management professionals who enable efficient structure of knowledge in implementing computer technology. 법률 온톨로지는 법에 관한 지식을 구조화하고 법 개념에 대한 공통된 정의를 통 하여 고도화된 법률 지식베이스, 더 나아가 법률 인공지능을 구현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법학에서 다소 생소한 분야에 해당하는 온톨로지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온톨로지의 개념, 종류 구축의 방법과 개발 사례를 먼저 살펴보았다. 온톨로지는 ‘개 념화에 대한 명시적인 명세’라고 컴퓨터와 정보과학 분야에서 정의하고 있는데 개념 화를 통하여 개념간의 혼동을 막아 공유와 재사용을 가능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의미 론적 검색 등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온톨로지는 형식성이나 추상화의 정도 등 다양한 기준에 따른 분류가 가능하고, 방법론에 따라 EO, TOVE, Methontology, On-To-Knowledge 등으로 분류할 수도 있다. 법률 온톨로지는 법률 영역에서 개발하 는 온톨로지를 의미하고 법률 지식시스템에서 지식베이스 및 법률 지식 관리에 유용 하게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법률 온톨로지의 역할로는 정보를 조직하고 구조화 하여 법적 용어를 정의하는 것, 추론과 문제해결 기능을 제공하여 지식베이스나 전 문가시스템에 사용되는 것, 의미망 색인과 검색에 있어 명확성을 제공하는 것, 개별 지식 영역의 이해를 위한 지도로 작용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법률 온톨로지의 구 축 사례는 McCarty의 법담론을 위한 언어(LLD) 및 Hohfeld의 법적 추론에 적용되는 근본적 법적 개념을 기반으로 개발한 A-HOHFELD 언어 등을 시초로 하고, 기능주 의적 법률 온톨로지 및 프레임 기반 온톨로지, 비교적 최근에 개발된 상위 법률 온톨 로지에 해당하는 CLO, LRI-Core 온톨로지 및 LKIF-Core 온톨로지 및 영역 온톨로지 에 해당하는 CLIME 등을 들 수 있다. 위 각 온톨로지를 종합한 결과, 각 온톨로지마 다 추출한 법적 상위 개념은 개발의 목적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지만 법체계를 표현할 수 있는 개념들을 추출하여 기술하고 각 개념간의 관계를 설명하고자 한다는 공 통점을 갖는다. 한편, 우리나라의 경우 법학에서 법률 온톨로지를 연구한 사례는 없 고 의미론적 법령 검색을 위하여 온톨로지를 활용한 몇몇의 사례만 있는바, 개발의 목적에 따라 법령을 체계화하고 다양한 형태의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이다. 이와 같이 법률 온톨로지는 법지식을 개념화하고 체계화시킴으로써 법의 영역에서 인간과 컴퓨터가 상호 이해할 수 있는 법지식의 기반을 마련하고, 이를 토대로 법 영 역에 대한 의미론적 검색, 지식베이스의 구축, 질의-응답 체계나 자동추론 등에 해당 하는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목적에 이바지한다. 개별 법학 분야의 전문연구자들도 해 당 영역 법지식의 체계화 및 컴퓨터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학문의 발전을 위하여 법 률 온톨로지에 대한 이해와 활용에 귀를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고, 이와 더불어 다양 한 법 분야의 온톨로지를 실제 구축하여 활용하기 위해서는 전문지식을 컴퓨터 기술 로 구현함에 있어서 지식의 효율적 구조화를 가능하게 하는 즉, 전문지식과 기술구 현의 가교로서의 지식 관리 전문가의 중간 역할이 중요하다.

      • KCI등재

        정보기술과 법지식의 융합 - 에너지법 온톨로지를 활용한 입법정보시스템의 구상 -

        박가림(Park Ga-rim),하민정(Ha Min-Jeong) 한국법학회 2021 법학연구 Vol.81 No.-

        오늘날 인공지능이 커다란 화두가 되면서 법학 분야에도 정보기술 발달에 따른 기존 법제도의 문제점이나 개선방안 등에 관한 연구들이 체계를 갖추어 가고 있다. 그러나 정보기술과 법 사이의 접점을 고찰하는 측면이 아닌 정보기술을 법에 응용하는 실용적인 연구는 활발하지 못하다. 이 논문은 정보기술과 법의 융합을 위한 실천적 토대로서 입법 분야, 특히 에너지 관련 입법이라는 세부 분야를 담는 법률정보시스템을 구상하고, 법률정보를 가공하고 지식화하여 법률 온톨로지를 만드는 것을 목적하였다. 먼저, 입법을 지원하는 시스템의 구축을 위해서는 관련 법률의 입법목적·내용·효과·적용대상 및 인용법률의 구조화된 정보, 입법논의 현황에 관한 데이터와 입법평가 데이터, 법률과 관련된 주요 판례 데이터, 입안 시 공청회 데이터, 입법예고 시 전문가 및 국민의 의견제출 데이터 등이 체계화된 형태로 제공될 필요가 있다. 그 중에서 입법과정에 필요한 데이터를 선정하고, 어떤 방식으로 데이터를 구조화할 것인지 정립하여야 하며, 그 정립에 있어서는 입법의 합헌성이나 적정성 등 입법원칙의 적용이 전제되어야 한다. 이러한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에너지법에 대한 지식화와 법률 온톨로지의 구축을 시도하였다. 에너지 법제의 법률들을 유형화하고 각 법률을 조문 단위로 분절하여 규범의 성격·주체·객체·행위·인용조문 등의 유의미한 항목을 추출한 뒤, 규범내용을 의무·금지·허용규범 및 형식적 규범으로 분류하여 개별 조문을 나누고, 규범의 단위로 조문을 색인하여 조문내용을 상하관계 등으로 표현하며, 연관어·유의어 및 키워드 항목을 지정하여 규범내용에 따른 검색표지를 만들어 의미론적 분류를 가능하게 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지식화 및 법률 온톨로지는 입법 지식기반 시스템에 제공되어 주제어사전, 법률데이터베이스로 작동할 수 있고, 분류된 규범내용 그 자체를 기반으로 지식의 축적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입법데이터 중에서 법률조문만을 대상으로 하였지만, 그밖에 입법논의 자료나 입법평가, 판례 데이터, 공청회 데이터 등을 지식화하여 종합적인 입법정보시스템을 현실화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향후 법률 온톨로지 이외에도 비정형데이터로 흩어져 있는 법률데이터를 구조화하는 다양한 시도들이 많이 축적되어 법학 방법론에 새로운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interest in Artificial Intelligence(AI) and several papers focused on the study of an influe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or artificial intelligence on legal domain. Although there’s been research on the legal issu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practical approach applying information technology to a law has not been made yet. This paper specifies legislation of energy law as a practical foundation for converge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law, and sets a final goal to establish a legal information system. The point is to show the proceedings of engineering a legal knowledge and making a legal ontology. In the first place, to establish a lawmaking support system, it needs to be provided many datum such as structured information on legislative purpose, content, effect, and subject of application of related laws previously enacted and cited laws, results on legislative discussion and legislative evaluation, data on major precedents related to laws, data on public hearing on drafting, and data on opinions of legal expert and people to pre-announcement of legislation in a structured form. With these legislative datum, it should be choosed which data is suitable for a certain legislative process how to structurize the data, and it needs to be premised the principle of legislation like constitutionality and propriety. In the second place, this study attempted to intellectualize energy law and establish a legal ontology. It categorized energy laws by a provision unit, to make specifications such as personality, subject, object, act, and cited clause of norm and then to classify the contents of norm into obligation, prohibition, acceptable norms, and formal norms. Also, we divided individual provisions to ensure that provision contents can be expressed hierarchically and designated associated word, synonym, and keyword items, and search indexing to make a semantic classification. Although this study focus on legal provisions among legislative datum, a follow-up study should structurize legislative discussion data, legislative evaluation results, judicial precedents data, and public hearing data to be made the comprehensive legislative information system. In addition to legal ontologies in the future, we hope that there will be a number of different attempts to structure legal datum, which will lead to a new transition of legal study.

      • KCI등재

        판례연구에 관한 정량적 분석방법의 모색

        박가림(Park, Garim) 한국법학원 2021 저스티스 Vol.- No.186

        본 연구는 판례연구에 정량적 방법론을 도입하여 객관적인 판례평가의 기준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하였다. 이에 앞서 판결예측에 관한 그간의 연구를 정리하고 각 방법론을 분석하는 과정을 통하여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미연방대법원의 판결에 대한 예측연구를 먼저 정리하였는바, 축적된 판결의 특성을 추출한 인자를 학습시켜 기계학습의 알고리즘들을 적용하여 판결예측을 수행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고, 다양한 분류항목을 제공하는 데이터집합인 미연방대법원의 데이터베이스(SCDB)를 사용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유럽인권재판소도 미국의 경우와 같이 판결에 대한 데이터베이스(HUDOC)를 관리하고 있는바, 유럽인권조약의 조문과 그에 관한 판결을 연결하여 데이터집합을 만들고 자연어처리 기법 등으로 판결을 분류하고 수치화하여 결과를 예측하는 모델링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판결예측 연구들은 판결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변수들을 선정하여 조정하고, 데이터 전처리와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통하여 판결의 승패를 예측고자 하였다. 그 밖에도 확률이나 통계에 기반한 정량적 연구로서 토픽모델링을 통한 연구동향의 분석이나 단어 동시출현 관계 등을 기준으로 한 연결망 분석 등 다양한 방법론들을 살펴보았다. 한편, 제3장에서는 판례연구에 정량적 연구방법을 도입하여 판례평가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향을 설계해보고자 하였다. 판례평가는 그 평가요소의 선정이 가장 중요하므로 평가항목을 살펴보기 위하여 2020년 행정판례연구 논문을 전수조사하여 판례평석의 방법론을 분석하여 항목화하였다. 이와 더불어 자연어처리와 기계학습의 알고리즘을 파악하기 위해 넷마이너라는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판례평석 데이터를 가공하고 논문과 추출된 단어 사이의 연결망을 파악하는 등의 시도를 해보았다. 그리고 판결예측 및 평석방법론을 분석하여 추출한 항목들을 판결평가 항목에 적용하고, 모범판례를 선정하여 항목별 일치도를 수치화하는 방안을 구상하였다. 판례의 분석을 위하여 판결 내 요소(사실관계, 당사자, 선례, 법령 등)와 판결 외 요소(판사의 개인적 성향, 과거 판결 등)에 대한 항목을 개발하여 다양한 정량적 연구방법을 접목시키면 판례평가 시스템의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한다. 향후 과제로서 행정판례의 평가기준 설정에 필요한 데이터집합과 사용자 사전, 온톨로지 등을 만들어 판례평가시스템의 기반지식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판례평가 항목을 정량화하여 시스템화한다는 것은 판례연구에 대한 기존의 이론적 연구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론을 도입한다는 의미도 있지만, 향후 법률 인공지능을 활용한 판결예측이 활성화될 경우 기존의 판결데이터만을 분석대상으로 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편향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가치가 있다. This paper considers the research related to judgment prediction and to find a new direction for the study of case analysis based on the methodologies of machine learning. It also provides a starting-point to build a case evaluation system. In chapter 2, this paper reviewed the previous research on judgment prediction and analyzed the methodology that studies the prediction of Supreme Court’s judgements, using the database of the Supreme Court Database (SCDB) and that of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HUDOC). These judicial prediction studies sought to select and coordinate various variables that affect the sentences, and to predict the outcome of the judgement through data pre-processing and machine learning algorithms. Chapter 3 of this paper tried to introduc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to the case study and also it is tried to investigate the administrative precedent research paper in 2020 and analyze methodologies. In addition, by using a software called Netminer it could be to extract items from the judgment prediction that is able to apply to the judgment evaluation system. As a future task, a dictionary of legal terms, ontologies, etc. needs to be developing to make a dataset. These attempts also mean introducing new methodologies that can interact with existing theoretical studies of precedents, but they are also valuable to prevent bias problems that may arise when the prediction only analyzes existing precedents.

      • KCI등재

        지방의회의원 제명의결처분에 대한 판결분석

        박가림(Park, Ga-Rim)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21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21 No.4

        이 글은 지방의회의원에 대한 제명처분에 대한 판례분석을 통하여 징계의 적정성을 확보하려는 목적으로 제명의결에 대한 법리 분석에서 출발하여 판례에서 다루어진 제명의결에 대한 거의 모든 논점을 살펴 유형화하고, 사법심사의 방향 및 제도개선 방안을 담고 있다. 우선, 징계의결의 법리를 파악하기 위해 지방의회의원에 대한 징계절차를 규정한 16개 광역시도의회의 회의규칙을 분석하여 공통된 규정을 추출하고 차이점을 살펴보았다(표1). 그리고 법령에서 제시된 징계사유를 비교하고 분석하기 위하여 지방자치단체가 조례로 정한 윤리강령과 윤리실천규범이나 행동강령 등 개별 법규를 광역시도의회의 자치법규를 대상으로 각 징계사유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표2). 또한, 제명처분에 대한 판례분석에 앞서 사법심사 가능성 여부, 관할의 문제 및 법률상 이익의 인정 여부에 대한 판례의 태도를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앞 장의 법령 분석에 이어 본격적인 지방의회의원 제명의결에 대한 판례분석을 위하여 대상판례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방법론을 정리하였는바 법령정보검색의 도구들과 입력한 키워드를 소개하고 2015년 이후의 판례를 쟁점에 따라 분석하기 위하여. 컴퓨터로 저장하고 공유할 수 있는 엑셀파일로 분석대상판례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하였다. 각 판례의 분류항목을 설정하고 분류목록에 따른 주제어를 설정하여 검색의 기반으로 제공될 수 있게 하였다(표3). 분석대상판례에서 다루어진 쟁점을 귀납적으로 수렴하여 크게 절차적 하자, 징계사유의 존부, 징계권의 일탈·남용으로 유형화하여 각 항목별로 세부 논점을 검토하였다. 먼저, 절차적 하자 문제에서는 징계의 단계적인 절차에 위반되는지 여부, 처분의 이유제시나 통지 결여 등이 행정절차법의 적용을 받아 위법한지 여부, 및 징계요구시한 도과의 법적 효과를 다루었다. 둘째, 징계사유의 존부에 관한 논점으로 품위유지의무 및 청렴의무의 위반 여부, 영리행위금지 위반, 징계사유의 추가 가능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셋째, 징계권의 일탈·남용에 있어서는 판례에서 제명처분에 대한 긍정적 요소로 판단된 것과 부정적 요소로 판단된 내용을 분류함으로써 향후 징계양정에서 미시적 고려요소를 항목화하였다(표4).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사법심사의 강도를 절차적 하자와 실체적 하자에 차등을 두는 방식을 제시하였고, 관련 법제도의 개선방안으로서 국회법 제164조와 같이 지방자치법에서도 제명된 사람의 입후보를 제한하는 규정을 신설하는 것, 개별 자치법규에서 징계사유와 징계기준을 명시할 것, 징계의결에 대한 사법심사 여부나 관할에 대한 규정을 명문화할 것, 회의규칙에서 의결 결과를 당사자에게 통보하는 절차 등에 대한 규정을 만들어 징계대상자의 재판청구권 등을 보장할 것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지방의회의원에 대한 제명은 소속하는 의회가 정한 자치규칙과 인적 구성, 구체적인 징계절차의 진행 등 다양한 변수에 따라 처분의 편차가 나타날 수 있고 실제로도 제명처분이 판결을 통하여 취소되는 확률도 높은 경우에 해당하는바, 논문으로 제시된 항목화된 판결분석데이터를 통하여 징계처분의 적정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is intended as an analysis of judicial precedents on expulsion disposition for a local council member and it contributes to build the appropriate disciplinary standards for judging. As a beginning, we examine the legal principles of disciplinary resolution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eting rules of 16 metropolitan and provincial councils that stipulate disciplinary procedures. In addition, it considers the possibility of judicial review, jurisdiction, and attitude of precedents on whether legal interests are recognized. In Chapter 3, the cases collected using the Internet access system providing by Court of Kore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ir issues. The analysis target precedents was converted into a database with Excel files that can be stored and shared on an internet, and the keywords was setting for each classification list so that it could be provided as the basis for searching. The issues of the analysis target cases were categorized into procedural defects, the existence of disciplinary grounds, and deviation or abuse of disciplinary discretion, and detailed issues were reviewed for individual items. First, the procedural defect problem dealt with whether the disciplinary procedure was violated each steps, whether the reason for the disposition or lack of notification was illegal under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and the effect of exceeding the disciplinary request limitation. Second, as a matter of the existence or absence of disciplinary grounds, whether the duty to maintain dignity and integrity is violated, the violation of the prohibition to acquire interests, and the possibility of additional grounds for disciplinary action were examined. Third, in the case of deviation and abuse of disciplinary discretion, the contents are classified as positive and negative factors for expulsion disposition. Through this analysis, a method could be presented to differentiate the intensity of judicial review from procedural defects and substantive defects. Furthermore, as a legal system improvement plan, it needs to establish new regulations of restricting candidates who is expelled, specifing reasons for disciplinary action, and proposing to create regulations on procedures for notifying the parties of the results of the expulsion resolution for expulsion. It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adequacy of disciplinary measures that to provide the provision of judgment element items through expulsion judgment analysis for a local council memb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