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韓㳓劤의 韓國史學 方法論에 대한 고찰

        민현구 진단학회 2014 진단학보 Vol.- No.120

        This paper is to take a look at the life of Woo-geun Han who was one of the most prominent Korean historians of Korean history in late 20th century and his studies of Korean History. Firstly, background of his life and the motivation of his studies on Korean history is explored. He was born in typical Confucian family in Pyeongan province and attended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n Pyeongyang and Seoul. Then he had his high school and college education in Japan. When he transferred to Seoul National University along with the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he chose to major in Korean history. Demonstrating strong anti-Japanese consciousness by taking part in Kwangju Student Movement and resistance to Japanese conscription of student-soldiers in his early years, he has taken much national pride in studying Korean history in his own independent country. Secondly, basic directions of his approaches on Korean history is discussed. He has tired to theorize Korean History as linear process of development that goes along with “universal” World History. In his frameworks of Korean history, he substantialized “Korean Nation” as the subject of Korean history, and put much emphasis on the distinctive nature of Korean nation as the historical community. Thirdly, his attitude towards three different schools in modern Korean historiography of his time is discussed. He highly evaluated contribution of Empiricist school(Siljūng Sahak) to the initial development of modern Korean historiography and tired to go beyond the limitation of it. He estimated strong innovative and subjectivity-oriented nature of Nationalist school(Minjokjuūi Sahak) positively, but criticized it for being academically un-refined. He strongly denounced historical materialism of Marxist school for distorting and destroying uniqueness of national history and culture based on its class-oriented perspective coming up with North Korean historiography’s case. 이 논문은 20세기 후반기에 활약한 대표적 한국사학자 韓㳓劤의 韓國史學에 대한 연구방법론을 추적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해방 후 1세대 韓國史學者로서 實學의 연구, 東學農民蜂起의 究明 및 조선유교정치의 추구 등에 큰 업적을 남긴 한우근이 한국사학 연구방법론과 관련해 발표한 많은 글들을 분석․고찰함으로써 그의 한국사학에 대한 기본적 입장과 史觀에 관련된 연구방법의 문제를 살핀 것이다. 크게 3부문으로 이루어진 이 논문에서 첫번째로 한우근의 학문적 배경을 추적하였다. 그는 일제시기 平南에서 유교적 전통을 지녔던 가문에서 태어났다. 평양과 서울에서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마친 그는 일본에 유학하여 고등학교를 졸업하였고, 東京帝國大學 西洋史學科에 다니다가 해방을 맞아 서울대학교 文理科大學 史學科 제1회로 졸업함으로써 韓國史學者로 출발할 수 있었다. 특기할 사항은 그가 중학생 때 光州학생운동에 가담해 黜學당한 바가 있고, 대학생 때에는 일제의 학병 징집을 거부해 强制勞役을 당했다는 점, 그가 당초 史學을 전공키로 결심한 이면에는 排日的 저항의식이 상당한 작용을 했지만, 해방 후의 여건 변화는 그의 전공을 韓國史學으로 바꾸게 했다는 점, 그는 동료들과 『朝鮮史槪說』을 집필하였고, 조선후기의 天主敎 傳來 문제를 다룬 졸업논문을 학회지에 실리고, 母校 강사가 됨으로써 6.25 동란 직전에 한국사학자로 대두할 수 있었다는 점 등이다. 둘째로 한우근의 한국사에 대한 인식의 방향을 살핀다는 목표아래, 당초 한국사에의 접근방식과 주요 쟁점에 대한 견해와 입장을 검토하였다. 그리하여 그가 처음에는 한국사를 세계사적 연관성 아래 合法則的으로 파악코자 하여 시대구분에서 ‘封建’이란 용어를 사용하였으나, 그것은 내용상 극복의 대상으로서의 ‘前近代’를 의미하는 것이었고, 그것이 近代化를 막은 조선후기 사회의 연구가 매우 緊切하다는 문제의식으로 발전하였음을 살폈다. 그리고 그의 민족에 대한 인식내용을 분석하여, 민족의 역사성을 중요시하고 한국민족의 역사공동체로서의 성격을 강조하였으며, 한국사에서는 민족과 국민이 일치성을 지닌다고 파악한 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한국사의 주체성을 중시하면서 이른바 事大主義論은 그 개념과 용어 자체를 否定하였던 것이다. 셋째로 史觀과 연구방법에 대한 그의 입장과 견해를 분석 검토하였다. 우선, 그는 實證史學에 대하여, 그것이 한국사학을 근대사학으로 진전시키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높게 사면서도, 역사가의 主觀을 인정치 않고, 종합적 판단이나 의미 부여에 무관심했다는 점에서 비판하였다. 民族主義史學에 대하여는 조심스럽게 그 혁신성과 주체성을 인정하면서도 학문적으로는 저항으로서의 역사가 지니는 문제점을 들어 錯雜性을 내세워 신중한 태도를 나타냈다. 唯物史觀에 대해 그는 강하게 비판하였는데, 唯物辨證法에 입각한 보편적 민족개념의 沒覺과 특히 북한에서의 계급사관에 따른 역사 왜곡과 민족문화 말살이 비판의 근거였다. 한우근은 實證史學․民族主義史學․唯物史觀에 대한 검토와 비판을 바탕으로 바람직한 연구방법을 모색하며 많은 고민과 성찰을 하였고 최종적으로는 크로체가 주창한 ‘보편적이면서 동시에 국민적일 수 있는’ 역사서술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던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국제심포지엄 기조강연] 高麗 恭愍王代의 反元的 改革政治와 ‘丙申年敎書’

        민현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1 한국문화 Vol.- No.96

        This article is a reexamination of the anti-Yuan reforms of the Goryeo Dynasty, focusing on the “Byeongsinnyeon-Gyoseo” statement. Its cont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article briefly outlined the beginning and background of the anti-Yuan reforms. In May 1356, King Gongmin purged the pro-Yuan forces(附元勢力) represented by Ki Cheol(奇轍) as an emergency means, abolished Jeongdonghangseong(征東行省) Imunso(理問所) established by Yuan in Goryeo and mobilized troops to attack Yuan's territory in two directions: northwest and northeast. The reasons King Gongmin was able to carry out these reforms include the decline of the Yuan Empire, his sense of crisis due to the Yuan Empress Ki clan, and the growth of an independent historical consciousness in Goryeo around that time. Second, this article examined the process of announcing the “Byeongsinnyeon-Gyoseo(丙申年敎書)” statement and its details. Because it was confirmed that the various measures taken with the beginning of the anti-Yuan reforms were successfully progressed, and in particular, the military activities of the troops advancing to the northwest and northeast were confirmed without any setback, King Gongmin announced the “Byeongsinnyeon-Gyoseo(丙申年敎書)” statement and practically supported the anti-Yuan reform politics. It is worth noting that the use of the Yuan era name called Zhi Zheng(至正) was stopped at the same time as the statement was announced because it means that Goryeo stated in its anti-Yuan stance that it would break away from the international order centered on the Yuan Empire. This statement explained the background of the king's removal of the pro-Yuan forces in the previous section. Based on emphasizing the independence of Goryeo, it vowed to revive and reconstruct the nation anew in accordance with laws and discipline. The latter part presented specific reform proposals for 27 items. Overall, this reform plan was the design of a policy aimed at national reconstruction and an expression of determination to rebuild Goryeo into a normal state. Third, this article examined the progress of the anti-Yuan reforms after the “Byeongsinnyeon-Gyoseo(丙申年敎書)” statement. Looking at the anti-Yuan aspect, diplomatic relations reached the point of collapse due to Goryeo's purge of the pro-Yuan forces and the military actions against Yuan. However,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were almost restored, and the envoy’s visits were normally resumed, for the Yuan dynasty took a short-term measure, and Goryeo adopted an ingenious and active foreign policy. The two countries' relationship was put in a state of Gimi(羈縻, binding and checking), and unlike the period of interference with Yuan, Goryeo had a superficial tribute relationship to Yuan. This was an important achievement of the anti-Yuan reforms. King Gongmin carried out reform policies with a strong will to rebuild the state, and several important projects were promoted such as the Hanyang(漢陽) Cheondo(遷都, transferring the capital) Movement. Transfer of the capital was important in connection with the reform politics toward state reconstruction. However, soon after, all projects were frustrated due to the threat of Japanese Raiders and invasions by the Red Turban Bandits. The king could not abandon the tenacity to transfer the capital because he tried to overcome the regret he had for the failure of the reform politics toward state reconstruction through the realization of the transfer of the capital. Goryeo eventually established its capital in Baegak(白岳), albeit in a modified form, in the 9th year of King Gongmin. The flow of reforms was frustrated by the threat of intrusion from outside forces and was buried in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Baegak. .

      • KCI등재

        斗溪 李丙燾의 修學과정과 초기 學術活動

        민현구 진단학회 2012 진단학보 Vol.- No.116

        This paper contemplates on the scholarly disciplines and early research activities of Yi Byeong-do, a Korean history scholar, in three different phases. The main conten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The first phase starts from his having an old fashioned education of Chinese literature at a sŏdang, private elementary school, in his hometown at the age of 6. It also covers his having a modern education at Bosŏng junior college in Seoul, and taking various western subjects and thereby finishing the preparatory course in Waseda university at the age of 20. The second phase starts from his entering the department of history and sociology in Waseda university and majoring in Korean history for 3 years. It ends at his age of 27,when he had been teaching over 4 years at Choongang School since right after graduation. The third phase starts from his decision to study Korean history in earnest at the age of 27. After some time he worked for about 2 years in the bureau of compiling Korean history. Then he left the bureau and began to study hard as a full-time disemployed researcher. This phase ends at his age of 37 when he had been obtaining important results. These phased contemplations revealed the importance of learning the confucianism of the Chosun dynasty with the old fashioned education of Chinese literature in the first phase, in that this formed the foundation of his study of Korean history afterwards. The second phase has a great significance in that he learned modern history and wrote a graduation thesis on Korean history in Waseda university, along with meeting a Japanese teacher. In the third phase, a high value was placed on that he was stimulated by many Japanese scholars in the bureau of compiling Korean history and that he published papers on the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and geomancy for the first time, and that he selected the history of ancient Korea as another research topic. In the disemployed period,he pursued researches on 3 fields ― the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geomancy, the history of ancient Korea ― simultaneously and made great achievement, thereby grew as a promising scholar. 이 論文은 韓國史學者 李丙燾(1896~1989)의 修學過程과 初期 學術活動을 3단계로 나누어 고찰한 것이다. 첫 번째 단계는 그가 6세에 鄕里의 書堂에서 舊式교육으로 漢學을 배우는 데에서 시작하여 서울에서 新式 교육으로 普成專門學校에서 공부하는 과정을 거쳐 20세에 일본 早稻田大學 豫科에서 광범위한 西歐的 학과목들을 수강하고 수료하는 데까지로 잡았다. 이 가운데, 구식 한학 수업은 朝鮮 儒學의 학습에까지 이어졌고, 그것이 뒷날 李丙燾史學의 중요한 기초가 되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早稻田大學 예과에서의 修學도 그가 人文學의 기초를 닦아 서구에서 수입된 근대 사학을흡수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고 평가하였다.두 번째 단계는 그가 20세에 早稻田大學 史學及社會學科에 진학하여 3년간 韓國史를 전공하고, 졸업과 동시에 中央學校 교원으로 부임하여 4년 남짓 근무하는 27세 때까지로 보았다. 그는 早稻田大學에서 批判的 연구방법을 중시하는 近代 史學을 배우고 韓國史를 전공키로 하여 한국사 졸업논문을제출했고, 평생 그를 지도할 일본인 스승을 만날 수 있었다. 그 후 中央學校 敎員 시절에는 가르치고공부하면서 한국사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넓혔고, 그것을 기초로 東亞日報에 견실한 내용의 「朝鮮史槪講」을 게재할 수 있었다. 이 과정을 그가 韓國史學에 入門하는 것으로 정리했다.세 번째 단계는 그가 27세 때 본격적인 한국사 연구를 결심하고 이어서 朝鮮史編修會에 들어가 1년 10개월간 근무하고 31세 때 나온 후 직업 없이 專業硏究者로 연구에 열중하여 중요한 성과를 거두는 시기로 37세 때까지를 下限으로 삼아 살펴보았다. 이 시기에 그가 韓國儒學史를 본격적 연구의대상으로 삼은 것은 지난 날 舊式의 漢學을 修學해 儒學에 깊은 소양을 지닌 때문임을 중요시하였고,朝鮮史編修會의 짧은 근무 기간은 그가 많은 일본인 학자를 만나 연구에 자극을 받았고, 韓國儒學史와 地理圖讖에 대한 그의 학술논문이 처음 발표되었으며, 다시금 韓國古代史를 연구대상으로 삼기로 했다는 점에서 결정적 중요성을 지닌다고 보았다. 그리고 朝鮮史編修會 근무시절과 그 이후에 걸친啓蒙史學 계열의 한국인 선배 학자들과의 交遊, 會同은 그의 학문적 성장에 큰 도움을 주었다는 점에서 특기할 만한 것이었다. 그 후 두계는 새롭게 본격적 古代史 연구를 시작해 크게 주목받으면서 그것과 韓國儒學史, 地理圖讖를 아우르는 三分野의 연구를 꾸준히 지속시켜 나갔고, 내용상 충실하고신선한 연구업적의 축적은 그를 촉망받는 중견학자로 성장시켰던 것이다.

      • KCI등재

        高麗 恭愍王代 중엽의 정치적 변동

        민현구 진단학회 2009 진단학보 Vol.- No.107

        This study is to better understand King Kongmin's reign which has been known as significant transition period. During his reign, four years from tenth year(1361) to fourteenth year has not been well studied. However, this intermediate period of his reign must have played bringing roles between the early stage and later stage of his reformative politics. So I tried to focus on this particular time frame which covers from 1361 when Koryŏ court escaped its capital to avoid Red Turban Bandit to 1365 when he finally tried to resume his reform by empowering buddhist monk Sinton to lead initiatives of reform politics. By thoroughly scrutinizing major political events, I tried to discover how those political turmoils in this particular time frame resulted in the following later part of King Kongmin's reform policy after 1365. Firstly, murder of three chief commander who enormously contributed to Koryŏ's victory over those Red Turban Bandits, was deliberately schemed liquidation of military commanders by King Kongmin who worried if they would threaten his kingship. However, this paradoxically undermined his kingship. Secondly, treason of King Kongmin's merit subject Kim Yong which happened at Hŭngwang Buddhist temple in a complicated situation where King Kongmin struggled to free himself from Yuan pressure and domestic enemies, seriously damaged his kingship. He barely saved his life, but his political supporter groups were practically dissolved along with the murder of one of his most significant supporter, Hong OnPak who was a prime minister. And accordingly, without many political options, King Kongmin could not help depending on those military commanders who made contribution to defend Koryŏ court from Red Turban Bandits, even though he once killed those three chief commanders before worrying if they would threaten his power. Thirdly, in this situation, those military commanders began rapidly taking central positions of Koryŏ court as commissioners of Chŏngpang which took control of affairs of personnel and as inner ministers. Fourthly, this situation created phenomenal transitions in Koryŏ court politics. When it comes to political promotion, priority was given to military contribution. Many high level temporary posts were established to accommodate many of those military commanders. And Chŏngpang which used to take control of affairs of personnel under Koryŏ Military Regime, was restored. Furthermore, rise of those powerful military commanders eventually resulted in expansion of the size of highest council called Todang and emergence of inner ministers. All these, does not belong to normal mode of Koryŏ monarchical politics. After all, this situation caused anomalies of political practice and enfeeblement of King Kongmin's authorities. And the following King Kongmin's drastic political measure of empowering buddhist monk Sinton for his reform policies was actually a contingency plan to take political initiatives in this hostile political surroundings. 고려 恭愍王代는 역사상 두드러진 변혁기요 전환기였는데, 그것을 대변하는 두 가지 사실이 공민왕 5년(1356)에 단행된 反元的 改革政治와 공민왕 14년(1365)에 辛旽을 등용해 다시금 추진된 새로운 개혁정치였다. 그런데, 위의 두 개혁정치 사이에는 9년간의 격차가 개재하는 바, 특히 그 가운데 후반의 수년간은 홍건적난 끝에 三元帥가 살해되고, 뒤이어 興王寺 정변이 발생하고, 또한 德興君을 앞세운 元軍의 침입이 감행되는 등 복잡하고 중대한 사건으로 점철되면서 역사의 파고가 높았던 시기이다. 이 논문은 바로 그 시기, 즉 고려가 제2차 홍건적 침입을 당하자 공민왕 10년 11월 개경을 버리고 福州(安東)로 수도를 옮기는 때로부터 공민왕 14년 5월 辛旽이 등용되기 이전까지 약 3년 6개월 동안의 복잡한 정치적 변동을 추적한 것인데, 이로써 변혁기, 전환기로서의 공민왕대에 대한 온전한 이해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먼저 紅巾賊亂이 마무리될 무렵에 발생한 總兵官 鄭世雲 및 安祐․金得培․李芳實 등 三元帥의 살해사건에 주목하여 검토한 결과 그것을 공민왕이 개입된 정치적 숙청으로 파악하였다. 大軍을 지휘해 승전을 이룩함으로써 위세를 떨치게 된 3원수에 대한 왕의 정치적 부담이 숙청의 중요한 배경을 이루지만, 그들의 숙청은 곧 공민왕의 세력기반을 축소 약화시키는 결과로 이어져 그의 국정운영의 폭을 축소시켰다. 앞서 추진된 공민왕의 反元的 개혁정치에 큰 불만을 품었던 元은 그 동안 고려가 홍건적 침입으로 타격을 입은 것을 기화로 삼아 공민왕의 폐립을 획책하였는데, 이러한 외압에 편승해 왕의 총신인 金鏞이 開京 환도 직후에 興王寺 변란을 일으킴으로써 고려 정치는 치명타를 입었다. 공민왕은 겨우 弑害를 모면하였으나 首相 洪彦博이 죽음을 당한 이 변란으로 공민왕의 세력기반은 와해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 변란의 진압이 직접적 계기가 되어 새로운 武將勢力이 대두하였는데, 뒤이어 元의 공민왕 폐립 획책에 따라 德興君을 앞세운 원군이 침입하자 그에 항전하는 사태가 벌어지면서 그들 무장세력의 움직임은 더욱 활기를 띠었다. 이렇게 대두한 무장세력이 새롭게 정치적 지배세력으로 자리잡게 되었는데, 그들은 거의 대부분 홍건적난 때 활약한 무공자이기도 했다. 이들 무장세력은 무인으로서의 자질과 능력을 갖추었고, 대다수 안정된 유력 가문 출신으로 蔭敍나 成衆愛馬選補의 길을 따라 入仕하였으며, 공민왕의 신임이 컸다. 그들은 政房提調나 內相으로서 정치의 중심에 위치하면서 흥왕사 정변 이후 신돈 등용 이전까지 약 2년간 빠른 속도로 승진하였다. 이와 같은 무장세력의 대두는 고려의 국정운영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우선 軍功중심, 武官위주의 인사행정과 그에 따른 政房의 復設, 또한 賞軍政으로서의 添設職 설치와 官職者의 증대, 그리고 都堂의 확대와 內相의 출현 등이 그 중심 내용인데, 이것은 모두 새로운 시대적 여건에 따른 것이었으나 대개 상궤에서 벗어난 것으로 국정운영체계에 혼란을 가져왔으며, 궁극적으로 국왕 권능의 약화를 초래했다. 그리하여 공민왕 13년 말엽에는 무장세력이 주도하는 강력한 都堂 앞에 국왕이 무기력하게 서 있는 형국이 연출되기에 이르렀던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