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PBL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대인관계유능성,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 과목흥미도에 미치는 효과

        민희정(Hee Jung Min),김성희(Sung-Hee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8

        본 연구의 목적은 PBL에 기반한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대인관계유능성,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 과목흥미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예비유아교사를 교육하는 데있어서 PBL의 유용성을 입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G시 4년제 대 학에서 교사론을 수강하는 예비유아교사 33명을 대상으로 2018년 9월부터 12월까지 16주에 걸쳐 PBL에 기반한 수업을 실행하였다. 2018년 9월 첫째주와 12월 셋째주에 대인관계유능성,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 과목흥미도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를 진행한 후,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해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대인관계유능성,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 과목흥미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즉, PBL에 기반한 주도적이고 협력적인 수업이 유아교사가 갖추어야 할 자질인 사람들과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면서 공감하고 소통하는 능력을 높이며, 이와 더불어 교사론 과목에 대한 흥미도도 높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예비유아교사에게 있어서 필요한 자질인 대인관계유능성,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PBL 수업 방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PBL) on pre-service preschool teachers’ interpersonal competence, empathy, communication, and interest in a course subject and to demonstrate the usefulness of PBL in developing preschool teachers’ personal and professional skills. To achieve the research goals, we applied PBL into a teacher education class with 33 pre-service teacher participants. We performed pre- and post-tests to measure interpersonal skills, empathy, communication, and participant interest in the course subject before and after the 15-week long PBL class. With the paired sample t-test, we found that pre-service preschool teachers’ interpersonal competence, empathy, communication, and level of interest in the course subjec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PBL applica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PBL as a teaching method helps pre-service preschool teachers develop interpersonal, empathy, and communication skills, and improves their interest in the course subject, which allows them to learn actively.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PBL can be applied to teacher education to develop teachers’ personal and professional skills.

      • KCI등재

        명상의 교육콘텐츠로서의 의미

        민희정(Hee Jung Min)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9

        본 연구는 미국에서 하나의 화두로 떠오르는 명상을 교육적 시각에서 어떻게 연구되어 지고 있는지 연구문헌을 통해 살펴보고, 이에 따른 명상의 교육콘텐츠적 의미를 논하였다. 연구문헌은 1999년부터 2016년까지 발행된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술지 논문 중 웹오브사이언스(Web of Science)에서 알아차림(mindfulness)과 교육(education)으로 검색된 논문들 가운데 23편을 선정해 분석했다. 분석기준은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한 명상 연구 중 연구 주제, 연구 방법,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분석했다. 분석 결과, 교사 명상 연구는 스트레스 감소 효과에 대한 연구가 많았으며 최근 들어 교사 효능감 및 효과성, 교실 운영 등에 대한 양적 연구가 증가되고 있었다.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명상 연구는 스트레스 감소를 비롯해 인지적, 사회적, 정서적 발달에 관한 양적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명상은 교육콘텐츠로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교육적 효과를 가진 것으로 보인다. 교육콘텐츠로서 사용될 때 명상은 전인교육의 목적을 가지고 발달에 적합한 다양한 방법과 기술을 사용하여 여러 종류의 명상법을 가르치도록 해야 하며, 이때 명상을 통한 정서적 지지와 긍정적 상호작용이 긍정적인 교육 환경을 조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As contemplative education has been increasingly incorporated in schools in the US, this study aims to review literature on contemplative education for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US and to explore pedagogical meanings of meditation. I focus my analysis on research journals that include teacher and/or student participants incorporating mindfulness in school settings. I searched “mindfulness” and “education” through Web of Science and explored organizations or associations related to contemplative practices and education. I then analyzed the subjects on research purpose, research methods, and results. In the results, quantitative research on teachers’ stress reduction dominated the research on contemplative education and quantitative research on teachers’ efficacy and effectiveness with mindfulness followed. Contemplative research for students focused on their stress reduction and cognitiv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Contemplative education should be involved in educational settings as pedagogical contents for improving teaching and learning. Contemplative education for students should aim to conduct whole-person education and should incorporate a variety of teaching skills and materials using different contemplative practices, including mindfulness, concentration, compassion, yoga, etc. Teachers’ support for an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ir students through mindfulness and compassion meditation is the most important key to encourage students‘ learning in education.

      • KCI등재

        대학생의 공감능력과 대인관계유능성이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과목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민희정(Hee Jung 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6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관계기술인 공감능력과 대인관계유능성이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과목 흥미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대학교에서 문제중심학습을 실행할때 고려해야 할 요인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G도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의 아 동학과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해 실행한 후 수강생 33명을 대상으로 공감능력과 대인관계유능성, 과목 흥미도 검사를 실시했다. 수집된 자료는 jamovi 1.0.0을 이용해 상관관계 검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문제중심학습이 활용된 과목에 대한 대학생의 흥미도는 그들의 공감능력 및 대인관계유능성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감능력이 과목 흥미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인지적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문제중심학습이 활용된 과 목에 대한 흥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유능성도 과목 흥미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관계를 형성하는 능력, 타인을 배려하는 능력, 갈등을 관리하는 능력, 자신을 적절하게 표현하는 능력이 높을수록 문제중심학 습법이 활용된 과목에 대한 흥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교에서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해 교육과정을 운영할 때에는 공감과 대인관계기술을 먼저 개발시킬 필요가 있으며, 문제중심학습 교육과정에 통합해 운영하는 방식도 적극적으 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empath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n college students’ interest in a problem-based learning (PBL) course. To achieve the research goals, PBL was applied in a class with 33 college students. Post-tests were performed to measure empathy, interpersonal skills, and participants’ interest in the course subject after the 15-week PBL class. Through Pearson correlation tests and regression tests, the college students’ interest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mpath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Both empath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redicted the students’ interest in the PBL-based course subject.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college students with higher empath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ere more interested in the course that applied the PBL curriculum.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PBL courses should be applied in programs that aim to foster empathy and interpersonal skills.

      • KCI등재

        PBL 수업을 수강한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의사소통능력과의 관계: 배려의 매개 효과

        민희정(Hee Jung 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PBL에 기반한 수업을 수강한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타인에 대한 배려 능력이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고, 공감능력과 의사소 통능력의 관계에 있어서 타인에 대한 배려 능력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G시 4년제 대학에서 PBL에 기반한 교사 론을 수강한 예비유아교사 33명을 대상으로 공감능력, 타인에 대한 배려 능력, 의사 소통능력을 검사하였으며, SPSS 19.0 프로그램과 jamovi 1.0.0을 이용해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BL을 수강한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 타인에 대한 배려, 의사소통능력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예비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타인에 대한 배려 능력은 공감능력과 의사 소통능력 사이에서 부분적인 매개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예비유아교사의 의사소통 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공감능력을 높이고 이를 통해 타인에 대한 배려를 높일 수있는 수업 방식이 필요해 보인다. 예비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을 높이기 위해 공감에 기초하고 배려의 기회를 높이는 PBL에 기반한 수업 방식을 도입하고 지원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empathy, care,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are between empathy and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of pre-service preschool teachers who took a course of teacher education using problem-based learning(PBL). We performed psychological tests for the empathy, care,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f 33 pre-service preschool teachers who took a PBL-based teacher education course in an University. The data analysis, which used the correlation test, 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showed that pre-service preschool teachers’ empathy, care,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were positively correlated, that empath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that car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mmunication competence. Additionally,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care between empathy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The results suggest that improving empathy and care helps pre-service preschool teachers foster communication competence. Thus, when applying PBL, pre-service preschool teachers should learn empathic skills and be mindful of care in order to promote communication competence.

      • KCI등재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일정성분비 법칙의 강의와 실험에 대한 교사 및 학생들의 인식

        한감봉,민희정,백성혜,Han, Gam-Bong,Min, Hee-Jung,Paik, Seoung-Hey 대한화학회 2012 대한화학회지 Vol.56 No.1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다루는 일정성분비 법칙의 강의와 실험에 대한 과학 교사들과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이 연구를 위해 3명의 교사 수업을 관찰 기록하고, 면담을 통해 수업과 실험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또한 학생들의 과학 성적과 인지 수준과 과학 태도, 실험 보고서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에 따라 강의 수업에서 강조하는 점이 달랐으며, 특히 화학교사들은 기본 개념보다는 비례 관계의 계산과 응용에 더 큰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학생들은 기본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였다. 실험 수업에서도 교사들은 학생들의 수행 수준이 낮다고 보고, 실험 과정을 설명하는데 많은 시간을 할애하였다. 그리고 실험 결과의 오차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졌다. 학생들은 실험 과정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였으며, 실험 결과를 인위적으로 조작하고, 실험 오차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교사의 학교 과학 수업과 실험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통해 해결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science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were searched on lectures and experiment of law of definite proportion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es. For this study, the three teachers' lessons were observed and recorded, following interviews related to teachers' perceptions on the lessons and experiments. Also, We analyzed students' science scores, cognitive levels, science attitude, experimental reports, etc.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three teachers had different focuses in the lectures. Chemistry teachers accentuated calculation of proportions and application rather than basic conceptions. But the students could not understand basic conceptions properly. The teachers spend long time to explain experimental procedures by assuming a low performance level of students in experimental classes. And the teachers had negative perceptions about error of results. The students could not understand the experiment results well, tried to manipulate data artificially, and had negative perceptions about error of results like the teachers. We suggested that these problems might be solved by changing teachers' perceptions on school science lectures and experiments.

      • 이공계 진로의식 신장을 위한 첨단농업기술 STEAM 프로그램의 개발

        김정은(Kim, Jung-Eun),최정인(Choi, Jung-In),한성학(Han, Sung-Hak),이봉형(Lee, Bong-Hyung),김성기(Kim, Sung-Gi),민희정(Min, Hee-Jeong),백성혜(Paik, Seoung-Hey) 한국교원대학교 융합교육연구소 2015 융합교육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각종 보고서 및 선행 연구를 통해 미래 유망 직업(군)으로 첨단농업기술을 선정한 뒤 첨단농업기술 분야에 근무하고 있는 실무자와 전문가, 융합인재교육(STEAM)과 관련된 각 분야의 전문가, 교육전문가, 현장 교사들이 함께 연구를 진행하여 첨단농업기술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첨단농업기술자에게 요구되는 인성 요소를 추출하여 교육현장과 연결시킴으로써 실제적 진로 교육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하였다. 그 후 초등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총 940명을 대상으로 짧게는 약 1개월 정도부터 길게는 약 3개월에 걸쳐 프로그램을 적용한 뒤 피드백을 받아 정교화하는 과정을 거쳤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프로그램은 교사들의 공감 및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금전적 지원 등 현재로서는 제한점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학생들이 사회 변화와 직업의 생성 및 소멸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안목을 높여주고, 과학기술분야의 최신 이슈를 접하며 직접 미래 유망 직업의 직무를 체험함으로써 과학기술분야의 진로에 대한 흥미와 동기를 유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high-tech agricultural technology was selected as a future promising career (cluster) from previous literature. STEAM program on high-tech agricultural technology was developed from experts and practitioners on advanced agricultural technology, experts on convergence education (STEAM) and general education, and teachers. In addition, authentical career education training was planned by extracting personality elements for high-tech agricultural technicians. The program was applied during one to three months and modified from the feedback of 940 students (3rd to 12th grade). The program has limitations such as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eachers and financial support. However, it gives insights on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 of society and the creation and destruction of jobs. Futhermore, it is expected to foster students interest and motivation for careers on the science and technology fields by knowing new issues 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experiencing the work of future promising jobs.

      • KCI등재

        명상의 심리치료적 작용 기제에 관한 고찰

        박성현(Sung Hyun Park),민희정(Hee Jung Min) 한국문화융합학회 2019 문화와 융합 Vol.41 No.3

        본 논문의 목적은 심리치료를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명상에 대해 정신분석학적 관점과 행동주의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이를 통해 명상의 주요 유형인 마음챙김 명상과 자비 명상의 심리치료적 작용 기제에 대해 이론적으로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우선 명상과 심리학의 융합에 있어 시작점이라 할 수 있는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명상의 작용 기제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치료 프로그램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행동주의적 관점에서 명상의 작용 기제에 대해 탐구했다. 더 나아가 마음챙김 명상과 자비 명상의 치료적 작용 기제를 알아보기 위해 과학적 연구를 살펴보고 메커니즘을 분석했다. 결과적으로, 마음챙김 명상은 주의 집중과 자기 조절, 가치 명료화,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유연성, 노출효과 등을 통해 내적, 외적 경험에 대해 새로운 자각을 심어주고 일정한 공간을 제공해 관점 전환을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자비 명상은 신경망의 변화와 더불어 정서조절, 신체와 정신의 안정, 긍정정서를 높여 만족감과 행복감을 증대해 심리치료적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명상의 심리 치료적 작용 기제를 증명하는 과학적이고 실용적인 연구가 더욱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iew the meditation (mindfulness and compassion) generally used in psychological therapy from the perspectives of psychoanalytic and behavioral theories in order to explore the theoretical mechanism of medit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we first explored the theoretical mechanism of meditation from psychoanalytic theory, which is considered the first integration of meditation with psychological therapy. Then, we discussed the theoretical mechanism of meditation from behavioral theory, which has been integrated with meditation for cognitive and behavioral therapy programs. Finally, we reviewed scientific research to identify the scientific mechanism of mindfulness and compassion meditation. According to our results, mindfulness meditation effectively promotes one’s awareness of inner and outer experiences by cultivating focused attention; self-regulation; value clarification; exposure; and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flexibility. Meanwhile, compassion meditation is effective for psychological therapy because it gives people time to regulate and stabilize their body and mind and develop positive emotions in order to cultivate well-being and happiness. Further scientific research on the mechanisms of mindfulness and compassion meditation should be conducted on the basis of these mechanisms of meditation.

      • KCI등재

        보육교사의 감사성향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비의 매개효과 연구

        박선혜(Seon Hye Park),민희정(Hee Jung 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2

        목적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감사성향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비가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보육교사의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 대한 파악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에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전국에 위치한 보육시설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 318명을 대상으로 감사성향과 직무스트레스, 자비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jamovi 1.2.27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상관관계 검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인 근무 기관 유형, 담당 영유아의 연령, 담당 영유아의 수, 근무경력, 보육교직원의수, 휴게 시간 사용 정도, 일일 평균 근무시간, 메이트 교사의 여부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정도의 차이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감사성향과 직무스트레스, 자비의 관계에서 감사성향과 자비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고, 직무스트레스는 감사성향과 자비와 유의미한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의 감사성향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비가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완화를 위해 어린이집의 환경적 요인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감사성향을 통해 자비를 높일 수 있는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work stress levels depending on preschool teacher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ir gratitude disposition, work stress, and compassion; and to determine whether compassion would mediate the effect of preschool teachers’ gratitude disposition on their work stres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318 preschool teachers in South Korea. The survey questions included socio-demographic items as well as scales to measure preschool teachers’ gratitude disposition, work stress, and compassion. Using jamovi 1.2.27, Independent Sample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The results are shown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of preschool teachers’ work stress depending on certain factors of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ing workplace type, age of students, years of child care service, and having a mate teacher. Second, higher levels of preschool teachers’ gratitude dis position have resulted in lower levels of work stress, while higher levels of their compassion have caused lower levels of work stress. In addition, higher levels of gratitude disposition have been related with higher levels of compassion. Finally,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compassion has been identifi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work stress. Conclusions Preschool teachers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gratitude and compassion to help relieve their work stress, and accordingly programs for work stress relief integrated with gratitude and compassion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in practice

      • KCI등재

        멘토링을 통한 예비화학교사들의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변화

        이송연 ( Song Yeon Lee ),민희정 ( Hee Jung Min ),원정애 ( Jeong Ae Won ),백성혜 ( Seoung Hey Paik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1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화학교사들의 PCK가 어떠한지 분석해보고, 교육실습 전·후의 멘토링 과정을 통해 예비화학교사의 PCK에는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화학교육을 전공하는 4명의 예비교사를 멘티로 선정하고, 화학교육과 교수 한명을 멘토로 선정하였다. 예비교사의 PCK를 분석하기 위하여 멘티의 수업과 멘토링 과정, 면담 녹음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멘토링 전 멘티들은 거의 모든 PCK요소에서 부족함을 보였다. 이는 그들이 수업을 위한 실천적 지식의 필요성을 알지 못했고, 배운 지식을 어떻게 적용하는지 몰랐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멘티들은 멘토링을 통해서 PCK를 발달시켰다. 이 연구는 예비 교사들을 위한 대학교육에서 교육 실습 전 후에 잘 구성된 멘토링을 통해 예비교사의 PCK를 효과적으로 발달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PCK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and to know the changes of in PCK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al practice. For this study, four pre-service teachers majoring in chemistry education were selected as proteges and one professor of chemistry education department participated as a mentor. For the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PCK, proteges` instructions, mentoring process, and semi-constructed interviews were collected. According to the results, most of the elements of the PCK were lack of proteges` instructions before the mentoring, because they didn`t know the necessary practical knowledge for instructions. They also didn`t know how they could apply their knowledge to the instructions. However, most of the pre-service teachers developed their PCK through the mentoring. This study shows that pre-service teacher`s PCK could develop effectively by well-formed programs of mentoring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al practice in college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