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연구개발 투자 포트폴리오 분석을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 및 원자력 분야에의 적용

        문기환(Kee-hwan Moon),김승수(Seung-su Kim) 한국기술혁신학회 2018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8 No.11

        본 연구는 원자력 관련 메가트렌드, 주요 원자력선진국들의 R&D 투자 방향, 국내의 원자력 기술수준과 역량 및 정책 등의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향후 합리적인 국내 원자력 연구개발 투자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음.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음. 첫째, 원자력 환경 분석에서는 원자력 분야의 메가트렌드와 세부인자를 도출하였으며 원자력 관련 메가트렌드 요인들과 5가지 경제사회적 분야(STEEP; Social, Technology, Ecology, Economics, Politics)와의 연계성을 파악함. 둘째, 주요국의 원자력 연구개발 투자 추이 및 정책동향을 분석하여 원자력 정책 관점에서 기술별 투자 우선순위를 평가하고 투자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함. 셋째, 국내의 원자력 정책수립을 위한 기술별 투자 우선순위 결정을 위해, 분야별 원자력 연구개발의 투자 추이, 정책과의 연계성, 국내 기술수준 분석 및 역량 평가, 기술의 중요도 및 파급효과 등과 관련된 분석을 수행함. 넷째, 원자력 환경 분석, 국내외의 원자력연구개발 투자 정책 동향, 국내의 기술수준 평가 및 역량 분석, 관련 기술의 중요도 및 파급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9개 기술분야에 대한 원자력연구개발 투자방향을 제시함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investment direction of nuclear R&D, which is the most efficient and resonable integrating the various aspects comprehensively.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①The linkages between megatrends focussing on nuclear and the 5 aspects including society, technology, ecology, economics and politics are established. ②Nuclear investments and policies of major advanced countries including U.S., Japan, EU were analysed to refer domestic nuclear R&D investment directions. ③Domestic investment of nuclear R&D was reviewed by analysing the investment trend of nuclear R&D in the past with their connection to nuclear policy, and to the levels and capacities of domestic technologies of nuclear. ④The desirable directions of nuclear R&D investment were suggested comprehensively taking into consideration various aspects including the megatrends associated with nuclear, nuclear R&D directions of major advanced countries, and the level and capacities of the domestic nuclear technologies.

      • 국내 발전기술별 에너지 안보지수 종합 평가

        문기환(Kee-hwan Moon),김승수(Seung-su Kim),정환삼(Whan-sam Chung) 한국기술혁신학회 2018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8 No.11

        본 연구는 전력공급 즉 발전부문에 대한 에너지안보지수를 에너지공급사슬과 지속가능발전 측면에서 정량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향후의 전력수급계획시에 발전기술별 유용성을 합리적으로 고려할 수 있도록 관련 기초자료를 생산하고자 함.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음. 첫째, 국내 주요 발전기술별 에너지 안보 지수를 평가하기 위해 먼저 지속가능발전과 에너지공급사슬 측면에서 핵심가치와 속성을 설정하였고, 발전기술별 에너지안보 평가를 위해 3개 차원, 9개 속성, 18개 속성지표로 에너지안보지수 평가프레임을 구축함. 둘째, 국내 발전기술별 에너지안보 지수를 사회적 지속가능성, 경제적 지속가능성, 환경적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각각 평가하였으며, 이들에 대한 종합적인 측면에서의 평가도 수행함. 또한 전원 구성 전망 시나리오별 에너지안보 지수를 비교·분석함. 분석 결과, 원자력은 에너지안보 종합 지수 측면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풍력, 태양광, LNG, 석탄 순으로 나타났음. 또한 현 정부의 환경친화적인 발전믹스 정책을 반영하여 2016년 실적(안), 7차전력수급계획(안), 탈 원전&석탄(안) 등 3개의 발전기술 구성 대안을 설정하고 이에 대한 에너지안보 지수를 평가한 결과, 원자력의 비중이 높을수록 에너지안보 지수에 절대적인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됨 A selection of electric technology options is sensible to make in the framework of energy trilemma, which is defined as balancing the trade-offs between major energy goals, namely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contributions of energy security by domestic electric technology.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①To concrete evaluation framework, this study has derived the concept and core values regarding energy security in terms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nergy supply chain. And the evaluation framework of domestic energy security is constructed based on derived the concept and core values. It has 3 dimensions(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 total of 9 attributes for each dimension 3 attributes, and a total of 18 sub-attributes for each attribute 2 sub-attributes. ②Energy security indices by domestic electric technology are quantitatively evaluated. And to compare the energy security indices by electric technology mix, 3 scenarios are consider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omposite indices on energy security including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nuclear is the best electric technology option in terms of the sustainability, wind is the 2<SUP>nd</SUP> best option, and coal is the worst electric technology option. As a result, in Korea, the higher ratio of nuclear technology, the more contribution of energy security indices.

      • KCI등재
      • 국내 발전기술별 사회적 지속가능성 비교

        문기환(Kee-hwan Moon),김승수(Seung-su Kim),이영준(Young-joon Lee)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11

        지속가능발전은 인류가 추구해야할 공통의 목적이며 가치로서 사회적 지속가능성, 경제적 지속가능성, 환경적 지속가능성의 개념이 내포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전력공급 부문에서 특히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가치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사용에 대한 형평성과 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기술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 그리고 지속적으로 고용을 창출할 수 있는 발전기술들로 발전원을 구성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사회적 지속가능성을 ‘에너지복지’, ‘기술의 수용성’, ‘고용 창출’등 3가지 핵심 속성으로 나누고 속성 당 2개의 세부 속성 지표를 구성하여 총 6개의 속성지표 측면에서 발전기술별로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적 지속가능성 종합점수는 원자력 > 풍력 > LNG > 석탄 > 태양광 순으로 나타나 원자력이 사회지속성 측면에서 가장 우수한 발전기술인 반면에 태양광은 가장 열위에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속성별로 살펴보면, ‘에너지사용의 복지성’은 원자력과 석탄화력이, ‘에너지사용의 접근성’은 LNG와 석탄이, ‘기술의 안전성’은 원자력과 풍력이, ‘기술의 신뢰성’은 발전기술간 큰 차이가 없으며, ‘고용 규모’는 태양광과 원자력이, ‘고용의 질’은 풍력과 원자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원자력이 대부분의 속성에서 우위에 있거나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에너지 안보 측면에서의 원자력의 역할 분석

        임채영,문기환 한국원자력산업회의 1999 원자력산업 Vol.19 No.6

        우리 나라의 에너지 안보 정도를 정량화하여 나타낼 수 있는 에너지 안보 지수를 개발, 제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원자력 발전의 도입이 국내 에너지 안보에 기여한 정도를 측정하였다. 에너지 안보에의 기여 항목으로는 에너지원 다원화와 에너지 수입의존도를 선정하였으며, 원자력의 도입 여부에 따른 에너지 안보 지수의 변화를 비교함으로써 에너지 안보와 원자력 도입 여부와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에너지 안보 지수를 이용하여 주요국의 안보 지수를 산출함으로써 우리 나라의 에너지 안보의 정도를 외국과 비교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그 동안 정성적으로만 논의되어 왔던 원자력 발전의 에너지 안보에 대한 기여 효과가 보다 명확하게 정량화되어 평가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