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지고』와 『동역도』의 9대로 비교 연구

        류명환(Myung-Hwan Ryu),김기혁(Ki-Hyuk Kim)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3 문화 역사 지리 Vol.25 No.1

        본 연구는 『여지고』에 담겨 있는 도로의 내용이 지도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신경준이 저술한 『여지고』의 대로와 『동역도』에서 도로의 내용이 표현되는 방법을 비교 분석하였다. 『여지고』는 『도로고』 저술 내용을 바탕으로 『여지고』의 편찬 목적에 맞게 9대로로 편집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동역도』는 『여지고』에 수록된 대로 내용을 반영하고 있는 지도로, 『여지고』에 기술된 9대로의 지명과 경로, 거리를 그대로 표현하고 있다. 특히 경흥제2로 부령-회령 구간과 동래제4로 유곡-낙동강 구간은 『여지고』의 기록과 『동역도』에 묘사된 경로 표시가 일치하는 전형적인 사례이다. 따라서 『동역도』는 시기적으로 신경준의 후대에 해당되지만 표기된 대로의 내용은 『여지고』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roads in Yeojigo are reflected in old maps. For this reason, Daero(main road) in Yeojigo by Shin Kung-Jun and the roads in Dongyeokdo are compared and nalyzed. Yeojigo seems to adopt Nine Daero based on Dorogo, satisfying the purpose of its compilation. Especially, Dongyeokdo reflects the Daero in Yeojigo, describing the distances, the courses and the sites of Nine Daero as they are expressed in Yeojigo. The section between Buryeong and Hoeryeong of the Second Gyeongheungro and the section between Yugok and Nakdong of the Forth Dongraero are typical cases where the records in Yeojigo are identical to those in Dongyeokdo. Therefore, though Dongyeokdo was made after Shin Kyung-Jun's era, its contents ofDaero are based on those of Daero in Yeojigo.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필사본 『사연고』의 편찬 현황과 성격에 대한 연구

        류명환(Myung hwan Ryu)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6 문화 역사 지리 Vol.28 No.3

        고려대학교 소장 『사연고』 필사본은 신경준이 저술한 것으로, 정인보와 김춘동이 교열한 『여암전서』에 실리면서 소개되었다. 주요 내용은 사연을 핵심으로 하여 사행로, 조석, 해도, 천문, 지형으로 구분된다. 영조대 강역의 범위를 정리한 『사연고』는 고대에서 근세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강역의 역사적인 변화를 고증한 『강계고』에 뒤이어서 저술된 인문지리서이다. 중국의 한 부분이 아닌 조선의 독자성을 강조한 신경준의 역사·지리관이 관찬지리서인 『여지고』에 그대로 반영됨으로써 그의 지리서들은 영조대 조선의 공식적인 시각으로 자리매김을 한다. 또한 신경준의 『강계고』와 『사연고』는 개별적으로 저술된 것이 아니라 『여지고』라는 종합적인 지리서 편찬을 위한 밑그림을 완성하는 과정에 연속적으로 편찬된 지리서로 추정된다. 한편 일제강점기인 1939년에 간행된 『여암전서』에 실린 『사연고』 교열본은 일제의 출판 지침과 검열을 피하기 위해 필사본을 교열하는 과정에서 다른 용어로 대체하거나 삭제한 것이 확인된다. The manuscript of Sayeongo possessed Korea University was written by Shin Kyung-Jun. This book was firstly introduced in Yeoamjeonseo written by Jeong In-Bo, and Kim Chun-Dong. This study dealt with Sahaengro, tide, island, astronomy, topography, especially concentrated upon the Sayeon. Sayeongo, which established the range of territory in Young-Jo period, is anthropo-geographical book following Ganggyego that ascertain historical changes about our country’s territory from ancient to modern ages. Yeojigo, compiled by government with emphasizing the originality of Chosun, not the part of China, contained writer’s view of history and geographic perspective. As a result of this, the writer’s view was become widely-accepted theory in Chosun. In addition, it is estimated that Ganggyego and Sayeongo had been sequentially written as rough sketch for Yeojigo, which is multidisciplinary geographic book. Revising Sayeongo, meanwhile, reported on Yeoamjeonseo in Japanese colonial era, 1939, was founded particular parts, which were replacing and erasing words, and contents to avoid censoring and publishing guidelines of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s.

      • KCI등재

        신경준의『道路考』중「四沿路」분석

        류명환(Myung-Hwan Ryu) 韓國文化歷史地理學會 2010 문화 역사 지리 Vol.22 No.3

        본고는 신경준이 저술한 『道路考』중에서 「四沿路」를 중심으로 그 성립 배경과 의미, 경로 등을 연구하였다. 『道路考』는 4권 2책의 필사본으로 「御路」, 「六大路」, 「四沿路」, 「驛路」, 「擺撥路」, 「烽路」, 「海路」, 「潮汐」, 「風雨」, 「開市」등의 내용을 담고 있어, 당시 우리나라의 교통로에 대한 모든 정보를 종합하면서 실용적인 지식을 담고 있는 지리서로 판단된다. 특히 『道路考』는 우리나라의 뼈대에 해당하는 「六大路」와 혈관을 이루는 「旁通之路」, 바깥 형상을 두루는 「四沿路」가 종합되어 우리나라의 도로망 체계를 갖추고 있다. 사연은 우리나라의 동서남북, 즉 사방을 가리키는데 '백두산로', ' 두만강연로', ' 압록강연로'를 포함하는 양강연과 '팔도해연로'에서 언급되는 동해연, 남해연, 서해연에 해당한다. 「四沿路」는 사연에 접하는 모든 군현을 연결시켜 읍치뿐만 아니라 월경지까지 경로에 포함하고 있다. 신경준에 의해 최초로 정립된 「四沿路」는 숙종대 국경분쟁이 대두되면서 영조대에 이르러 이 개념을 도입하여 우리 영역의 범위 설정을 시도하고 있다. 이는 우리 강역에 대한 인식에 바탕한 영토관의 반영이며, 신경준 이후로 제작되는 『청구도』, 『동여도』, 『대동여지도』등의 방안식 지도에도 압록강-백두산-두만강을 잇는 지역이 지도화되는 것으로 계승되고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background, significance, and courses of Sayeonro in 『Dorogo』 written by Shin Kyung-Jun. 『Dorogo』 is a manuscript composed of two volumes in four books and contains Eoro(King's Road), Six-Daero(Six Main Roads), Sayeonro(Four Peripheral Roads), Yeokro(Horse Road), Pabalro(Post Road), Bongro(Signal Fire Road), Haero(Sea Road), Joseok(Tide), Pungwoo(Wind and Rain), Gaesi(Open Market) and so on. 『Dorogo』 is regarded as a geography book which generalizes every information about the roads of our nation and contains practical knowledge at that time. Especially, this book shows that our road system is a network of Six-Daero, a skeleton of our main roads and Sayeonro, blood vessels of our perimeter roads. Sayeon means four directions: East, West, South and North. It includes Yanggangyeon with Baekdusanro, Amnokgangyeonro, and Dumangangyeonro, Eastseayeon, Southseayeon, and Westseayon, which are involved with Paldohaeyeonro. Sayeonro connects all the Gunhyeons, counties and prefectures and includes not only Eupchi but also Wolgyeongji as its courses. The concept of Sayeonro, established by Shin Kyung-Jun for the first time, was used to set a boundary to define our territory in the King Youngjo period after a border dispute in the King Sukjong period. This reflects the perception of the territory based on the awareness of our domain. And it affects the mapping of the area connecting Amnok River, Mt. Baekdu, and Duman River on the grid-system maps such as『Cheonggudo』, 『Dongyeodo』, and 『Daedongyeojido』, all of which were made after Shin Kyung-Jun.

      • KCI등재

        한국사상(韓國思想)(사학(史學)) : 조선시대 사찰 기록 비교를 통한 『가람고』 편찬의 의의

        류명환 ( Myung Hwan Ryu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79 No.-

        조선시대에는 사찰 관련 기록이 국가의 운영과 통치 자료로 편찬된 지리지의 주요 항목으로 구성된다. 현전하는 최초의 기록은 『경상도지리지』의 불우 항목에서 출발한다. 이어 『세종실록지리지』의 사찰 기록, 『경상도속찬지리지』의 승사 항목, 『신증동국여지승람』의 불우 항목, 『동국여지지』의 사찰 항목, 『여지도서』의 사찰 또는 불우 항목 등으로 세종대에서 영조대까지 사찰은 지리지의 한 항목을 구성하였다. 그러나 1770년에 편찬된 『동국문헌비고』 중 『여지고』부터 사찰 항목이 전국지리지에서 제외되면서 신경준에 의해 『가람고』라는 독립된 사찰지가 완성된다. 현재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필사본 『가람고』는 영조대 1,459개의 사찰을 기록하고 있다. 신경준은 『가람고』를 저술하면서 기존의 지리지에서 사용되던 승사, 불우, 사찰이라는 용어를 인용하지 않고 지리지로부터 독립된 분야로서의 정체성 내지 독자성을 내세우기 위해 산스크리트어에서 가람이라는 용어를 차용한다. 신경준은 영조대에 진작되는 국학 연구의 분위기 속에서 기존의 지리지 혹은 백과전서 속에 묻혀있던 지리학 영역의 ‘강계’, ‘도로’, ‘산천’, ‘사찰’을 독립시켜 고증학적 방법을 통해 『강계고』, 『도로고』, 『산수고』, 『사연고』, 『가람고』 등 독자적인 지리서를 저술한다. 더욱이 『가람고』는 사찰을 대상으로 한 책이 단일본으로 처음 편찬되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영조대 학문의 종합화와 전문화가 함께 일어나는 시기에 『가람고』 편찬은 학문의 전문화 경향을 반영하며, 신경준은 이 시기에 지리학이 독자성을 가지는 계기를 만들면서 조선 지리학의 분류사를 체계화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The records of Buddhist temples was the one of the main category in the Joseon dynasty. Gyeongsangdojiriji(慶尙道地理志) is the oldest record. And then, Buddhist temples had held an important part between King Sejong and King Youngjo in Sejongsilokjiriji(世宗實錄地理志), Gyengsangdosokchanjiriji(慶尙道續撰地理誌), Sinjeungdonggukyeojiseungram(新增東國輿地勝覽), Donggukyeojiji(東國輿地志), and Yeojidoseo(輿地圖書). However, Garamgo(伽藍考), which is the geography book focused on the Buddhist temples, was completed by Shin Kyoung-Jun(申景濬), because the Yeojigo(輿地考), part of the Donggukmunheonbigo(東國文獻備考), did not include the section of the Buddhist temples. In King Youngjo’s reign, synthesisation and specialisation of the study, and the compliation of Garamgo (伽藍考) is the one of the evidence to reflect the trend. In addition, Shin Kyung-Jun(申景濬) can be evaluated the scholar who systetized the classification of geography in Joseon dynasty with furnishing the opportunity for geograhy to have originality.

      • KCI등재

        신경준의 『도로고』 필사본 연구 Vol.26 No.3

        류명환(Myung Hwan Ryu)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4 문화 역사 지리 Vol.26 No.3

        신경준이 1770년에 저술한 『도로고』는 국립중앙도서관과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4권 2책의 필사본이 결본없이 전하고 있으며,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도 1책이 소장되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과 규장각 소장본의 편찬 체제는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京都까지의 道程, 주요 소재지까지의 방향, 사방 경계까지 거리 등에서 기록의 차이가 있어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필사본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장서각 소장본 『도로고』는 권3 · 4의 1책만 남아있지만 내용은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2책 중 坤과 거의 일치한다. 특히 장서각 소장본은 두 소장본보다 크게 만들어져 書眉가 길게 나타나고, 寫字官體를 사용하고 있어 御覽用으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도로고』는 영조대에 신경준이 개인적으로 저술한 지리서이지만 정조대에 다른 도정을 기록한 필사본이 존재하는것으로 볼 때 당시 주요 기관에서 필사하여 소장한 것으로 판단된다. 더욱이 장서각 소장본 『도로고』는 어람용으로 제작된 것으로 보아 신경준이 만든 지리서의 가치와 그의 지리학적 역량을 확인할 수 있다. The manuscripts of 『Dorogo』, written by Kyung-Jun Shin in 1770, remain perfect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Kyujanggak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with the whole contents composed of two volumes in four books. Also, one book of 『Dorogo』 is housed in Jangseogak Archives at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While the manuscripts stored in the Library and Kyujanggak are composed under the same system of compiling, there seem to have been not fewer than two different manuscripts, taking into account some differences, such as Dojeong(道程, a kind routes) toward the capital(京都), directions to major seats of authorities, and the distance to the border in all directions. At the same time, the manuscript in the Archives is almost identical with Gon(坤) in two books located in the Library, although there is only the first book of the third and forth volumes. Particularly, the manuscript of the Archives not only was made larger than the others, thereby having long Seomi(書眉) but also was composed under the use of Sajaguanche(寫字官體, a style used by officers who transcribe documents), which enables to assume the possibility of having the purpose of the royal inspection(御覽用). Despite being authored privately as a geography book, it can be concluded that leading government institutions transcribed and kept this book at that time, given that there were other manuscripts which recorded different routes under the reign of King Jongjo. Furthermore, the fact that a manuscript of this book in the Archives was published for the sake of being seen by king shows the value of the geography book as well as the author's capacity for the geological knowledge.

      • KCI등재

        조선 후기 고지도의 사찰지명 변화 연구:

        류명환(Ryu Myung hwan)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7 문화 역사 지리 Vol.29 No.3

        『대동여지도』에는 115개 군현에 242개의 사찰지명이 수록되어 있다. 『대동여지도』에 수록된 사찰지명은 『조 선지도』·『해동여지도』·『청구도』 등 대축척 지도와 지리지를 비롯한 『가람고』·『범우고』 등 사찰지의 기록까지 참조 하여 제작된 것으로 확인된다. 『대동여지도』 수록 지명 중 자연지명과 행정·군사지명을 제외하면 사찰지명이 가 장 많은데, 이는 외세 침략이 이루어지던 당시 승군을 담당한 사찰이 호국불교 역할을 하였기 때문에 중시된 것 으로 판단된다. 특히 김정호는 『청구도』에 표기된 지명을 『대동여지도』에 수용하면서 산지지명을 사찰지명으로 수정하며, 중복 기록한 사찰지명은 삭제하고, 누락되었던 사찰은 추가로 기록한다. 또 『대동여지도』에는 『청구도』 수록 내용을 수정하면서 사찰지명이 고개와 산지지명으로 바뀐 경우도 있고, 배방사(사천)의 경우처럼 배왕사와 배방사를 함께 판각하는 오류도 나타난다. There were 242 temple names in 115 Gun-Hyeon units in Daedongyeojido. This was made by referring to the records of geographical books, Garamgoand Bumugo, which is the geography book focused on the Buddhist temples, including large-scale maps such as Joseonjido, Haedongyeojido,Cheonggudo. To the exclusion of the place name of natural, administrative, and military zone, in addition to, the temple names were mentioned the most frequently. It is because one of the most significant role of the temple was the protection of the country with Buddhist monk soldiers, when foreign invasions era. In particular, Kim Jeong-ho adopted the place names in Cheonggudoin Daedongyeojidoto modify the mountain place names to the temple names, and correct the mistake of eliminating duplicated temples. There were some errors, however, which were wrote the hills and the mountains instead of temple names in Daedongyeojido. In case of Baebangsa in Sacheon, moreover, there was a mistake as engraving Baewangsa in company with Baebangs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