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업무공간별 실내식물 색채와 배색에 대한 선호도 분석

        류상미 서울시립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55

        Green space is decreasing sharply due to the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and aggravation of life environment and integration of city life of modern society is accelerating further. The importance of interior environment where people can feel nature is higher than ever because people living in cities are spending 95% of their time inside. Plants are increasing in work space to relieve stress and mental fatigue of workers because they are spending 80% of the day in the office. Introduction can be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This study composed data of arrangement of colors of indoor plants according to the spacial characteristics from simple planting arranged in work space, and analyzed preference level by space. Work space is classified into industrial space, medical space, educational space, administrative space, and office space, and this study investigated purchase experience of plants, consideration when purchasing potted plants as color, texture, and shape, preference level of coloration of potted plants, and expected effect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of potted plants by work space on office workers with over 2 years of work experience in Seoul. As a result, for preference level of indoor plants by space, the industrial space was in the order of C. medium , P. puteolata, and P. aquatica, and medical space was in the order of P. puteolata, C. medium, and K. blossfeldiana. The preference level of educational space was in the order of A. japonica, Sansevieria spp., and P. puteolata, and administrative space was in the order of P. puteolata, C. medium, and K. blossfeldiana. The preference level of office area was in the order of K. blossfeldiana, C. medium, and A. japonica. Indoor plants planted in group showed high preference level of M01 Anthurium spp., K. blossfeldiana in 5 work space (selling space, medical space, education space, public business space, and general business space), and the preference level was in the order of selling space > education space > medical space > general business space > public business space. Coloration of Anthurium spp. was 53.8 / 33.8 / 8.4 · 33.1 / -11.3 / 17.8, and K. blossfeldiana was 64.2 / 22.9 / 15.9 · 35.8 / -9.7 / 15.0. For arrangement of colors of potted indoor plants in groups, main group and support group preferred green color, It was identified that coloration for potted indoor plants with highest preference level was green color that corresponds to structural color and secondary color, and plants in violet color is preferred the most for accent colour. To conclude, it was identified that when introducing indoor plants in work space, it was identified that people prefer dominant color than plants composed with one color, green color for secondary color, and complementary color or adjacent complementary color of indoor plants that can give contrast of dominant color and secondary color is preferred for the accent color. Keywords: work space, potted plants, color, arrangement of colors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하여 녹지공간은 급격하게 감소되고 있으며, 인구집중, 환경오염 증가 등으로 현대사회 생환환경 악화와 도시생활 집약 문제는 갈수록 가속화 되고 있다. 도시생활권자는 95%의 시간을 실내에서 보내고 있으므로 자연을 접할 수 있는 실내환경의 중요도는 어느 때보다 높다. 하루 중 80% 정도의 시간은 업무 공간 내에서 생활하게 되므로 업무자의 스트레스와 정신적 피로도 감소를 위해 업무공간으로의 식물 증대되고 있다. 식물도입이 무엇보다 중요하도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업무공간에 배치되는 실내식물의 단순 식재에서 탈피하여 공간의 특성에 알맞은 실내식물의 배색 데이터를 구성하고 공간별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업무공간은 상업공간, 의료공간, 교육공간, 행정공간, 사무공간으로 분류하고 해당 공간(서울시 소재)에서 2년 이상의 근무경력을 가지고 있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식물 구입 경험, 색상, 질감, 형태 등의 실내식물 구입시 고려 사항, 실내식물 색채배색 선호도, 업무공간별 실내식물 도입에 따른 기대효과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공간별 실내식물의 선호도는 상업공간에서는 Campanula medium, Peperomia puteolata, Pachira aquatica의 순으로 선호도가 나타났으며, 의료공간은 P. puteolata, C. medium, Kalanchoe blossfeldiana의 선호도가 높다. 교육공간의 선호도는 Ardisia japonica, Sansevieria spp., P. puteolata이며, 행정공간은 P. puteolata, C. medium, K. blossfeldiana이다. 사무공간의 선호도는 K. blossfeldiana, C. medium, A. japonica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룹 식재된 실내식물은 5개의 업무공간에서 모두 동일하게 Anthurium spp. + K. blossfeldiana (M01)의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상업공간 > 교육공간 > 의료공간 > 사무공간 > 행정공간의 순으로 M01에 대한 선호의 차이를 보였다. Anthurium spp.의 배색(Lab)은 53.8 / 33.8 / 8.4 · 33.1 / -11.3 / 17.8이고, K. blossfeldiana는 64.2 / 22.9 / 15.9 · 35.8 / -9.7 / 15.0이었다. 그룹 식재된 실내식물 중 가장 선호도가 높은 배색은 주조색과 보조색에 해당되는 녹색계열이며, 강조색은 자주색 계열의 색상을 가진 식물의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업무공간에 실내식물 도입 시 하나의 색상으로 구성된 실내식물보다는 주조색과 보조색은 녹색계열의 색상으로, 강조색은 주조색, 보조색과 대비를 줄 수 있는 보색 또는 인접보색으로 구성된 실내식물이 선호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요어 : 업무공간, 실내식물, 색채, 배색

      • p73β represses the transactivation of NF-κB through the competitive binding for p300

        류상미 中央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p73은 대표적인 종양 억제 인자인 p53과 유사한 구조와 기능을 가진 전사 인자로 α, β, γ, δ, ε 과 같은 splicing variant로 구성되어있다. p73은 p53과 같이 p21과 같은 하위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함으로써 p53과 비슷한 전사 유도 기작을 통해 DNA 손상 물질이나 여러 가지 스트레스에 의한 apoptosis를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p53과는 다른 조절 기작 즉, p53 비 의존적 apoptosis 와 p21발현 또한 발견이 되었다. 반대로 NF-κB (nuclear factor-ΚB) 는 성숙된 B 림프 세포의 Immunoglobulin Κ 유전자를 전사시키는 중요한 전자 인자로 여러 세포주에서 외부 자극에 의해 빠르게 조절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포성 또는 바이러스성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면역 반응, 스트레스 반응, 염증 반응 및 apoptosis 을 일으키는 과정에 중요 역할을 담당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특히, NF-κB 전사 인자의 활성화가 apoptosis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작용이 알려져 있다. 이 두 전사 인자 들은 여러 많은 외부 자극들에 의해 함께 유도 되는데, p73은 종양 억제 인자이며 p65 (NF-κB/p65subunit)는 그 반대적 기작을 가진 전사 인자 이다.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이 두 전사 인자가 서로의 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조사하였다. 즉, p73β가 매개하는 세포 apoptosis 과정 중에서 p65에 의한 활성 억제 및 그 반대적 영향들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p73β 는 p65 의 활성화를 억제하며, 마찬가지로 p65 또한 p73β 의 활성화를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NA (naphthoquinone 유도체) 처리 및 p73 억제 인자인 MDM2를 이용해 p53 비 의존적 억제 기작 및 외부 자극에 의한 작용을 조사한 결과, p65의 활성화 억제는 p53 비 의존적 p73에 의한 결과임을 다시 한번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리고 TNF-α 와 p65 억제 유전자인 IκB-α를 이용하여 p65에 의한p73의 활성 억제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어떻게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두 단백질이 서로의 작용을 조절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p73β 과 p65는 전사 보조 인자인 p300과 각각 결합한다고 이미 보고된 바 있다. 그래서 핵 내 소량 존재하는 이 보조 인자와 두 전자 인자 사이에 상호 조절 효과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p300 전사 보조 인자는 p73β의 활성을 증가시켰으며, p65 활성 역시 증가시킴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어떻게 소량의 300이 두 단백질의 작용에 영향을 주는지 조사 한 결과, 소량의 p300 보조 인자와의 경쟁적인 결합에 의한 조절 작용 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p300 보조 인자의 과 발현을 통해 두 전사 인자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억제되었던 각 인자들의 활성화가 다시 회복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세포 예정사를 유도하는 p73β 단백질과 세포 예정사 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기능을 가진 p65 단백질의 상호작용이 p300 보조 전사 인자에 의존적 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작용은 세포의 운명을 결정 짓는 중요한 과정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성별과 부모 직업에 따른 과학 선호도와 학업 성취도의 관계 분석

        류상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성별과 부모 직업에 따라 과학 선호도와 학업 성취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과학 선호도에 따른 학업 성취도의 관계를 통해 과학 선호도가 학업 성취도에까지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대상은 중학교 3학년 학생 196명을 대상으로 성취도 평가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남녀 성별에 따라서 흥미나 호기심의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선호도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고 과학 과목의 성취도에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부모 직업이 과학과 관련이 있을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과학 선호 요인 중 가정환경과 개인의 능력에 더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그로 인해 과학을 진로로 택하려 하는 과학 행동 의지에 긍정적 차이를 주게 됨에 따라 과학교과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게 되었다. 또한 부모가 과학과 관련 있는 직업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학업 성취도 또한 높았다. 또한 연구 결과 과학 선호도가 높은 학생일수록 학업 성취도가 높았지만 상관 계수의 차이가 크지 않아 과학 과목의 학업 성취도에는 다른 요인도 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볼 때 남녀 사이의 과학 교과에 대한 선호도나 성취도 차이는 없었고 부모의 직업과 같은 가정 환경적 요인에 의해 과학교과에 대한 선호도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렇게 유발된 선호도가 성취도에까지 영향을 주는 것이다. 하지만 선호도와 성취도의 관계를 보게 되면 선호도와 성취도에서는 상관관계가 있으나 그 관계가 크지 않아 과학 선호도 이외의 과학 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다른 요인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국 성별에 따른 교육과정 차이 보다는 학생들이 과학 상황에 노출을 많이 시켜 환경을 변화시켜주는 것이 선호도와 성취도 증진에 더 효과적일 것이라고 생각된다.

      • Functional anlaysis of the invariant residueG791 in escherichia coli 16S rRNA

        류상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48639

        대장균의 16S rRNA의 잘 보존된 790 loop을 "즉흥 진화" 기법을 이용하여 연구한 결과에서 라이보솜의 단백질 합성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791 염기가 절대적으로 중요하다는 것이 이미 보고되었다 (Lee et al., 1997). 이를 바탕으로 라이보솜의 기능을 위해 필수불가결한 791 위치에 염기치환을 유발하여 제작한 변이체 라이보솜의 기능을 특이화된 라이보솜 시스템인 pRNA122 시스템을 통해 chloramphenicol 에 대한 저항성의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분석하였다. 791 위치에 염기치환을 포함하는 모든 변이체 라이보솜의 CAT 단백질 합성능력은 70 % 이상 감소하였다. 791 염기의 단백질 합성에서의 기능을 규명하기 위해 대장균 유전체 라이브러리와 16S rRNA 유전자 내에서 이차복귀돌연변이체를 발췌하였다. 그 결과, IF1이 과 발현된 791 위치에 염기치환을 가진 변이체 라이보솜을 발현하는 세포에서 단백질 합성능력이 어느 정도 회복되었으며 또한 chloramphenipcol의 저항성의 증가는 세포 내 플라스미드에서 발현된 CAT 단백질의 양적 증가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음을 western blot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16S rRNA 유전자 의 error-prone PCR을 이용한 random mutagenesis를 통해 라이보솜의 decoding 부분에 속해 있는 G1487 염기의 A로의 치환이 기능성이 저해된 라이보솜의 기능을 회복시킴을 보았고, C로의 염기치환 역시 어느 정도의 회복능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서 791 염기는 단백질 합성과정 중 라이보솜 의 P 자리와 A 자리의 연결고리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ppGpp 합성효소인 RelA 가 과 발현된 세포 역시 791 위치의 염기치환으로 인해 기능성이 저하되었던 라이보솜의 기능이 어느 정도 회복 됨을 보았다. 이런 RelA의 라이보솜의 기능향상은 세포생장억제와 housekeeping 유전자 전사저해와 같은 고유기능과는 무관함을 변형된 프라이머 중합반응을 통해 세포내 플라스미드에서 합성된 라이보솜의 양과 크로모솜에 의해 합성된 라이보솜의 상대적인 양을 비교함으로써 확인하였다. 이 결과들을 통해 RelA가 아직 밝혀지지 않은 기작을 통해 라이보솜의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신체상 훈련이 미혼 직장여성의 신체상 증진에 미치는 효과 : 생활재활교사를 대상으로

        상미 경북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Body Image Enhancement Program on the body image improvement of single career wom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 volunteers who worked in institution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Daegu. They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without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took part in cognitive-behavioral body image training program that consisted of 10 sessions(it took 120 minutes). Also they had body image self tests 3 times(pre, post, further.) The training program applied in this study was the body image enhancement program developed by Kim Mi-kyoung(2002), which is restructured to be fitted for single career women. The inventory used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was the rating scale of body image developed by Kim Mi-kyoung(2002). The rating scale of body image in this study consisted of nine sub-factors; body area satisfaction, wishing well, distressing situation, negative thoughts, positive thoughts, appearance evaluation, appearance orientation, fitness/health evaluation, fitness/health orientation. To analyze the data, one-way repeatedly measure was used and the level of significance was set at .05. And then, if necessary, periodically, separate comparison(pre, post, and further) was taken la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Body image enhancement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accepting the bodies as they are. 2. Body image enhancement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decreasing the wishing well of bodies. 3. Body image enhancement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increasing the positive thoughts of bodies.

      • 敎師效能感과 幼兒의 攻擊的 行動에 대한 敎師의 態度 硏究

        상미 成均館大學校 2004 국내석사

        RANK : 248590

        This study analyzes the teacher's attitude to children's offensive behavior according to th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presents some basic information for concrete instruction methods to the offensive propensity. For this purpose, these are the selected research questions. Research question 1 How is the teacher's attitude to children's offensive behavior according to the teacher's sense of efficacy? Research Question 2 : How is the type of teacher's attitude to children's offensive behavior according to the teacher's sense of efficacy? For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earcher selected 114 teachers working at the kindergartens and preschools in Seoul and Kyungki-do as samples, and used a questionnaire. The researcher used STEBI developed by Enochs and Riggs (1990) for the teacher's sense of efficacy belief instrument, and revised the questionnaire used by Min, Hye-Won (2001) for the teacher's attitude to children's behavior. In terms of the data analysis, the researcher let the participants mark if they think each question would be offensive behavior and yielded frequencies and percentages to find if there is a relationship on the participants' response to the children's offensive behavior according to the teacher's sense of efficacy for the first research question. For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the researcher used Chi-square test to observe the teacher's attitude on the children's offensive behavior between high level group (high 30%) and low level group (low 30%) of teacher's sense of efficac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types of children's offensive behavior perceived by the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lthough there is no difference on the teacher's response to children's offensive behavior, according to the teacher's sense of efficacy, it seems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on the teacher's response to children's offensive behavior, according to the internal variables such as educational belief, personality, and the view of children, and the external variable like stress. Second, the high level group of teacher's sense of efficacy shows much of positive attitude to the object offensive behavior and personal offensive behavior, however low level group generally shows negative attitude. High level group generally shows positive attitude to the linguistic offensive behavior, compare to low level group,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relationship. This study shows there are various differences rather on the evaluation of linguistic offensive behavior than on the teacher's sense of effic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