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형이의(類形異義) 관계의 설정과 어휘 대조 연구

        도재학(Doh, Jae-hak),허인영(Heo, In-yeong)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7 아시아문화연구 Vol.43 No.-

        본 연구에서는 유형이의(類形異義) 관계의 설정 필요성을 논의하고, 유형이의 관계의 개념을 토대로 한자문화권에 속하는 동아시아 삼국의 언어들(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사이의 어휘 체계를 대조해 보고자 하였다. 유형이의 관계란, 형식이 같거나 비슷하지만 그 의미가 다른 것들 간의 관계를 가리키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용어이다. 엄밀히 따져볼 때 한․중․일 한자어의 어휘 대조 연구를 위해서는 동형이의 관계라는 용어의 사용이 적절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유형이의 관계의 개념을 검토하면서, 이와 관련하여 유럽어를 대상으로 많은 성과가 축적된 가짜 친구(false friend)라는 용어에 대해 함께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기존 어휘 대조 연구의 의의와 문제점을 짚어 보고 한․중․일 한자어 대조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면서 [배움]의 소체계에 속하는 한자어를 대상으로 각 언어의 어휘 체계 간의 대조를 시도하였다. We discussed a necessity of establishing a relation of False Friends and made an attempted to contrast the lexical systems of three East Asian languages under Sinosphere - Korean, Chinese, Japanese - based on the relation. We proposed the term ‘the relation of False Friends’ to refer to a relation of that forms are same or similar but meanings are different. Strictly speaking, since, the term Homonymy is not appropriate for the study of lexical contrast among Chinese words in Korean, Chinese, Japanese. When we were discussing the notion of a relation of False Friends, in this context we checked the term False Friends which linguists has accumulated a lot of outcomes especially on European languages. Next, we examined the significances and problems of the existing research of lexical contrast, suggested an orientation of the contrastive research of Chinese words in Korean, Chinese, Japanese, and made an attempt to contrast the lexical systems of the languages by the Chinese words under the subsystem of [LEARNING].

      • KCI등재

        한국어에서의 `바람(wish)` 개념의 실현 방책과 범주에 대하여

        도재학 ( Doh Jae Hak ) 민족어문학회 2016 어문논집 Vol.- No.78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를 대상으로 `바람` 개념의 다양한 실현 방책을 확인하고 그 범주를 규정해 보고자 하였다. 문장, 어휘적 어사, 문법적 어사와 관련된 일곱 가지 유형을 확인하였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명령문의 기원적 해석, ②청유문의 기원적 해석, ③기원문 표지 `-소서`의 사용, ④연결어미 `-면`이 이끄는 반사 실적 조건절의 기원적 해석, ⑤기원을 나타내는 동사를 서술어로 사용, ⑥희구를 나타내는 우언적 구성의 사용, ⑦`제발, 꼭, 부디, 아무쪼록` 등을 ①-⑥의 경우와 함께 사용, 등이다. 그리고 이들 각각의 문법 범주를 규정하고자 하였다. ①,②의 경우는 문법 범주로서의 문장유형으로 `명령문`과 `청유문`을 설정하였다. 화자가 원하는 사태가수행주의 통제 가능성 밖에 있을 때 기원의 의미가 해석된다. ③의 경우는 기원문 표지 `-소서`를 설정하고 이것이 사용된 문장 유형 `기원문`을 설정 하였다. 문말 서법으로서는 간접인용절에서의 특성을 고려하여 `명령법`으로 보았다. ④의 경우는 조건의 연결어미 `-면`이 이끄는 반사실적 조건절을 `부사절`로 규정하였고, 의미 특성을 강조한다면 `조건 부사절`로 부를 수 있다고 보았다. ⑤의 경우는 기원이라는 의미를 공유하는 `기원 동사`를 설정하였다. ⑥의 경우는 문법적 양태로 규정할 수 있고, 의미를 특정한다면 `희구의 동적 양태`로 규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⑦의 경우는`양태 부사`이고 의미 특성을 강조하면 `기원 양태 부사`로 설정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그간 종합적으로 논의 된 바 없는 다섯 가지 우언적 구성들을 대상으로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various strategies for expressing a concept of `wish` and designating individual grammatical categories of them. The biggest reason for this discussion is that `wish` was little treated conceptual category in Korean linguistics. There are seven ways that could mean `wish`; ①optative interpretation of imperative sentence, ②optative interpretation of hortative sentence, ③use of optative sentence marker `-soseo`, ④optative interpretation of counterfactual conditional clause led by connective ending `-myeon`, ⑤predicative use of verbs denoting `wish`, ⑥use of periphrastic construction denoting `wish`, ⑦use of optative modality adverb `jebal, budi, amujjorog, etc.` with the strategies ①-⑥ . The grammatical categories of ①-⑦ are as follows. ① and ② are imperative sentence and hortative sentence as grammatical sentence type. These are interpreted as optative when a situation desired by the speaker is out of controllability of the agent. `-soseo` ③ of is an optative sentence marker, and the whole sentence is optative sentence. In this case, it is imperative mood in terms of a property that is expressed by `-(eu)ra` in the indirect quotation clause. `-myeon` of ④ is connective ending, and the clause led by it is a conditional adverbial clause. In ⑤ and ⑦, verbs and modality adverb of `wish` could be set up as a kind of lexical classes. And ⑥ is desiderative (grammatical) modality that is not necessary and have nothing to do with any speech-act. Finally, it is examined tha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five periphrastic constructions.

      • KCI등재

        국어 문장의 중의성에 대하여

        도재학(Doh, Jae-hak)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8 아시아문화연구 Vol.46 No.-

        본 연구에서는 국어 문장의 중의성의 유형과 맥락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주요 내용을 논의하기에 앞서 화맥과의 결부 여부에 따라서 언표와 발화라는 문장의 두 차원을 구별하였다. 그리고 중의성의 유형은 언표 문장과 발화문장이라는 문장의 차원, 그리고 각 차원에서의 중의성을 발생시키는 요인에 따라서 분류될 수 있다고 보았다. 언표 문장 차원에서는 ① 어휘적 중의성(다의어, 동음이의어, 지시사의 조응), ② 구적 중의성(지시 해석), ③ 구조적 중의성(수식 구조, 접속 구조) 등 세 가지를 나누었다. 발화 문장 차원에서는 ① 화시 해석에 의한 중의성, ② 정보구조의 차이에 의한 중의성, ③ 참여자의 태도에 의한 중의성, ④ 발화 장면의 관여에 의한 중의성, ⑤ 사회문화적 배경지식의 관여에 의한 중의성 등 다섯 가지로 유형을 분류하였다. 이는 기존 연구들에서 ‘화용적 중의성’으로 통칭되었던 것을 체계적으로 세분화한 시도의 결과이다. 이를 통해서 서로 다른 문장의 차원과 다양한 원인에 따라 중의성이 분류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맥락 정보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문장의 의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이 있기 때문에 중의성과 모호성을 구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언급하였다. 사실상 중의성과 모호성은 의미를 해석할 맥락이 얼마나 제한되어 있는가에 의존적인 상대적인 특성이며, 이 둘을 구별할 수 있는 절대적인 기준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types of ambiguity of a sentence and the significance of co(n)text. Prior to dealing with the main issue, two different dimensions of a sentence ― locution vs. utterance ― were divided based on whether a sentence is in connection with context or not. And then it was proposed that the types of ambiguity could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imensions of a sentence and the causes of occurrence. In the dimension of locution, there are three types of ambiguity, i.e. lexical (polysemy, homonymy, and anaphora of demonstratives), phrasal (interpretation of reference), and structural ambiguity (modification and conjunction). In the dimension of utterance, on the other hand, five types of ambiguity are subdivided by contextual factors; referents of deictic element,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structure, attitudes of participants, scenes of utterance, and sociocultural background knowledges. Thus, it was checked out that ambiguities are made by various causes from different dimensions of a sentence. Especially in the cases that there are insufficient co(n)texual information, it is impossible to distinguish ambiguity from vagueness because there are various factors that can have an effect on the meaning of a sentence. Actually ambiguity and vagueness are relative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degrees of co(n)textual restriction, and there is no absolute criterion to make a clear distinction between two of them.

      • KCI등재

        대립적 의미 관계에 대하여

        도재학 ( Doh Jae-hak ) 국어학회 2013 국어학 Vol.66 No.-

        본 논문에서는 언어의 의미 연구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어휘의 의미 연구, 그 중에서도 한 중심축이라 할 수 있는 의미 관계에 대해 주목하였다. 그리고 그 하위에 있는 대립적 의미 관계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어휘의 의미 관계의 전체적인 체계 수립을 시도하였고 각 관계들의 위상을 다음과 같이 보였다. 어휘의 의미 관계는 먼저 어휘소 내부의 관계와 외부의 관계로 나뉜다. 전자는 다의의 파생 관계로서 유사 이의 관계와 대립 이의 관계로 나뉜다. 후자는 계열적 관계와 결합적 관계로 나뉘고, 계열적 관계는 유의 관계, 반의 관계, 상하의 관계, 대조 관계로, 결합적 관계는 연어 관계, 비(非) 연어 관계(선택제약 관계), 포용 관계로 나뉜다. 이 중 여러 선행 연구들에서 이견을 보여 온 반의 관계와 대립 이의 관계를 살폈다. 이 둘은 ‘대립’이라는 성격을 공유하는데, 대립은 본질적 속성인 방향성에 따라 상보적, 상반적, 상관적, 정도적 대립으로 나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둘 이상의 항목들 사이에 이러한 특성이 확인되면 대립적 의미 관계인 것으로 보고 체계를 세워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외연과 체계가 분명하게 규정되지 못한 채 어휘 관계의 차원에만 집중되어 온 의미 관계에 대한 논의의 외연을 다의어의 이의 차원으로까지 확장시키고자 하였다. 유의 관계, 반의 관계, 상하의 관계 등이 의미 관계 논의의 대요인 것은 사실이지만 이것이 온전히 의미 관계 전체에 상당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a system of semantic relation of vocabulary and elaborate on the so-called "oppositive relation". While discussing this theme, I attempted to set up a system of semantic relation which is a superordinate concept of a lexical relation, and treated each several subordinate relations in more detail. The semantic relation of vocabulary could fall into internal and external relation of the lexeme. The former which is a derivational relation of polysemous senses could be divided into syn-allosemy and anti-allosemy (enantiosemy). The latter split into syntagmatic and paradigmatic relation. Syntagmatic relation covers synonymy, antonymy, hyponymy and contrastive relation and paradigmatic relation does collocation, non-collocation(selectional restriction), and encapsulated relation. From among these, oppositive relation that includes anti-allosemy and antonymy has been a subject for debate. I discussed precedent studies, and argued that oppositive relation is divided into complementary, contrary, correlative, gradual relation according to a directionality that is an intrinsic property of opposition.

      • KCI등재

        우언적 구성의 개념과 유형에 대하여

        도재학 ( Doh Jae-hak ) 국어학회 2014 국어학 Vol.71 No.-

        본 논문에서는 문법론에서 다뤄지는 ‘우언적 구성(迂言的 構成, periphrastic construction)’의 개념과 유형에 대해 논의하고 한국어의 사례들에 대해 조사하였다. 우언적 구성은 ‘단일 형식 대신 사용되는, 보다 긴 다단어 표현’을 가리키고, 이것의 외연은 통사론-굴절-파생 연속체의 넓은 영역에 두루 걸쳐 있음을 확인하였다. 우언법은 범주적, 대체적, 보충적 우언법의 세 유형으로 나뉜다. 범주적 우언법은 다른 언어의 굴절적 단일 형식에 상대되는, 한 언어의 우언적 형식을 가리킨다. 대체적 우언법은 단일 형식이 있지만 그것과 대체될 수 있는 우언적 형식을 가리킨다. 보충적 우언법은 어휘소의 굴절 패러다임 내의 공백을 채우는 우언적 형식을 가리킨다. 이상 우언적 구성의 개념과 유형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한국어의 우언적 구성들에 대해서 격, 시제, 상, 태, 양태, 부정, 절 접속 등 문법적 기능의 종류에 따라 나누어 논의하였다. 그 결과, 상과 양태는 범주적 우언법에, 격, 시제, 절 접속은 대체적 우언법에, 태와 부정은 보충적 우언법과 대체적 우언법에 걸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는 우언적 구성들이 문법적 기능을 표시하는 현상을 살핌으로써 언어의 문법 체계에 대한 보다 폭넓은 이해를 가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우언적 구성은 문법화의 진행 과정에 있는 것으로서 문법화 연구의 좋은 사례들을 제공한다. 또한 유의적인 우언적 구성들 간의 차이점을 밝혀내는 작업은 유의 관계 연구에도 기여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imed at discussing the concept and types of periphrastic construction and searching the instances of Korean. The term ‘periphrastic construction’ refers to longer, multi-word expressions in place of single words(‘monolectic forms’), and its extension covers a domain of the continuum of syntax-inflection-derivation. The types of periphrasis are subdivided into categorial periphrasis, substitutive periphrasis, and suppletive periphrasis. Categorial periphrasis refers to polylectic forms of a certain language relative to the monolectic forms of another language. Substitutive periphrasis refers to polylectic forms that are able to replace a monolectic forms of the language. Suppletive periphrasis refers to supplying polylectic forms for the inflectional paradigms that are not formed in the regular way. In chapter 4 of this paper, periphrastic constructions that denote grammatical categories such as case, tense, aspect, voice, modality, negation, clausal conjunction in Korean are illustrated. Studying periphrastic constructions can be an effective way to widen our understanding of the grammatical system of a certain language. Because periphrastic constructions are in the process of grammaticalization, they provide us various examples that are useful to research phenomena of grammaticalization. Exploring common ground and difference among synonymous periphrastic constructions contributes to a study of synonymy.

      • KCI등재

        한국어와 중국어 수여 동사의 어휘 체계 대조 연구

        최용범 ( Yongfan Cui ),도재학 ( Jae Hak Doh ),이향원 ( Hyang Won Lee ) 민족어문학회 2015 어문논집 Vol.- No.73

        본 논문은 한국어와 중국어 수여 동사의 어휘 체계를 살피고 대조한 연구이다. 연구를 위해 먼저 원형적인 수여 사건을 나타내는 단어들을 목록을 선별하였다. 그 후 [공식성], [선의성], [공손성], [의무성], [자선성], [상달성], [하달성], [금전성], [물품성] 등 아홉 가지 변별적 의미 자질을 설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각 수여 동사의 특성을 보였다. 이 내용을 종합하여 한국어와 중국어 수여 동사들을 자질값에 따라 대조해 보였고, 자질과 관계된 입체 공간 속에서 각 수여 동사가 어느 위치를 점유하고 있는지 시각적으로 나타내 보였다. 기존의 낱말밭 연구들에서 다양한 자질값에 따른 평면적 영역 구획을 보였다면, 본 논문에서는 더 나아가 일종의 입체적 조감도를 보이고자 하였다. 이는 한언어의 어휘 체계가 일정한 의미 자질에 따라 균질적으로 구성되어 있다기보다는 오히려 비균질적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기에 적합한 방식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즉, 보다 실제에 부합하는 결과를 보인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작업은 수여 사건의 여러 양상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하는 수여 동사들에 대해서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하는 기반이 된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a lexical field of ‘Dative Verbs’ whose meaning indicates an event of [GIVING], and to contrast those verbs of Korean and Chinese. First of all, we excluded various untypical examples and selected canonical ones, then showed properties of each of them with nine distinctive features; [Officialty], [Goodwill], [Politeness], [Obligation], [Charity], [Move-up], [Move-down], [Money], [Goods]. Taking these results, each verb of Korean and Chinese was contrasted mutually. Finally, we presented a stereovisional picture to show that each of verbs occupies a particular domain which is related to distinctive features. While previous studies for a lexical field displayed a simple flat structure, this article rendered a three dimensional bird´s-eye-view. Because lexical(vocabulary) systems of languages are not in perfectly good order with reference to feature values, but in an asymmetric and imbalanced way, this is a more suitable method for giving an overview of such lexical systems. That is, we demonstrated the effective product that corresponds with reality. This elaboration could be a base for understanding and establishing our knowledge of a cluster of wor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