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프로젝트학습의 성과 예측요인 탐구

        류다현(Ryoo DaHyeon),김동심(Kim Dongs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7

        본 연구는 대학생의 프로젝트 학습에서의 성과를 예측하는 변인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학습성과 변인으로 팀 몰입행동, 과목 만족도와 인지 성취도를 선정하였다.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협력적 자기효능감, 팀 공유정신모형(과제관련, 팀원관련)을 예측변인으로 상정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 A대학의 대학생 76명을 대상으로 학기 말 설문조사를 통해 수행되었으며, 수집된 설문은 다중회귀분석과 단순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팀 몰입행동에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팀원관련 공유정신모형이 유의한 예측력을 보였다. 과목 만족도에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팀원관련 공유정신모형이, 인지된 성취도에는 팀 몰입행동과 팀원관련 공유정신모형이 유의한 예측력을 보였다. 팀 공유정신모형은 팀 몰입행동 뿐만 아니라 학습성과 변인 모두에서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난 반면, 협력적 자기효능감은 팀 몰입행동과 과목 만족도만을 예측하였다. 또한 부트스트래핑 분석결과, 팀 몰입행동은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인지된 성취도간에 완전 매개역할을, 팀원관련 공유정신 모형과 인지된 성취도 간에 부분 매개역할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ritical factors that influenced learning outcomes in team project-based learning. In this study, project-based learning outcomes were divided into primary learning achievement(team commitment) and secondary learning achievement(satisfaction, perceived achievement). It is to examine in detai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ing process in cooperative learning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outcome. Through review of previous research, self-efficacy for group work, shared mental model were selected as predictive factors. Data was collected from 76 undergraduates who participated a team project at A university located in capital area, Korea. Stepwise regression and simple mediation analysis were employed to test the proposed model. The main research findings of study were as follows: Fist,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nd shared mental model of team members significantly predicted on team commitment as the primary learning outcome. Second,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nd shared mental model of team members had significant predictors satisfaction. Team commitment and shared mental model of team members had significant predictors achievement of the secondary learning outcomes. Shared mental of team members was significant factor to predict on academic outcomes. Third, team commitmen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nd perceived achievement. Also, team commitment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shared mental of team members and perceived achievement.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a learning strategy to enhance learning outcomes of college students team project based on the findings.

      • KCI등재

        온라인 학습공동체에서 지식공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 영향관계 탐색

        이정민(Lee Jeongmin),류다현(Ryoo DaHyeon),고은지(Ko Eunji),박연정(Park Yeonjeo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6 열린교육연구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학습공동체의 지식공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데 있다. 선행 연구를 고찰하여 환경적 요인으로는 자율성, 학습자 내적요인으로는 협력성향과 다양성 수용도, 관계적 요인으로는 사회적 실재감을 선정하여 가설적 경로모형을 상정하였다. 연구를 위해 A대학 자연과학대학 바이오분야의 자발적으로 구성된 온라인 학습공동체를 선정하였으며,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154명의 대학 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거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자율성은 협력성향과 다양성 수용도, 사회적 실재감에 직접적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실재감을 통해 지식공유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학습자 내적요인인 협력성향은 사회적 실재감과 지식공유행동에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사회적 실재감을 통해 지식공유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다양성 수용도는 사회적 실재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지식공유행동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또한 관계적 요인인 사회적 실재감은 지식공유행동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온라인 기반 학습공동체 에서의 지식공유행동을 촉진하기 위해 학습 환경 및 학습자 성향, 공동체 내 상호관계를 신중히 고려해야 할 것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learning environment factors, individual factors, relational factors, and knowledge-sharing behavior in an online learning community.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s, autonomy was chosen as a learning environment factor, collaborative preference and openness to diversity were determined as an individual factor, and social presence was selected as a relational factor. The proposed path model posited that autonomy, collaborative preference, openness to diversity, and social presence influenced knowledge-sharing behavior. The model was tested with 154 Natural Science college students who have been participating in on online based learning community regarding bio-science and bio-engineering. Path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autonomy had direct effects on collaborative preference; openness to diversity, social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had an indirect effect between autonomy and knowledge-sharing behavior. In addition, collaborative preference had direct effects on social presence, knowledge-sharing behavior and had an indirect effect on knowledge-sharing behavior. Openness to diversity affected social presence and did not affect knowledge-sharing behavior. The implications of enhancing knowledge-sharing behavior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 KCI등재

        영재의 기업가정신 유형화 연구

        김동심(Kim Dongsim),류다현(Ryoo DaH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2

        본 연구는 영재의 기업가정신을 유형별로 범주화하고, 성별, 학년별, 영재교육 경험 및 자기조절학습을 기준으로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편의표집된 경기도 A영재교육원의 총 93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활용 하여 K-평균 군집분석을 통해, 기업가정신을 유형화하였으며,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여 유형화된 집단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기업가정신 유형은 4가지로 구분되었으며, 각 군집의 특성을 고려하여 ‘열정가’, ‘안정지향자’, ‘이상가’, ‘실천가’로 명명하였다. 군집 1인 ‘열정가’는 창업의지와 직업가치를 중간수준이었으며, 투자감각과 돈의 가치는 중하수준이었다. 군집 2인 ‘안정지향자’는 모든 영역인 하하인 가장 낮은 집단이었으며, 군집 3인 ‘이상가’는 하 수준인 창업의지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영역이 중 수준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군집 4인 ‘실천가’는 중 수준의 직업가치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영역이 상 혹은 상상으로, 가장 많은 영재(39.76%)가 속한 집단이었다. 기업가정신 유형에 따라 성별, 학년, 영재교육 경험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다. 창업의지만 성별에서 유의적 차이를 보이고, 나머지는 차이가 없었으며, 기업가정신이 높은 집단이 높은 자기조절학습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영재의 기업가정신 교육을 위한 지침과 지원요소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ntrepreneurship of gifted and talented student which should be examined to ensure high quality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focus on entrepreneurship, which integrate entrepreneurial intent, investment acumen, money as tool, and entrepreneurial career values. Except insincere responses data from a total of 93 participant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in this study. K-mean cluster analysis method was used to examine how gifted and talented student could be distinguished depending on entrepreneurship typ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four different types of gifted and talented student(enthusiastic person type, stable oriented person type, Idealist type, and practitioner type). This study examined what distinctive characteristics exited in each type depending on gender, grade, experience of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Results from this study provide various strategie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f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