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동, 이름에서 찾아가는 불교문화의 흔적 그리고 남은 이야기들

        민순의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20 종교문화비평 Vol.37 No.37

        지난 《종교문화비평》 35호의 ‘종교문화기행’ 코너에 〈정동의 역사적 지층 속에서 만난 종교문화〉라는 제목의 글이 게재되었었다. 2018년 가을에 진행되었던 종교문화탐방을 토대로 방원일 선생께서 집필한 이 글은 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덕수궁 동쪽 담길을 따라 탐방 직전 개방된 “고종의 길”, 장로교와 감리교를 위시한 한국 개신교의 초기 선교 흔적 등을 중심으로 정동의 문화유적을 살폈다. 특히 필자의 전문성을 십분 발휘하여 근대 이후의 정동 내지 정동과 개신교(성공회를 포함하여)의 친연성을 부각하며 소개한 점은 지금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장소에서 지금의 우리를 살게 하는 역사와 문화의 그리 멀지 않은 시작을 확인하게 해 준다는 점에서 익숙한 새로움을 안겨 준다. 그러나 조금 더 소급된 시간을 전공한 이의 입장에서는 현전하지 않고 단절되어 있으며 그래서 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그렇지만 이름 하나, 지표석 하나에서 어렴풋한 자취로 감지되는 또 다른 정동 속 종교문화의 함몰에 내심 아쉬움이 있었다. 오늘 이 지면을 빌어 그에 대하여 잠시 소개해 볼까 한다.

      • KCI등재후보

        참법(懺法)의 종교학적 기능과 의미 - 의식(意識)과 의식(儀式)의 두 측면을 중심으로 -

        민순의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화예술연구소 2017 불교문예연구 Vol.0 No.8

        초기 불교교단의‘ks.ama’는 승려 자신의 범계(犯戒)에 대한 자각, 그에 대 한 승단 내에서의 시인과 용서, 재발방지 약속 등이 요구된 행위의 기법으로, 무거운 죄의식의 심리상태가 반드시 수반되는 것은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 단어가 중국에서‘참마(懺摩)’라는 음사를 넘어‘참회(懺悔)’라는 한 자어로 의역되면서 죄의식을 동반한 심리적 깊이감과 행위의 이미지를 동시에 갖게 되었고, 죄의식을 표현하는 독자적인 의례로서 참법(懺法)이 독립되어 집 단적 참회의식을 넘어 국가적 의례행사로 발전하기도 했다. 이는 재이를 막고 기복을 구하며 공덕을 얻는 세속적 이익추구의 행동양식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러나 이는 무상(無常)과 무아(無我)라는 불교 고유의 가르침에 위배되는 것이 었다. 이에 천태 지의(天台智懿) 이후 한자문화권의 불교사상가들은 참법을 사 참(事懺)과 이참(理懺)으로 나누어, 이참이야말로 일체공(一體空)이라는 세계 의 실상을 관할 수 있는 핵심단계로 보고, 오회(五悔) 등의 행위는 사참으로 분 류하여 별도의 수행단계로 간주하였다. 이로써 참회 또는 참법이라는 언어적 행위적 기표(記標, Signifiant)는 의식(意識)과 의식(儀式)이라는 두 가지 기의 (記意, Signifi´e)를 갖추게 되었다. 구원의 종교이자 고백의 종교이기도 한 기 독교의 참회/회개는 당초 타락한 종교문화에 대한 성찰과 그로부터의 각성· 회심이라는 심리상태를 세례라는 상징적 정화행위로 구체화한 개념이었지만, 점차 참회의식과 고백이라는 새로운 행위양식 속에서 복종과 신에 대한 관상 (觀想) 그리고 영혼의 구원을 추구하게 되었다. 이처럼 기독교 전통의 참회와 고백은 행위양식보다는 사고와 성찰에 더 큰 관심을 기울이는 것이었다. 기독 교와 불교의 참회는 모두 인간의 가능성에 대한 신념에서 출발하며, 궁극적 실 재에 대한 증득과 체현이라는 점에서 상통하는 바 있지만, 불교의 참회/참법 개념에 각별히 의식(儀式)적 넓이와 의식(意識)적 깊이가 더해져 사참과 이참 이라는 두 방향으로 심화되었다는 사실을 놓쳐서는 안 될 것이다. ‘Ks.ama’, the repentance-performance of the early Buddhist samgha, was the technic of the act which needed the awareness of the violation of commandments, the official recognition about the violation, the giving and receiving of forgiveness over that, and the promise of the prevention of the recurrence. It didn't seem to contain the heavy sense of guilt. But as the word was translated into ‘chamma(懺摩)’in accordance with the pronunciation, and then into‘ chamhoe(懺 悔)’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it had been holding the deep inner sense of guilt and the image of extrinsic actingperformance. It had been also developed into‘ chambeop(懺法)’, the extra repentance ceremony which expressed the sense of guilt through several concrete external actions following the standard procedures. Chambeop used to be the ceremony of the community or sometimes the magnificent national ritual. It was a kind of worldly action pursuing profit which was performed to prevent disasters or to ask for fortune. But the action pursuing profit was absolutely different from the intrinsic Buddhist teaching. So the Buddhist scholars in the culture of Chinese character had separated the process of chambeop into‘ sacham(事懺)’, the actional procedure which was a just preparation step, and ‘icham(理懺)’, the fundamentally creedal procedure through which a person could see the truth of the world. The first scholar was Chihi(智懿, 538~597) of Sui(隋) Dynasty. Sacham meant the ceremony/ritual dimension of chambeop, whereas icham meant the consciousness/awareness dimension of that. In other word, chamhoe/chambeop as a linguistic or actional signifiant had dual signifie´ of ceremony/ritual and consciousness/awareness. Christianity, the religion of salvation and the religion of confession, has developed the concept of the repentance chiefly in the direction of the sense of guilt. Of course, the concepts of the repentance of Christianity and Buddhism have something in common. Those of the two religions have the trust in the human advancement heading for Ultimate Reality in common. But Buddhism has the special creativity in that it has developed two procedures of the repentance(chamhoe/chambeop) : one is sacham of the ceremony/ritual dimension and the other is icham of the consciousness/awareness dimension.

      • KCI등재

        한국 법화계 불교종단의 역사와 성격

        민순의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0 불교문예연구 Vol.0 No.15

        Contemporary Korean Lotus-Sutra Buddhist order is defined as the name of Buddhist orders whose names include ‘Lotus’ or whose main sutra is Lotus-Sutra. I chooses Korea Buddhism (Hankuk-Bulgyo) Beop Hwa Order, Korea Buddhism (Daehan- Bulgyo) Beop Hwa Order, Korea Buddhism Il Seung Order, Korea Buddhism Bul Ip Order and Korea Buddhism Guan Eum Order. They have been recognized to have common history in their early times in proceeding studies. I am concerned with the history of their schisms and the present state of the each order. They have the common features, especially of their early times, in that they attach importance to the idea of ‘All the people are possible to be Buddha’(一佛乘), the repeated recitation of the title of Lotus-Sutra, the statue of Buddha with his hands clasped in prayer, and the daily sincere prayer. The repeated recitation of the title of Lotus-Sutra has been thought to have been influenced from Japanese Lotus-Sutra Buddhism by many scholars. It may be true, but at the same time Korean Lotus-Sutra Buddhist orders have consciously endeavored to overcome the Japanese influences and to excavate and cultivate the Korean traditional Lotus-Sutra belief. Contemporary Korean Buddhism has many Buddhist orders and thus seems to restore the condition of Order-Buddhism of the pre-modern times. But the situation of contemporary Korean Buddhism like that may be the result of the official systems and the official laws made by the state authority. Or it may be the result of the conflict with other countries’ cultures. The important is that the old new orders should grow up in the people of this country as the new old tradition. So the probable growth of the Korean Lotus-Sutra Buddhist orders deserves watching. 현재 한국불교에서 ‘법화계 불교종단’이란 ‘법화’라는 이름을 종단명칭에 사용하거나 『법화경』을 소의경전으로 하는 종단 일체를 지칭하는 것으로 넓은 범위에서 상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 중 본고에서는 선행연구들에서 공통되게 동일한 연혁을 공유하는 것으로 제시되었던 한국불교법화종, 대한불교법화종, 일승종, 불입종, 관음종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 사이의 분종의 역사와 각 종단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이들은 대체로 『법화경』의 회삼귀일 및 일불승 사상의 중시,『법화경』 제목 봉창의 강조, 합장불의 불단 안치, 기도의 생활화 경향 등을 초창기의 공통된 특징으로 지닌다. 이 중 제목 봉창의 강조에 대해서는 다분히 일본 법화계 종단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는 시각이 존재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 종단들이 가꿔 온 전통에 대한 인식과 미래에 대한 비전들은 이들이 일본 법화종단으로부터의 영향을 어느 정도 인지하면서도 동시에 그로부터 벗어나야 된다는 깊은 자의식을 지니고 있었음을 보여 준다. 현대 한국불교는 새로운 종파불교의 부활인 것처럼 보이는 측면이 있다. 하지만 어쩌면 그것은 종교 내적인 원인에 의하기보다는 국가권력에 의해 추동된 제도와 법령으로부터 동인된 것일지도 모른다. 한편 현대의 새로운 종파 중 일부는 오롯이 한국의 종교문화 전통에서 자생하였다기보다 상당 부분 근대성 또는 외래문화와의 길항 관계 속에서 탄생의 당위를 얻은 것일지도 모른다. 중요한 것은 어떠한 모멘텀에 의하여 어떤 경위로 시작되었던 간에, 그 익숙한듯 새로운 종단들이 이 땅의 민중 속에 어떻게 뿌리 내리며 성장해 가는가 하는 것이다. 그리 길지 않은 역사 속에서 전통을 가꾸어 가고자 하는 한국 법화계 불교종단의 오래된 미래는 지켜볼 가치가 있다.

      • KCI등재

        불교에서 점복(占卜)이 다루어지는 방식에 대한 일고찰: 《점찰경(占察經)》에 나타나는 방편(方便)의 위계(位階) 문제를 중심으로

        민순의 종교문화비평학회 2019 종교문화비평 Vol.36 No.36

        The divination performances have long been popular in Korea and intimately related with the Buddhist religious practices in daily life. The Buddhist divination if possible at all is not useful for understanding basic teachings of Buddhist doctrine because this divination practice is not grounded on the Sunyata(空) doctrine. But the Mahayana Buddhism, when deeply spread to Chinese soil, has been accommodated itself with the Chinese folk religions, and exerted to be popularized among the commoners. As one of those folkloric effects was brought in and the divination skills were accepted and finally a forged Buddhist text, Sutra of Divination(Jeomchalgyeong, 占察經), was established in Chinese Buddhism. The methods or skills of how to perform divination are called ‘Jeomchal-beob(占察法)’, whose theories and guidelines are strictly based on the Buddhist text of Sutra of Divination. The Jeomchal-beob seems to be the typical divination practices in Buddhism. Whoever want to do divination firstly picks a sign and ascertains its divinatory meanings in it, the way how to interpret these meanings and accept them as one’s destinations are totally at the disposal of the Buddhist doctrinal theories. The Sutra of Divination interprets this divinatory sign as the result of one’s own karma(業) and advises to do his/her repentances and self-disciplines accordingly. This Buddhist interpretations of divination are creative while Buddhism in general has adopted the local cultures and adjusted itself into enhancing them into universal features of Buddhism. Jeomchal-beob, a kind of upāya(方 便), has usually been treated as a low status in the Buddhist doctrinal system and uniquely accepted as a form of the East-Asian divination. One of the major Buddhist doctrines of repentance and self-discipline of Karma has been adjusted and transformed into Jeomchal-beob. So Buddhist divination of Jeomchal-beob has the dual interpretations that upāya can be retained as both the means and the goal, and the antagonistic against each other as well as the harmonious in favor of each other. 많은 현대 한국인들이 불교와 점복의 인접성을 상정하지만 사실상 점복에 대한 불교의 근본적인 입장은 ‘공(空)에 대한 이해로부터 행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무익하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대승불교가 중국으로 전래된 이후 불교는 동아시아의 민속신앙을 받아들이며 대중화를 도모하는 과정에서 점복의 기술을 받아들이게 되었고, 마침내《점찰경(占察經)》이라는 위경과 그것을 근거로 한 ‘점찰법(占察法)’이라는 수행방식이 고안되었다. 점찰법은 점괘를 뽑아 그 의미를 알아본다는 점에서 전형적인 점복의 양식을띄지만, 《점찰경》에서는 점복 행위와 그 점괘의 의미를 개인의 업보에 대한 해석으로 파악하고 나아가 그 결과에 따라 적절한 참회와 수행을 권장한다. 이는 불교가 타문화의대중적 신행을 받아들이며 그것을 불교적으로 재해석하고 승화시켰다는 점에서 독창적이다. 점찰법은 불교에서 일종의 방편(方便)으로 인식되었고, 일반적으로 방편은 불교의교리 체계 속에서 낮은 위계를 지니는 것으로 간주되지만, 《점찰경》과 점찰법은 점복을방편이라는 독특한 방식으로 변용하여 수용하면서도, 그 수행 방식과 목적을 설명하는데에 불교의 핵심적인 교리를 팽팽히 끌어들임으로써 방편이 수단이면서도 목적일 수있는 길항적이면서도 회통적인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 한국 생전예수재의 역사적 형성과 종교문화적 의미 - ‘삶의 현장성’과 ‘종교성의 개인화’의 측면에서 -

        민순의 불교의례문화 연구소 2021 무형문화연구 Vol.0 No.5

        This study inquires the circumstances and the time of formation of Korean funeral ceremonies preparing for rebirth (生前預修齋). It also ascertains the truth that the ceremonies had been popular in the low people after the 17th century and changed in the forms and the meanings in the 19th century. The faith of ten hell kings (十王信仰) was accommodated in Goryeo period. The aims of the faith were the cure of diseases and the rebirth in paradise in the period. The faith was also became the ideal background of the Buddhist 10 funerals carried after the death of the dead (七七齋, 百日齋, 小祥齋, 大祥齋). Nevertheless there was no evidence of the existence of Korean funeral ceremonies preparing for rebirth. The existences of paintings of ten hell kings (十王圖) were reported in Choseon Dynasty Annals (朝鮮王朝實錄) and Sutra of the Ten hell Kings (佛說預修十王生 七經) was published many times in Choseon dynasty. The original forms of comtemporary Korean funeral ceremonies preparing for rebirth appeared in the reign of king Jung-jong in the former 16th century. The ceremonies of that time were characterized of burning of fake money or fake bills. And they seemed to be practiced among the royal women. Manual book for Korean funeral ceremonies preparing for rebirth (預修十王生七齋儀纂要) was published all over the country. Furthermore several monks wrote the letters to give the message about the funeral ceremonies preparing for rebirth to Buddha (豫修齋疏文). All these facts were the evidences of the existence and the population of Korean funeral ceremonies preparing for rebirth after 16th century. A report of public customs in 19th century shows a buddhist event practiced in the intercalary months. It may be the variant form of the early funeral ceremonies preparing for rebirth. I think that there were three special figures of the events. They were the intercalary month, the women and the money. I interpret the three figures shows that Korean funeral ceremonies preparing for rebirth let the death in the life and that the ceremonies emphasized the individuality of the persons. This study proposes the characters will be named as the expression of ‘the Field of Life’ and ‘the individualization of Religiosity’. They should be also thought the outstanding characters of Korean funeral ceremonies preparing for rebirth. 본 연구는 한국불교에서 생전예수재가 성립한 경위와 발현 시점에 대해 살피고, 17세기 이래 대중화와 민간화의 과정을 거치며 19세기에 들어 형식과 의미에서 다소 변모하게 된 모습을 확인한다. 고려 초부터 왕실 일각에서 수용된 시왕신앙은 신자 본인의 사후 왕생을 위해 믿어졌을 뿐 아니라 점차 치병의 목적도 띄게 되었다. 고려 후기에는 망자 사후 10회에 걸쳐 올리는 추천재의 사상적 기반이 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고려시대에 예수재가 설행되었다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는다. 조선 초에도 시왕도에 대한 보고나 『시왕경』 자체의 간행 사실로부터 시왕신앙이민간에서 상당히 유포되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을 예수재의 설행으로 곧바로 연결시키기에는 여전히 미흡함이 있다. 16세기 초 중종 시기에는 이미지전 소번을 특징으로 하는 명백한 예수재의 원형이 나타나 있었으며, 이것이 왕실의 내명부 등 주로 상류층 여인들이 주도하는 신앙의례였던 것으로 보인다. 17세기에 전국적으로 예수재 의례집이 발간되고 19세기 초까지 승려들의 수륙의문도 적지않게 제작되면서 예수재에 대한 대중적 요구가 커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19세기 전반에 쓰여진 『동국세시기』에는 예수재임이 분명해 보이는 윤달의 불교행사가 보고되고 있는데, 그 특징은 ‘윤달’과 ‘여성’과 ‘돈’으로 집약된다. 그리고 이세 가지 키워드는 예수재가 삶 속에 죽음을 끌어들이며 본유의례로서의 성격을 갖고 신자에게 개별자로서의 자각을 가능하게 한다는 의미로 읽혀진다. 본고에서는이 두 가지 의미를 각각 ‘삶의 현장성’과 ‘종교성의 개인화’로 표현하였다. 오늘날 복원되어 설행되는 예수재들은 『동국세시기』에서 보이는 것과 같은 완전히 풍속화된 모습이 아니라 『시왕경』과 『찬요』에서 설명되고 제시된 의미와 절차에충실하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에게 19세기에 대중적으로 변화된예수재의 의미가 여전히 각인되어 있다. 수생전과 함합소의 의미를 두고 목숨값과면죄부라는 해석이 공존하는 것은 그 단적인 예라 하겠다. 예수재가 많은 연구를 통하여 본래의 의미와 절차에 충실하게 설행되는 것은 중요하고 의미 있는 일이지만, 한국의 종교문화 속에서 획득되며 다져진 또 다른 해석과 의미 역시 존중되어야 할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조선 세종 대 僧役給牒의 시작과 그 의미

        민순의 한국불교학회 2016 韓國佛敎學 Vol.78 No.-

        세종 연간의 공식적인 불교정책 기조는 度牒을 취득한 公度僧을 중심으로국가가 직접 공인교단을 관리 통제하는 것을 근간으로 한다. 그러나 동왕 11 년 교단 측의 요구로 흥천사 수리공사에 처음 僧役給牒을 시행한 이후, 국가권력은 그 효율성과 편의에 취하여 스스로 제도적 원칙을 무너뜨리고 승역급첩이라는 변용적 도첩발급을 태평관 및 기타 영선공사에 재차 이용하기 시작한다. 게다가 ‘30일 僧役에 도첩발급’과 같은 또 다른 법식이 가해지며 차츰상규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다만 이는 경향성에 그칠 뿐 항구적으로 고정되지는 않았다. 이로 인해 도첩은 공인승단 외곽으로 유출 가능성이 높아졌고, 동시에 교단권력의 세력 축 일부가 공인교단의 범위를 벗어나 외곽 즉 민간의중소사찰 쪽으로 흘러들어가는 형세가 형성되었다. 이는 세종11년 당시만 해도 도첩의 발급을 선제적으로 국가권력에 요청할 정도로 단단한 입지를 지녔던 공인교단의 지위가 차츰 불안정해짐을 의미하며, 이 과정을 통해 세종6년의 교단정비 때 공인되지 못하고 사멸의 위기에 봉착했던 민간의 중소사찰이존속의 기회를 얻어, 역설적으로 민간의 무도첩승 증가에 결정적인 계기를 제공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The national policy regarding Buddhism in the reign of King Se-jong (the 4th king of Joseon) was to have direct control over the official Buddhist Order by managing monks which were officially approved to receive a Buddhist monk certificate(度牒) by the government authorities(公度僧). However, in the 11th year of the reign of King Se-jong (1429), the government for the first time issued these certificates to monks working to repair Heungcheonsa Temple, and then later to monks working to repair other government offices. The government did this for efficiency and economic advantage. Furthermore, the government made it a rule that labor of this sort for a period of at least 30 days was needed to receive this certificate. It was not a permanent policy. Ultimately, these monk certificates flowed out of the official Buddhist Order which was made of monks officially approved by national power. At the same time, the monks in small, unofficial temples in the countryside gained the certificates and, ironically, unofficial monks not approved by national power(私度僧) would have increased.

      • KCI등재

        불교의 자비행에 내포된 행복 메커니즘 -진화심리학과 공리주의적 윤리학의 관점을 중심으로-

        민순의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화예술연구소 2018 불교문예연구 Vol.0 No.11

        타인을 위하여 무엇인가를 베푸는 행위가 인간을 기쁘고 행복하게 만든다 는 것은 누구나 겪어 알고 있는 사실로서, 인간심리의 자연스러운 발현으로 생각된다. ‘상구보리 하화중생’의 모토를 내세우며 지혜와 자비를 궁극적 이상의 양 날개로 삼는 불교에서는 자비의 이타행이 더욱 도드라진다. 그렇다면 이것은 오직 불교에서만 그러한 것인가, 아니면 모든 종교문화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모습인가. 만일 모든 종교문화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라면, 거기에 불교의 고유한 가치와 특성은 또 어떻게 드러나게 되는 것일까. 본 연구는 이타행과 행복 사이에서 매우 자연스러워 보이는 연결의 메커니즘을 그저 자명한 것으로 선언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학술적인 개념과 논리로써 설득력 있게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자비의 불교적 이상을 설명할 때에도 불교의 내적 논리를 되풀이하는 환원론에 빠지지 않고, 진화심리학과 공리주의적 윤리학의 가설들을 빌어 와 가급적 불교 외적 관점에서 그 발현 기제를 조망해 보고자 한다. 본문의 논의를 통해 이고득락, 사성제, 사무량심, 바라밀(보시바라밀)과 서원, 공덕회향 등의 불교 교리들이 행복의 정의와 조건, 자비의 이타적 속성과 효과, 자비윤리의 공리주의적 성격을 설명하기 위하여 재조명될 것이다. 또한 그럼으로써 이타적 심성과 행위에 내포된 행복의 메커니즘이 진화과정을 통하여 인간에게 보편적으로 생득된 것임을 알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러나 이 보편적인 인간의 속성을 설명함에 있어서도 불교는 무아 무상 공성이라는 고유한 논리체계를 작동함으로써 그 독창적인 종교적 가치를 견지한다. All the people know that the altruistic action makes them happy. It seems that the relation of altruism and happiness is of human nature. Buddhism, which pursues the Supreme Enlightenment(Bodhi) for both oneself and others simultaneously, emphasizes the mercy(kindness and compassion) for others. Is the mercy for others only of Buddhism or of all the religious cultures? If it shows up in all the religious cultures, what are the features peculiar to Buddhism? This paper takes aim at explaining the relationship of the Buddhist mercy and happiness by utilizing the view of evolutional psychology and utilitarian ethics, not just declaring it as natural. The Buddhist concepts like suffering(dukha) to happiness(sukha), the Four Noble Truths(ārya-satya), the Four Immeasurable Minds(brahma-vihārās), six means of transcendence(pāramitā, especially dāna pāramitā), the Buddhist vow(pranidhāna), the Buddhist merit(punya) and the Buddhist dedication of merit should be relighted up in the process of explaining the definition and the condition of happiness, the altruistic feature and effect of the Buddhist mercy, the utilitarian character of the Buddhist mercy ethics, and so on. In the end, we will find the mechanism of happiness connoted in the mind and practice of the Buddhist mercy. The mechanism has become generally inborn to human through the long process of evolution. But Buddhism keeps up its peculiar logic around self-effacement, uncertainty and emptiness(sunyata) even when it explains the nature inborn to human. It shows the original religious value of Buddhism.

      • KCI등재후보

        조선전기 수륙재의 내용과 성격―천도의례(薦度儀禮)의 성격 및 무차대회(無遮大會)와의 개념적 차별성을 중심으로―

        민순의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화예술연구소 2017 불교문예연구 Vol.0 No.9

        본고는 인도의 시아귀회(施餓鬼會)를 수용한 중국의 수륙재(水陸齋)가 독자 적인 내용과 목적으로 변용된 양상과 함께, 그것이 고려에 전래되어 조선전기 수륙재 설행의 유행에 문화적 기반이 된 추이를 개괄한다. 또한 조선전기에 이 르러 전사회적으로 크게 유행하게 된 수륙재의 설행양상을 그 대상과 목적을 중심으로 살피어, 조선전기에 국가주도적으로 거행된 수륙재가 조상 등 특정 영 가의 천도를 중심으로 하는 불교식 상제례(喪祭禮)로 수렴되어 간 면모를 밝힌 다. 마지막으로 무차대회(無遮大會)의 개념적 차별성을 주목하여 조선전기에 일 반적으로 인식되었던 수륙재와의 차이를 확인하고, 그것이 조선 중기 이후 ‘여 제(厲祭)’라는 유교식 국가제사로 대치되거나 민간불교를 중심으로 하는 독자적 방향으로 변모해 간 흔적을 조망한다. 조선전기 수륙재는 특정 또는 불특정 망자에 대한 불교적 구제를 목적으로 설행되었다. 그 각각을 대표하는 것이 왕실의 조상(祖上)을 대상으로 하는 불교 식 상제례로서의 수륙재와 고려 왕씨를 위한 추천(追薦) 수륙재이다. 그 중에서 도 전자가 더 중요한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불교식 상제례의 경우 국가의 강력 한 개입 하에 칠칠재, 백일재, 소상재, 대상재, 그리고 대상 이후의 기신재가 모 두 수륙재로 합설되었으며, 이는 수륙재가 불교식 상제례의 의례적 형식을 이루 었음을 의미한다. 한편 특정 망자를 대상으로 하는 불교식 상제례로서의 수륙재 이든 불특정 망자를 대상으로 하는 추천 수륙재이든, 그 모두가 국가의 강력한 주도 하에 제도화되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교단에 대한 국가권력의 강력한 개입은 전통시대 동아시아 3국의 공통적인 특징이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한국 불교에 강하게 보이는 특징이라는 평가가 최근 학계에서 힘을 얻는 추세이다. 조선전기 수륙재의 제도화와 정비 과정에서 보이는 국가권력의 막강한 관여 역 시 그 같은 평가에 중요한 사례가 될 것이다. 무차대회란 수륙재의 내용을 이루는 한 축으로 이해되고 있지만, 개념적으로 무차대회와 수륙재는 분리될 필요가 있다. 조선전기의 수륙재가 특정 망자 특히 조상의 천도를 주된 목적으로 하여 변용될 때, 무주고혼을 포함하여 저승과 이 승의 모든 존재들을 평등하게 풀어먹이는 데 목적을 둔 무차대회는 그와 차별 적인 모습을 띠며 독자적으로 전개되었다. 하지만 조선전기의 수륙재가 어느 순 간 주자가례(朱子家禮)와 여제(厲祭)라는 막강한 유교적 의례질서로 빠른 속도 로 대체되고 국가주도적 수륙재 설행의 전통이 단절된 이후, 무차대회는 다시 불교식 상제례의 양상과 함께 수륙재의 성격 일부로 흡수되어 민간의 불교신행 을 중심으로 하여 전사회적으로 유행하게 되었다. This paper summarizes the situation that China had developed suryukjae(水陸齋) in its own contents and purpose from Indian shiagui-hoe(施餓鬼會), the ritual to feed pretas(餓鬼), and the process that suryukjae was transferred to Goryeo(高麗). This paper also finds out the fact that suryukjae was popular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朝 鮮) and controlled by national power for the purpose of making the royal ancestors go to Buddhist paradise(極樂). In other words, suryukjae was performed as a kind of Buddhist funeral or Buddhist memorial ceremony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 Finally, this paper confirms that mucha-daehoe(無遮大會) needs to be distinguished from suryukjae. Suryukjae was carried out to save the souls of the dead, whether they were specified or not. Joseon dynasty performed suryukjae for their ancestors as a kind of standard Buddhist funeral or memorial ceremony on one hand, and on the other hand for the Wangs, the royal family of Goryeo, massacred by Yi Seong-gye, the founder of Joseon. The former seemed to be more important. The point is that the Buddhist funeral or memorial ceremony were performed in the form of suryukjae and that the form was systemizes by the powerful leading of the national state. The strong intervention of the national state in the process of systemizing the form of suryukjae showed the relationship of the State and the Buddhist Order in Joseon period. In the period, the Buddhist Order, namely Buddhism as a religion, was overwhelmed by the State power. Mucha-daehoe was a kind of Buddhist festival to feed all the creatures of the world regardless of the living and the dead. So many people have thought suryukjae and mucha-daehoe were the same ritual, namely the two words were the synonyms of one case. But mucha-daehoe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suryukjae. The two were different, I think, at least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 Mucha-daehoe has been replaced by yeoje(厲祭), the Confucian ritual to comfort the ghosts without descendants, officially by the leading of the national state also. So suryukjae as a kind of Buddhist funeral or memorial ceremony and mucha-daehoe as a kind of Buddhist festival were integrated in the folk Buddhism. Now, the grand ritual confusing suryukjae and mucha-daehoe, namely the complex ritual confusing the funeral or memorial ceremony and the festival, has prospered in the folk Buddhism after the middle era of Joseon.

      • KCI등재후보

        불교에서의 의례의 위치와 역할-본유(本有) 중심 일생의례의 대안과 확산을 위한 제언-

        민순의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8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4 No.3

        The ritual is a formalized and repeated mode of action in which the human minds and the abstract values are expressed. In some cases it has been designed intentionally in order to express human minds and values. In other cases it was a natural and traditional human action, which has been explicated to have so alternative meanings as to express a new minds and values. The more some minds and values are realized in the personal action, and the more personal actions are explicated according to some minds and values, the minds and values have a critical effect on the personal actor, or the action-doer. And the more such individual action-doers appear, the larger the effect of the minds and values on the folklore and culture is. Therefore, in the end, when the minds and values expressed in the ritual actions are handed down naturally of no wonder in the oblivion of the origin, futhermore when the other traditional actions is explicated in the context of the minds and values, the minds and values are deeply permeated in the folks to be a firm cultural basis. This is also the logic that explains that the religious effect on folklore and culture can be larger through the religious ritual. I focus especially on the lifetime ritual because it is the most suitable means by which religions can become the deep-rooted tradition permeated in folks and culture. The lifetime ritual can make a specific religion and folklore recreated into a new tradition through mutual oblivion and through the confusion caused from the very oblivion. Buddhist teaching has had little doctrine about the lifetime ritual practised in the personal live state, which is called Bon-yu[본유, 本有] in Buddhism. Buddhism of these days needs to build newly up the lifetime rituals, though. I have several alternative proposals to build it up. For example, I think contemporary Korean Buddhism needs especially to cultivate the rituals of the anniversaries for juveniles, the ceremonies for the couples and the pray rites for long life for seniors. The successful cultivation will be able to realize the Buddhist teaching, Buddhist minds and Buddhist values on this modern times. 의례는 인간의 정신과 추상적 가치가 표현된 일정한 행위 양식이다. 그것은 정신과 가치를 표현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고안되기도 하지만, 때로는 인간의 본유적 특성 또는 문화적 전승 속에서 이미 양태가 갖추어져 존재하던 활동(들)에 새로운 의미와 해석이 가해지면서 일련의 정신과 가치를 표현하는 것으로 정리되기도 한다. 어떤 정신과 가치를 내포한 행위가 더 많이 개인의 삶 속에서 구현될수록, 그리고 개인의 삶을 채우는 활동들이 더 많이 어떤 정신과 가치에 따라 해석될수록, 그 정신과 가치는 행위주체에게 더 큰영향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개인들이 점점 더 많은 비중을 점유함에 따라 그 정신과 가치의 사회문화적 영향력 또한 증대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마침내 일련의 의례행위와 그로써 표현된 정신과 가치들이 그 유래와 기원조차 망각된 채 개인들의 삶 속에서 부지불식간에 당연한 것으로 수행되고 환기되어 세대를 따라 전승될 때, 나아가 그 망각과 함께 그와 무관했던 기존의 행동들까지 그 일련의 정신과 가치로 해석될 때, 이 정신과 가치는 비로소 해당 사회 속에 깊이 침윤되어 확고한 문화적 근간으로 재창조되었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의례의 장악을 통한 종교의 사회문화적 영향력 확산은 바로 이러한 논리로 설명될 수 있다. 본고는 종교가 인간의 사회문화에 침윤되어 전통으로 깊이 정착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의례 수단으로서 일생의례를 주목하였다. 일생의례야말로 특정종교와 민속문화가 상호 망각에 의한 습합으로써 새로운 전통으로 재창조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지닌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 과정에서 불교가 교리와 역사적 전개의 특수성으로 인해 생존기간[본유(本有)] 위주의 일생의례에서 약점을 보여왔음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유 단계 일생의례의 중요성과 그 정립 확산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이를 위한 몇 가지 대안을 제시하였다. 현대 한국의 사회문화에서 불교는 본유 단계의 일생의례로 성장의례와 혼인의례 그리고 축수의례를 주목하여, 사회적 요구와 시대적 가치에 부응하며 불교적 정신을 구현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