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 내핵 관계절의 존재에 대한 증거와 비증거

        류병래 한국언어정보학회 2022 언어와 정보 Vol.26 No.2

        This paper reviews and critically discusses some widely believed but not entirely evidenced arguments for the so-called Internally-Headed Relative Clauses (IHRCs) in Korean. We deal with two highly controversial issues: the definition issue and the validation issue of the most believed grammatical peculiarities of IHRCs in Korean. We first deal with the previous attempts to define IHRCs in Korean, showing that they fail to differentiate IHRCs from other relative clauses. Furthermore, we show that, contrary to the definition of the relative clauses, IHRCs are neither subordinate clauses nor nominalized sentences in Korean. In addition, we show that the overtness of the pivot element cannot be maintained. We then critically discuss the issue of whether the mostly assumed grammatical peculiarities of the Korean IHRCs get empirically supported by a set of new data. Finally, we dispute widely assumed properties of IHRCs in Korean such as gaplessness, unbounded dependencies, the identity of truth-conditional meaning between IHRCs and Externally-Headed Relative Clauses (EHRCs), and non-restrictive interpretation with maximality effects.

      • KCI등재
      • 한국어 합성 동사성 명사의 어휘구조와 다중 동사성명사 구문

        류병래 한국언어정보학회 2001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1 No.-

        본 논문의 목적은 ``다중 동사성 명사 구문`` (Multiple Verbal Noun Construc-tions)의 논항실현 양상을 이론 중립적으로 고찰해 보고, 이 분석을 제약기반 문법이론인 최근의 핵심어주도 구구조문법 (Hean-driven Phrase Structure Grammar)틀 안에서, 특히 다중계승위계를 가정하는 제약기반 어휘부를 기반으로 형식화해 논항의 실현과정을 기술하고 설명하는 것이다. 우선 일본어의 유사한 현산을 분석한 Grimshaw & Mester (1988)의 격실현 양상에 관한 일반화를 기반으로 한국어 동사성명사구문의 논항실현 양상을 ``논항전이``(argument transfer)라는 이론적 장치를 이용해 형식화할 수 있음을 보이고, 동사성 합성명사의 논항구조를 만들기 위해 ``논항합성``(argument composition)이라는 이론적 장치를 제안한다. 나아가서 다중 동사성 명사구문의 논항실현 과정에서 보이는 겹격표지 현상을 ``격복사``(case copying)를 제안해 동사성 명사의 격표지가 합성명사에서 분리되어 문장단위에서 실현될 때 동일한 격을 복사해 실현한다는 점을 주장하고자 한다. 이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수동과 능동 등 문법기능의 변화현상에서 하위범주화된 요소들의 격변화가 자의적이 아님을 실례를 들어 보여 주고자 한다. 일본어의 경동사 (light verbs)에 관한 분석인 Grimshaw & Mester (1988) 이래 한국어에서도 이와 유사한 구문에 대한 재조명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Ryu (1993b), 채희락 (1996), Chae (1997) 등 참조). 한국어에서 ``하다``와 동사성명사 (verbal nouns)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동사성명사구문``(Verbal Noun Construc-tions)에 대한 기존의 논의는 대부분 하나의 동사성 명사가 ``하나``나 ``되다``등 소위 문법기능을 바꾸는 ``경동사``들과 결합하여 복합술어가 되는 문법적 현상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그와 비교해서 동사성 명사의 어근이 두 개 이상 결합하여 동사성명사들끼리 합성명사(compound nouns)를 이루고 그 동사성 합성명사가 문법기능의 변화를 바꾸는 ``경동사``와 결합하여 이루어진 복합술어에 대해서는 논의가 거의 없는 형편이다. 특히 이 지적은 핵심어주도 구절구조문법틀 내에서는 논란의 여지가 없다. 본 논문의 대상은 바로 이러한 합성 동사성명사의 논항구조와 동사성명사에 의해 하위범주화된 논항들의 문법적 실현양상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1)과 같은 ``다중 동사성 명사 구문``(Multiple Verbal Noun Constructions)의 논항실현 양상을 이론 중립적으로 고찰해 보고, 이 분석을 제약기반 문법이론인 최근의 핵심어주도 구구조문법 (Head-driven Phrase Structure Grammar)틀 안에서, 특히 다중계승위계를 가정하는 제약기반 어휘부를 기반으로 형식화해 논항의 실현과정을 기술하고 설명하는 것이다.

      • 현대 독일어 제3구문의 제약 기반적 분석

        류병래,Ryu Byong-Rae 한국독어학회 2002 독어학 Vol.6 No.-

        Die dritte Konstruktion zeichnet sich dadurch aus, dass Elemente, die vom zu-Infinitiv im 'Nachfeld' $abh\"{a}ngen$, links vom Matrixverb auftreten. Die dritte Konstruktion weist sowohl Eigenschaften auf, die sie als $inkoh\"{a}rent$ ausweist, als auch Eigenschaften, die als syntaktische Reflexe von $Koh\"{a}renzbildung$ bezeichnet werden $k\"{o}nnen$. Das $vollst\"{a}ndig$ extraponierte zu-Infinitivkomplement ist immer satzwertig $(inkoh\"{a}rent),\;w\"{a}hrend$ der intraponierte zu-Infinitiv sowohl nicht-satzwertig $(koh\"{a}rent)$, als auch satzwertig $(inkoh\"{a}rent)$ sein kann. In der vorliegenden Arbeit wird eine constraint-basierte Analyse zur Synatx der dritten Konstruktion im Deutschen dargestellt. Die Analyse wird im Rahmen der Head-driven Phrase Structure Grammar (HPSG) $durchgef\"{u}hrt$, bei der ich wooer von der Bewegung der Komplemente aus dem Nachfeld noch von der Linearen $Pr\"{a}zedenz$ mit neuen Merkmalen ausgehe, sondem von der Typenhierarchie der Konstruktionentypen mit relevanten $Lexikoneintr\"{a}gen$. Es wird zu zeigen versucht, dass die dritte Konstruktion ein Komplementationstyp von non-flip-phrase und partial-vp-extra­phrase ist.

      • KCI등재

        현대 독일어 재귀대명사의 문법적 위상과 재귀동사의 수동화 가능성에 관한 연구

        류병래 한국독어학회 2007 독어학 Vol.15 No.-

        In der vorligenden Arbeit wird versucht, das Verhältnis zwischen dem grammatischen Status vom reflexiven Pronomen sich und der Passivierbarkeit von reflexiven Verben im Deutschen näher zu betrachten. Dabei wird zum Ziel gesetzt, zu zeigen, dass im Deutschen das Reflexivum sich in zwei unterschiedliche Klassen, die in der vorliegenden Arbeit jeweils anaphorisches und nicht-anaphorisches Reflexivpronomen genannt werden, aufgeteilt werden soll. Für die Unterscheidung zwischen dem anaphorischen und dem nicht-anaphorischen Reflexivpronomen braucht man eine Menge von Kriterien. Zu diesem Zweck werden insgesamt 7 Kriterien zusammmengestellt: Koordinationsprobe, Weglassprobe, Erfragbar- keitsprobe, Verschiebeprobe, Modifikationsprobe, Hervorhebungsprobe, Replazive Negation. Eine der zentralen Thesen der vorliegenden Arbeit lautet, dass reflexive Verben im Prinzip passivierbar sind. Das anaphorische Reflexivpronomen verhält sich grammatisch wie ein normales direktes Objekt und reflexive Verben mit einem anaphorischen Reflexivpronomen bilden ohne Probleme persönliche Passivsätze. Im Gegensatz dazu wird das nicht-anaphorische Reflexivpronomen als ein Teil der Verben betrachtet, was aber bedeutet, dass reflexive Verben mit einem nicht-anaphorischen Reflexivpronomen nur unpersönlich passivierbar sind. Zum Schluß hoffe ich, daß diese Arbeit die Passivierbarkeit von reflexiven Verben im Deutschen richtig zu verstehen und zu verwenden helfen kann. Das Ergebnis dieser Arbeit kann auch für den Deutschunterricht für Ausländer nützlich sein. 본 논문은 대격 재귀대명사 sich의 문법적 위상에 대하여 살펴보고, 대격 재귀대명사 sich가 쓰인 독일어 문장의 수동문 형성가능성과 sich의 문법적 위상사이에 성립하는 상관성을 밝혀, 대격 재귀대명사 sich가 쓰인 독일어 문장의 수동가능성과 불가능성에 대한 체계적 기술과 설명을 하기 위한 목적으로 쓰여졌다. 대격 재귀대명사 sich의 문법적 위상에 대한 본 논문에서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대격 재귀대명사 sich는 적어도 대용어적 sich와 비대용어적 sich로 구분되어야 한다. 대용어적 sich는 하나의 독립된 구성성분으로서 지시지표를 갖고, 따라서 명사구의 지표할당을 담당하는 결속이론의 적용을 받아 통사적으로 제약되고 의미적으로 해석을 받아야 한다. 비대용어적 sich는 형태적으로 동사와 분리되어 있기는 하나, 하나의 독립된 구성성분을 이루지 못하고 동사와 함께 하나의 어휘적 단위를 이루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통사론적․의미론적 근거가 충분히 있다. 이들의 구분을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병렬접속 테스트, 삭제 테스트, 질의-응답 테스트, 변위 테스트, 수식 테스트, 대치부정 테스트, 강조 테스트 등 7가지의 기준을 제시했다. 대격 재귀대명사 sich가 쓰인 문장의 수동화 가능성에 관한 본 논문에서의 결론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전통적인 견해와는 달리 원칙적으로 대격 대명사 sich가 쓰인 문장은 수동화가 가능하다. 대용어적 sich가 쓰인 문장은 수동화가 가능하기는 하나, 비인칭수동은 불가능하고 인칭수동만이 가능하다. 비대용어적 sich가 쓰인 문장은 원칙적으로 수동이 가능하나 인칭수동은 불가능하고 비인칭수동만이 가능하다. 왜냐 하면, 비대용어적 sich가 쓰인 문장에서 sich는 독립된 구성성분이 아니고 동사와 하나의 어휘적 단위를 이루기 때문에 기껏해야 자동사일 수밖에 없고, 자동사는 비인칭수동만 가능하지 인칭수동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의 의의는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독일어의 동사 중 대격 대명사 sich와 함께 쓰이는 비순수재귀동사들이 수동형이 불가능하다는 DUDEN견해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수동이 가능한 동사와 수동이 불가능한 동사를 가려내기 위한 기준을 기존의 문헌에서 정리․제시하였다. 또한 중간태구문 Medialkonstruktionen 혹은 중간태동사 Medialverben는 일반적으로 수동이 불가능한 이유를 통합적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재귀동사의 수동가능성에 대한 모국어 화자의 직관이 항상 일정한 것은 아니고, 독일에서도 지역간의 차이가 드러나는 경우가 있는 점은 비모국어화자들의 독일인 언어능력 규명에 한계로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 본 논문에서도 이 한계는 완벽하게 극복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또한 lassen과 함께 쓰인 A.c.I.(Accusativus cum Infinitivo) 구문에 sich가 나타난 경우의 수동가능성에 대한 논의는 지면상의 제약으로 다루지 못하였다(Reis(1976), Grewendorf(1983) 참고). 이를 포함한 미진한 연구는 후일의 개인적인 연구과제로 미루기로 한다.

      • KCI등재
      • 국가 IT 온톨로지 구축을 위한 상위 온톨로지 설계에 관한 기초연구

        류병래 한국언어정보학회 2006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6 No.-

        본 연구는 『국가 IT 온톨로지 인프라 기술개발』 연구에서1) 진행하고 있는 정보기술 (Information Technology, 이하 IT) 온톨로지 구축을 위한 상위 온톨로지 (Upper Ontology)의 설계에 관한 기초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구축하려는 IT온톨로지의 상위층위 클래스를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가에 대한 답을 구하는 것이다. 온톨로지(ontology)란 그리이스어 ``ontos``(being)과 ``logos``(words)에 그 어원을 두고 있다. 이는 원래 철학(philosophy), 더 구체적으로는 형이상학(metaphysics)의 한 분야로서, 존재 (being, existence)의 본질에 관한 학문이다. 존재의 본질을 밝히기 위해서는 세계를 구성하고 있는 각 개체의 정의와 범주화 그리고 분류, 그들 사이에 성립하는 관계 등에 대한 이해가 명확해져야 한다. 최근 온톨로지는 철학 뿐만 아니라 언어학, 문헌정보학, 인공지능, 자연언어처리, 최근에는 시멘틱웹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주제이다. 언어학에서는 인지의미론이나 어휘의미론, 범주론, 형식의미론 등의 분야에서 온톨로지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개념적 공감대가 아직은 명확하게 서 있지 않은 상태라고 평가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공유된 개념화에 대한 형식적이고도 명시적인 기술(A formal, explicit specification of a shared conceptualization)로 이해가 되고 (Gruber (1993)), 그 구체적인 모습은 어느 특정 영역을 모형화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공유 어휘 (A shared vocabulary, which can be used to model a domain)로 나타난다. 이 공유 어휘는 개체들의 유형과 개념, 속성, 관계 등을 가리킨다.

      • KCI등재

        Multiple Case Marking Constructions in Korean Revisited

        류병래 한국언어정보학회 2013 언어와 정보 Vol.17 No.2

        This paper presents a unified approach to multiple nominative and accusative constructions in Korean. We identify 16 semantic relations holding between two consecutive noun phrases (NPs) in multiple case marking constructions, and propose each semantic relation as a licensing condition on double case marking. We argue that the multiple case marking constructions are merely the sequences of double case marking, which are formed by dextrosinistrally sequencing the pairs of the same-case marked NPs of same or different type. Some appealing consequences of this proposal include a new comprehensive classification of the sequences of same-case NPs and a straightforward account of some long standing problems such as how the additional same-case NPs are licensed, and in what respects the multiple nominative marking and the multiple accusative marking are alike and different from each other.

      • KCI우수등재

        한국어 ‘다시’의 중의성: 전제 기반 어휘 분석

        류병래 한국언어학회 2018 언어 Vol.43 No.4

        Ryu, Byong-Rae. 2018. On the Ambiguity of tasi (again) in Korean: A Presupposition-based Lexical Account. Korean Journal of Linguistics, 43-4, 695-720.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interpretation and representation of the meaning of an adverb of repetition, tasi (again), in Korean. We present a set of new data drawn from the Sejong 21 Corpus, showing that tasi (again) is ambiguous between a repetitive, a restitutive, and a sequential reading. The sequential reading has not been reported in the literature yet. We present a unified presupposition-based lexical analysis of tasi (again) according to which the ambiguity arises solely in the presuppositional component. It is argued that the same eventuality (repetitive), the counter-directional eventuality (restitutive) or the complement of the eventuality (sequential) described by the predicate is presupposed. In all the three readings, the assertion of tasi (again) remains constan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