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재로서 경주 황룡사지 남쪽 도로광장의 가치와 정비·활용 - 발굴조사 유적과 미술문화재 등의 문화적 의미에 주목하여

        류호철(Ryu, Ho-Cheol) 동서미술문화학회 2021 미술문화연구 Vol.19 No.19

        문화재가 가진 의미와 가치를 찾아서 누리고 나누는 것이 문화재 활용이다. 문화재의 가치를 누림으로써 삶의 질을 높임과 함께, 그 문화재의 가치도 더욱 증진할 수 있는 것이어야 바람직한 문화재 활용이 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문화재 정비와 활용은 그것이 가진 본질적 가치를 중심으로 하면서도 가역성(可逆性)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으로 행해야 한다. 문화재를 문화재이게 하는 그 가치와 문화를 유지하면서 그것에 중점을 두고 활용하는 것이 문화재 활용인 것이다. 황룡사지(皇龍寺址) 남쪽 도로광장은 월성(月城)의 일부였던 ‘동궁(東宮)과 월지(月池)’ 북동쪽(동문)에서 황룡사지 남문 앞을 연결하는 큰 도로 겸 광장이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맥락을 존중하여 정비하고 활용함으로써 문화재로서의 의미와 가치를 증진할 수 있다. 우선 발굴조사 후 문화재를 정비할 때는 오늘날 시각에서 보기 좋게, 또는 이용하기 편리하게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라, 과거의 문화상을 가능한 한 그대로 유지할 때 문화재로서의 가치를 증진할 수 있다. 발굴조사에서 드러난 공간구조는 당시 사람들이 자신들의 생각과 의도를 담아 구성한 것이므로, 이러한 문화적 의미와 맥락을 최대한 존중하는 것이 문화재로서의 가치를 높이는 방법이다. 이렇게 정비된 문화재 공간은 과거의 문화를 오늘에 맞게 되살리는 방법으로 활용함으로써 그 가치를 더욱 키울 수 있다. 동궁과 월지, 황룡사지를 잇는 ‘왕의 길’을 걸으며 고대 신라와 서라벌을 생각해보거나 그것에 담긴 역사와 문화를 해설로 듣는 일상적 활용, 왕의 행차와 같이 당시의 문화를 재현하는 특별 활용, 야간 조명으로 월성에서부터 동궁과 월지, 황룡사지로 이어지는 고도(古都)의 밤 풍경을 연출하는 경관 활용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요컨대 황룡사지 남쪽 도로광장은 이 광장을 주변과는 구분되는 특별한 공간으로 정비하고 과거의 문화를 오늘날 상황에 맞추어 되살림으로써 문화재로서의 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The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is to find, enjoy, and share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heritage. We can call it a desirable use of cultural heritage only when we can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also promote the value of the cultural heritage itself. From this point of view, the maintenance and utilization of cultural assets should be carried out in a way that can secure reversibility while focusing on the intrinsic value it has. Since cultural heritage is cultural heritage because it contains culture, we should utilize it as a way to increase its cultural meaning and value. The road square at the south of Hwangnyongsa Temple Site was a large road and square connecting the south gate of Hwangnyongsa Temple from the northeast of Donggung (the palace of the Crown Prince) and Wolji(the pond in the Donggung palac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meaning and value of cultural heritage by respecting and utilizing these cultural contexts. First of all, it is desirable to revive the culture of the past as much as possible, rather than creating a new space that is good to see from today"s perspective or convenient to use. Since the spatial structure revealed in the excavation survey was composed of people"s thoughts and intentions at the time, respecting these cultural meanings and contexts is the way to increase their value as cultural assets. The cultural heritage space can be used as a way to revive the culture of the past to enhance its value. While walking along the ‘King"s Road’ linking Donggung, Wolji, and Hwangnyongsa Temple Site, we can think of ancient Silla and Seorabol(the capital city of ancient Silla), and hear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is road square from the commentator(general use). We can enjoy it as a way to revive the culture of the time, such as the march of the king(special use). At night, we can also think of using lighting to create the night scenery from Wolseong to ‘Donggung and Wolji’ and to the site of utilization (using the scenery). Also, at night, we can use lighting to create the night scenery of the old historic city from Wolseong to ‘Donggung and Wolji’, to Hwangyongsa Temple Site. In short, the road square at the south of Hwangnyongsa Temple Site will be able to enhance its value as a cultural heritage by maintaining the road square as a special space distinguished from its surroundings and reviving the culture of the past in accordance with the current situation.

      • KCI등재

        사회적 공간으로서 청계천의 의미 형성과 변화

        류호철(Ryu Ho Cheol) 역사문화학회 2008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1 No.1

        1937년부터 1977년까지 구간별로 은거(隱渠)되어 거대한 구조물 아래 묻혀 있던 청계천이 2년여의 공사를 거쳐 다시 모습을 드러냈다. 사람들은 청계천 ‘복원(復原)’이라고 일컬어진 공간의 재구성(再構成)에 지대한 관심을 보였고, 역사ㆍ문화ㆍ환경 관련 시민단체들과 여러 언론매체들도 재구성 방향에 관한 담론경쟁 및 의미경합 과정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였다. 청계천 ‘복원’이 이처럼 커다란 사회적 관심을 받은 것은 그것이 단순히 물이 흐르는 하천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오랜 세월에 걸쳐 수많은 사람들과 복잡하고 다양한 관계를 맺으며 지속적으로 문화적(文化的) 의미를 누적해온 공공 공간이었기 때문이다. 정계천은 조선시대 초기부터 은거공사(隱渠工事)가 마무리되던 1977년 무렵까지 문화가 형성되는 장으로, 그리고 그것에 얽힌 갖가지 문화들이 누적되는 사회적 공간으로 기능해온 것이다. 이 연구는 조선시대 초기부터 그것이 은거되어 볼 수 없게 되는 때까지 청계천의 전반적인 의미변화 양상을 역동적인 경쟁 과정으로 분석해보려는 시도이다. 특정한 사회적 공간의 의미변화에 관한 생각은 그것을 보는 시기와 주체, 사회적 상황 등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매우 다양하여 간단하게 말하기는 어려운 것이겠으나, 이 연구에서는 관련 기록과 신문기사, 영상자료 및 장기간에 걸쳐 그것을 경험해온 몇몇 사람들의 진술 등을 통해 사회적 공간으로서 청계천의 의미변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Cheong-gey-cheon(淸溪川) was hidden under huge concrete structure from 1937 through 1977. And it has been restructured under the name of 'restoration'(復原). So many people took an interest in the process, especially NOGs related to history, culture and environment and mass media participated actively in it. People were interested in the restructuring process, as Cheong-gye-cheon is not just a stream of water, but a public space with which people have interacted and on which they have accumulated different meanings. As it were, it has played a role as a public space of culture until 1997 when it was completely hidden. This paper focuses on the general meaning changes of a space as a dynamic process of meaning contestation. It is not simple to argue about the meaning changes of a specific public space because it depends on different factors such as a point of time, its subject, and another various circumstances. So I try to find out general meaning changes of the space through surveying related publications, newspaper articles, videos and interviews with several old people who have experienced Cheong-gye-cheon for a long time. Culture is a dynamic process of meaning formation and also a process of competition for the definition of a subject. This case study is somewhat meaningful as we have an opportunity to think over the relation between a public space and culture changing dynamically in it.

      • KCI등재

        무형문화재 보전 수단으로서 등록무형문화재 제도 도입 필요성과 그 의미

        류호철(Ryu, Ho-cheol) 한국민속학회 2016 韓國民俗學 Vol.64 No.-

        무형문화재를 더욱 적극적으로 보전하기 위해 그 범위를 대폭 확대하고 유형을 다양화했다. 「무형문화유산 보호 협약」을 수용하여 「문화재보호법」을 개정하고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을 분리 제정한 것이다. 그런데 이렇게 무형문화재의 범위를 확대하고 유형을 다양화한 것은 단순히 법적 지위를 확보한 무형문화재의 수를 늘리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보전 관점에서 무형문화재의 특성과 환경이 훨씬 다양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다양해지는 무형문화재의 특성을 수용할 수 있도록 보전 방법을 다각화할 때 새 법에 근거한 무형문화재의 범위 확대는 실질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새 법률에 따라 확대되는 무형문화재들은 보전 관점에서의 특성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볼 수 있는데, 보유자 · 보유단체를 인정하여 적극적으로 보전해야 하는 것들이 한 가지이고 무형문화재로서의 법적 지위만 부여한 채 자연스럽게 전승되도록 하는 것이 적절한 것들이 다른 한 가지이다. 전자는 종래와 같이 무형문화재로 지정하여 적극적으로 보전하고, 후자는 등록무형문화재 제도를 도입하여 자생력을 강화하도록 보전해야 할 대상이다. 이렇게 등록무형문화재 제도를 도입하여 지정 제도와 등록 제도를 병행하는 것은 무형문화재 각각의 특성에 맞는 보전 방법을 확보하는 것으로 정책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다. 또한 무형문화재로서 가치가 있음에도 지정 제도만으로는 포괄하기 어려워서 미지정문화재로 남아 있는 것들에 법적 지위를 부여함으로써 문화재로서의 가치를 공식화하고 무형문화재 보전의 지평을 확대한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We enacted the Act on Preserving and Promot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nd revised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to embrace the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t means we extended the scop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in order to preserve them more actively. Extending the scope means tha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preserved by related acts have more various characteristics from the viewpoint of preservation. So we have to complete the legal system to embrace the characteristics diversified by the new acts. There are two kind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The first is the typ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e have to actively protect by recognizing the holders and holding organizations. And the second is the typ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e need to give legal status to as an object of protection, but we do not need to actively protect. It is effective to designate the former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hile registering the latter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other words, we need to introduce a registering system to preserv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We get several effects by having both the designated heritage system and the registered heritage system. First, we can preserve each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ith a more appropriate prot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heritage. Second, we can preserve far mor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by register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which have not been designated. We apply the registering system to the heritage which is not designated as a cultural heritage on the acts. Third, the transmitter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will do the work more actively with self-respect, because they will be transmitt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which have obtained legal status as valuable heritages. Consequently, we can strengthen the base of preserv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by introducing the registering system t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 KCI등재

        문화재로서 폐사지의 가치 인식과 보존.활용에 관한 제도적 기반 마련

        류호철(Ryu, Ho-Cheol) 보조사상연구원 2021 보조사상 Vol.60 No.-

        일찍이 불교문화가 융성한 까닭에 우리나라에는 폐사지들이 많다. 그런데 그중에서 문화재로 지정 또는 등록된 것은 약 1.84%가 전부다. 나머지는 법적 보호 대상이 되지 못하고 있다. 폐사지들은 빈터가 아니라, 역사적․문화적 가치를 갖는 것들이다. 탑과 탑비, 불상, 당간지주 등 문화재들이 있기도 하고, 매장문화재가 분포할 가능성도 높다. 그런데 보호 장치를 갖추지 못해서 가치를 잃어가는 일이 많다. 소재 문화재들도 도난 또는 훼손되는 일이 흔히 있다. 문화재로서 폐사지를 보존하는 데는 우선 그것들을 문화재로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세 가지 방안을 생각할 수 있는데, 그동안 조사해온 결과를 바탕으로 폐사지들의 가치를 재평가하여 가능한 한 문화재로 지정하는 것이 첫 번째다. 이 연구에서 주목하는 것은 아직 문화재로 지정할 만큼 그 가치가 크지 않은 폐사지들이다. 여기에는 등록문화재 제도를 활용할 수 있다. 새로 도입된 시․도등록문화재 제도를 검토해볼 만하다. 세 번째는 폐사지에 문화재로서의 의미를 부여하는 새로운 제도를 도입하는 것이다. 이는 폐사지를 문화재로 보호하면서도 대부분이 사유재산임을 고려하여 규제를 최소화하는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은 폐사지를 문화재로 보존하고 활용하는 데 필수적이다. 문화재 보존․활용 지평을 넓힌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큰 방안이 될 것이다. There are numerous temple sites in Korea because Buddhist culture flourished early. However, about 1.84% of the temple sites are designated or registered as cultural heritages. The rest of the temple sites have not been designated or registered as cultural heritages and have not been legally protected. However, the temple sites are not just empty sites, but historically and culturally valuable cultural properties. In the temple sites, there are also cultural properties such as pagodas, tombstones, Buddhist statues, and Dangganjiju(flagpole support of a temple),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cultural properties are buried. Even though it is such a valuable cultural heritage, there are many things that lose its value due to lack of protection. Cultural properties located in the temple sites continue to be stolen or damaged. In order to preserve the meaning and value of temple sites as cultural properties,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em as cultural heritages first. I think of three specific ways. The first is to reevaluate the value of the temple sit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and designate those with sufficient value as cultural heritages as possible. At the same time, what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is the temple sites that are not yet valuable enough to be designated as cultural heritages. The registered cultural heritage system can be utilized here. The newly introduced registered cultural heritage system by the metropolitan city or province deserves to be considered. The last option is to introduce a new legal system that gives meaning to the temple site as a cultural property. This is a way to minimize regulations considering that most of the temple sites are private property while protecting the temple sites as cultural heritages. As such, establishing an institutional foundation for the temple site is essential to protecting and utilizing it as a cultural heritage. Furthermore, it will be a significant measure in that it expands the horizon for preserving and utilizing cultural heritages.

      • KCI등재

        고고문화유산의 컬포츠 활용과 그 의미

        이헌종(Lee, Heon-Jong),류호철(Ryu, Ho-Cheol) 역사문화학회 2017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0 No.2

        컬포츠는 과거의 물질문화 등 문화유산 자원에 스포츠의 규칙성과 엄밀성을 적용하여 고고학의 신비함과 더 폭넓은 인문학적 풍성함을 향유하게 하는 새로운 형식의 문화교육체계이자 놀이이다. 문화유산의 특성과 추구하는 가치, 그것을 체험하는 사람들의 연령별․수준별 속성에 맞추어 다채롭게 기획하고 구성할 수 있으며, 컬포츠 구성이나 규칙, 실행 방법, 난이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석기 퍼즐, 지석묘 축조, 기와지붕 만들기, 문화유산 보드게임, 집짓기, 선사인의 하루 체험 등이 컬포츠를 통해 역사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소재들이다. 고고학의 연구 성과를 기초로 제주도 역사는 크게 구석기시대, 신석기시대, 청동기시대, 탐라시대, 중․근세로 시대를 구분하고 있다. 제주도 전역에는 뛰어난 자연경관과 야외 자연사박물관 수준의 풍성한 자연자원을 기반으로 풍부한 문화자원이 잘 보존되어 있다. 고산리 유적과 곽지패총유적의 예를 볼 때, 제주도의 자연자원과 고고문화자원을 기반으로 구축한 컬포츠를 통한 교육적․문화적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여러 지역 주체 간 역할 분담과 협력체계 구축이 필수적이다. 박물관과 발굴조사기관은 제주도의 고고문화자원, 즉 유적과 유물 및 문화자원을 되살리고, 이를 기초로 컬포츠 기획 및 구성과 교육을 통해 지역문화인재 양성을 담당하여야 한다. 지역주민과 학생들은 컬포츠 실행 주체로서 일상 속에서 컬포츠를 즐기며 그것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맡기에 적합하다. 여기에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는 공공기관으로서 컬포츠에 관한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컬포츠 참가자들은 팀원들끼리 서로 협력하며 그것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사회 구성원으로서 기본적인 역량과 자질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을 뿐 아니라 문화적 자긍심을 갖출 수 있다. 나아가 적극적으로 생각하고 능동적으로 사고하며 자기 자신이 실존하고 있음을 느끼는 실존적 진정성(existential authenticity)을 경험하는 단계에 이를 수 있다. 요컨대, 컬포츠는 다양한 계층의 지역 주체들이 참여하며 국가와 지역의 문화적 가치를 함께 나누고 확산시킬 수 있는 문화유산 활용 방법인 것이다. The Culports is articulated as a new form of the play-based cultural education system that enriches a wide range of humanities value and archeological mistery by applying the sports regularity and precision to restoring cultural heritage and capitals. The distinguishing feature of Culports is that it enables educators to manipulate key components of the program (i.e., structure, degree of difficulty, and operational process)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learners’ achievement levels, age-specific groups, or the value pursuing the cultural legacy. For instance, Culports program can comprise various aspects of historical cultures, such as stoneware puzzle, constructing a dolmen, making a tiled roof, building a dugout hut, and experiencing a day life of a prehistorical man. Based on the research in the archeological field, the history of Jeju island can be broadly categorized into the five periods: the Paleolithic era, the Neolithic era, the Bronze age, the period of Tamna, and the Middle/Modern ages. Especially, in Jeju island, known for the unique natural scenery and resources valued at outdoor natural history museum, such cultural remains have been well preserved. For example, in case of Gosan-ri remains and Gwakji shell mound, it is essential for related local parties to build a cooperation system in order to empower cultural and educational effects of Culports. Museums and institutions investigating excavated relics not only restore archeological resources (cultural heritage and remains) in Jeju Island, but culturally educate human resources through the well-designed, culture-based Culports program as well. In this process, local citizen and students as implementing bodies ne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expanding Culports while enjoying it in their daily lives. In the meantime, public institutions, or educational office and local government, should do their duty to systematically support a whole process of implementing Culports education. Participants can have an opportunity to acquire cultural self-esteem in implementing Culports practices by learning basic competence and qualification required for the member of a society. Furthermore, Culports program helps participants think actively and positively, eventually leading them to the level experiencing their ‘existential authenticly.’ In this respect, Culports should be recognized as an approach to utilizing cultural heritage in which all of the people in community share cultural value and then expand it across the coun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