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약용작물 종자 생산 및 보급체계 개선

        장우환,박재상,마리아 로스나 울트라 루베네시아,박충범,안영섭,이상철,Jang, Woo Whan,Park, Jae Sang,Rubenecia, Maria. Rosnah Ultra.,Park, Chung Beom,Ahn, Young Sup,Lee, Sang Chul 경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2013 慶北大農學誌 Vol.31 No.4

        국민의 건강과 웰빙에 대한 관심 증대 및 소득 증가로 한약재 소비를 비롯한 식품과 화장품 원료로서의 산업적 가치가 커지면서 약용작물의 수요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며 한, 중 FTA 체결로 인해 약용작물 시장개방의 수입증가는 위협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그러한 측면에서 약용작물을 포함한 농식품산업을 미래 성장 동력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종자품종육성과 생산유통기반의 정비와 확충, 산지이용규제 완화 등의 다양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 결과의 활용방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의 약용산업 육성 중장기 전략과 종자관리체계의 구축에 필요한 약용작물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향후 개발해야 할 중점기술을 제시해야 한다. 둘째, 우수한 약용작물 품종 개발 및 보급으로 농업생산성을 높여야 한다. 셋째, 약용작물 종자생산 및 보급에 필요한 제도정비가 필요하다. 넷째, 우량종자의 표준화 및 규격화로 약용작물의 생산유통체계를 확립해야 한다. 현재 약용작물의 소비행태는 직접적인 섭취보다 화장품, 의약품, 식품의 형태로 소비되는 패턴으로 바뀌고 있으며 규모가 점점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므로 향후 약용작물의 생산에서는 이러한 산업화 추세와 변화에 대응한 정책개발과 제도적인 개선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Increasing concern for the health, well-being, and income of the people has expectedly brought continuous increase in the industrial value of medicinal plants in recent years as these are also used in foods and cosmetics. However, Korea's increased import of these products from China due to the FTA contract causes negative effects on its industrial value. In this regard, various measures for medicinal crop seed development and production, organization and expansion of circulation and forest land use deregulation are needed to promote the agricultural food industry including medicinal plants. As a measure, first, a database of medicinal plants should be built that can help to promote the national medicinal industry and the seed management system. Second, agricultural productivity should be enhanced via the development and supply of varieties of high quality medicinal plants. Third, there should be a good practice of the system maintenance for the production and supply of medicinal crop seeds. Fourth,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ystem of medicinal plants should be established by standardization of high quality seeds. Nowadays, the consumption pattern of medicinal crops is changing from direct ingestion to cosmetics, drugs, and food and this is expected to increase continuously. Consequently, the increased production of medicinal crops will support the development policy and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in response to this trend of the positive change of industrialization.

      • 약용작물 종자 생산 및 보급체계 개선

        장우환,박재상,마리아로스나울트라루베네시아,박충범,안영섭,이상철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2013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Vol.31 No.4

        국민의 건강과 웰빙에 대한 관심 증대 및 소득 증가로 한약재 소비를 비롯한 식품과 화장품 원료로서의 산업적 가치가 커지면서 약용작물의 수요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며 한, 중 FTA 체결로 인해 약용작물 시장개방의 수입증가는 위협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그러한 측면에 서 약용작물을 포함한 농식품산업을 미래 성장 동력산업 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종자품종육성과 생산유통기반의 정비와 확충, 산지이용규제 완화 등의 다양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 결과의 활용방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의 약용산업 육성 중장기 전략과 종자관리 체계의 구축에 필요한 약용작물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하고 향후 개발해야 할 중점기술을 제시해야 한다. 둘째, 우수한 약용작물 품종 개발 및 보급으로 농업생산성을 높여야 한다. 셋째, 약용작물 종자생산 및 보급에 필요한 제도정비가 필요하다. 넷째, 우량종자의 표준화 및 규격화 로 약용작물의 생산유통체계를 확립해야 한다. 현재 약용 작물의 소비행태는 직접적인 섭취보다 화장품, 의약품, 식품의 형태로 소비되는 패턴으로 바뀌고 있으며 규모가 점점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므로 향후 약용작물의 생산에서는 이러한 산업화 추세와 변화에 대응한 정책개 발과 제도적인 개선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Increasing concern for the health, well-being, and income of the people has expectedly brought continuous increase in the industrial value of medicinal plants in recent years as these are also used in foods and cosmetics. However, Korea’s increased import of these products from China due to the FTA contract causes negative effects on its industrial value. In this regard, various measures for medicinal crop seed development and production, organization and expansion of circulation and forest land use deregulation are needed to promote the agricultural food industry including medicinal plants. As a measure, first, a database of medicinal plants should be built that can help to promote the national medicinal industry and the seed management system. Second, agricultural productivity should be enhanced via the development and supply of varieties of high quality medicinal plants. Third, there should be a good practice of the system maintenance for the production and supply of medicinal crop seeds. Fourth,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ystem of medicinal plants should be established by standardization of high quality seeds. Nowadays, the consumption pattern of medicinal crops is changing from direct ingestion to cosmetics, drugs, and food and this is expected to increase continuously. Consequently, the increased production of medicinal crops will support the development policy and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in response to this trend of the positive change of industria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