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중경매(Double Auction)이론을 응용한 절충교역 분석:협상의 균형전략을 중심으로

        민지혜 국방대학교 국방관리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차세대 전투기(F-X) 사업 기술이전 거부로 인한 미사일 중복계약과 록히드마틴의 통신위성 사업 지연 등 절충교역 제도 존폐 여부에 대한 지속적인 논란에도 절충교역은 전 세계 130여개국 이상이 무기교역의 관례로 제도를 활용하고 적용비율이 50%를 상회하는 등 미래 가치를 위한 투자로 그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다. 하지만 이전 연구들에서는 경제적 관점에서 절충교역을 분석한 연구가 적고 제도나 정책적 대안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따라서 절충교역을 포함

      • 뮤지컬 30대 여성 팬덤 및 마케팅 적용 연구

        민지혜 한국예술종합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 Study on the Musical Fandom of Women in their thirties and its Application to Marketing Min, Jihye Department of Theatre Management Graduate School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Thesis Adviser : Jeon, Su Hwan The current study aims at enhancing the comprehension of the multi-layered concept of fandom among Korean women in their 30s, who are core consumers of Korean musical market. In the preliminary study, the consuming behaviors of musical fandom was examined and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fandom which is sub-divided into genre fandom, actor or actress fandom, contents fandom, and so forth is discussed. Further, the distinctive sociocultural context in which people in their 30s became the major consumers of culture is examined and it is shown that they are the generation who shared the process of the growth of musical into one of the popular cultures of Korea. In addition, it is shown that women predominate in consumption of musicals due to the similarity of the patterns of consumption of women to that of consumption of performances. Based on this result of preliminary study, an in-depth interview was performed using a sample of 10 women in their 30s who are actual fans of musical. The result of the in-depth interview showed that these people have become fans of contents, actors or actresses while going to theatre to view performance and they are reinforcing and maintaining their fandom through participative activities such as repeat consumption of the musicals, taking a part in fan clubs, communities, or acting as supporter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se people maximize the value of satisfaction from consumption of musical in the sense that they are pursuing the feminine value and value of relationship, and a differentiated consumption from others through the consumption of musicals. The current study argues that, because a blind fandom towards an actor or an actress makes a dependent market structure worse, a fandom which forces 'silent watch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work can function as a negative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the market in that it makes the entry of general audience difficult and arouses negative perception of fandom. On the other hand, it was also found that fandom among women of their 30s performs a positive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market in by promoting repeat consumption and creation and sharing of new contents after watching musical performance. Despite the special influence that the fandom among women of their 30s have on the growth of Korean musical market like this, research into the fandom from multiple viewpoints remains relatively scarce as the trend of performance marketing has been focused on supply side until recently. The current study tries to propose a consumer-centric musical marketing and, with the purpose of enhancing consumption value of fandom, suggests healing marketing for the enhancement of feminine value, relationship marketing and VIP marketing for the enhancement of relationship value, and finally, prosumer marketing for the enhancement of participation value. 국 문 초 록 뮤지컬 30대 여성 팬덤 및 마케팅 적용 연구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과정 연극원 연극학과 극장경영전공 민 지 혜 본 고는 한국 뮤지컬 시장의 핵심 소비자층인 뮤지컬 30대 여성 팬덤에 대한 다층적인 이해를 높이고자 작성되었다. 선행연구에서는 뮤지컬 팬덤의 소비 행태를 살펴보고, 장르 팬덤, 배우 팬덤, 콘텐츠 팬덤으로 세분화되는 팬덤의 특수성에 대하여 논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30대가 주요 문화 소비자가 될 수 있었던 특수한 사회문화적 배경을 알아보고, 뮤지컬이 대중문화로 성장한 과정을 함께한 세대임을 밝혔다. 또한 여성의 소비 특성이 공연 소비의 특성과 유사함으로 인해 여성의 뮤지컬 소비가 우세함을 기술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조사를 바탕으로 실제 뮤지컬 30대 여성 팬덤 10명을 심층 면접하였다. 이들은 공연을 관람하다가 콘텐츠나 배우의 팬이 되었으며, 이후 공연을 반복관람하고, 팬클럽, 동호회 활동을 하거나 공연 서포터즈 활동을 하면서 참여를 통해 팬덤을 강화,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은 뮤지컬 소비를 통해 여성 가치와 관계 가치, 그리고 남들과 차별화된 소비를 한다는 지점에서 소비만족가치를 극대화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배우를 향한 맹목적 팬덤은 배우 의존적 시장 구조를 심화한다는 점에서, 시체관극과 작품 해석을 강요하는 팬덤은 일반 관객의 진입을 어렵게 하고 팬덤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파생시킨다는 점에서 부정적인 요인이 될 수 있음을 논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반복관람을 하고 공연 소비 이후 새로운 콘텐츠를 생산하여 다른 소비자들과 공유한다는 점에서 시장 발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30대 여성 팬덤이 한국뮤지컬 시장에 각별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공연 마케팅은 공급자 중심으로 실행되고 뮤지컬 팬덤에 대한 다각적 연구가 부족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소비자 중심의 마케팅을 제안하고자 하였으며, 팬덤의 소비가치를 증진시키는 목적 하에, 여성가치를 위한 힐링 마케팅을, 관계 가치를 위한 관계 마케팅과 VIP마케팅을, 그리고 참여 가치를 위한 프로슈머 마케팅을 제언하였다.

      • 예술 고등학교 음악과 학생들의 진로의식 및 진로교육 경험에 관한 연구

        민지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A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career awareness of music students in arts high schools and understand their experiences regarding career education at schools. The research methods were in-depth interview and nonparticipant observation. There were six participants including four 12th grades and two 13th grades from Seoul, Gyounggi, Incheon and Daejeon arts high schools. The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on average of 60-90 minutes and to observe correct career education experiences in arts high schools, two career mentoring classes were observed.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result showed that motivation to decide music as their major was highly affected by one’s family environment and mass media. To teenagers who are in the most sensitive period of deciding their career, information delivered through image media greatly influence on making a decision of one’s career. Therefore, when students collect information, it is vital to nurture rational decisive ability to make proper career decision that suits to them. Secondly, most students had worries in their career and were experiencing difficulty in deciding career, lacking career information, having burdens in both academic and music performance grades for further musical career. This is because of limited career information available to students. To resolve this problem, the opportunity to search for a proper career that suits one’s aptitude and understanding of various careers should be provided. Thirdly,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is the positive influence of personal music instructor not only on music performance but also on becoming as a role model of students. Therefore, schools should support personal music instructors by providing various career information, seminar and educations related to students’ career so more effective counselling on students’ career worries could be provided. Fourthly, Activities like a music concert, a master class, a choir, an orchestra in their major classes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experience their future careers. Some students found a career that suits their aptitude and some of them were in a process of correcting career plan as their original plan does not fit their aptitude. Arts schools should diversify more with work-study experiences in career education so students can broaden their career choices. Lastly, the participants preferred individual guidance and counselling over collective lectures or lessons to decide and develop their career. Specific methods may be a mentoring system that satisfies individual needs according to one’s aptitude and a counselling with a professional counsellor. A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lies in awakening importance of career education by analyzing arts high school students’ career awareness and career education experience, and providing a desirable career education dire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 고등학교 음악과 학생들의 진로의식을 탐색하고 그들이 학교 내에서 경험한 진로교육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질적 연구 방법 중 심층면담과 비 참여관찰을 사용하여 각 개인의 상황과 환경에 따라서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는 진로의식 및 경험을 탐색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서울·경기·인천·대전 소재의 예술 고등학교 학생으로서 총 7명의 2·3학년 학생들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1회 진행하였고 면담 시간은 평균 60분에서 90분 정도 소요되었다. 또한 현재 예술 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진로교육의 실제적인 현장을 관찰하기 위하여 서울 소재 예술 고등학교의 진로 멘토링 수업을 2차시 비 참여 관찰 하였다. 예술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의식과 진로교육 경험에 대한 연구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 고등학교 음악과 학생들은 자신의 전공을 결정하게 된 계기에 있어서 가정환경의 영향과 매체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 설정에 가장 민감한 시기에 있는 청소년들에게 영상매체를 통하여 전달되는 정보들은 큰 영향력을 끼친다. 따라서 이들이 다양한 정보를 수용할 때 자신에게 필요한 진로정보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도록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판단 능력을 길러주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둘째, 대다수의 학생들은 자신의 진로에 대한 고민을 가지고 있었는데 진로고민의 내용은 진로결정의 어려움, 진로정보의 부족, 대학 진학을 위한 실기 및 학업 성적에 대한 부담 등으로 나타났다. 이는 예술 고등학교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한정된 직업 정보에 의한 것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직업 정보에 대한 이해와 자신의 적성에 알맞은 진로를 탐색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개인 실기 선생님은 예술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단순히 음악의 기술적인 면을 지도해 주는 역할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롤 모델의 대상이 됨으로써 진로 준비과정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에서는 실기 선생님들을 대상으로 한 진로 관련 세미나 및 교육을 실시하고 다양한 진로 정보를 제공하여 실기선생님을 통하여 학생들의 진로고민에 대한 해결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여야 한다. 넷째, 예술 고등학교 음악과 학생들은 전공수업시간에 향상음악회, 마스터 클래스, 합창 및 오케스트라 활동 등을 통하여 연주가, 교육가, 합창단원, 오케스트라 단원 등의 미래 자신이 가지게 될 직업들을 미리 체험해보는 경험을 하고 있었다. 따라서 예술 고등학교에서는 이러한 체험학습 형태의 진로교육을 더욱 다양화 시켜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에 대한 선택과 결정을 보다 폭넓게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예술 고등학교 음악과 학생들은 자신의 진로를 선택하고 발전 시켜 나가는 데에 있어서 집단으로 이루어지는 강의·수업의 형태 보다는 개별적인 지도와 상담을 받기를 희망하였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각 개인의 특성에 맞추어 학생들의 개별적 필요를 충족시키는 멘토링 제도의 운영이나 전문 상담 교사의 상담 등이 있을 것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본 결과 본 연구는 예술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의식 및 진로교육 경험을 분석하여 진로교육의 중요성을 환기시키고 바람직한 진로교육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쿠션화장품에 대한 소비자인식과 구매행동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민지혜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여성의 활발한 사회진출과 지위상승은 여성의 자아의식이나 가치관의 변화를 초래하게 되면서 경쟁력에 이르게 된 현대의 메이크업 화장품은 아름답게 자신의 모습을 가꾸고 연출하여 원만한 대인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필수품으로, 다양한 기능성을 갖추고 세분화되어 있는 만큼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발전되고 있으며 일상생활에서 사용이 빈번한 꼭 필요한 제품이다. 본 연구는 화장품 시장에서 작은 아이디어가 인기 있는 베스트셀러 상품으로 탄생된 쿠션화장품을 사용하거나 접해보는 실질적인 소비자계층이라고 생각되는 20대-50대 여성들을 대상으로 쿠션화장품의 소비자인식과 구매행동 및 만족도에 대하여 살펴보기 위해 관련 문헌을 참고하여 7가지 요인의 총 52개 문항으로 설문을 구성하여, 약 2주에 걸쳐 진행하였다. 44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439부가 회수되었으며, 응답이 불확실한 39부를 제외한 연령대별 100부씩 총 400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피부 관심도를 살펴보면 본인 피부에 관심이 보통인 사람은 18.3%, 관심이 있는 사람이 41.5%, 매우 관심이 있는 사람이 29.5% 이며, 본인 피부에 만족 못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29.5%, 전혀 만족하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32.8%로 나타나 대부분 피부에 관심이 있지만 본인피부에 만족은 못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쿠션화장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에 대하여 알아본 결과, 알고 있는 사람은 292명(73%), 모르고 있는 사람은 108명(27%)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쿠션화장품을 알고 있는 사람 중 20대는 89명(22.3%), 30대는 82명(20.5%), 40대는 64명(16.0%), 50대는 57명(14.3%)이며, 20-30대가 40-50대에 비해 쿠션화장품을 알고 있는 사람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쿠션화장품의 사용행태를 알아본 결과, 쿠션화장품을 처음 사용하게 되는 계기는 지인의 권유가 42.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제품을 선택할 때 자연스러운 피부표현이 33.5%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넷째, 쿠션화장품 만족도에 대한 11개 문항을 요인분석 하여 4개 요인의 내적일관성으로 나눌 수 있으며, [1-표현성, 2-활용성, 3-편의성, 4-실용성]의 내적일관성으로 나누어 만족도에 관한 응답자 233명에 유사성 정도에 따라 세 개의 군집으로 분류하여 K-평균 군집분석을 실시하였으며, 1집단은 표현성, 활용성, 편의성에 부정적이고, 실용성은 긍정적인 집단이며, 2집단은 표현성 및 편의성은 긍정적이지만, 활용성 및 실용성은 부정적인 집단이고, 3집단은 활용성은 긍정적이지만 표현성 및 활용성, 실용성은 부정적이다. 본 연구결과 소비자들마다 만족정도가 다르며 자기만족을 위해 사용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쿠션타입 화장품은 계속 성장할 가능성이 있는 시장이라고 생각되며, 어느 한부분에만 치우치지 않고 다방면적으로 향상하여 실질적인 효능 및 효과가 뒷받침될 수 있는 제품개발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쿠션화장품은 계속 성장할 가능성이 있는 시장이라고 생각되며, 자연스러운 피부표현이 가장 큰 장점인 쿠션화장품에 기능적인 면이 추가가 된다면 ‘보이지 않는 가장 위대한 힘’인 입소문 마케팅도 곧 볼 수 있지 않을까 사료되며 쿠션화장품이 소비자들 니즈에 더욱 부합하는 다양하고 세분화된 제품들로 많이 계발되기를 머지않아 볼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 실내 구성 요소별 마감재 색채 및 재질 이미지 연구 : 실내디자인 스타일 유형을 중심으로

        민지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with emphasis on service design, users, their experience and idea are being treated as a very important design data. Going with such a current, interior design has to be also centered on users, a subject of the space when selecting and applying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Since consumers' needs for and interest in interior design increase rapidly, interior design style consumers expect has to be presented, identifying their recognition on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So, this study aims at understanding users' sensibility to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and suggesting finishing materials fitting for a type of each interior design style based on users' recognition. Beyond mere applying an interior design style suggested by professionals like an interior designer, it intends to identify finishing materials users judge and select directly, based on such a criterion, present finishing materials by each interior design style. Research was conducted as 5 steps and a conclusion was derived from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Research processes by step are as follows. Chapter 1 suggested a research aim while grasping a design flow of this age and raising a question about something that leaves to be desired. Chapter 2 examined existing literature and precedent studies to consider finishing materials theoretically according to the interior design style and element, also clarified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interior design styles and finishing materials. In Chapter 3,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survey interior design styles fitting for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Based on analytic findings, it derived users' sensibility to finishing materials, and identified their emotional change according to the color and texture of finishing materials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materials. Based on questionnaire results, Chapter 4 suggested finishing materials fitting for each interior design style and reflecting users' sensibility by component, presenting spatial image cases to apply finishing materials. In conclusion, Chapter 5 summarized an emotional image according to color and texture of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and finishing materials suitable for interior design styles, presenting research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on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identified users' recognition on each materials, and derived results as follows. Firstly, it showed that image of wallpaper is created under the influence of more than one variables not merely of one including hue or lightness. Secondly, it showed that types of interior design style influenced by hue or lightness are divided according to texture of flooring materials. Thirdly, it showed that fabric finishing materials are divided into ones greatly influenced by color including a hue, lightness and chroma, and ones by texture. Based on analytic results of users' recognition on finishing materials by interior component, finishing materials reflecting users' sensitivity by interior design style type were presented. Finishing materials by interior design type are as follows. Firstly, wall coverings and fabric finishing materials fitting for the classic are low-lightness Red, Orange, Yellow. Also, for flooring materials, low-lightness wood and stone are adequate. Secondly, as for the romantic, high-lightness Pink and Purple are fitting for wall coverings. Also, high-lightness wood, high and medium-lightness Brown stone are fitting for flooring materials. High and medium-lightness Red, Purple are fitting for fabric finishing materials. Thirdly, as for the modern, Gray is adequate for wall, floor and fabric finishing materials. For fabric finishing materials, cotton and leather are adequate rather than linen and silk. Fourthly, high-lightness Yellow, medium and low-lightness Mint are fitting for casual wall coverings. For flooring materials, high and medium-lightness Brown wood, high and low-lightness Gray stone are desirable. Also, selection of the color varies from kinds of finishing materials. For fabric, various kinds of Blue with high, medium and low-lightness, high-chroma are most desirable, and primary colored fabrics of high-chroma Orange, Green, Yellow are also suitable. Fifthly, as for the natural, Green, Beige, Orange, White wall coverings are desirable. For flooring materials, high and medium-lightness Brown wood, high-lightness Brown stone are desirable. Linen, silk and cotton are adequate fabrics, and high and medium-lightness Yellow, Orange, Green are desirable colors. This study identified users' sensibility to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and presented user-centered finishing materials by interior design style type. It is expected that such research findings will fill a gap of recognition on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and be helpful for the spatial design everyone can grasp a style easily by applying materials suggested in the study in the interior design field. As for finishing materials by interior design component, this study was limited to wallpaper, wood, stone, cotton, linen, silk, velvet and leather. Hereafter, it is expected to do research on users' sensibility to a variety of interior design finishing materials. 최근 서비스디자인이 부각되면서 사용자, 사용자의 경험, 생각 등이 매우 중요한 디자인 자료로 다뤄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맞추어, 실내디자인 분야에서도 실내마감재 선택 및 적용이 공간의 주체인 사용자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실내디자인에 관한 소비자의 욕구와 관심은 나날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가 기대하는 실내디자인 스타일을 보여줄 수 있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실내마감재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실내마감재에 대한 사용자의 감성을 파악하고, 사용자의 인식을 바탕으로 하여 각 실내디자인 스타일 유형에 적합한 마감재를 제시하고자 한다. 실내디자이너 등의 전문가가 제시한 실내디자인 스타일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에서 벗어나 사용자가 직접 판단하고 선택한 마감재를 확인하고 이러한 기준을 근거로 하여 각 실내디자인 스타일 유형별 마감재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한 과정은 총 5단계로 진행되었고, 이론 연구와 실증 연구를 통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단계별 연구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현 시대의 디자인 흐름을 파악하고 미흡한 점을 찾아 문제제기 및 연구의 목적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실내디자인 스타일과 실내디자인 요소별 마감재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위하여 기존 문헌 자료와 선행 연구 등을 살펴보고 실내디자인 스타일과 마감재에 관한 개념과 특성을 정리하였다. 3장에서는 실내마감재에 적합한 실내디자인 스타일 조사를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각 마감재에 관한 사용자의 감성을 도출하고, 마감재 간의 비교분석을 진행하여 마감재의 색채와 질감에 따라 달라지는 사용자의 감성 변화를 확인한다. 4장에서는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감성이 반영된 각 실내디자인 스타일에 적합한 마감재를 구성요소별로 제안하고, 마감재가 적용된 공간이미지 사례를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연구의 결론으로 실내마감재 색채와 재질에 따른 감성이미지 및 실내디자인 스타일에 적합한 마감재를 정리하고,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실내마감재에 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각 마감재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을 파악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벽지에 대한 이미지는 색상이나 명도 등의 한 가지 변수에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그 이상의 변수에 영향을 받아 형성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바닥 마감재는 마감재의 재질에 따라 색상, 명도의 영향을 받는 실내디자인 스타일 유형이 나뉘어졌다. 셋째, 직물 마감재는 색상, 명도, 채도 등의 색채의 영향을 크게 받는 마감재와 재질의 영향을 크게 받는 마감재가 있다. 실내 구성요소별 마감재에 관한 사용자 인식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감성이 반영된 실내디자인 스타일 유형별 마감재를 제시하였다. 유형별 마감재는 다음과 같다. 첫째, 클래식에 적합한 벽지와 직물 마감재는 저명도 Red, Orange, Yellow 등이고, 바닥 마감재는 저명도 목재와 석재가 적합하다. 둘째, 로맨틱은 고명도 Pink, Purple이 벽 마감재로 적합하고, 바닥 마감재는 고명도 목재, 고, 중명도 Brown 석재가 적합하다. 직물은 고, 중명도 Red, Purple이 가장 적합하다. 셋째, 모던은 벽, 바닥, 직물 마감재 모두 Gray 마감재가 적합하다. 직물 마감재 소재로 린넨, 실크는 적합하지 않고, 면, 가죽이 적합하다. 넷째, 캐쥬얼의 벽 마감재는 고명도 Yellow, 중, 저명도 Mint가 적합하다. 바닥 마감재는 고, 중명도 Brown 목재와 고, 저명도 Gray 석재가 적합하다고 나타나 마감재 종류에 따라 색채선정이 달라진다. 직물은 고, 중, 저명도, 고채도의 다양한 Blue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고, 고채도 Orange, Green, Yellow 등의 원색 직물 또한 적합하다. 다섯째, 내츄럴 유형의 벽지로는 Green, Beige, Orange, White 등이 적합하다. 바닥재는 고, 중명도 Brown 목재, 고명도 Brown 석재가 어울린다. 직물은 린넨, 실크, 면 소재가 적합하고, 색채는 고, 중명도 Yellow, Orange, Green 등이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마감재에 대한 사용자의 감성을 확인하고, 실내디자인 스타일 유형별 마감재를 사용자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실내디자인 현장에서 실내마감재에 대한 인식 차이를 좁혀 주고, 연구 결과로 제시된 마감재를 적용함으로써 누구나 쉽게 스타일을 파악할 수 있는 공간 설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실내디자인 요소별 마감재를 벽지, 목재, 석재, 면, 린넨, 실크, 벨벳, 가죽으로 제한하여 진행하였으나, 향후 좀 더 다양한 실내디자인 마감재에 대한 사용자의 감성을 파악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지기를 바란다.

      •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태도와 역할 인식, 간호전문직관이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민지혜 충북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종합병원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태도, 역할 인식, 간호전문직관 및 임종간호수행의 관계를 확인하고,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C 지역의 1개 종합병원 중환자실에서 1개월 이상 근무하고 임종환자를 간호한 경험이 있는 간호사 141명을 대상으로 2023년 1월 1일부터 2월 1일까지 이루어졌다.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는 박계선(2000)이 개발한 도구를 변은경 등(2003)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간호사의 역할 인식은 변은경 등(2003)이 개발한 도구로 측정하였으며, 간호전문직관은 윤은자 등(2005)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임종간호수행은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을 측정하기 위해 Ranse(2016)가 개발한 도구를 정운선(2022)이 번역 및 수정, 보완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태도와 역할 인식, 간호전문직관, 임종간호수행 정도는 independent t-test와 one-way ANOVA, Kruskal Wallis test로 분석하고 사후검정은 Tukey로 분석하였다.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태도와 역할 인식, 간호전문직관, 임종간호수행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aion coefficient를 이용하였으며,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단계적 다중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태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63±0.39점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태도는 총 임상 경력(F=3.087, p=.049)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대상자의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간호사의 역할 인식은 5점 만점에 평균 3.86±0.45점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역할 인식은 성별(t=2.825, p=.005), 결혼 상태(t=2.002, p=.047), 연명의료중단 환자 간호 경험 횟수(F=3.851, p=.024)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간호전문직관은 5점 만점에 평균 3.51±0.39점이었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임종간호수행은 5점 만점에 평균 3.57±0.48점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수행은 결혼 상태(t=-2.193, p=.030), 총 임상 경력(F=6.516, p=.002), 중환자실 근무경력(F=3.270, p=.04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간호사의 역할 인식(β=0.427, p<.001), 간호전문직관(β=0.155, p=.038), 결혼상태(β=0.218, p=.004), 총 임상경력(β=0.188, p=.012)이 대상자의 임종간호수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변수들은 임종간호수행의 27.9%를 설명하고 있었다(F=14.55, p<.001).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간호사의 역할 인식, 간호전문직관, 결혼상태, 총 임상경력이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연명의료중단 결정과정에서 간호사의 적극적인 역할 인식을 강화하며 간호전문직관을 정립하고, 연명의료결정제도 교육 및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연명의료중단을 결정한 중환자실 환자와 보호자를 위한 별도의 임종실을 마련하거나 호스피스 연계를 통한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descriptive survey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care nurses’ attitudes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role perceptions, nursing professionalism, and end-of-life care performance. Furthermor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influential factors affecting end-of-life care performanc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January 1, 2023, and February 1, 2023, from 141 nurses who had worked in the intensive care unit (ICU) of a general hospital in Region C for more than one month and had experience in caring for end-of-life patients. Nurses’ attitudes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were measured using an instrument developed by Park Gye-Sun (2000) and modified by Byun Eun-Kyung, et al. (2003). Nurses’ perceptions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were measured using a tool developed by Byun Eun-Kyung et al. (2003), nursing professionalism was measured using a tool developed by Yoon Eun-Ja et al. (2005), and end-of-life care performance was measured using a tool developed by Ranse (2016) and translated,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Jung Un-Sun (2022) to assess end-of-life care performance among ICU nurs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s, one-way ANOVA, and the Kruskal-Wallis test to examine attitudes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role perception, nursing professionalism, and end-of-life care performance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Post-hoc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ukey’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tilized to assess the correlation between attitudes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role perception, nursing professionalism, and end-of-life care performanc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end-of-life care performance. The mean score for the attitudes of the subjects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was 3.63±0.39 on a scale of 1 to 5.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attitudes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based on the subjects’ total clinical experience (F=3.087, p=.049). Perception of nurses’ rol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was 3.86±0.45 out of 5. Significant differences in role perception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were observed based on gender (t=2.825, p=.005), marital status (t=2.002, p=.047), and the nurses’ years of experience in providing care to patients who underwent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F=3.851, p=.024). The mean score for nursing professionalism was 3.51±0.39 out of 5,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ubjects’’ end-of-life care performance was rated as 3.57±0.48 out of 5. Significant differences in end-of-life care performance were identified based on marital status (t=-2.193, p=.030), total clinical experience (F=6.516, p=.002), and ICU experience (F=3.270, p=.041). When analyzing the factors influencing end-of-life care performance, nurses’ role perception in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β=0.427, p<.001), nursing professionalism (β=0.155, p=.038), marital status (β=0.218, p=.004), and total clinical experience (β=0.188, p=.012)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These variables accounted for 27.9% of the variance in end-of-life care performance (F=14.55, p<.001). This study’s findings support the notion that nurses’ role perception in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nursing professionalism, marital status, and total clinical experience significantly impact the performance of ICU nurses in providing end-of-life care. Therefore, to enhance the quality of end-of-life care delivered by ICU nurses, it is recommended to strengthen nurses’ active role perception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related to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establish a culture of nursing professionalism, and develop and implement educational and intervention programs focusing on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making. Additionally, it is deemed necessary to provide dedicated end-of-life rooms for ICU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who have decided to withdraw from life-sustaining treatment, as well as the support of hospice services.

      •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변수에 대한 이해

        민지혜 서강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Usiskin(1988)이 제안한 대수 학습 유형에 따른 변수의 사용 4가지 중에서 3가지를 Ursini와 Trigueros가 고안한 3UV-model(Ursini & Trigueros, 2001)을 기초로 하여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변수에 대한 이해도를 분석하였다. 중학교 2학년 중상위권 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시험을 실시하여 3UV-model을 기초로 분석하였을 때 변수개념 3가지를 모두 이해하고 있는지와 각 변수개념에 대하여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시험지는 중학교 1학년 수학교과서, 익힘책, 교사용지도서를 참고하여 3개의 문항으로 구성했다. 3개의 문항은 3UV-model을 기초로 하여 미지수, 일반화 하는 수, 양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수를 알아볼 수 있는 문제를 선정하였고, 변수의 개념을 다각도로 질문하기 위해서 각 문항마다 하위문항을 첨가하였다. 시험은 수학수업시간에 45분간 담당수학교사 감독 하에 진행되었다. 학생들은 자신이 생각한 연산을 식으로 표현하는 데에 어려움을 느꼈다. 문제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였지만 자신의 계산한 결과나 순서에 맞는 식을 제대로 구하지 못했다. 특히, 괄호의 사용과 등호의 사용이 올바르지 못한 경우가 있었다. 그리고 두 변수를 사용하여 변수 사이의 관계식을 표현할 때, 각 변수의 의미와 종속관계를 잘 이해하지 못하였다. 학생들은 미지수의 개념을 제일 먼저 배우기 때문에 변수 개념 중에서 미지수에 대한 이해도가 가장 높았다. 그리고 학생들이 변수에 대한 여러 가지 의미를 이해하는 데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많이 되어야 한다. 그래서 질적 연구를 통한 변수에 대한 이해를 집중 분석한 자료는 교사들의 수업 계획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 한국 개발NGO의 모금에 관한 연구 : 소규모 단체의 크라우드펀딩을 중심으로

        민지혜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제개발협력 분야에서 개발NGO의 활동과 역할은 더욱 다양해지고 확대되고 있다. 국내 NGO의 수와 비영리단체에서 해외사업을 진행하는 비율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중소규모 개발NGO에 비해 소수의 대규모 개발NGO가 거대한 규모의 기부금을 모금하는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의식에도 개발NGO의 모금과 관련하여 단체의 규모별로 현황을 분석하거나 대안을 논의한 선행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최근 코로나 19, 디지털화의 가속화 등의 이유로 비영리단체의 모금 시장에서 온라인모금 방법이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중에서도 떠오르고 있는 모금 방법인 크라우드펀딩에 주목하여 개발NGO의 모금 현황 및 크라우드펀딩 현황과 경험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국제개발협력 분야에서 크라우드펀딩 모금이 차지하고 있는 위상과 잠재력을 확인해 보았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크라우드펀딩 성공요인을 조직 관련 요인과 크라우드펀딩 특성 관련 요인으로 구분하여 소규모 개발NGO의 크라우드펀딩 경험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 사례로는 KCOC 회원단체 중 소규모 개발NGO이며, 조사 기간 동안 크라우드펀딩 시도를 가장 많이 한 사단법인 아시안프렌즈를 선택하였다. 사례 분석을 위해 아시안프렌즈의 크라우드펀딩 자료를 수집하고, 아시안프렌즈 실무자를 인터뷰하여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사례 분석을 통해 특히 소규모 개발NGO가 당면한 모금에 대한 문제와 고민에 대해 조명하고, 크라우드펀딩 모금 방법이 소규모 개발NGO의 모금에 새로운 기회가 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아시안프렌즈는 정기적으로 기부형 크라우드펀딩 모금함을 개설하여 잠재적 기부자들을 대상으로 모금을 진행하는 등 크라우드펀딩 모금 방법을 활발하게 활용하고 있었다. 다만 실무 및 모금 담당 인력 부족으로 적극적인 모금 활동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사업의 수가 적어 이에 대한 모금 콘텐츠를 정기적으로 제작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또한 기부자와의 적극적인 소통이나 보상 체계에서 대규모 개발NGO에 비해 미비한 점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크라우드펀딩 모금 방법이 소규모 개발NGO의 지속적인 모금 방안이 되기 위해서는 규모가 작은 단체에 맞는 실질적인 교육을 통해 소규모 개발NGO의 모금 역량의 미흡한 부분을 보완해야 하고, 소규모 개발NGO의 모금에 대한 다양한 파트너십을 구축하여 다방면의 지원을 이끌어내야 한다. 또, 크라우드펀딩 모금을 진행할 때 여러 형태의 보상을 포함한 기부자의 참여를 확산시키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고려해야 하며 각각의 소규모 개발NGO가 주체가 되어 모금하는 방법 외에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을 활용해 개발NGO가 연합하여 모금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구축할 필요가 제기된다. Development NGOs have broadened their boundaries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lthough the number of NGOs in Korea and the proportions of international businesses are steadily growing, large-scale NGOs fund large quantities, which widened a polarization in fundraising. Despite this problem awareness, only some studies have analyzed fundraising status according to the scale of NGOs or discussed alternatives. Online fundraising has been growing exponentially in nonprofit organizations with the spread of the COVID-19 pandemic and accelerating digitization. Thus, this study investigated fundraising and crowdfunding status in development NGOs and their fundraising history records, focusing on crowdfunding, which is growing in popularity, to determine how important crowdfunding is in fundraising and its potential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Based on prior research, this study analyzed crowdfunding cases of small-scale development NGOs by classifying what made crowdfunding successful into organizational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crowdfunding. AsianFriends Corp. was selected as a small-sized development NGO out of KCOC member organizations, considering that AsianFriends Corp. tried crowdfunding the most often during the research period. Corporation’s crowdfunding data was collected.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interviews with workers from AsianFriends Corp. Through the case analysis, this research shed light on fundraising problems and difficulties in small-scale development NGOs and explored whether crowdfunding can open up new opportunities for small-sized development NGOs’ fundraising. Findings showed that AsianFriends Corp. actively used donation-based crowdfunding by creating crowdfunding sections regularly and processing fundraising targeting potential donors. They only felt difficulty with shortages of hands-on workers and for those in charge of fundraising, causing fundraising to be less active. Moreover, they dealt with a small number of fundraising, so they felt hardship about issuing fundraising content regularly. Besides, small-sized development NGOs are less systematic in active communications with donors and compensation rewards than large-scale development NGOs. In conclusion, for the method of crowdfunding fundraising to become a continuous fundraising measure, small-sized development NGOs’ insufficient fundraising capability should be supplemented through practical education which is suitable for the small-sized organizations and various partnerships for fundraising of small-sized development NGOs should be constructed to elicit multifarious support. In addition, when crowdfunding proceed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preparing the basis of extending participation of donors, including various types of compensation, and besides the way of fundraising of each small-sized development NGOs as a subject, the need to establish the process of joint development NGOs fundraising by utilizing crowdfunding platforms is raised.

      • 중앙정부 문화예산 변동에 관한 연구 : 단절균형이론과 Kingdon모형을 중심으로

        민지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 문화예산의 변동을 단절균형이론과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통해 살펴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