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금융시장 발전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 OECD 회원국, 아시아 신흥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민지원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금융시장발전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 연구는 많이 존재하지만,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의 연구는 빈약한 실정이다. 또한 신흥국의 경제성장과 금융안정성의 촉진을 위해서 금융시장발전이 여전히 필요하다는 주장들이 제시되고 있지만, 신흥국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과 이후의 기간에 대해 금융시장발전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파악해보았다. 아울러 49개국(OECD 회원국 중 30개국, 아시아 신흥국 9개국 및 데이터가 존재하는 아시아 국가)에 대해 금융시장발전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았다. 분석을 위해 금융시장은 직접금융시장과 간접금융시장으로 구분하였으며, 자료는 1988~2014년간의 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했다. 직접금융시장의 발전 정도를 나타내는 대리변수로 주식시가총액, 상장주식회전율을 사용하였고 간접금융시장의 대리변수로 민간부문 은행신용 변수를 사용했다. 패널 실증분석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3가지의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직접금융시장과 간접금융시장의 발전은 연구에 포함된 모든 국가의 경제성장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친다. 둘째, OECD 회원국의 경우 직접금융시장의 발전이 경제성장에 양(+)의 영향을 미치지만, 아시아 신흥국에서는 간접금융시장과 간접금융시장의 발전 모두 경제성장에 양(+)의 영향을 미친다. 다만, 간접금융시장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시아 신흥국의 경우 직접금융시장이 발달하면 경제성장의 적정성 또한 커진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위와 같은 분석결과는 경제성장에 있어서 직접금융시장 발전이 중요함을 시사해 준다. 핵심 주제어: 직접금융시장, 간접금융시장, 경제성장, 패널분석 For the period before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numerous studies ass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market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are available for developed countries. Yet, similar economic analysis is limited from 2008 and onwards as well as for emerging economi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financial market development on economic growth for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addition, such effect will be analyzed for both the developed and emerging economies. Thus, panel data from 1988-2014 were collected from 49 countries (i.e., 30 OECD member countries, 9 Asian emerging economies and other Asian countries with relevant data) for this study. Furthermore, financial markets are divided into direct and indirect financial markets. Market capitalization and turnover ratio over the listed stocks are used as proxies to indicate the degree of direct financial markets, and domestic credit to private sector by banks is used as proxy variable for indirect financial market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es can be summarized in three key points. When information for all 49 countries are used as pooled data, the results show that both direct financial market developments (DFMD) and indirect financial market developments (IDFMD) have positive impacts on economic growths for all 49 countries. When data are analyzed separately, the results for Asian emerging economies are similar to those of the polled data despite the indirect being more influential than the direct. In OECD countries, however, only DFMD affect positively the economic growth of OECD countries. Finally, DFMD results in improving the appropriateness of economic growth in the case of Asian emerging economies. This result also implies that DFMD is important for economic growth. Keywords: Direct financial market, Indirect financial market, Economic growth, Panel data analysis

      • 한국사회 미혼 여성의 산부인과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탐구 : 확장된 계획 행동이론과 대인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민지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unmarried woman’s intention to visit gynecology hospital in Korean society. Specifically, this study clarifies both positive and negative causal factors related to intention of visiting gynecology hospital. Thereby, this study tries to suggest persuasive communication strategy that could induce unmarried woman to visit gynecology hospital. This study applied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which is cognitive decision model based on psychology, to explain unmarried woman’s behavioral intention of visiting gynecology clinic. To consider the distinct characteristic of gynecological examination(displeasure and fear) and the social context of Korea(social pressure and conservative sexual culture), this study extends TPB in two categories, affect and social norm. Affect category includes fear, social norm category includes descriptive norm and injunctive norm. Summing up, extended TPB includes 6 variables in 3 categories; cognitive category(includes attitude, perceived behavior control), affective category(includes fear), social norm category(includes subjective norm, descriptive norm, and injunctive norm). Through the extended TPB, this study identifies the main effect of those 6 variables, and also discovers 3 way interaction among cognitive-affective-social factors related to unmarried woman’s behavioral intention of visiting gynecology hospital.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s the effect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on the behavioral intention by mediating the ETPB. N = 244 over 20 years old, unmarried women completed survey. This study conducted multi-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analysis and three-way ANOVA to deduce the result. Study result indicates that high level of fear hinders intention to visit gynecology hospital. By contrast, positive attitude and high level of perceived behavior control leads to higher intention of visiting the hospital. Positive perception of subjective norm also enhances behavioral intention, but descriptive norm and injunctive norm don’t show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Furthermore, Three-way interaction among fear-perceived behavior control-subjective norm was identified. When level of perceived behavior control is high, level of fear is low and perception of subjective norm is positive, the result shows highest behavioral intention. This study also verified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ETPB betwee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It shows that interpersonal communication directly influences behavioral intention and also works as antecedent variable of ETPB. Based on the overall research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extended model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is model overcomes the criticisms of its conceptualization apart from social context and limitation of rational decision-making approach.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significance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n enhancing health behavioral intention. Finally, this study have practical implication for guideline on persuasive health communication strategy.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사회에서 미혼 여성의 산부인과 방문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 탐구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한국 미혼 여성의 산부인과 방문 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요인과 산부인과 방문 의도를 저해하는 요소를 밝힘으로써 차후 산부인과 방문을 유도할 수 있는 설득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제안하고자 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지결정 모델인 계획된 행동이론(이하 TPB)를 확장하여 적용했다. TPB의 기존 변수인 태도, 지각된 행동통제, 주관적 규범에 산부인과적 특성인 공포를 확장하고, 산부인과 방문 행동이 한국사회에서 받는 사회적 압력을 반영하기 위해 기술적 규범과 지시적 규범을 확장했다. 이로써 확장된 TPB는 정서변인(공포), 인지변인(태도, 지각된 행동통제), 사회규범변인(주관적 규범, 기술적 규범, 지시적 규범)으로 재구성되며, 각 변수들의 영향력뿐만 아니라 정서-인지-사회규범 세 변인의 상호작용도 탐구했다. 더불어 미혼 여성의 산부인과 방문과 관련된 대인커뮤니케이션이 확장된 TPB를 매개하여 산부인과방문의도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검증하기 위하여 총 네 개의 연구가설과 두 개의 연구문제를 설정했다. 첫 번째 연구가설은 확장된 TPB의 변인 중 정서변인에 해당하는 공포와 산부인과 방문의도간의 관계를 살펴본 것이다. 공포의 본질적 특성인 회피와 산부인과에 대한 미혼 여성들의 막연한 두려움에 근거해, 공포가 클수록 산부인과 방문의도는 낮아질 것임을 가정했다. 두 번째 연구가설로는 확장된 TPB의 변인 중 인지변인에 해당하는 태도와 지각된 행동통제와 산부인과 방문의도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산부인과 방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통제감이 높을수록 방문의도가 높게 나타날 것을 가정했다. 세 번째 연구가설로는 TPB의 변인 중 사회규범변인에 해당하는 주관적 규범, 기술적 규범, 지시적 규범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산부인과 방문의도가 높게 나타날 것임을 가정했다. 네 번째 연구가설은 대인커뮤니케이션과 TPB의 관계에서, 대인커뮤니케이션이 확장된 TPB의 각 6개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것이다. 연구문제 1은 확장된 TPB의 정서, 인지, 사회규범 변인이 상호작용하여 산부인과 방문의도에 영향을 주는지 탐구하는 것이고, 연구문제 2는 대인커뮤니케이션이 확장된 TPB를 매개해 산부인과 방문의도에 영향을 주는지 탐구하는 것이다. 위의 연구가설과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20대미혼 여성 24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의 데이터를 분석해 결과를 도출했다. 분석 시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통제했으며, 연구가설 1,2,3,4와 연구문제 1 검증을 위하여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과 삼원분산분석을 실시했다. 연구문제 2 검증을 위하여 바론과 케니의 방식을 적용하여 3단계 회귀 분석을 사용했고, 소벨 테스트를 사용해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했다. 연구의 주요 결과와 함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공포가 클수록 산부인과 방문의도가 크게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헬스커뮤니케이션 차원에서 본다면 산부인과 검진에 대한 공포의 강한 부정적 영향력이 검증된 만큼,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통해서 이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가령, 적절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함으로써 막연한 두려움에 기인하는 공포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긍정적 태도와 높은 통제감은 산부인과 방문의도를 증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변인 중에서 태도보다는 통제감이 산부인과 방문의도에 더 큰 영향력을 준다는 결과를 통해서, 산부인과 방문에 대한 필요성 및 중요성의 인지 보다, 실제로산부인과에 방문하는 행동이 얼마나 쉽고 자유로운지에 대한 지각이 더 큰 영향을 준다는 결과로 해석 가능하다. 즉, 20대 미혼 여성들의 산부인과 방문에 대한통제력과 효능감을 강조하는 캠페인 메시지가 효과적일 것이다. 주관적 규범을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산부인과 방문 의도가 높음이 확인됐다. 산부인과 방문이라는 지극히 사적인 행동에 가족 및 친구와 같은 가까운 주변 사람들의 영향력이 작용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산부인과 방문의도는 결국 현재 여성들이 주관적 규범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느냐에 따라 달라질 것임을 예측할 수있고, 커뮤니케이션 차원에서 규범 인식을 긍정적으로 전환하는 건강 메시지 구성이 필요하다. 대인커뮤니케이션은 확장된 TPB의 모든 변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됐고, 대화 양 보다는 대화내용이 더 큰 영향을 주고 있다고 나타났다. 즉, 여성들의 인식에 영향을 주는 것은 산부인과 방문이라는 이슈에 대해서 얼마나 대화를 나누느냐보다 ‘어떤’ 대화를 나누느냐가 더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공포, 통제력, 주관적 규범의 삼원상호작용이 검증됐다. 통제력이 높고, 공포가높을 때는 여타 변수의 존재를 막론하고 방문의도는 낮게 나타났다. 반면, 통제력이 높고, 공포가 낮을 때는 규범인식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규범인식에 따라 방문의도가 달리 도출된다. 즉, 높은 행동 통제감과 낮은 공포 수준, 긍정적 주관적규범인식은 높은 산부인과 방문의도로 연결된다는 것이다. 산부인과에 가해지는사회적 압력의 존재가 한국 사회의 특성이라는 점에 비춰볼 때, 공포와 주관적 규범의 상호작용은 한국사회에서 미혼 여성의 산부인과 방문이라는 행동에서 발견할 수 있는 독특성으로 볼 수 있다. 대인커뮤니케이션은 여성들의 태도, 공포, 통제력, 주관적 규범에 대한 인식에영향을 줌으로써, 이들을 매개해 산부인과 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커뮤니케이션이 단순히 확장된 계획 행동이론의 각 요소들에 영향을주는 것에 그치지 않고 확장된 계획 행동이론을 예측하는 선행 변인으로 작동할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공포, 태도, 통제력, 주관적 규범, 대인커뮤니케이션 등의 변수들은 서로 밀접한 영향력을 주고받음을 확인했고, 산부인과 방문 행위 자체가가지는 공포와 한국사회의 생식기계 건강관리에 폐쇄적인 문화 특수성 안에서 산부인과 방문 행동이 받는 심리적, 사회적 압박은 TPB의 기존 변수들과 더불어공포라는 새로운 변수로 설명 가능함을 확인했다. 본 연구는 산부인과라는 대상에 담긴 한국 사회적 의미를 파악하여 산부인과방문이라는 건강행동에 대한 한국 사회적 맥락을 읽어내 정서-인지-사회규범변인을 적용해 다차원적으로 설명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본연구의 결과는 차후 산부인과 방문을 독려하는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활용 될 수있을 것이며 자궁경부암 수검, 유방암 검진 등 다양한 여성 건강 관련 행동에 활용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실무적 함의를 가진다.

      •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가 통제감을 매개로 역경 후 성장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민지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역경 이후에 경험하는 반추와 역경 후 성장 및 우울의 관계에서 그 이면에 있는 심리적 과정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즉, 역경과 관련한 반추를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로 구분하여, 이들이 역경 후 성장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통제감을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침습적 반추 및 의도적 반추와 역경 후 성장의 관계에서 통제감의 매개효과를, 침습적 반추 및 의도적 반추와 우울의 관계에서 통제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은 삶의 역경을 경험한 남녀 대학생 306명이며 2013년 4월과 5월에 걸쳐 자료를 수집하였다. 질문지는 역경 관련 반추의 수준을 측정하는 사건 관련 반추 척도(K-ERRI), 역경 이후의 긍정적인 변화를 측정하는 스트레스 관련 성장 척도(K-SRGS-R), 삶에 대한 긍정적인 통제감을 측정하는 Shapiro 통제 척도(SCI), 최근 1주 동안의 우울 정서를 측정하기 위한 우울 질문지(CES-D)로 구성된 설문 문항과 성별, 연령 등 인구 통계학적 특징과 역경 관련 변인을 포함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침습적 반추의 수준이 높을수록 우울감을 더 많이 느끼게 되고 역경 후 성장이 저해되는 반면, 의도적 반추는 우울감에 상대적으로 덜 관여하고 역경 후 성장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의 상관이 매우 큼에도 불구하고, 두 반추가 서로 다른 기능을 하는 기제로서 변별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의도적 반추는 역경 후 성장을 유도하는 동시에, 우울 증상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는 사건의 의미에 대해 고찰하는 자발적인 반추 행위가 반드시 적응적인 것이 아님을 의미하며, 본 연구에서는 의도적 반추가 시기, 내용, 방식과 같은 여러 가지 차원에 의해 증상을 유발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셋째, 침습적 반추 및 의도적 반추와 역경 후 성장 및 우울의 관계에서 통제감의 매개효과가 유의함을 검증하였다. 그 효과크기는 반추의 직접효과의 크기에 비해 미미한 수준이었으나 반추가 역경 후 성장과 우울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그 이면에 있는 심리적 과정을 탐색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상담 장면에서는 크고 작은 역경을 경험한 이후, 반복적으로 떠오르는 침투적인 생각으로 고통을 호소하는 내담자를 자주 접할 수 있다. 이 때 상담 및 심리치료의 목표는 이들의 심리적 증상을 완화시키고 역경으로부터 이득과 의미를 발견할 수 있도록 안내하여 질적인 변화를 취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본 연구는 역경을 경험한 개인이 본래의 적응 수준으로 회복하고 더 나아가 성장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적절한 치료적 원리와 접근 방향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에 더하여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으며, 본 연구의 제한점에 대해서 함께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 of event-related rumination(intrusive ruminat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and growth after adversity/ Depression respectively, and test the hypothesis that these relations would be mediated by sense of control. This hypothesized model was designed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regarding the role of intrusive ruminat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in effecting the posttraumatic growth and psychological distress. Data from 306 college students who suffered from varied adversity were used for this study, and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 composed of Korean version of Event Related Rumination Inventory(ERRI), the Stress Related Growth Scale(SRGS), the Shapiro Control Inventory(SCI) and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CES-D). The data was analys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ntrusive rumination is positively related to depression, but negatively related to growth after adversity. In contrast, deliberate rumination is positively related to growth after adversity and depression to the smaller extent than intrusive rumination. From this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intrusive ruminat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could be identified as separate mechanisms that function differently although the correlation of these ruminations is strong. Second, the result that deliberate rumination leads to growth after adversity and depression at the same time assumes that it is not necessarily adaptive to think the meaning of adverse event repetitively.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the content and timing of deliberate rumination would play an significant role in the way of influencing symptoms.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umination and depression/ growth after adversity was verified. The result that deliberate rumination alleviate the level of depression only through indirect path via sense of control is intriguing. Based on the overall findings, the meaning and clin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Finally, the limitations of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 中古漢語 3·4等韻의 介音 硏究

        민지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中古漢語 3ㆍ4等韻의 介音을 분류하고, 개음의 합류 과정 및 탈락 현상 등 제반 문제를 고찰하였다. 개음은 漢語의 전통적인 음절 구조 상 성모와 주요모음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양쪽 방향으로의 음운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개음을 어떻게 분류하고 그 음운을 어떻게 설정하는지에 따라 중고한어의 여러 음운 현상이 달리 해석된다. 본고는 중고한어를 전기와 후기로 나누어 3ㆍ4등운 개음의 양상과 변화 과정을 통시적으로 연구하고 그 음운체계를 수립하였다. 한편 ≪古今韻會擧要≫에 이르러 輕脣音, 照二系, 일부 止攝字 등 일부 3등운이 1등운과 합류되어 같은 字母韻에 귀속되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는 근고한어에서 이들 3등운에 개음이 탈락되었음을 의미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일부 3등운의 개음 탈락 현상이 시작된 시점을 고찰함으로써 중고한어 전반적인 개음 체계를 수립함과 동시에 개별적인 개음 탈락 과정을 함께 살피고자 하였다.

      • 헤테로토피아적 공간 표현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민지원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인은 삶의 의미를 사색할 여유를 갖지 못한 채 일상을 살아간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각자의‘이상(理想)’은 삶을 지탱하고 나아갈 수 있게한다. 이상은 보이지 않는 세계에 대한 공상에 그칠 때도 있지만 때로는 일상(日常) 속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지속되는 일상 속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이상은 사소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매우 중요하다. 본인의 작품에서는 삶의 가까이에 존재하지만, 미처 깨닫지 못하거나 간과했던 익숙한 대상들을 통해 일상을 새롭게 바라보며 감각을 일깨우고 있다. 이처럼 매일 반복되는 일상을 재인식하여 새로운 공간을 창출하고 있는데, 이는 미셸 푸코(Michel Foucault)의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개념과 연관되어있다. 헤테로토피아는 현실에 실재(實在)하며, 원래의 목적과는 다르게 기능하는 공간이다. 이는 현실에 대한 인식의 전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여러 작가가 헤테로토피아의 이러한 특징을 전략적으로 작품에 구현하여 헤테로토피아를 실현하고 있다. 르네 마그리트(Rene Magritte)는 현실에서 양립할 수 없는 여러 공간을 한 화면 안에 모순적으로 배치하여 현실 안에서 현실을 재인식하였다. 아니쉬카푸어(Anish Kapoor)는 거울이라는 매개체를 이용하여 실재하는 환상 공간을 창조해냈다. 제임스 터렐(James Turrell)은 빛을 평면에 투사하여 삼차원의 공간으로 보이는, 열려있으면서도 동시에 고립된 환영(幻影)의 공간을 구현해냈다. 본인의 작품에서 헤테로토피아적 공간은 주로 간과했던 일상에서 구현된다. 도시의 일상 속에서 하늘을 바라봄으로써 위안을 얻을 수 있다. 당시의 공간은 새로운 의미를 부여받고 헤테로토피아로 작용한다. 이 공간은 하늘을 바라볼 때 일시적으로 존재하는데, 이러한 점은 미셸 푸코가 제시한 헤테로토피아의 특성 젓에서 한시적인 시간성과 관련이 있다. 이는 화면에 내면이 투영된 자연 이미지와 도시의 일상을 반영하는 인공물의 이젓적인 구조 그리고 엄숙한 분위기의 수직적 , 구도로 표현된다. 사실적이고 정교한 기법을 사용하고 파스텔 톤의 색채를 이용하여 영롱한 빛을 표현하였다. 담채(淡彩)로 투명하고 깊이 있는 색감을 표현하여 신비한 분위기를 조성하고, 그라데이션 기법을 사용해 점층적인 감정의 고조를 표현한다. 본인의 예술적 시도는 결국 일상을 재인식하여 헤테로토피아를 발견하고 현실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전환하는 과정이다. The frenetic pace of modern life deprives men of their time to speculate upon the meaning of life. Despite such reality, the ideals of each individual make it possible to sustain and develop their lives. Though the ideal often seem to be a concept limited to one’s fantasy, at times it is to be defined in our daily lives. The ideal which is discoverable throughout the ongoing process of life is, despite its seeming triviality, a significant subject. My artworks are aimed at reevaluating the familiar objects which are unrecognized or neglected while being close to our daily lives. Such attempt to readdress the signification of daily routines and to create new spaces according to the ideals which are discovered in them is in connection with the notion of heterotopia elaborated by Michel Foucault. Heterotopia is a space which exists in reality while functioning differently than its original purpose. This can lead to a paradigm shift in the recognition of reality. Various artists have realized the notion of heterotopia by strategically embodying such characteristics in their works. Rene Magritte attempts to have a new understanding of reality by displaying a collection of incompatible spaces in an ironical way. Anish Kapoor employs mirror as a vehicle of creating a space in which reality and fantasy coexist. James Turrell builds a space of fantasy, which is open and isolated at the same time, by projecting light onto a flat plane so as to give the figure a sense of three-dimensionality. The heterotopian spaces in my works are created based on our daily experiences which are apt to be overlooked. We can draw comfort from the experience of looking up at the sky in our city lives. The space in which such experience takes place gains a new meaning and evolves as a heterotopia. In this process, an ideal space is temporarily constructed in the minds of us, which has much relevance to the concept of temporal heterotopia of Michel Foucault. It is expressed in my works as a dual structure in which the images of nature and artifacts are juxtaposed to form a vertical composition evoking a sense of solemnity. I attempted to employ a realistic and exquisite technique while using pastel colors in order to express the brilliance of light. The thin-colored canvas, which displays a sense of transparency and depth, creates a mysterious atmosphere, and color gradation metaphorically indicates the elevation of emotion. To sum up, my artistic endeavor is a process of reassessing our daily routines, discovering heterotopia in them, and transforming the awareness of reality into a more positive status.

      • 시멘트 공간이 적층 가공으로 제작한 지르코니아 하부구조물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에 미치는 영향

        민지원 부산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시멘트 공간이 적층 가공으로 제작한 지르코니아 하부구조물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에 미치는 영향 치기공학과 민 지 원 지도교수 김 재 홍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치의학 분야에서의 3D 프린팅 기술의 보급과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서 3D 프린팅의 임상 적용을 위한 완성도와 정확 도를 확인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적층 가공으로 제작한 지르 코니아 하부구조물의 시멘트 공간 값 설정에 따라 변연 및 내면 적합도에 미치 는 영향을 알아보고 임상적 효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주 모형으로 상악 우측 중절치를 사용하였고 실리콘으로 음형의 몰드를 제작 후 경석고를 이용하여 30개의 작업 모형을 제작하였다. 작 업 모형을 치과용 스캐너로 스캔 후 얻은 디지털 형태의 STL 파일을 이용하여 시멘트 공간 값에 따라 40 ㎛, 120 ㎛, 200 ㎛로 3가지 그룹으로 분류하여 그룹 마다 10개씩, 총 30개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실리콘 복제법을 이용하여 세 그룹 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지점은 변연, 축벽, 절단면으로 나 누었으며 보다 정확한 측정을 위하여 이 세 곳의 측정 지점을 총 8개의 측정 위치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세 그룹의 시멘트 공간 값에 따른 적합도 차이를 알 아보기 위하여 Shapiro-Wilk 검정 및 one-way ANOVA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Tukey’s HSD을 통한 사후 분석을 실시하였다. 제1종 오류 수준은 0.05로 설정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CS-200 그룹에서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가 CS-40, CS-120 그룹보다 전반 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축벽 지점을 제외한 변연, 절단면 지점에서 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CS-200 그룹에서는 모두 변연 및 내면 적합도가 임상적 허용 수치인 120 ㎛ 이내에 존재하였다. 3. 시멘트 공간 값 설정에 따라 지르코니아 하부구조물의 변연 및 내면 적합 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본 연구 결과 3D 프린팅된 세라믹 소재 보철물의 최적의 변연 및 내면 적 합도를 위해서는 200 ㎛의 시멘트 공간 설정이 권장된다. 주제어 : 3D 프린팅, 시멘트 공간, 변연 적합도, 내면 적합도, 실리콘 복제법 With the recent advances in digital technology, the use of 3D printing in dentistry is increasing. It is important to ensure the accuracy of 3D printing for its clinical appl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acceptability of different cement space settings on the marginal and internal fit of zirconia core fabricated using additive manufacturing. For this study, the maxillary right incisor was used as the main model. After scanning the maxillary right incisor using a 3D scanner, the STL file was designed with different cement space settings of 40, 120, and 200 ㎛ using CAD software. The marginal and internal fit of the three groups were measured using the silicon replica technique. Measurement points were categorized into margin, axial wall, and incisal. For more accurate measurement, these three measurement points were divided into 8 points. Statistical analyses were used by Shapiro-Wilk, one-way ANOVA, and Tukey’s HSD test (α =0.05). 1. In the CS-200 group, the marginal and internal fit were generally superior to those of the CS-40 and CS-120,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t the marginal and incisal points, except for the axial wall points. 2. In the CS-200 group, both marginal and internal fit were within 120 μm, which is the clinical acceptable value. 3. It was found that the setting of the cement space affects the marginal and internal fit of the zirconia core. 4. As a result of this study, a 200 ㎛ cement space setting is recommended for optimal marginal and internal fit of 3D-printed ceramic crowns. Keywords: 3D printing, cement space, marginal fit, internal fit, silicone replica technique.

      • NIE를 활용한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인식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민지원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NIE를 활용한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인식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NIE를 활용한 진로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진로인식을 향상시키는가?’, ‘NIE를 활용한 진로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학습동기를 향상시키는가?’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M초등학교 6학년 6개 반을 대상으로 진로인식과 학습동기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자가 담임으로 있는 반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고, 사전 검사 결과 실험집단과 동질성을 보이는 1개 반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구성인원은 각각 30명으로 하였다. 실험집단에는 8주 동안 총 10회기의 NIE를 활용한 진로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으며, 실험이 끝난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은 i-STATtistics(Kim & Baker, 2009)을 이용한 검사지 반응 분석과 각 회기별 소감문, 프로그램에 대한 설문지, 연구자의 관찰에 의한 내용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검사지 반응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NIE를 활용한 진로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진로인식과 진로인식의 하위변인인 자아인식, 일과 직업의 세계 이해, 일에 대한 긍정적 태도 및 가치관, 합리적인 의사결정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하지만 실험집단 내 사후-사전검사 효과검증에서는 자아인식과 일과 직업의 세계 이해에서 평균의 차이는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NIE를 활용한 진로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학습동기와 학습동기의 하위변인인 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 계속동기, 수업동기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하지만 실험집단 내 사후-사전검사 효과검증에서는 내재적 동기에서 평균의 차이는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검사지 반응 분석 결과의 보완을 위한 내용 분석 결과, 본 프로그램은 아동의 진로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증진시키고 자신의 미래 목표를 향해 노력하는 태도와 의지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신의 미래 모습에 대한 기대감과 성공 의지를 갖게 되어 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관심과 의지가 향상되는데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s of the career counseling program with NIE(News in Education) on career awareness and learning motiv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For this, two research questions. 'Does he career counseling program with NIE improve the career aware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and 'Does he career counseling program with NIE improve the learning motiv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were established. To verify this questions, this study did the pilot test concerning the career awareness and learning motivation to 6 classes of 6th grade in M elementary school in Seoul. Two classes were selected one of which was designed as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other class was designed as the comparative group. They are composed of 30 people respectively. Experimental group is conducted the career counseling program with NIE but comparative group is not. And after the test they are done a post-test. This study used the analyzing reaction to test, report, survey and observation to verify effects of the career counseling program. The results for verifying effects of the career counseling program are followed. First, we could confirm the statistical significant improvements in career awareness and its sub-factors(self-awareness, comprehension field of work and job, the positive attitude and values about work, and reasonable decision-making ability) of experimental group with career counseling program using NIE compared with comparative group. But we couldn't confirm the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despite the average gap between self-awareness and comprehension field of work and job in the pilot-post test. Second, the career counseling program with NIE has an effect on improving children's learning motivation and its sub-factors(intrinsic 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continuing motivation, and class motivation). Second, we could confirm the statistical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learning motivation and its sub-factors(intrinsic 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continuing motivation, and class motivation) of experimental group with career counseling program using NIE compared with comparative group. But we couldn't confirm the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ilot-post test despite the average gap of intrinsic motivation. After additional analysis, we notice that this program help improve the interest and comprehension on career, the effort and mind on goal. Also, it help improve the interest and mind on study through the expectation of suc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