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환경에 따른양육스트레스의 차이와 요인에 관한 연구

        문혁준(Moon Hyukjun),최윤희(Choi Yu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9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사회인구학적 환경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고 양육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주요인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에 거주하며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 711명을 연구 대상으로 한국아동패널의 양육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여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어머니들의 연령과 취업 여부에 따라서는 양육스트레스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가정의 경제 상황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수준에는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자신의 가정 경제 상황을 ‘중’이거나 ‘하’로 인식한 어머니들은 ‘상’으로 인식한 어머니들에 비해 더 많은 양육스트레스를 받고 있었으며 가정의 경제 상황의 인식 수준에 따라 다른 요인에 대해 양육스트레스를 받고 있었다. 본 연구는 양육스트레스의 유무뿐만 아니라 문항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유아의 발달과 어머니의 심리적, 신체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양육스트레스의 조기 차단과 관리에 대상의 상황에 맞는 정책의 개발과 향후 연구에 대하여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parenting stress according to the social demographic environment of mothers who raise their children in early childhood and to investigate the main causes of parenting stress. For this study, 711 mothers who live in the near by Seoul and raise their children in early childhood were surves. And parenting stress was measured using the parenting stress scale of the Korean Children s Panel. Data was analyzed with statistics using the SPSS Win 24.0 ver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as a difference in parenting stress according to economic level in the family. Mothers with low economic level of family felt a lot of burden of child support and mothers with high economic level of family felt a lot of physical fatigue. The economic situation of the family was different kinds of parenting stres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of parenting stress according to the mother s age and employment status. This study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not only the presence of parenting stress but also the questions and suggested specific directions for early blocking and management of parenting stress affecting not only the development of infants but also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health of mothers.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훈육방식에 관한 연구

        문혁준(Moon Hyukjun),최윤희(Choi Yu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1

        목적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훈육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알아보고 원가족에서의 훈육방식이 어떤 방식으로 전이되어 어머니의 훈육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 22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지속적 비교방법을 사용하여 의미함축과 범주화의 과정을 진행하였다. 결과 그 결과, 어머니들의 상태, 자녀의 기질, 배우자, 경제적 상황이 어머니들의 자녀 훈육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들은 원가족에서의 훈육경험을 재구성하여 좋았던 경험은 그대로 사용하고 부정적인 경험은 자녀들에게 사용하지 않으려는 노력을 하였다. 그러나 어머니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원가족에서의 경험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음이 확인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들에게 실제적인 지원이 무엇인가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며 원가족에서의 훈육이 긍정적인 방식으로 전이되도록 하기 위하여 전이과정에서의 어머니 정서 돌아보기와 훈육방식의 교육 필요성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discipline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and to find out how the discipline method in the original family is transferred to affect the discipline of mothers and what efforts are made to discipline their children properly.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 mothers who raised children aged 3 to 5 years. Data were collected in 2019 and 2020 using focus group interview. The colledted data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through the process of demantic analysis and categorization. Results The mother’s condition, child’s temperament, spouse, and economic situauion were the variables that affected the mothers’ discipline style. The mothers tried to use the good experience and not to use the negative experience for their children by reconstructing the discipline experience in the original family. However, despite the efforts of mothers, it was confirmed that they could not be completely free from their experiences in the family of origin.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practical ways to help the mothers appropriate discipline method for their young children.

      • KCI등재
      • KCI등재

        기혼영아보육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 일과 가정의 양립갈등, 소진, 자아탄력성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이지영(Lee, Ji-Young),문혁준(Moon, Hyukju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5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92

        본 연구는 기혼영아보육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 일과 가정의 양립 갈등, 소진, 자아탄력성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기혼영아보육교사의 바람직한 역할수행을 돕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지역의 기혼영아보육교사 2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급 보육교사 자격과 총 경력, 재직경력이 많을수록 역할수행의 하위영역에서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기혼영아보육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 일과 가정의 양립갈등, 자아탄력성, 역할수행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또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소진은 자아탄력성, 역할수행과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기혼영아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영향력은 교직전문성 인식, 자아탄력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일과 가정의 양립갈등과 소진은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n the role performance of the recognition of teachers" professionalism of married infant care teachers, work-family conflicts, burnout and ego-resilience. A survey of 216 married infant care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was conduct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tially meaningful differences were shown among the sub-domains of role performance based on the types of teaching certification, total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nd years of employment in the current childcare center. Second, there was a positive or negative relationship in the recognition of married infant care teachers" professionalism, work-family conflicts, ego-resilience and role performance. However, burnout did not appear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ego-resilience and role performance. Third, recognition of married infant care teachers" professionalism was the best predictor of their role performance.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suggestions for married infant care teachers.

      • 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에 따른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

        윤영현(Younghyun Yoon),문혁준(Hyukjun Moon)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08 생활과학연구논집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the parenting stress of employed mothers on the daily hassles and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The subjects were 154 employed mothers and their 5-years old children enrolled in day-care centers which are located in Seoul and Incheon cities, and Gyeonggi-do province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F-test,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children in family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arenting stress of employed mothers and the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parenting stress of employed mothers and the daily hassles of children.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parenting stress of employed mothers and the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Fourth, 'facing critical or aggressive situations' out of the sub-factors of the daily hassles of children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anxiety, aggressiveness, and inattention out of the sub-factors of the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When children faces critical or aggressive situations, they feel the strongest stress.

      • KCI등재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부모훈육방법에 대한 변인 연구

        문혁준 대한가정학회 2003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41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characteristics of children, parents, family, and the extra context relate to disciplinary practices and to examine the Nmulative effects of p i t h vdliables on effectiw disciplinary practices of employed and unemployed mothers Disciplinary practices of both employed and unemployed mothers were correlated with number of child, husband support, parenting stress, social support, quality of life, and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program. Parenting stress w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disciplinary practices for both employed and unemployed mothers. Both employed and unemployed mothers exposed to several positive variables were more likely to exhibit effective disciplinary practices than mothers who were no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