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 창작동요에 나타난 동요시의 미적 특성 연구 — MBC창작동요제 대상작을 중심으로 —

        문신 현대문학이론학회 2023 現代文學理論硏究 Vol.- No.92

        This paper discusses children’s song poetry from a literary perspective in creative children’s songs. In general, children’s songs in traditional children’s songs consist of couplet and segmentation as formal features, and the content of enlightening immature children. However, since modern times, the form of children’s song poetry in creative children’s songs has been dismantled in couplet and the division. This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in which children’s songs give rhythm through composition. This means that even if rhythm-forming factors such as couplet disappear, there is no difficulty in singing by attaching songs.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content, it still does not escape the gaze of enlightenment. This means that the singing class of creative children’s songs is children, and the message that they want to convey to children through creative children’s songs remains at a pre-modern level. This is far from the goal of children’s songs, which requires children’s hearts, that is, children’s minds. Accordingly, this paper suggested that children’s songs should have a format and content that reflects the daily life and imagination of contemporary children such as rap children’s songs in creative children’s songs.

      • KCI등재

        청소년시의 가능성 연구 ‒창작 미학을 중심으로

        문신 국어문학회 2018 국어문학 Vol.69 No.-

        This article examine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youth poetry that is actively being created from 2010. This is a preliminary assessment of whether or not the youth poetry, which appears as a literary phenomenon, can form a new literary discourse. Therefore, if we can produce the aesthetic sense of youth in the aspect of creative aesthetics, it is not only a mere phenomenon but also a possibility to communicate with important literary discourse in the 21st century. The reason why youth poetry phenomenon is important is that teenagers are beginning to be recognized as the subject of literary discourse. This is a phenomenon that occurs when adolescence is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world rather than as a preliminary stage for adulthood. Behind that, there is a new attempt to escape the universal perception that adolescence is immature, and there is a premise that the adolescent world is not a sub-world of the established world but an independent world. Therefore, youth poetry can be accepted as literary discourse when it has its own aesthetic sense. Before examining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youth poetry,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goal should be to discover the physical and mental 'anxiety' in adolescence and to share it socially beyond individual dimensions. This is a poetic exposition of anxiety, an important feature of adolescence. Through this process, youth poetry will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circle of the youth and empathize with the youth world. In pursuit of these goals, youth poetry has shown that romantic longing is a central theme and that the contradictions of the youth world are being resolved in the 'other world'. The 'other world' mentioned here is a world that exists beyond the ready-made (adult) world that affects the youth world and exists in the imagination that young people are romantically admired. In order to express such a world, youth poetry adopts negative expression as a methodology. Negative in teenagers encompasses both the adolescent and adult worlds. Youth poetry admires the 'other world' through the denial of the world and creates its identity in the context of 'other world'. Of course, it is unreasonable to determine 'the phenomenon of youth poetry' as 'discourse of youth poetry'. Therefore, when the youth phenomenon of the present time is examined carefully and the essence of the youth poetry and the point where the youth poetry is aimed at can be found out from behind, the youth poetry can be a 'genre' have. 이 글은 2010년을 기점으로 활발하게 창작되고 있는 청소년시의 미적 특성을 살펴보고 있다. 이는 문학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는 청소년시가 새로운문학 담론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인지를 미리 가늠해보는 일이 된다. 따라서창작 미학적 측면에서 청소년시의 독자적 미의식을 생산할 수 있다면, 청소년시가 단순한 현상에 그치지 않고 21세기 중요한 문학담론으로 소통될 수있는 가능성을 확보하는 것이 된다. 청소년시 현상은 청소년이 문학담론의 주체로 인식되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는 청소년기를 성인기를 준비하는 예비 단계가 아니라 청소년기 자체를 하나의 독립된 세계로 인정할 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그 이면에는청소년기를 미성숙한 시기라는 보편적인 인식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새로운 시도가 있으며, 청소년세계가 기성(성인)세계의 하위 세계가 아니라 독자적인 세계라는 전제가 있다. 따라서 청소년시는 독자적인 미의식을 갖출 때 문학담론으로 수용될 수 있다. 청소년시의 미적 특성을 살피기에 앞서 이 글은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신체적정신적 ‘불안’을 발견하고, 그것을 개인적 차원을 넘어 사회적으로 공유하는 것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는 점을 제시했다. 이는 청소년기의 중요한 특징인 ‘불안’을 시적으로 폭로하는 일이다. 이 과정을 통해 청소년시는 청소년의 내밀한영역과 소통하고 청소년세계와 공감할 수 있게 된다. 청소년시는 이러한 목표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낭만적 동경을 핵심적인 주제로 삼고, 청소년세계의 모순을 ‘다른 세계’ 속에서 해소하려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여기서 말하는 ‘다른세계’는 청소년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기성(성인)세계를 넘어 선 지점으로, 청소년들이 낭만적으로 동경하는 상상 속에 존재하는 세계이다. 이러한 세계를 표현하기 위해 청소년시는 부정표현을 방법론으로 채택하고 있다. 청소년시에서 부정은 청소년세계는 물론 기성(성인)세계를 모두 아우른다. 청소년시는 세계의 부정을 통해 ‘다른 세계’를 동경하고 ‘다른 세계’라는 맥락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만든다. 물론 그것만으로는 ‘청소년시 현상’을 ‘청소년시 담론’으로 확정하기에는 무리이다. 따라서 현재 나타나고 있는 청소년시 ‘현상’을 면밀하게 검토하고, 그 이면에서 청소년시의 본질과 청소년시가 지향하는 지점을 가려낼 수 있을 때, 청소년시는 ‘현상’이 아니라 ‘장르’가 될 수 있다.

      • KCI등재

        『혼불』 서사를 활용한 시 창작 방법 연구

        문신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1 No.2

        This paper starts from the premise that beginners have difficulty in creating poetic context and writing poetic language sense in poetry writing.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how to use the language expression of the novel as a way of creating poetry. For the text of the novel, I chose "Honbul". This is because the language expression of "Honbul" has similar characteristics to the language expression of poetry. The core of the language expression of "Honbul" is metaphor and identification. A metaphor is a factor that allows us to experience a delicate language sense. Susceptibility to poetry plays an important role in poetry creations. In "Honbul", various expressions are provided to experience the poetic language sense. And the identification strategy taken by the "Honbul" characters becomes a methodology for forming a poetic context. An identification strategy that embodies the inner mind of a character in a novel through an object, a person, and a situation is like a way of revealing poetic emotion. Through this process, this thesis presented poems created based on the contents of "Honbul". This paper does not suggest a specific method of poetry creation that uses the language experience of fiction as the content of poetry. However, the method of poetry creation suggested in this paper will be a meaningful strategy for beginners to create poetry content and experience poetic language sense. 이 논문은 시 쓰기에 입문하는 사람들이 시적 정황을 생성하는 일과 시적 언어 감각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이를 위해 시를 창작하는 방법으로 소설의 언어 표현 내용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제안하고 있다. 소설 텍스트로는 『혼불』을 선택하였는데, 『혼불』의 언어 표현 방식이 시의 언어 표현 방식과 유사한 특질이 있기 때문이다. 『혼불』의 언어 표현 방식 가운데 두드러진 것은 비유와 동일시이다. 비유는 섬세한 언어 감각을 경험하게 해주는 요소이다. 시어에 대한 감수성은 시 창작 활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혼불』에는 시적 언어 감각을 경험할 수 있는 표현이 다양하게 서술되고 있다. 그리고 『혼불』의 인물들이 취하고 있는 동일시 전략은 시적 정황을 형성하는 방법론이 된다. 소설 속 인물의 내적 심정을 객관화된 사물, 인물, 상황을 통해 형상화하는 동일시 전략은 시적 정서를 드러내는 방식과 다르지 않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이 논문은 『혼불』에 나타난 언어 표현 내용을 바탕으로 창작된 시를 제시하였다. 이 논문은 소설의 언어 경험을 시의 내용으로 삼는 구체적인 시 창작 방법을 제안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이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 창작 방법은 시의 내용을 생성하고 시적 언어 감각을 경험하는데 의미 있는 전략이 될 것이다.

      • KCI등재

        한⋅중 건국신화의 신격화에 개입하는 타자성 연구

        문신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2019 韓中關係硏究 Vol.5 No.2

        이 논문은 중국과 한국의 건국신화에서 영웅을 신격화화기 위해 개입하는 타자의 특성을 살펴보고 있다. 건국신화에서는 타자와의 결합을 통해 변증법적으로 새로운 존재가 나타나는데, 이 존재는 주체가 연장된 존재이면서 신격으로 갱신된 존재이다. 건국신화에서 나-주체와 타자-주체가 결합하는 방식은 두 가지로 제시할 수 있다. 혼돈 상태에서 최초로 질서가 부여되는 건국신화의 경우 성적(性的) 결합 방식을 통해 타자와 결합한다. 두 주체의 결합을 통해 신격이 형성되는데, 이때 신격을 형성하는 핵심 기제는 타자가 가진 신성이다. 이렇게 신격을 획득한 주체는 혼돈에 질서를 부여 하고 그 질서를 유지하는 권위를 지니도록 인정된 존재가 된다. 또 하나, 기존 질서를 해체하고 새로운 질서를 구축하는 건국신화도 있다. 이때는 결합 방식 성적인 차원을 넘어 성적(聖的) 결합에 이른다. 이 경우에 타자 자체가 아니 라 타자에게 내재된 계보적/혈통적인 신성이다. 이렇게 타자와의 결합이 단순한 성적 결합을 극복하고 신성함을 내면화한 상징성을 띤 것은 기성 질서를 해체하고 새로운 질서를 구축하는 서사의 복잡성을 반영한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Otherness who intervene to deification the hero in the Korean and Chinese Founding Myths. In the founding myths, a new existence is revealed dialectically through the union with the Other, which is a renewed existence with the subject being an extended existence. There are two ways of combining the I-subject and the Other-subject in the founding myths. In the case of constitutional mythology, which is first ordered in chaos, it is combined with the Other through sexual intercourse. Through the union of two subjects, the deification is formed. At this time, the key mechanism for forming the Godhead is the deification possessed by the Other. The subject who acquires the Godhead is thus recognized as having authority to confer order to chaos and to maintain order. Another is the founding myth that dismantles the existing order and builds a new order. At this time, it goes beyond sexuality to divine union. In this case it is genealogical / pedigree divinity inherent in the other, not the other. The combination with the Other has overcome the simple sexual intercourse and symbolized the internalization of the divinity, reflecting the complexity of narratives that dismantle the existing order and establish a new order.

      • KCI등재

        이연주의 연작시 연구

        문신 국어문학회 2022 국어문학 Vol.80 No.-

        This thesis examines the symbolic meaning of the inner-sacred nature of the female body, the victim of violence, for the “Prostitute” series, “The Saint’s Rights” series, and the “Medical Room” series by Lee yeon-ju’s poetry. The series of “Prostitutes” shows how the female subject who is exploited in the patriarchal power structure is resisting masculinity. Yeonju Lee used a strategy to materialize femininity in order to make the structure of exploitation of adultery/commit adultery powerless. By materializing femininity, the pleasure sought by masculinity is changed to 'insensibility', and masculinity is naturally materialized as a result. The “Right of a Saint” series makes even materiality disappear from the world of existence. Thus, the series “Rights of the Saints” seeks to escape from the world of profanity. To this end, the materialized personality (femininity) is summoned as a 'dead-non-resistance-citizen'. Giving the summoned death an ontological phase change into light was an unavoidable measure for the new creation of existence. The ‘medical room’, where the pathological body undergoes changes, functions as a place where the ontological transfer of femininity occurs. The element that makes ontological transition possible for Lee Yeon-ju is love. Through the structure of love, Lee Yeon-ju's homo sacer (prostitute) obtained divine and sacred sovereignty (the right of a saint). The fact that Lee Yeon-ju's poetry reached an ontological renewal of 'I become you' through the series of 'Medical Room' proves that the medical room is a completed structure of love. 이 논문은 이연주의 ‘매음녀’ 연작과 ‘성자의 권리’ 연작, ‘진료실’ 연작을 대상으로 폭력의 피해 주체인 여성 신체의 속(俗)-성(聖)의 상징적 의미를 살펴보고 있다. ‘매음녀’ 연작은 가부장제 권력 구조에서 착취당하는 여성성을 넘어 여성 주체가 어떻게 남성성에 저항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이연주는 성차(性差)에 따른 간음/피간음의 착취 구조를 무기력하게 만들기 위해 여성성을 물질화하는 전략을 활용했다. 여성성을 물질화함으로써 이연주는 남성성이 노리는 쾌감을 ‘불감’으로 바꾸어버리고, 남성성 또한 자연스럽게 물질화해버린다. ‘성자의 권리’ 연작은 물질성마저도 존재 세계로부터 사라지게 만든다. 그리하여 ‘성자의 권리’ 연작은 속(俗)의 세계를 벗어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물질화하였던 인격(여성성)을 ‘죽은-무저항의-시민’으로 소환한다. 소환된 죽음을 빛으로 존재론적인 위상 변화를 준 것은 존재의 새로운 생성을 위한 불가피한 조치였다. ‘진료실’ 연작에서 병적 신체가 변화를 겪는 ‘진료실’은 여성성의 존재론적 전이가 발생하는 장소로 기능한다. 이연주에게 존재론적 전이를 가능하게 만드는 요소는 사랑이다. 사랑의 구조를 통해 이연주의 호모 사케르(매음녀)는 신성하고 성스러운 주권(성자의 권리)을 얻게 된 것이다. ‘진료실’ 연작을 통해 이연주의 시가 ‘나는 너 되는’ 존재론적 갱신에 도달한 것은 진료실이 완성된 사랑의 구조라는 것을 증명한다.

      • KCI등재

        전주 시기 박봉우 시의 병리적 미의식연구

        문신 국어문학회 2019 국어문학 Vol.72 No.-

        This article examines the pathological aspects of excessive historicalconsciousness and lack of ethical consciousness in the poetry of ParkBong-woo's Jeonju period. Poems that reveal hyper aesthetics are worksrelated to historical epistemology, and poems that show hypo are relatedto his ontological problem suffering from mental illness. Park Bong-woo has been raising the issue of division since the earlytimes, embodying the image of socio-historical ethics into the image ofblood at the border symbolized by the DMZ(휴전선). However, ParkBong-woo's self-consciousness was insufficient to handle hyper ethics. Although socio-historical ethics should be derived from life, Park's lifelacked the ethics of the living people to support his hyper of ethics. Indeed, Park Bong-woo, who lived in Jeonju, lived in an autistic state. In this way, Park Bong-woo's poetry shows his pathological symptomsin a way that hyper or hypo short of normality. In this process, ParkBong-woo shows a romantic admiration for the “other world” rather thanthe real world. In this sense, Park's pathological aesthetics are related tohis romantic attitude. 이 글은 박봉우의 전주 시기 작품에 나타난 병리적 특성을 역사의식의 과잉과 윤리의식의 결핍 측면에서 살펴보고 있다. 과잉의식이 드러난 시는 역사적 인식론과 관련되는 작품들이고, 결핍의 특성이 드러난 시는 정신질환을앓고 있는 그의 존재론적 문제와 관련되어 있다. 박봉우 시에서 과잉된 것은 사회역사적 윤리의식이다. 그는 초기시부터줄곧 분단문제를 제기하면서 ‘휴전선’으로 상징되는 경계에서 사회역사적 윤리를 ‘피’의 이미지로 형상화했다. 그러나 과잉된 윤리를 감당하기에는 박봉우의 자의식이 미약했다. 사회역사적 윤리가 생활에서 비롯되어야 하지만,박봉우의 생활은 과잉된 자신의 윤리의식을 지탱하기에는 생활인의 윤리가결핍되어 있었다. 실제로 전주 시기의 박봉우는 자폐적인 상태에서 살았으며, 정신병원을 들고나면서 현실과 환상의 경계에 놓여 있었다. 이렇듯 전주 시기 박봉우의 시는 정상성을 초과하거나 미달하는 방식으로병리적 증상을 드러낸다. 이 과정에서 박봉우는 현실 세계보다는 ‘다른 세계’를 낭만적으로 동경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런 점에서 보면 박봉우의 병리적 미의식은 그의 낭만적인 태도와 관련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청소년시의 미적 현재와 목표

        문신 한국비평문학회 2023 批評文學 Vol.- No.89

        이 논문은 청소년시가 창작되고 있는 현재적 상황을 분석한 후, 청소년시의 미적 목표를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10년 이후 본격적으로 나타난 청소년시는 주로 청소년의 삶을 청소년 화자를 통해 청소년에게 전달해왔다. 청소년시가 청소년 화자를 내세운 건 청소년 독자와 원활하게 소통하기 위해서다. 이에 따라 이 논문은 청소년시에 강조되고 있는 청소년 화자의 발화 특징을 두 가지로 요약하였다. 성장 지향의 정체성과 불확실성에 기반한 존재론적 가능성이다. 이러한 특징적 발화행위를 뒷받침할 수 있도록 이 논문은 청소년시의 세 가지 미적 목표를 제시하였다. 세계 인식의 내용, 지도 원리의 적용, 자아정체성 형성이 그것이다. 미적 목표에 도달하게 되면 청소년시는 청소년의 내면적 성장을 도모하고, 청소년이 기성세대와 융합할 수 있는 사회화에 기여하며, 경험 현상 이면에 감추어진 사태의 본질에 다가갈 수 있게 해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youth poetry is being created and then propose the aesthetic goals of youth poetry. Youth poetry, which has appeared in earnest since 2010, has mainly delivered the lives of teenagers to teenagers through youth speakers. Youth poetry has put forward youth speakers to communicate smoothly with youth readers. Accordingly, this paper summarizes the characteristics of speech emphasized in youth poetry in two ways. One is the identity of growth-oriented, and the other is the ontological possibility based on uncertainty. To support these characteristic speech behaviors, this paper presented three aesthetic goals of youth poetry. These include the content of world perception, the application of guiding principles, and the formation of self-identity. When the aesthetic goal is reached, youth poetry will promote the internal growth of adolescents, contribute to socialization in which adolescents can converge with the older generation, and approach the nature of the situation hidden behind the experience phenomenon.

      • KCI등재

        가람 이병기의 “語多淫哇”적 언어의식 연구

        문신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9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0 No.2

        This paper explains the sijo of Garam Lee Byoung-gi from the point of view of his language consciousness. Garam compared ‘Han Si’ with Sijo, and suggested ‘eo-da-eum-wae(語多淫哇)’ as a characteristic of the Chosŏn language. In this paper, I suggest that the song in Korean sounds like it spoils the emotions and emotions that are diverse(語多) and the sounds are hidden(淫哇). The consciousness of Garam’s Korean text is closely related to ‘True sense and practical emotion(實感實情)’. First, ‘eo-da(語多)’ is related to ‘True sense(實感)’. As the various repetitions of the sound, the repetition of the images reminiscent of the repetition, and the repetition of these repetitions are gradually increased, the sijo of Garam reveals various senses and practices the sublime of the Korean language through this process. It is a manifestation of sublime aesthetics that Garam uses natural objects as poetic objects and portrays harmony with human beings as ‘life and soul as Korean language’. And Garam repeatedly collided with the subjective poetic object to form poetic sentiment and to form sympathy with the reader. In this way, the expression of the language that reproduces the subtle wavelengths in the emotions of the reader, while concealing his own emotions through the empirical reality, is the core of ‘eum-wae(淫哇)’ and ‘practical emotion(實情)’ which Garam says. It should be reproduced sympathetically from the reader, not expressed by the artist in that it is extremely personal emotion and emotion. And the reader should voluntarily form ‘practical emotion’ through his realization. In the meantime, Garam’s ‘True sense and practical emotion’ method of creation has received various attention. But it did not reach a concrete methodological inquiry. In particular, there was no focus on how Garam paid attention to certain features of Korean language and how Garam’s reality was realized in concrete terms. In this article, I paid attention to the element of ‘eo-da-eum-wae’ of the Korean language.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methodical attitude of securing the reality of reality in Garam Sijo reveals the various sensory qualities of Korean as a sound character. And it was because the ideas and thoughts of the Korean language were overflowing and it was not easily revealed. 본고는 가람 이병기의 시조를 그의 언어의식적 관점에서 해명하고 있다. 가람은 『국문학전사』에서 한시문과 시조를 비교하면서 조선말글의 특성으로 ‘語多淫哇’를 제시하였다. 가람이 이 말을 다른 곳에서 강조하거나 비슷한 맥락에서의 언급이 없어 그 의미를 정확하게 해석할 수는 없다. 다만 우리말이 소리글말이라는 점에서 본고에서는 이 말의 뜻을 범박하게 ‘우리말로 된 노래는 소리의 어감이 다채롭고(語多), 그 소리는 감추고 있는 감정과 정서를 토해내는 것처럼 들린다(淫哇)’로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가람의 우리말글에 대한 의식은 그가 시조 작법으로 강조한 ‘실감실정’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 먼저 ‘어다’는 ‘실감’과 닿아 있는데, 소리말글의 특성을 살려 소리의 다양한 반복과 그 반복에서 연상되는 이미지의 반복, 그리고 그러한 반복을 점층적으로 고조시켜 가면서 주관적 정서를 형성함으로써 가람의 시조는 조선말에 대한 숭고함을 실천하고 있다. 가람이 자연물을 시적 대상으로 삼아 그것을 바라보는 인간과의 조화를 ‘조선말로서의 목숨과 넋’, 즉 조선말의 살아 있는 감각을 그려내고 있는 것은 충분히 숭고한 미의식이 발현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가람은 주관화된 시적 대상을 반복적으로 충돌시켜 시적 정서를 형성함과 동시에 독자들에게 공감할 수 있는 감정의 소용돌이를 형성했다. 이렇게 실증적 실물을 통해 자신의 정서를 감추지만, 그 미묘한 파장을 독자들의 정서에 재생시켜주는 언어표현 방식이 가람이 말하는 ‘淫哇’이자 ‘實情’의 핵심이다. 음란하다는 것은 쉽게 노출하기 어려운 지극히 사적인 감정‧정서라는 점에서, 그것은 작가에 의해 표현되는 것이 아니라 독자에게서 공감적으로 재생되어야 한다. 그리고 독자가 자신의 실감을 통해 자발적으로 ‘실정’을 구성해야 한다. 그동안 가람의 시조를 논하는 자리에서 ‘실감실정’의 창작방법론에 관심을 기울인 것은 사실이지만, 실감실정이 실현되는 구체적인 방법적 탐구에는 소홀했던 것도 틀림없다. 특히 가람이 우리말의 어떤 특징에 주목했는지, 그리고 가람의 실감실정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실현되는지 관심의 초점이 모아지지 않았다. 본고에서 우리말의 語多淫哇적 속성에 주목한 것은, 가람 시조에서 실감실정을 확보하는 방법적 태도가 語多淫哇, 다시 말해 소리글자로서의 우리말이 지닌 다채로운 감각적 자질과(語多) 우리말을 사용하는 조선 사람들의 사상과 사유가 내밀하고 그러면서도 쉽게 그것을 표출하지 않는다는 점(淫哇)에 있었기 때문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