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기도 시화호 탄도 해안과 한염 지역의 야외 지질 답사 수업모형에 대한 질적 분석

        맹승호,위수민 한국지구과학회 2005 韓國地球科學會誌 Vol.26 No.1

        By analyzing and integrating established geological field study instances, this study offered a new geological field excursion teaching model with several steps: unifying question raising, excursion generalization, intensive field direction, searching, primary conclusion, re-searching, group discussion, adjustment, and excursion summarizing. Then by qualitatively assaying the responses which students showed after applying this teaching model, a concrete teaching plan was sought for earth science teachers who were planning to begin geological field excursion classes. Students evaluated very highly on the unifying question and excursion generalization because these items provided a sense of direction and an overall theme for geological excursion in advance. Also, since the students had little to none geological knowledge and field excursion experience, the intensive field direction gave them a lot of help with their field excursion activities. Students thought that coming up with a primary conclusion based on the summary of what they had observed in their activities was original, and highly valued the process of sharing different opinions in group discussions and drawing out a final conclusion. Teachers should help students develop a friendly atmosphere, by organizing group activities and continuously feeding them with unifying questions and excursion generalization within the groups. Also, they should prepare enough contents for intensive field direction and ways to get their points across. In the process, they should arrange beforehand detailed instructions for every outcome, with the intention of solving the question. Furthermore, teachers should follow carefully how conclusions are drawn, instruct students not to reach conclusions based on mere assumptions, and be aware of misconceptions students have toward geological phenomenon in advance, so that the discussion can be lead in the right direction.

      • KCI등재

        과학 학습의 지식구성 과정에 대한 실제적 인식론 분석

        맹승호,Maeng, Seungho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8 초등과학교육 Vol.3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specific terms of epistemic and epistemological by reviewing the literature on epistemological understanding of science learning, examine the necessity of epistemic discourse analysis based on the view of social epistemology, and provide an exemplar of practical epistemology analysis for elementary children's science learning. The review was conducted in terms of meaning and terminology about epistemic or epistemological approach to science learning, epistemology of/for science, and methodologies for epistemic discourse analysis. As an alternative way of epistemic discourse analysis in science classroom I employed practical epistemology analysis (by Wickman), evidence-explanation continuum (by Duschl), and DREEC diagram (by Maeng et al.). The methods were administered to an elementary science class for the third grade where children observed sedimentary rocks. Through the outcomes of analysis I sought to understand the processes how children collected data by observation, identified evidence, and constructed explanations about rocks. During the process of practical epistemology analysis the cases of four categories, such as encounter, stand-fast, gap, and relation, were identified. The sequence of encounter, stand fast, gap, and relation showed how children observed sedimentary rocks and how they came to learn the difference among the rocks. The epistemic features of children's observation discourse, although different from scientists' discourses during their own practices, showed data-only conversation, evidence-driven conversation, or explanation inducing conversation. Thus I argue even elementary children are able to construct their own knowledge and their epistemic practices are productive.

      • KCI등재

        Data-Text 변형 담화의 측면에서 본 세 초등 예비교사의 모의수업 시연 사례의 비교

        맹승호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2 초등과학교육 Vol.41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pects of how thre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ducted the data-text transforming discourses in their science simulation teaching and how their epistemological conversations worked for learners’ construction of scientific knowledge. Three preservice teachers, who had presented simulation teaching on the seasonal change of constellation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revealed that one preservice teacher, who had implemented the transforming discourses of data-to-evidence and model-to-explanation, appeared to facilitate learners’ knowledge construction. The other two preservice teachers had difficulty helping learners construct science knowledge due to their lack of transforming discourses. What we should consider for improving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ing competencies was discussed based on a detailed comparison of three cases of preservice teachers’ data-text transforming. 이 연구는 세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모의수업 시연에서 data-text의 변형 담화가 구현되는 양상을 탐색하여 교사의 인식론적 대화가 학습자의 과학지식 구성에 어떻게 작용할 수 있는지 조사하였다. 계절에따른 별자리의 변화를 주제로 모의수업을 시연한 초등 예비교사 3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그들의 모의수업 시연의 수업 담화 중 교수법적 발화에서 data-text의 변형 담화에 해당하는 발화를 선택하여 수업의흐름에서 학습자의 과학지식 구성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데이터에서 증거로 변형하는 담화와 증거에서 여러 모델에서 설명을 도출하는 변형 담화를 구현했던 예비교사의 수업은 학습자의 과학지식 구성에 기여할 수 있었다. 그러나 데이터를 인식하는 변형 담화 또는 증거를 찾는 변형담화에 멈추거나 변형 담화가 발견되지 않은 예비교사의 교수법적 발화는 학습 목표로서 과학 지식을전달할 수 있었지만, 학습자의 과학지식 구성을 효과적으로 유도하지 못했다. 세 예비교사의 모의수업시연에서 구현된 교수법적 발화를 data-text의 변형 담화 측면에서 발전적인 부분과 제한적인 부분을 비교함으로써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관점에서 예비교사의 과학 수업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해 고려해야할 지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지구과학 논문의 언어 특성 이해: 레지스터 분석

        맹승호,신명환,차현정,함석진,신현정,김찬종 한국지구과학회 2011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1 No.7

        This study identified the linguistic features of Earth science treatis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gister. Data included three Korean treatises that were in geology, atmospheric science, and oceanography. The register of Earth science treatise was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emantic, referential connections between Themes and Rhemes, that the messages and main points of the texts were expressed coherently and cohesively. Second, some predicates were used which were related to deductive inference, abductive inferences, or causal relation according to the genre elements of each text. The logical relations were not represented by the conjunctions but by the types of predicates. Third, most texts in the treatises showed interpersonally weak relationship using mental predicates related to possibilities, which meant scientists expressed indirectly their interpretation, explanation, or arguments. From these results, we argued that some activities of unpacking the language of science be included in science curriculum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literacy of science texts and understanding scientists’ knowledge construction. 이 연구에서는 과학 논문 레지스터를 분석하여 지구과학 논문의 언어 특성을 탐색하였다. 연구 자료로 지질과학,대기과학, 해양과학의 한국어 논문 1편씩을 선정하였다. 지구과학 논문 레지스터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부와설명부 간의 의미적, 지시적 연결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텍스트가 제시하려는 메시지와 요점이통일적으로 응집력 있게 제시되었다. 둘째, 각 텍스트의 장르 요소에 따라 연역적 추론 또는 귀추적 추론 관계 및 인과관계를 나타내는 술어들이 사용되었으며, 논리적 관계는 접속어구보다는 술어의 유형을 통해 표현되었다. 셋째, 대부분의 논문 텍스트에서 가능성을 나타내는 인식적 술어를 사용하여 과학자들의 해석과 설명 및 주장을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약한 상호관계를 형성하였다.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학생들이 과학 학습 과정에서 과학 텍스트에 대한 문해 능력을높이고, 과학자들의 지식 구성 방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과학 글에서 각 문장을 구성하는 주제부와 설명부의 연결 관계를 파악하고, 술어의 유형에 따라 논리적 관계를 조사하는 과학 언어 풀어내기 활동이 과학 교육과정에 포함되어야함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창의적 과학교수활동 지도를 적용한 창의교육 실습: 창의교육 리더스 클럽의 사례

        맹승호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7 한국초등교육 Vol.28 No.특별호

        This study reported an exemplar of creative education leaders club which was conducted by A university of education in 2016. The club members consisted of college students who would make efforts to actualize creative education during their fall semester practicums at elementary schools. Students in the club designed their practicum classes from the view of creative education based on curriculum and instruction courses that they had taken during the semester. This paper is on three students’ (Hyeonoo, Jeong-Hyeon, and Min-Jee) cases which were chosen as good exemplars of creative education during the practicums. Hyeonoo applied appropriate conceptual change model creatively to his teaching with using children’s preconceptions and cognitive perceptions. Jeong-Hyeon tried to teach science content with conducting scientific practices creatively. Min-Jee showed creative flexibility and originality with various novel experiments. Considering these cases the relations between the views of teaching creatively and teaching for creativity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A 교육대학교에서 교육실습 기간(2016년도 2학기) 동안에 창의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한실습 수업을 진행할 의지가 있는 학생들로 구성한 창의교육 리더스 클럽의 사례를 보고한다. 리더스클럽의 학생들은 자신이 수강한 창의교육 교과교육학 강좌의 내용을 바탕으로 교과 지도교수와 함께창의교육의 관점에서 실습 수업을 구성하고 수행하였다. 이 연구는 A 교육대학교의 창의교육 리더스클럽 수강생 중 창의교육 실습 우수 사례로 선정되었던 현우, 정현, 민지(모두 가명임)의 사례를 다룬다. 현우는 아이들의 선개념과 인식 능력을 활용하여 적절한 개념 변화의 모델을 창의적으로 적용하였다. 정현은 창의적인 방법으로 과학적 실행을 수행하면서 과학 내용을 학습시키고자 하였다. 민지는 다양하고 새로운 실험을 학생들에게 보여주기 위한 창의적 상상력과 새로운 실험을 수업의 흐름에 맞게 도입하는 융통성과 독창성을 발휘하였다. 이 사례를 통해 창의교육과 관련된 주요 쟁점으로서 창의교육의 교과 특수성을 반영하기 위한 창의적 교수활동 또는 창의성 교수활동의 관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가 모의수업 시연에서 구성한 과학적 추론의 인식론적 의미 - 증거-설명 연속선의 관점 -

        맹승호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3 초등과학교육 Vol.42 No.1

        In this study, I took the evidence–explanation (E-E) continuum perspective to examine the epistemological implications of scientific reasoning cases designed b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during their simulation teaching. The participants were four preservice teachers who conducted simulation instruction on the seasons and high/low air pressure and wind. The selected discourse episodes, which included cases of inductive, deductive, or abductive reasoning, were analyzed for their epistemological implications—specifically, the role played by the reasoning cases in the E-E continuum. The two preservice teachers conducting seasons classes used hypothetical–deductive reasoning when they identified evidence by comparing student–group data and tested a hypothesis by comparing the evidence with the hypothetical statement. However, they did not adopt explicit reasoning for creating the hypothesis or constructing a model from the evidence. The two preservice teachers conducting air pressure and wind classes applied inductive reasoning to find evidence by summarizing the student–group data and adopted linear logic-structured deductive reasoning to construct the final explanation. In teaching similar topics, the preservice teachers showed similar epistemic processes in their scientific reasoning cases. However, the epistemological implications of the instruction were not similar in terms of the E-E continuum. In addition, except in one case, the teachers were neither good at abductive reasoning for creating a hypothesis or an explanatory model, nor good at using reasoning to construct a model from the evidence. The E-E continuum helps in examining the epistemological implications of scientific reasoning and can be an alternative way of transmitting scientific reasoning. 이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가 모의수업 시연에서 구성한 과학적 추론을 증거-설명의 연속선 관점에서해석하여 그들의 과학적 추론이 갖는 인식론적 의미를 조사하였다. 연구를 위해 계절 변화에 관한 모의수업을 시연한 예비교사 2명, 고기압과 저기압 및 바람에 관한 모의수업을 시연한 예비교사 2명이 연구참여자로 선정되었다. 예비교사의 교수발화 중에서 귀납적, 연역적(가설-연역적) 추론, 또는 귀추적 추론의 사례가 드러난 에피소드에서 각 추론이 증거-설명의 연속선의 단계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비교하여 예비교사의 과학적 추론이 가진 인식론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계절 변화의 원인에 관한 모의수업을 시연했던 두 예비교사는 학생들이 수집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증거를 인식하였고, 증거와 가설을 비교하여 가설을 검증하는 가설-연역적 추론을 활용하여 설명을 구성하였다. 고기압과 저기압 및 바람의방향을 주제로 모의수업을 시연했던 두 예비교사는 모둠별 데이터를 종합하여 증거로 인식하는 귀납적추론과 선형적 논리 구조를 가진 연역적 추론을 설명구성 전략으로 선택하여 최종 설명을 제시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은 유사한 주제의 모의수업 시연에서 대체로 비슷한 흐름의 과학적 추론을활용하여 과학지식을 구성하였으나, 증거-설명의 연속선에서 데이터, 증거, 모델, 설명으로 전개되는 인식론적 의미 측면에서 조금씩 다른 양상을 보였다. 또한, 일부 사례를 제외하면, 공통적으로 증거에서모델을 탐색하는 과학적 추론은 부족하였으며, 가설이나 설명모델을 추리하기 위한 귀추적 추론이 부재하였다. 이 연구에서 분석틀로 적용했던 증거-설명의 연속선 접근은 과학적 추론의 인식론적 의미를파악할 수 있게 하며 대안적인 과학적 추론 함양 지도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과학 학습 언어의 문법적 특성을 고려한 초등학생의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고찰

        맹승호,이관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2 초등과학교육 Vol.41 No.1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과학 수업 대화 및 글쓰기에 구현된 언어 표현의 국어 문법적 특성에 근거하여그들의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양상을 조사하였다. Brown et al. (2010)의 증거에 기반한 추론 프레임웍을순환학습모형에 접목하여 작성한 수업안을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날씨와 우리 생활” 단원에 적용하였다. 수업 대화에 활발히 참여한 학생 8명의 대화 전사본과 그 학생들의 과학 글쓰기 문장을 연구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텍스트의 내용 및 논리 관계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문법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연구에참여한 초등학생들은 데이터 분석, 증거 해석, 규칙 적용, 설명 구성 등의 맥락에서 사용되는 과학 언어의문법적 구조와 일치하지 않는 언어 사용의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부분적으로 명사화 방식의 문법적 은유를 사용하거나, 적절한 인과 관계의 문법 구조를 사용한 글쓰기 사례도 제시되었다. 교사의 교수법적 안내발화나 교과서 텍스트의 문법 구조를 통해 학생들이 과학의 문화에서 사용되는 언어 활동의 양태를 경험하면 초등학생도 유사한 과학적 말하기와 글쓰기를 나타낼 수 있었다. 학생들이 증거에 기반한 추론에근거한 과학지식 구성의 맥락에 적절한 언어 사용 이해와 이에 대한 문식 기능을 습득할 수 있게 하려면, 과학 학습에 관한 언어 사용 모델을 접할 기회를 충분히 제공해 주는 것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과학 글의 레지스터와 장르 연구 사례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맹승호 한국문법교육학회 2019 문법 교육 Vol.35 No.-

        In this study I reported a qualitative meta-analysis of the studies of science register and science genre on science texts used in scientists communities and school science communities. The process of qualitative meta-analysis consisted of ‘selecting research topic of meta-analysis, literature review and taking sample studies, analyzing within each study – analyzing between studies – synthesizing whole analysis’. Register and genre analysis of science treatise texts showed that the texts had full elements of a genre, logical relations between the consecutive elements, and rich rhetoric expressions for internal logics. In contrast, register and genre analysis of school science texts showed that the relations between sentences were poor in logic and also poor in genre structure including the sub-elements of a genre being spread out without any relation. The register-genre difference between scientists’ texts and school science texts could be the critical points for science learners to enculturate into science. These points, at the same time, give out the problem of stereotyped genre, which makes learners only follow the traditional styles of science writings. Alternative view about genre, however, argues that members in a community construct a specific text structure in the context where they share common goals and practices. Thus science genre should be obtained through social and dynamic practices of science knowledge construction and scientific inquiry by both science educators and learners. Evidence-Explanation Continuum and Evidence-Based Reasoning Framework can be good scaffoldings for socially constructed science genre. This perspective helps us apply genre to improve grammar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