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강과 안전 관리에 관한 QR코드 사례연구 - 한 · 중 사례를 중심으로 -

        마란(Ma, Lan),박소희(Park, So H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1

        코로나19 팬데믹의 전 세계적 확산과 일상화되면서 ‘언택트’(Untact) 사회가 지속해서 발전할 것으로 보인다. 스마트폰 및 디지털 기술의 보급에 따라, 한중 양국은 방역 관리를 위한 건강과 안전 관리에 관한 출입용 QR코드의 개발과 보급이 대중화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건강과 안전에 관한 QR코드 사례조사를 통해 공통점과 차이점, 문제점을 도출하여 더욱더 다양한 서비스 범위에서 적용될 수 있는 발전 가능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구성은 첫째, 이론적 배경을 위해 QR코드에 대한 이해, 건강과 안전관리에 관한 QR코드 사용현황에 대해 연구하였다. 둘째, 한국과 중국의 건강과 안전에 관한 사례 조사를 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발급방법, 코드 이미지, 데이터 구축, 시스템 구축을 비교 분석하였다. 공통점으로는 안전 출입 관리를 위해서 스마트폰을 매체로 대중의 활용도가 높은 어플리케이션으로 QR코드를 발급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차이점으로는 본인 인증 방식, 유효기간, 정보 활용 및 적용 범위, 데이터구성, 이미지가 다르다는 것이다. 또한 종합적으로 안전성, 통합성, 편리성에 대한 3가지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일반적인 ‘건강과 안전에 관한 코드’에서 더욱더 넓은 범위의 ‘개인 서비스 코드’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한국과 중국 두 국가의 사례조사를 하여 추후에는 다양한 국가의 사례조사가 필요하며, 디자인이 적용된 ‘개인 서비스코드’ 콘셉트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s the global spread and dailyization of COVID-19 Pandemic is expected to continue to develop the “Untact” society. With the spread of smartphones and digital technologies,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QR codes for access to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for quarantine management are becoming popular in both Korea and China. According to this social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study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that can be applied in a wider range of services by drawing common points, differences, and problems through QR code case studies on health and safety in Korea and China. The composition of the study first studied the understanding of QR codes for theoretical backgrounds, and the use of QR codes for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Second, we conducted a case study on the health and safety of Korea and China and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this, we compare and analyze the issuance process, code image, data composition, and system construction. In common, we could see that QR codes are issued to applications that are highly utilized by the public through smartphones for safe access management. The difference is that the method of self-certification, expiration date, information utilization and coverage, data composition, and image are different. We also comprehensively derive three problems with safety, integration and convenience. This study identified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from a general “Code on Health and Safety” to a wider range of “Personal Service Codes”. Cases of both Korea and China will need to be investigated in the future, and research on the concept of “Personal Service Code” applied with the design will also need to be conducted.

      • KCI등재후보

        메밀의 잎과 꽃을 이용한 차의 제조 및 이화학적 특성

        정재천(Jae-Cheon Jeong),손영란(Young-Lan Son),이기앙(Gi-Ang Lee),이승태(Seung-Tae Lee),이경애(Gyeong-Ae Lee),이준안(Jun-An Lee),박은경(Eun-Gyeong Park),승진(Seung-Jin Ma) 한국차학회 2014 한국차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에서는 산업적 활용도가 낮은 메밀의 잎, 꽃 등의 부위를 이용하여 부가가치가 높은 기능성차로 개발하기 위하여 먼저, 메밀 식물체의 각 부위(꽃, 어린잎, 성숙잎)별항산화효과 및 flavonoid계 성분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총페놀 화합물 함량, rutin 및 quercetin 함량 모두 메밀꽃 > 성숙잎 > 어린잎의 순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항산화활성은 성숙잎과 꽃에서 높은 활성을 보여 건강증진효능이 예상되는 대용차 소재로 메밀꽃과 잎을 혼용해서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메밀꽃과 잎을 이용하여 증제차, 덖음차, 반발효차, 발효차로 제조한 후,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페놀 화합물 함량은 반발효 > 증제> 덖음 > 발효의 순이었으며 rutin 함량은 증제 > 반발효 > 덖음 > 발효의 순이었고 quercetin 함량은 발효 > 증제 > 반발효 > 덖음의 순이었고 환원당 함량은 반발효 > 덖음 > 발효 > 증제의 순이었으며 항산화활성은 반발효차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그 외 덖음, 증제, 발효차에서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제조된 메밀잎차의 관능평가에서는 발효차와 반발효차가 색과 향 부분에서 좋은 평가를 얻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 메밀의 꽃과 잎은 기능성 대용차의 소재로 충분한 가치가 있는 소재로 판단되었으며 기존의 종자 위주의 메밀의 이용 범주를 현재 이용도가 극히 낮은 꽃과 잎으로 넓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생각되었다. 또한, 메밀의 꽃과 잎을 이용하여 대용차로 개발하는 경우, 반발효 방식의 가공법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었다. The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tea (steamed tea, roasted tea, semi-fermented tea and fermented tea) prepared from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leaves and flowers which showed high contents of polyphenols including rutin and quercetin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ith different manufacturing processes were examined to develop a functional tea to increase its industrial utilization. As a result, the contents of total phenol compounds in these teas were in the following order: semi-fermented tea > steamed tea > roasted tea > fermented tea. The rutin and quercetin contents were found to be in the following order: steamed tea > semi-fermented tea > roasted tea > fermented tea > steamed tea > semi-fermented tea > roasted tea, respectively.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found to be high in semi-fermented tea and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ther teas. The sensory evaluations revealed the semi-fermented tea and the fermented tea to have higher flavor and color scores than non-fermented tea such as steamed tea and roasted tea.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mi-fermented tea manufacturing is a good process for developing a commercial product from the leaves and flowers of buckwheat.

      • KCI등재후보

        차나무의 품종, 부위, 채취시기에 따른 향기생성 효소의 활성과 향기배당체의 함량

        정재천(Jae-Cheon Jeong),최정연(Jeong-Youn Choi),최문희(Moon-Hui Choi),손영란(Young-Lan Son),조정용(Jeong-Yong Cho),김선재(Seon-Jae Kim),문제학(Jae-Hak Moon),박근형(Keun-Hyung Park),승진(Seung-Jin Ma) 한국차학회 2012 한국차학회지 Vol.18 No.4

        Enzymatic activities and amounts of aromatic precursors, which are related with aroma formation in fermanted tea, were indirectly measured in vanious cultivars (Korean native cultivar, Taicha No.12, Yabukita), harvest time (May, July, September), and parts (aged leaves, young leaves, stem) by means of crude enzyme assay. Enzyme activities related to aroma formation in stems and young leaves were higher than those in aged leaves. Activities in parts harvested in September and July were higher than in those harvested in May. Total amounts of aromatic precursors were higher in young leaves than those in aged leaves from each cultivar. Amounts of precursors of geraniol and methyl salicylate were much higher in each part of Taicha No.12 than those of Yabukita, although much greater amounts of benzyl alcohol and 2-phenylethanol were liberated from Yabukita.

      • KCI등재후보

        석창포 잎을 이용한 차의 제조 및 제조방법에 따른 성분 변화

        천길용(Gil-Yong Cheon),박성화(Seong-Hwa Park),고기봉(Gi-Bong Ko),손영란(Young-Lan Son),정원철(Won-Chul Jeong),승진(Seung-Jin Ma) 한국차학회 2013 한국차학회지 Vol.19 No.3

        현재 그 가치에 비하여 거의 활용되고 있지 않은 석창포의 잎을 이용하여 기능성 차로써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석창포 잎을 건조잎, 덖음차, 증제차, 반발효차, 완전발효차 형태로 가공한 후, 항산화 활성 및 일반성분, asarone, γ-aminobutyric acid, 총페놀 함량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반성분은 가공형태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지만 주목할 만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 석창포의 주요효능으로 알려진 진정작용, 두뇌활성화 작용의 활성 본체로 알려져 있는 asarone의 함량은 발효차로 가공하였을 때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홍차 형태인 완전발효차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또한 뇌기능 촉진 및 혈압강하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GABA의 함량 역시 asarone의 함량과 비슷한 경향을 보여 발효차로 가공하였을 때 높아지며 완전발효차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는데, 석창포 잎을 홍차 형태로 가공한 완전발효차의 GABA 함량은 기능성 GABA 녹차의 함량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반면, 총페놀 함량은 발효를 진행함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을 보였으나 DPPH radical 소거기능은 오히려 발효가 진행되면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이에 대한 보다 심화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 석창포 잎차의 총페놀 성분의 함량 및 radical 소거활성은 녹차의 20-30% 수준이었다. 또한 일반인 집단과 전문인 집단을 대상으로 한 관능평가 결과, 두 집단 모두로부터 덖음차와 완전발효차가 좋은평가를 받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 석창포 잎은 식품학적 이용가치가 대단히 높은 소재로 판단되었으며 진정작용, 뇌기능 활성화 및 혈압강하 등의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asarone, GABA가 함유된 기능성 대용차로 개발한다면 노인층과 수험생 등의 심신 취약 계층을 타겟으로 한 상품화 가능성도 높다고 생각되었다. 또한 석창포 잎을 이용한 기능성 대용차로써 상품화하는 경우 asarone, GABA 함량 및 radical 소거기능이 높으면서 기호성이 좋은 홍차 형태의 완전발효차로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었다. The physiological properties of teas (dried leaves, DL; steamed green tea, SGT; roasted green tea, RGT; semi-fermented tea, SFT; fermented tea, FT) with a different manufacturing process from Acrous gramineus leaves were examined to develop a functional tea to increase the industrial utilization of the leaves. The contents of the general components including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ash and crude lipid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total content of asarone, which induced sedative action and brain activation, were increased in the fermentation process and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 in FT (50.05 mg/100 g fr. wt. eq.). The content of GABA (γ-aminobutyic acid) also was increased by the fermentation process. The DPPH (1,1-diphenyl-2-picryl 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after the fermentation process, whereas total polyphenol content decreased with fermentation. These results highlight the need for more detail research, because polyphenol, as the main antioxidant, showe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plants. The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the FT and RGT received higher scores in taste, flavor and color than the other teas. These results suggest that fermentation tea manufacturing is the best process for developing a commercial product from A. gramineus leaves.

      • 중환자에서 동맥혈 가스분석 횟수와 그로인한 실혈량에 대한 연구

        이석열,전철우,정영수,오희숙,분란,이정미,정혜영,이만복,이길노 순천향의학연구소;Soonchunhyang Medical Research Institute 2000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6 No.1

        Background : Arterial blood gas analysis is the most comon exam in intensive care unit. In this study, the frequency of blood gas analysis and the amount of blood loss after Blood Gas Analysis in Intensive Care Unit were observed. Methods : From November 1999 to February 2000, 115 patients admitted to intensive care unit at Soonchunhyang university Kumi hospital were studied prospectively for the frequency of blood gas analysis and the amount of blood loss after blood gas analysis in Intensive Care Unit. Results : The mean value of frequency of blood gas analysis was 6.41±6.49 and the mean value of amount of blood loss after blood gas analysis was 0.78ml. This was lower than that of other foreign reports. The patients with ventilator therapy above 24 hours showed higher frequency of blood gas analysis than that of not applied ventilator patients. Pulse oxymetry was applied to all patients and the frequency of blood gas analysis was decreased due to the use of strict pulse oxymetry. Conclusion : Doctors and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 keep in mind that adequate blood sampling is needed for the decrease of blood loss. Education and protocol for the decrease of blood loss after arterial blood gas analysis may be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