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의 심리적 변인, 긍정적 양육,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민미희(Min, Mihee) 한국육아지원학회 2018 육아지원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어머니의 심리적 변인, 긍정적 양육,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적응간의 구조적 관련성을 검증하고, 이러한 경로에 성차가 나타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패널 8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초등학교 1학년 아동 1,009명(남아 513명, 여아 496명)과 어머니, 담임교사이며, AMO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의 심리적 변인이 긍정적 양육에 영향을 미치고, 긍정적 양육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며,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심리적 변인이 긍정적 양육과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 아동의 학교적응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심리적 변인, 긍정적 양육,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아동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학령기 초기 아동의 학교적응을 위한 개입에 있어 어머니의 심리적 변인과 긍정적 양육방식, 그리고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중요하며 이때 성별을 고려한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maternal psychological facto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children’s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and to examine gender differences on the path. The participants were 1,009 (513 boys, 496 girls) elementary school first graders and their mothers an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8th year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by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For data analysis, we creat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examined the goodness of fit of the model using the RMSEA, SRMR, TLI, and CFI, and conducted multigroup analysis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aternal psychological factor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and maternal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hildren’s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In addition, children’s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school adjustment. Second, the influence of maternal psychological factors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was mediated by maternal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ren’s self-esteem. Finally, according to multigroup analysis,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These results imply the importance of maternal psychological facto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ren’s self-esteem to improve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and the necessity of the different intervention strategies for children’s school adjustment based on their gender.

      • KCI등재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 및 통제적 양육과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민미희 ( Min Mihee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7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4 No.4

        본 연구는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 및 통제적 양육이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을 비롯하여, 유아의 자아존중감을 통한 간접적 영향을 살펴보고, 남녀 집단 간 차이를 조사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만 6세 유아와 어머니, 육아지원기관의 담임교사 1,042명(남아 532명, 여아 51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 -검정,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 및 통제적 양육은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은 유아의 자아존중감을 거쳐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제적 양육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 및 통제적 양육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을 거쳐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남아의 경우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이 남아의 자아존중감을 통해 학습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경로가 유의했는데 반해, 여아의 경우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이 여아의 자아존중감을 통해 학습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경로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유아 성별에 따라 어머니 양육행동이 달라질 필요가 있다는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학습준비도 향상을 위한 부모교육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는 데에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other’s warmth parenting, control parenting, and self-esteem of preschoolers on the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ers, while accounting for gender differences. The participants were 1,042 6-year-old preschoolers (532 boys, 510 girls) and their mothers and teachers taken from the 7th year of the Korea Children's Panel. For this purpose,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created and examined the goodness of fit of the model using the RMSEA, SRMR, TLI, and CFI.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mother’s warmth parenting and control parenting had a direct effect on the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ers. Secondly, mother’s warmth parenting and control parenting had a indirect effect on the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ers through self-esteem of preschoolers. Third, According to multigroup analysis,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variables. This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mothers parenting behavior and self-esteem of preschoolers to improve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ers. Futhermore, it suggested that different intervention strategies for mother’s parenting behavior were needed depending on gender.

      • KCI등재

        어머니의 권위적 양육행동, 아동의 자아존중감,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 및 아동의 미디어기기 중독 간의 구조적 관계

        민미희 ( Min Mihee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0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어머니의 권위적 양육행동, 아동의 자아존중감,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 및 미디어기기 중독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패널 10차년도(2017년) 조사에 참여한 초등학교 3학년 아동 1,367명과 어머니이며, AMO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의 권위적 양육행동은 아동의 미디어기기 중독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권위적 양육행동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자아존중감이 미디어기기 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으로써, 어머니의 권위적 양육행동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통해 미디어기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경로는 발견되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의 권위적 양육행동은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집행기능 곤란이 미디어기기 중독에 정적영향을 미침으로써 어머니의 권위적 양육행동은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을 통해 미디어기기 중독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권위적 양육행동이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집행기능 곤란을 통해 미디어기기 중독에 순차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동의 미디어기기 중독 예방을 위한 부모교육 및 개입방안 마련에 있어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집행기능 곤란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authoritative parenting behaviors, child’s self-esteem,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and media device addiction. Data were obtained from the 10th(2017)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was employed(N=1,367).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edel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authoritative parenting behaviors significantly affected the child’s media device addiction. Second, child’s self-esteem didn’t mediate the effect of mother’s authoritative parenting behaviors on media device addiction. Third, child’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mediated the effect of mother’s authoritative parenting behaviors on media device addiction. Fourth, mother’s authoritative parenting behaviors influenced media device addiction through child’s self-esteem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mother’s authoritative parenting behaviors, child’s self-esteem,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was important as a personal factor for child who control the negative effects of media devices.

      • KCI등재

        서울시 아동가구 남성가구주의 일-가정 양립인식과 자기효능감, 우울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성미영(Sung Miyoung),서주현(Suh Joohyun),민미희(Min Mihee)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서울시의 아동을 가구원으로 포함한 아동가구의 남성가구주를 대상으로 하여 자녀 및 가족 관계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그들의 삶의 만족도 및 일-가정 양립 인식 수준을 알아보고, 일-가정 양립 인식, 자기효능감, 우울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삶의 만족도를 제고하고 바람직한 아버지와 자녀의 관계 정립을 돕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복지실태조사 2013 자료를 이용하여 이 중 아동가구의 남성가구주 85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SPSS ver. 1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 아동가구 남성가구주의 우 울감과 삶의 만족도는 권역별로 차이가 있어서 권역별로 차별화된 정책이 필요함을 나타내었다. 둘째, 서울시 아동가구 남성가구주의 일-가정 양립인식, 자기효능감, 우울감, 삶의 만족도 모두 연령대별로 유 의한 차이가 있다. 셋째, 서울시 아동가구 남성가구주의 일-가정 양립 인식 및 자기효능감은 삶의 만족 도와 정적 관계를 보였고, 우울감은 삶의 만족도와 부적 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우울감을 낮출 수 있는 세부방안의 수립 및 실행이 필요하다. 넷째, 서울 시 아동가구 남성가구주의 일-가정 양립 인식, 자기효능감, 우울감 중 삶의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 치는 변인은 자기효능감이고, 다음으로 우울감, 일-가정 양립 인식의 순으로 나타났다. 일-가정 양립 인 식의 영향력은 세 변인 중 가작 작았으나 일-가정 양립 인식의 제고를 통한 가족 내의 자녀 및 부부간 바람직한 관계의 정립과 역할갈등의 감소, 그리고 역할만족도의 향상을 통한 자기효능감의 향상이라는 간접적 영향을 통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임을 증명하였다. To promote better family relationships, this study was focused attention to father’s life satisfaction and work-family reconciliation awareness. We investigated the current levels of life satisfaction and work-family reconciliation awareness and examined the causal effects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awareness, self- efficacy, depression on the life satisfaction of male householder of children family. The subjects were 851 male householder of children family in Seou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awareness, life satisfaction, and self- efficacy of male householder of children family in Seoul are fairly high and the level of depression is fairly low. But, the results are different by district suggesting need for differentiated policy. Second, the levels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awareness, self- 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of male householder of children family in are different by age group. Second, work-family reconciliation awareness and self-efficacy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has a negative effects on it. Third, the most effective factor explaining the life satisfaction of male householder of children family is self-efficacy and depression and work-family reconciliation awareness were also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Suggestions for the policy to promote life satisfaction and better family relationships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보육교사 양성학과 평가.인증 방안 및 실무추진체계 연구

        권기남(Kinam Kwon),김유미(Yumi Kim),조용남(Yong Nam Cho),민미희(Mihee Min) 한국보육지원학회 2021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7 No.5

        Objective: In this study, a department accreditation system was introduced as a specific way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childcare teachers, and evaluation indicators for department accreditation and the implementation system were derived to find a practical direc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related laws and websites were reviewed. In addition, in order to investigate opinions on the composition and implementation system of qualification indicators, a meeting was conducted with professors of the department of childcare teacher education and other qualification experts. Results: In order to introduce a department accreditation system for childcare teacher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pecify the relevant laws, and that the operation of an organization affiliated with a public institution is appropriate for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In addition, an evaluation index plan composed of three indicators of educational conditions, curriculum, and performance areas was derived. Conclusion/Implications: In this study, a practical preparation plan, such as evaluation indicators and an implementation system, was presented for the introduction of a department accreditation childcare teacher education system.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successful establishment of the accreditation system of childcare teacher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