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계학습 클러스터링을 이용한 승하차 패턴에 따른 서울시 지하철역 분류

        민미경,Min, Meekyung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8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8 No.4

        In this study, we classify Seoul metro stations according to boarding and alighting patterns using machine earning technique. The target data is the number of boarding and alighting passengers per hour every day at 233 subway stations from 2008 to 2017 provided by the public data portal. Gaussian mixture model (GMM) and K-means clustering are used as machine learning techniques in order to classify subway stations. The distribution of the boarding time and the alighting time of the passengers can be modeled by the Gaussian mixture model. K-means clustering algorithm is used for unsupervised learning based on the data obtained by GMM modeling. As a result of the research, Seoul metro stations a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boarding and alighting patter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basic knowledge fo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Seoul subway stations and analyzing it economically, socially and culturally. The method of this research can be applied to public data and big data in areas requiring clustering. 본 연구에서는 기계학습을 이용하여 서울시 지하철역의 승하차 패턴에 따라 지하철역을 분류한다. 대상 데이터는 공공데이터 포탈에서 제공하는 2008년부터 2017년까지 서울 지하철 233개 역에서의 매일 매시간별 승차객 숫자와 하차객 숫자이다. 기계학습 기법으로는 가우시안 혼합 모델(GMM)과 K-평균 클러스터링을 사용한다. 이용객의 승차시간과 하차시간의 분포는 가우시안 혼합 모델로 모델링할 수 있으며, 이를 K-평균 클러스터링을 이용하여 비지도 학습시킨다. 학습결과 서울시 지하철역은 승하차 패턴에 따라 4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서울시 지하철역의 특성을 파악하여 경제, 사회, 문화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주요 기반 지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방법은 클러스터링이 필요한 모든 공공데이터나 빅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다.

      • KCI등재

        초등융합영재 선발요소의 상관관계 및 그룹 차이 분석

        민미경,김갑수,Min, Meekyung,Kim, Kapsu 한국정보교육학회 2018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2 No.4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alents should not be subordinated to a particular discipline, but must be able to converge a variety of disciplines. It is important to have a fused thinking becau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likely to make various changes. Therefore, when selecting elementary gifted students, they are selecting students for fusion gifted student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document evaluation, and interview factors on student selection when selecting students for gifted students. The results show that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has the most influence on selection. In the case of the fifth graders,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he document evaluation influence the selection. In fourth graders,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interview affect the selection.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s, it was found that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document evaluation influenced selection. In addition, there was a gender difference in the evaluation of documents in the gender difference analysi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groups in the grade-by-grade difference analysis. 4차 산업혁명시대에 필요한 인재는 특정 학문에 종속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학문들을 융합할 수 있어야 한다. 초등학생들의 경우에 다양한 변화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융합적인 사고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초등학교 영재를 선발할 때에도 융합 영재 학생들을 선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융합 영재 학생들을 선발할 때에 창의적인 문제 해결력, 서류 평가, 면접 요소들이 학생 선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연구 결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이 선발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높다. 5학년의 경우에는 창의적인 문제 해결력과 서류 평가가 선발에 영향을 미치고, 4학년의 경우에는 창의적인 문제 해결력과 면접이 선발에 영향을 미치고. 여학생들은 창의적인 문제해결력과 서류 평가가 선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룹별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서는 서류 평가에서 성별로 차이가 있었고, 학년별 유의미한 차이점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에너지 교육을 위한 파이썬을 이용한 전기요금 계산 프로그램 연구

        민미경(Min, Meekyung),김갑수(Kim, Kapsu)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18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8 No.1

        2015년 개정교육과정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이 도입되었다. 또한, 교육의 방법이 교과 내용 위주에서 주제 중심으로 변경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전기요금을 계산하는 주제를 소프트웨어 교육에 접목시킨다면 학생들이 생활 속에서 에너지 절약에 관심을 가질 수 있을 것이고, 동시에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요금을 계산하는 주제로 소프트웨어 성취기준 5개를 만족하는 17차시 수업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파이썬 언어로 구현하였다. 제안된 프로그램을 적용하면 초등학교 현장에서 소프트웨어 교육과 에너지 절약 교육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The software education is being carried out in the revised education course in 2015. In addition, the method of education has been changed from content-based to theme-based. Under this circumstances, combining the topic of calculating electricity rates with software education will enable students to save energy in their daily lives an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oftware. In this study, we compose a 17 hour course with the subject of electricity bill calculation, which satisfies the 5 criteria of software achievement. This study is based on the Python language. The effect of this program is that software education and energy conservation education can be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in elementary schools.

      • KCI등재

        정보영재의 특성이 영재학생 선발에 미치는 영향 분석

        김갑수,민미경,Kim, Kapsu,Min, Meekyung 한국정보교육학회 2018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2 No.3

        4차 산업혁명시대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영재를 선발하여 체계적으로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정 분야에 뛰어난 영재도 중요하지만 이보다는 수학, 과학, 정보 분야의 융합 인재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영재교육원의 영재 교육 대상자들을 선발할 때에 정보영재의 특성이 반영된 평가 요소가 과학영재 선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본다. 정보영재의 특성에서 인지적인 요소들인 규칙화 능력, 추론화 능력, 효율화 능력, 일반화 능력, 구조화 능력, 추상화 능력이 과학영재를 선발하는데 있어 상관 관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과학영재교육원 지원자들 그룹에서의 상관 관계가 1차 합격자 그룹보다 더 높고, 최종 합격자들 그룹보다 더욱 높다. 이것은 정보영재의 특성을 나타나는 문항들이 과학영재 선발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order to cultivate the human resources needed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it is necessary to select the gifted students and educate them systematically. Although excellent gifted students are important in a specific field, more convergent talents in the fields of mathematics, science, and information are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evaluation factor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gifted students affect the selection of science gifted students of a university gifted education center. In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gifted students, the cognitive factors such as Rule creation ability, Reasoning ability, Efficiency ability, Generalization ability, Structuring ability and Abstraction ability were highly correlated in selecting the science gifted students. Correlations in the applicants group of students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are higher than those in the first passers group and higher than those in the final successful candidates group. This means that the factors tha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ormation gifted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selection of the science gifted.

      • KCI등재

        Covid 19 환경에서 초등 영재 학생들의 온라인 교육 효과 분석

        김갑수 ( Kim¸ Kapsu ),민미경 ( Min¸ Meekyung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4

        과학영재 교육을 100% 비대면으로 진행할 수밖에 없는 Covid 19 환경에서 영재 학생들의 교육 성과를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과학영재 학생들을 선발할 때의 입학성적과 온라인 교육 후에 온라인 교육 참여도 및 성취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온라인 교육과정을 이수한 학생 118명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온라인 교육의 성취도와 온라인 교육의 참여도와의 상관관계는 0.478로 유의수준 5%에서 매우 의미 있다. 수학, 과학, 정보 분야별로도 유의수준 5%로 의미 있게 나타나고, 5학년 및 6학년에서도 유의수준 5%로 의미 있게 나타난다. 다만 4학년의 경우에는 인원수가 11명이라서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 두 번째, 온라인 교육의 성취도와 입학할 때의 창의성 점수와의 상관관계는 0.271로 유의수준 5%로 의미 있다. 즉, 온라인 교육의 성취도는 입학할 때의 창의성에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세부 그룹으로 6학년의 경우에 성취도와 창의성의 상관관계가 0.399로 유의수준 5%로 의미 있고, 수학 분야에서 창의성과 성취도 간의 상관관계가 0.308로 유의수준 5%로는 약간 의미가 있다. 세 번째는 과학영재교육원 학생의 온라인 교육 결과 4학년, 5학년, 6학년의 학년별로 성취도와 온라인 수업 참여도에는 서로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저학년의 경우에도 온라인 교육에서 고학년과의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네 번째는 수학, 과학, 정보 분야별로 온라인 수업의 성취도와 참여도에 대한 ANOVA 분석을 통하여 분야별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으로 Covid 19 상황에서 온라인 교육으로 과학영재 교육을 수행한 결과, 참여도가 매우 중요하고, 또한 학년별 또는 분야별로는 성취도와 참여도의 차이가 없었다.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educational performance of gifted students in the Covid environment.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entrance exams and online education participation and achievement after online education when selecting students for elementary science gifted. The research targets 118 students who completed 100% online cours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chievement of online education and the participation of online education is very meaningful at a significant level of 5 percent at 0.478. It also appears to be meaningful in mathematics, Science, and Computer Science subjects with a significant level of 5% in the fifth and sixth grades. However, in the case of fourth graders, the number of students was 11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results.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chievement of online education and the scores of creativity at admission is 0.271 and meaningful at a significant level of 5%. In other words, the achievement of online education is influenced by the creativity of admission. As a detailed group, for sixth graders, the correlation between achievement and creativity is significant at .399 with a significant level of 5%, and the correlation between creativity and achievement in mathematics is slightly meaningful at a significant level of 5%, with a significant level of 0.308. Third, it can be seen that the results of online education of students at the Academy of Science and Gifted are not different in achievement and participation in online classes, even by grades 4, 5 and 6. Even in lower grades, online education does not show any difference between higher grades. Fourth, we can see that there is no difference through ANOVA analysis of the achievement and participation of online classes by mathematics, science, and Computer science subjects. In conclusion, as a result of conducting science gifted education through online education in the situation of Covid 19, I found that participation was very important, and I also could not feel the difference between achievement and participation by grades or subjec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