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 잠수공동체의 공생, 공존 전략

        민윤숙(Min, Yoon-suk) 한국민속학회 2012 韓國民俗學 Vol.55 No.-

        이 글에서 필자는 여성생업공동체인 제주 잠수들의 공동체 내부를 들여다봄으로써 무엇이 이 잠수공동체를 강화하며 또 무엇이 이 공동체에 균열을 일으키는지, 그리고 위기 상황에 부딪혔을 때 잠수들이 어떻게 이를 극복하며 자신들의 공동체를 유지하고자 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 글의 대상인 가나잠수공동체는 하나의 마을이 행정분리된 후 두 마을의 잠수회가 바다를 가르지 못해 하나의 어촌계에 소속되었다. 2008년 자율관리어업공동체에 가입, 자치관리규칙을 지키며 물질을 해오고 있는 이 잠수공동체는 구성원들이 ‘궨당’(眷黨) 관계에 있는 경우가 많고 공동의 조상신에 대한 의례를 행하고 있으며 무엇보다 패류 공동채취 및 공동분배 원칙으로 공동양식장을 운영해 오고 있다. 같은 조상신의 자손이라는 관념과 이웃한 다라리와의 오랜 ‘바당다툼’은 신앙공동체이며 지연 및 혈연 공동체적 성격이 강한 이 공동체를 강하게 묶어주며 공동체 해체에 맞서는 저항적 성격이 있다고 생각된다. 반면에 잠수들이 각기 두 마을에 속해 있어 두 마을 간의 갈등은 이 공동체에 위기감을 불러오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큰마 잠수들의 상대적 박탈감, 공동작업 공동분배에 대한 상군잠수들의 분분한 이견은 ‘바당 가르기’ 속엣말과 함께 긴장감을 가져오기도 한다. 나이 든 잠수들이나 총대들 중심으로 공동작업, 공동분배 담론의 강화, 어촌계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개발사업의 전개, 육지관광 및 서귀포 칠십리 축제 참여 등 최근 2,30년간의 노력들은 공동체 균열을 막거나 회복하고자 한다. 생태학의 역동 평형 모델처럼 공동체 강화 요인과 약화 요인이 역동적으로 작용, 외부로부터 혹은 내부로부터 공동체 위기를 불러일으키는 사건이 발생할 때 잠수들은 생업공동체로서의 연대를 우선시하며 자신들의 공동체를 유지하고자 하려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look into the details of the Jeju woman divers community relative to the factors shaping and sustaining the community, matters for inter- and intra- community conflicts, and the willingness to overcome the threatening factors at the risk of dismantling the community. The subject community is the typical Juju woman divers working group whose members are from two administrative village but share the common coastal area where most of the divers work. In this community, members are voluntarily enlisted and observe the custom rules. And most of them are related in terms of the blood, relatives, and share the common rituals for their ancient. The most important rule is managing the common coastal farm by the principle of collaborative harvesting and sharing the benefits. This practice has been observed but still there is the risk of breakdown simply because of two different administrative bodies. The administrative units do not only divide the land but also the coastal area. Thus, dividing the coasting area becomes issue in divers community whenever disrupting factors such as cheating in harvesting or selling the harvest, violating the self-imposed rules. And it become more serious when the emotion is engaged between two village. However, it is clear that from the life-threatening issues specially from outside, this community has shown the sense of solidarity to sustain itself to continue the original purpose of having the group as a community.

      • KCI등재

        마을어장의 접근권에 따른 해녀 노동의 양상과 해녀의식 -제주, 경북 동해안 지역과 통영 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민윤숙(Min, Yoon-suk) 실천민속학회 2021 실천민속학연구 Vol.37 No.-

        이 글은 해녀의 본고장인 제주 지역과 제주 해녀들이 바깥물질을 하며 정착하게 된 경북 동해안과 통영 지역 해녀들의 어장 이용 권한과 그에 따른 노동의 양상을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것은 해녀가 자기 마을의 어장이나 ‘행사 계약’된 어장에서 어떠한 조건으로 작업하느냐에 따라 물질의 생태성과 해녀공동체 및 연대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일본 제국주의의 상품 경제 시스템에서 급성장한 제주 해녀들은 ‘임노동자’이자 ‘이주노동자’로서 한반도 연안에서 작업하거나 정착하는 과정에서 ‘물질’이란 전문적 기술과 문화를 전파하며 오늘에 이르렀다. 그러나 전주로부터 착취당하거나 지역민/지역 해녀와 갈등을 빚는 등 그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또한 구한말부터 식민지 시기에 일제가 우리의 어장을 침탈했던 역사의 흔적들이 오늘날의 작업 방식에도 남아 있다. 이동물질(바깥물질)과 이주, 입어 관행과 입어료, 빈매와 행사계약 등 오늘날 해녀들의 작업 현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현상들은 조선의 바다와 연안에 일본 어업자본가나 어민이 ‘통어(입어), 출가, 이주’하며 발생한 것들이다. 이 글에서는 제주, 경북 동해안과 경남 통영 지역 해녀들을 대상으로 어장의 접근권(이용권)에 따른 노동의 양상을 살펴보고 노동주체로서 해녀의 의식을 엿보고자 하였다. 먼저 해녀의 본 고장인 제주 고성 · 신양 해녀들은 마을어장의 권리를 오롯이 누리며, 물질의 생태적 특징을 지켜가며 작업을 해오고 있다. 여기에는 해녀들의 공동체성이 강화되는 잠수굿과 영등굿, “물엣것은 요왕(용왕)이 준다”는 오랜 관념, 금어기간과 금채에 대한 공동체 규제 등이 작동하고 있으며 공동양식장 및 해녀식당의 공동 운영에 따른 물적 기반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해녀들 또한 고무잠수복 착용이나 오토바이 운전, 아쿠아플라넷 물질 공연 등 새로운 환경에 적극 대응하며, 자기 노동을 주체적으로 실현해 오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반면 경북 동해안 지역의 해녀들은 마을 바다에서 작업하더라도 어촌계에 30%의 입어료를 낸다. 또 영덕, 축산 지역은 해녀가 없는 마을이 많아, 해녀들의 ‘객지물질’이 일상화되어 있다. 해녀들이 ‘객지물질’을 갈 때는 자기 마을 바다에서 작업할 때와는 달리 ‘일당 노동자’로서 생산량을 올리는 데 주력함으로써 해당 마을의 해녀들과 갈등을 빚기도 한다. 즉 해녀들에게 일상화된 ‘객지물질’은 물질의 생태성을 훼손시킬 여지가 있으며 해녀와 마을 공동체간 유대감을 약화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통영 해녀들은 선주가 계약한 어장에서 뱃물질을 한다. 이들은 제주 해녀들처럼 자기 마을어장에서 작업하지도 않고, 경북 해녀들처럼 입어료를 내지도 않는다. 매해 선주와 자유롭게 계약해 1년간 탈 배를 정하고, 선주와는 자신이 채취한 물건을 5대 5로 나눈다. 또 통영 해녀들은 제주 해녀들처럼 공동체 규제를 요구하는 잠수회는 없지만, 한 배를 타는 동료들과 통영제주나잠부녀회의 회원들과 친목을 도모하며 지역 봉사활동을 실천해오고 있다. 이들은 해녀라는 직업이 전문기술을 가진 프리랜서와 유사하다고 느낀다. 결론적으로 세 지역 해녀들의 어장에 대한 접근권과 이용 방식 및 노동의 양상을 비교하면서 마을어장에 대한 이용 권한을 해녀가 오롯이 행사할 때, 해녀 공동체와 마을 간의 유대, 물질의 생태성 유지, 그리고 바다와 인간의 공존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ways of working and spirits of Haenyeo relative to the accessibility to Bada by three groups of haenyeo in Jeju, tongyoung and youngil-man area. In this regard, Jeju haenyo community maintain the strong share of the local coastal area, and do harvesting with conserving ecological principles of their jobs. Underlying mechanisms of the elevated socioeconomic status of Jeju Haenyo are from rituals such as Jamsoo-gut, yougdeung-gut which are working to enforce the community solidarity, common belief of “물엣것은 요왕(용왕)이 준다”, harvest-prohibition period and community regulation on the common breeding farm which are still in practically working. Also continuous adapation efforts to changing environments were reflected by adopting the ruber diving suite, motor-bike for works and even performing the diving show for tourists. In Tong-young area, most haenyeo works on the boat of which owner usually make a contract of bada. Skilled special labor of haenyeo works on contract with boat with much better condition. The haenyeo spirits in Tongyoung seemed intermediate with high comradeship and cooperative participation to the community such as Tongyoung-najam-buneyohoi. This study shows that the accessibility to the Bada influence the ways of working and spirits of haenyeo and could determine the ecological traits and community ties among Haenyeo.

      • KCI등재

        제주 잠수 물질의 생태학적 측면

        민윤숙(Min Yoon Suk) 한국민속학회 2010 韓國民俗學 Vol.52 No.-

        이 글은 제주도 ‘잠수’들의 ‘물질’에서 생태학적 측면을 찾는 데에 목적이 있다. 잠수들의 물질 민속에서 생태적 측면은 다양하게 찾을 수 있겠지만, 이 글에서는 물질 자원의 한계를 인식하며 나름대로 적응전략을 발휘했다고 생각되는 부분에 한정해 논의한다. 물질은 ‘테왁’, 빗창, 호미 등 최소한의 도구와 자신의 육체 및 경험에 의존할 뿐, 다른 에너지의 소비 없이 해산물을 채취하므로 자원의 활용이란 면에서 그 자체로 생태학적 측면이 농후하다. 물론 물질을 비롯한 어업은 농업에 비해 일방적으로 자원을 채취, 고갈시킨다는 시각이 있다. 하지만 미역의 경우 제주 잠수들은 전통적으로 금채기간을 설정해 채취를 해왔고 1991년 수산법에 의한 어패류 금채 역시 자율적으로 수행해 오고 있다. 이것은 자원의 한계와 인간의 채취 활동(물질)의 문제를 인식하고 바다자원을 보다 지속적으로 이용하며 자신들의 삶 또한 이어가기 위한 노력이라 할 수 있다. 또 혼인으로 인해 거주지가 바뀔 경우 입어권은 거주마을에 귀속시키는 전통을 만들어왔다. 이것은 마을 앞바다가 공유지인 것을 고려할 때, 적절하게 채취 인력을 조절함으로써 ‘공유지의 비극’을 막아온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자신들의 물질 경험과 예로부터 진수받은 바다나 물질에 관한 지식을 바탕으로 물질 규칙을 정해 실천해왔다. 한 바다로 몰려 물질을 하기보다는 몇몇이 이 바다 저 바다를 돌아가며 물질을 하고 수심이 얕고 물살이 세지 않은 바다는 노인 잠수들을 위해 양보했다. 한편 매년 음력 2월 보름께 바닷가 해신당에서 치르는 영등굿이나 3, 4월께 치르는 잠수굿의 한 제차로, 좁쌀이나 쌀 등을 바다에 골고루 뿌리는 ‘씨드림’과 ‘지드림’을 통해 관념적 차원이지만 바다와의 호혜적 관계 맺기를 통해 바다 자원과의 공존을 바랐다는 점에서 생태학적 특성을 인정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제주 잠수들은 물질 작업의 오랜 경험과 관행 속에서 바다 자원의 한계성, 바다생물로서의 자원의 인식, 그리고 채취 위주의 물질 작업의 문제들 깨달았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생물의 생장기나 번식기를 고려해 공동으로 금채 기간을 두고 이를 지켜왔고 입어권으로 채취 인력을 조절해 온 것이다. 잠수들이 점차 줄어가고 있지만 한정된 바다자원을 고려한 물질 방식은 자원의 고갈로 인해 지속가능한 삶을 고민해야 하는 우리들의 시대적 위기에 많은 시사를 던져준다고 하겠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cological aspects of Jeju women diver's activities emphasizing the restriction of the harvesting periods and number of harvesters. Since the diver's collection of sea weeds, sea urchins and trumpet shells can be considered as the one-sided exploitation of the natural resources rather than seeding, cultivation and harvesting system in agriculture, excessive harvesting would lead to exhaust the marine products, resulting in danger of sustained job activity of the Jeju women divers. Traditionally, in a year, a period of harvest restriction of sea weeds has been kept regulated, and recently the same regulation was set against collecting abalone and trumpet shell by the fishery act from 1960s. This type of restriction by the folk was seen as a parallel to the ecological theory for sustainable maximum harvest, regulating the harvest effort in relation to the population size. In the model, sustainable harvesting could be achieved by the regulation of the amount of harvest, number of harvester and other harvesting efforts. Also there was a regulation not allowing the emigrant divers who got married and moved out of her hometown to keep the diver activity in her hometown. This was viewed as the regulation of the number of divers in a community to prevent 'the tragedy of the commons' in which overexploitation of the common resource by the selfish individual or increased number of harvesters would soon deplete the commons. Even the seeding activity could be inferred from the "Ssidrim (=spreading millet or rice seeds onto the sea)" from the rituals of divers such as "Youngdeung-gut" in February of lunar calendar or "Jamsu-gut" in March or April of lunar calendar. This activity was considered as ritualistic ecological folklore to increase the local coastal resources which the divers depended on. Usually the restriction period was correlated to the period of reproduction and propagation or the period of the maximum growth of sea weeds and other sea organisms. I consider that Jeju divers have observed the restriction of harvest to keep the harvesting resource sustainable from their experiences and understandings of the biological aspects of sea weeds and animals, limitation of the local resources and the diver's job as exploitation of the local resources which are quite dependent on the natural process. These types of ecological folklore embodied in Jeju diver's activity lesson the way of sustainable resource management and exploitation strategy.

      • KCI등재

        제주 해녀와 오토바이 : 제주 해녀들의 물질과 사회적 지위

        민윤숙(Min Yoon-Suk) 한국역사민속학회 2011 역사민속학 Vol.35 No.-

        근래 제주 해안가 마을에서는 오토바이를 타고 바다로 출근하는 해녀들과 해녀탈의장 주변에 즐비하게 주차되어 있는 오토바이를 쉽게 발견할 수 있다. 특히 자연양식장에서 소라허채를 할 때는 백여 대 가량의 오토바이가 주차되기도 한다. 소위 오토바이는 해녀들이 어느 바다에서 작업을 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표시하며, 그가 소유한 오토바이의 종류에 따라 어느 정도의 경제력을 갖고 있는지도 알려준다. 이 연구는 제주 해녀들이 그들의 일상적 삶에 오토바이를 적극 수용하게 된 동기와 그것이 그들의 사회적 지위와 삶의 양식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살피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대상마을은 현재 110여 명이 상시적으로 물질을 하고 있는, 서귀포시 성산읍 고성·신양리이다. 반농반어의 생업 구조 속에서 밭일과 물질을 모두 담당했던 고성·신양리 해녀들이 마을바다로 걸어가는 데는 40여 분에서 한 시간 가량이 소요되었다. 1980대 중반에는 한 두 해녀가 개인의 운송 수단으로 오토바이를 탔으나 그후 오토바이의 기동성과 편리함으로 몇몇 젊은 상군 해녀들이 타기 시작했다. 그러다 대부분의 마을 해녀들이 오토바이에 도전하게 된 때는 1995년 무렵이었는데 이 때 일본으로 수출하던 소라값이 급등한 것이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이를 계기로 오토바이는 해녀들의 이동 및 운동수단으로서 해녀사회에서 신속하게 확산되는데 그것은 오토바이가 기동성·편리함, 그리고 독립성 등을 보장해주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해녀들이 오토바이를 타고 다니면서 경운기로 태워다 주는 남편이나 벗해기는 동료들의 남편에게 의존하지 않게 되면서 그들의 일을 더욱 효과적이고 독립적으로 수행하게 됨으로써 경제적 주체로서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제주 해녀들이 오토바이를 수용하던 1995년에서 2000년 무렵에는 1969년 이후로 줄곧 크게 감소해오던 제주 해녀들의 수가 확연히 지체됨을 확인할 수 있다. 오토바이의 편리함 때문인지 최근 3,4년간에도 60,70대 해녀들의 원동기 면허 소지가 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로써 해녀들이 오토바이를 전략적으로 도입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오토바이의 도입은 그들의 물질 작업뿐만 아니라 밭일·계모임·장보기·병원가기 등 일상적 삶을 효율적으로 영위하도록 해 결과적으로 해녀들이 사회 활동에 더욱 참여토록 한 것으로 보인다. 최근 10여 년간 성산읍·표선읍·구좌읍 일대에 등장하게 된 십여 명이 넘는 해녀어촌계장 혹은 여성어촌계장은 해녀들의 향상된 사회적 지위를 반영한다. 오토바이가 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고는 할 수 없으나 그들의 사회적 활동의 반경을 넓히는데 간접적으로 기여했다고 말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제주 해녀들의 오토바이의 적극 도입은 그들의 노동 행위의 효율성뿐만 아니라 그들의 직업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일상적 삶의 방식에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Recently we notice a lot of Jeju woman divers on the motorcycles on the way to work and hundreds of motorcycles are parked in a group near the change room of the woman divers especially when checking the trumpet shells. Thus the motorcycles near the seaside indicate if the woman divers are working or even their financial status. This paper inquired the motivation of Jeju divers utilizing the motorcycle in their ordinary life and its consequence to change their social position and lifestyl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Gosung and Sinyang-ri, Seongsan-eub Seoguipo-city, Jeju. In semi-agrofishery life structure, it takes about 1 hour to reach the willage owned seaside for the woman divers of Gosung-ri on foot. The first introduction of motorcycle to woman divers coincided with the price advance of exporting trumpet shell to Japan in 1995. From two high-level divers with motorcycles, utilizing motorcycle as a mean of transportation spread quickly to woman divers community since the motorcycle enhance the efficiency, convenience and independence. Traditionary Jeju woman diver has had her own land or real properties on her name, if from her income. Thus having motorcycle render the woman divers less dependent to husbands for transportation such as motor tillers, and more efficient and independent for their own work. This may be retrospected by the stationary rate of reduction of the number of Jeju woman divers when motorcycles were adopted in 1995 to 2000, compared to the sharp decrease since 1969. Adoption of motorcycle not only influenced their own work, harvesting in the sea, but their ordinary life such as farming, meeting, shopping, health checking and even other diverse social networking. Enhanced social position may reflect that several woman leaders have been elected in fishery communities which are surprisingly new in the traditionally communities in a recent decade. With the increase of income and social position, woman divers feel more pride on their job as freelancer job free from academic career, wealthiness, appearance, but with their own ability. In conclusion, the adoption of motorcycle by woman divers not only influence their labor efficiency but also ordinary life and even the view of their occupation.

      • KCI등재

        공존의 신념으로서의 제주 잠수들의 속신

        민윤숙(Min Yoon-Suk) 실천민속학회 2011 실천민속학연구 Vol.18 No.-

        이 글은 역사적, 지리적, 그리고 사회문화적으로 독특한 경험을 공유해온 제주 잠수들을 대상으로, 잠수 사회의 속신의 의미를 밝히고 소멸되거나 혹은 지속되는 속신과 그 이유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속신 연구는 대체로 속신을 민간 신앙적 혹은 규범적 구비 단문인 언어적 구조물로 보거나 속신의 신앙적, 정신적 측면을 주목해 해당 사회의 문화적 맥락 속에서 총체적으로 살펴보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필자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속신을 민간 신앙적 언어 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어떤 사회의 관념, 의례, 주물, 신앙주체, 언어적 표현이 통합된 문화 현상으로 바라보고자 한다. 제주 잠수의 경우 오랜 동안 반농반어의 생업 구조 속에서 나름의 공동체를 형성해 왔기에 이들의 속신은 의례나 관념, 주술(주물), 그리고 언어적 표현이 함께 얽혀 구성된 것임을 보여준다. 1970년대 이래 잠수 사회는 고무잠수복과 스티로폼 테왁의 등장, 상수도관 설치, 탈의장 및 해녀의 집 설립 등 많은 변화를 겪어 왔다. 그런데 이러한 변화 속에서도 지속되는 속신들이 있는 반면 무시되거나 ‘폐기’되는 속신들이 있다. 전자는 잠수들의 사회 안에서 관련 의례와 관념 및 언어적 표현으로 탄탄히 묶여 ‘실천’되어 온 것들이며 그 바탕에는 바다에 대한 경외심과 물엣것 및 동료 잠수들과의 공존의 가치가 담겨 있다. 후자는 관련 의례나 특정 관념이 (현재 시점에서) 없으며 변화하는 잠수 사회에 탄력적으로 부응할 수 없는 것들이다. 결국 제주 잠수들은 자신들의 물질 작업의 여러 변화들에 대응하지 못하는 속신들은 선택하지 않고 무시하거나 폐기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한편 잠수들의 속신 중 오랜 믿음을 바탕으로 아직도 강하게 지켜지고 있는 것은 용왕과 거북에 대한 신앙 및 의례와 관련된 것들이다. 이러한 속신은 용왕이 잠수들을 고루 보살핀다는 믿음과 거북의례, 요왕맞이, 지드림, 영등굿 등 의례 속에서 지켜지고 있으며 잠수들에게 공존을 위한 행위 규범 혹은 원리로 작용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The folk belief has been studied focused on linguistic structure and pattern but with less consideration in the cultural context. This study explored folk beliefs of Jeju women diver, who have shared distinct communities historically, geographically, and culturally. I study folk belief of Jeju women diver as an integrated cultural phenomenon which formed with ritual, casting, religious subjects, and verbal expression. Since 1970, the Jeju women diver society has experienced drastic changes in their working environments and societal supports such as rubber wetsuit, styrofoam tewak, water installation, dressing room, and diver’s house. Despite these changes, some of their folk belief are continuously observed but others are discarded or forgotten. The former has practised with related ritual, notion, and verbal expression in women diver community and based on awe on the sea, the conviction of coexistence for sea creatures and women diver. The latter can’t be flexibly applicable to the change of women diver society and has no special ritual and beliefs. In conclusion, it could be told Jeju women divers has not chosen or ignored or discard that their belies and folk science that cant’be engaged their work ‘muljil’ and its change. By the way, the beliefs of dragon king and turtle which is believed as the youngest daughter of dragon king are still strongly worshiped by the Jeju women divers. With the notion that dragon king takes care of women divers and fishers, they still continue the ritual turtle, the rite of welcoming dragon king, jidrim, and youngdeunggut. Many of their folk beliefs are considered as working rules or principles for the coexistence of sea, sea creatures and women diver community.

      • KCI등재

        경북지역 해녀들의 물질 방식의 분화와 발전

        민윤숙(Min, Yoon-suk) 실천민속학회 2018 실천민속학연구 Vol.31 No.-

        본 논문은 경북 해녀들의 물질 방식의 분화와 발전을 마을바다의 점유와 노동 계약의 관계에 따라 살펴본 것이다. 제주해녀의 육지물질은 경북지역 여성들이 `해녀`라는 직업을 선택하게 영향을 미쳤다. 특히 1970년대 중반에 경북해녀들은 급증하게 되는데 이들의 물질방식은 원형이라 할 수 있는 제주해녀들과는 상이하게 발전되어 왔다. 제주해녀는 `전문기술자`로서 공공재인 마을어장을 총유하여 바다자원을 관리하면서 지속적 물질을 하는 반면, 경북 해녀의 물질 양상은 크게 4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자기 마을바다에서 작업하며 어촌계와 생산물을 2대 3으로 분배하는 경우, 둘째 전주 아래에서 장단기 임노동자로 작업하는 경우, 셋째 해녀가 없는 마을에서 공동투자금으로 어장이용권을 행사계약한 경우, 넷째 해녀들이 공동체를 구성하여 이웃마을 어촌계와 호혜적 유대관계 속에서 작업하는 경우로 구분되었다. 첫째의 경우는 어촌계와의 공존이란 의미가 있지만 해녀들의 희생이 큰 면이 있다. 임노동의 경우 `남의 바당을 싹쓸이한다`는 등 바다자원에 대한 관리개념이 미약하다. 한편 어촌계 등과 연대한 공동체의 경우 바다자원을 관리하며 공동생산과 공동분배를 하는 경향이 강하지만, 투자금과 인간적 관계망이란 조건에 따라 공동체 존립 및 바다자원에 대한 관리개념이 유동적이다. 결국 바다자원에 대한 인식은 어장의 실질적 점유 형태와 해녀들의 작업 방식과 연관되며, 공유재의 지속적 활용에 대한 대안적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This paper explored the differentiation and development of muljil styles of female divers(Haenyoe) in Gyeongbuk Province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ccupation of the sea in the village and the contract for labor. The Jeju Haenyoe who had worked in Gyeongbuk, away from their home range, influenced women in Gyeongbuk Province to choose a job called as “Haenyoe” . Especially in the mid 1970s, Haenyoe population grew quickly when the main products were mugwort (source of agar) and seaweed. Their muljil patterns have evolved differently from the original type from Jeju Island. Jeju Haenyoe practiced muljils while managing sea resources as common goods with substantiality. Whereas the muljil aspects of Gyeongbuk Haenyoe were categorized into four cases. Firstly, when working in the sea of one`s village sharing 40% benefit village, secondly, working under the business(jeonju) contracting short-or long-term as larges, thirdly, possessing the utilization right of village-owned sea by contracting in Haenyoe free village, and fourthly, free use of village-own sea with the reciprocal understanding with the village and Haenyoe group. In the first case, share of Haenyoe is too small while working in one`s own town. In second case, overexploitation of the marine resource would be problematic since no ownership of the sea resource. While grouping of Haenyoe and occupation of sea access would provide the concept of joint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the common good of sea resource. Eventually, the perception of sea resources is related to the actual occupation patterns and to the way the divers work, and provides an alternative view of the continuous utilization of the shared muljil resour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