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거이론으로 살펴본가톨릭사회복지기관 실천가의 사랑실천 과정

        김미숙,도건창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22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16 No.1

        This study tried to find substantive knowledge by analyzing the data of practitioners of Catholic social welfare institutions based on grounded theory, and to clarify the uniqueness of Catholic social welfare in comparison with the research analyzing the experiences of other practitioners. For this, 124 reflective journals of 19 Catholic social workers were analyz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causal situation was ‘experience of conflicts and dilemmas at work’, ‘weakening of work competency due to burnout’, ‘obstacles to practice based on humanity’, ‘a sense of responsibility in practicing Catholic values’. The phenomena were “reflecting on myself for better practice” and “deeply contemplating the identity of a Catholic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Contextual conditions were ‘lack of understanding of humans’ and ‘bureaucratic and strict work practices’. The strategies were ‘waiting with patience’, ‘being together caring like family’, ‘helping a holistically stable daily life’, ‘making personal relationships with sincerity’, ‘practice of protecting oneself’. Intervening conditions were ‘human dignity as a top priority’ and ‘forming an organizational culture of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Consequences were ‘mutually independent partnership’ and ‘creating a humane world together’. The practice types were classified into occupationally motivated type, passive vocation fulfilling type, professional value driven type, and holistic vocation fulfilling type. Finally, the research findings were interpreted and discussions were added from the perspective of Caritas science. 이 연구는 가톨릭사회복지기관 실천가들의 경험적 자료를 근거이론으로 분석한실 체적 지식을 찾고다른 실천가들의 경험을 분석한연구와 비교하여 가톨릭사회복지의 실천적 고유성을 명료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가톨릭사회복지 실천가 19명의 성찰일지 124편을 분석하였다. 가톨릭사회복지 실천가들의 사랑실천 과정에서 인과적 상황은 <직무상 갈등과 딜레마 경험>, <소진으로 업무 역량 저하>, <인간애기반 실천을 가로막는 장애물>, <가톨릭 가치지향 실천의 책임의식>으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은 <더나은 실천을 위해 나를 성찰함>, <가톨릭 실천가의 정체성을 숙고함>으로 나타났다. 맥락적 조건은<인간에 대한이해 부족>, <조직 내 수직적이고 경직된 업무 관행>이었다. 작용 및 상호작용 전략은<인내하며 기다림>, <가족 같은 관심으로 함께 있어줌>, <전인적으로 안정된 일상생활을 도움>, <진정성있는 인격적 관계 형성>, <실천가 자신을 지켜내는 연습>이었다. 중재적 조건은 <인간 존엄을 우선으로함>, <협력과 소통의 조직문화 형성>이었다. 결과는 <상호주체적 동반관계>, <인간다운 세상을 함께만들어감>의 과정으로 나타났다. 실천가 유형은 직업적 동기형, 수동적 소명이행형, 전문직 가치추구형, 전인적 소명이행형이 도출되었다. 분석결과를 카리타스학 관점에서 해석하고 더 나은 실천을 위한논의를 덧붙였다.

      • 카리타스 기관 만성정신장애인의 생애사 연구 : 사랑실천을 통한 자아존중감 회복 경험

        김미숙,도건창 가톨릭꽃동네대학교 카리타스복지연구소 2022 복지논총 Vol.17 No.2

        이 연구는 시설에서 생활하는 만성정신장애인이 함께 사는 거주민을 돕는 자원봉사(나눔) 활동이 질병으로 인해 낮아진 자아존중감을 회복하는데 어떤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 그것이 가톨릭교회 사랑실천(Caritas)을 위해 가지는 의미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음성꽃동네정신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만성정신장애인 중에 자발적으로 자원봉사(나눔)를 하고있는 이를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면담을 진행하였고, 수집된 원자료를 Mandlbaum(1973)의 생애사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삶의 영역은 ‘어린 시절 낙상 사고 트라우마로 시작된 학창 시절의 방황’, ‘군대에서의 잦은 구타 경험’, ‘제대 이후 정신질환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어려움’, ‘가족들로부터 버림받고 음성꽃동네 입소’이며, 삶의 전환점은 ‘따듯한 보살핌과 세례를 받고 신앙의 길로 들어섬’, ‘신앙생활을 통해 자발적인 자원봉사(나눔) 활동’, ‘도움을 받아야 하는 존재에서 도움을 주는 주체로의 변화’이고, 적응은 ‘사랑실천을 하는데 점점 자신감이 생기고 보람을 느낌’, ‘낮았던 자아존중감 회복’으로 도출되었다. 연구참여자는 자기 존재의 소중함을 알게 되면서 함께 생활하는 이들의 소중함 또한 깨달았고, 도움이 필요한 소중한 이웃에게 자원봉사(나눔)활동으로 사랑실천을 함으로써 연구참여자 자신의 자아존중감이 회복되고, 봉사를 받는 이들의 자아존중감 또한 향상되는 이중회복의 결과를 가져왔다. 이와 같이, 인간은 사랑을 체험하고, 체험을 통해 알게 된 사랑을 이웃에게 실천(Caritas)함으로써 자기완성에 이를 수 있음을 본 연구에서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음성꽃동네정신요양시설에 자원봉사(나눔) 참여 프로그램을 확대하여 더 많은 만성정신장애인에게 참여 기회를 마련할 것을 제언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ositive effects of volunteer activities on lowered self-esteem for those with chronic mentally disabled people in facilities, and to find out its implications on Caritas (Catholic love practic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ose who had been volunteering within the facility as a resident of Eumseong Kkottongnae Community Mental Nursing Facility. The collected raw materials were analyzed as Mandelbaum’s(1973) life histo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life dimensions were ‘wandering in school days that began with trauma from a fall accident in childhood’, ‘experiencing frequent beatings in the military’, ‘difficulty in daily life due to mental illness after discharge from the military’, ‘abandonment from family and admittance into the Eumseong Kkottongnae'. The turning points were ‘starting a life of faith after receiving warm care and baptism’, ‘volunteer activities in faith’, ‘transformation from receiving help to giving help’. Adaptations were ‘feeling more confident and rewarded in practicing love’, ‘recovery of lowered self-esteem’. The participant realized the importance of living together as he realized the importance of his existence, and in the process of practicing Caritas to neighbors in need of help, his own self-esteem was restored, and the self-esteem of the recipients of his help was also improved. This study confirmed that human beings can achieve self-completion by experiencing love and practicing the love learned through experience to their neighbors in need.

      • 국제카리타스 윤리강령 14개 원칙의 현장 적용에 관한 연구 : 대구카리타스 실천사례를 중심으로

        김진의,도건창 가톨릭꽃동네대학교 카리타스복지연구소 2021 복지논총 Vol.16 No.-

        본 연구는 카리타스의 핵심가치가 가톨릭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어떻게 구현되고있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에 대한 연구방법으로 카리타스에 대한 교회 문헌과의비교연구와 더불어 국제카리타스 윤리강령에서 제시된 14개의 원칙이 현재 대구카리타스 실천현장에서 어떤 방식으로 구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사례연구방법을선택하였다. 전국 1,297개의 가톨릭사회복지시설은 그동안 다양한 방식으로 카리타스에 대한 학습과 현장적용 노력을 기울여왔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현장의 종사자들은 일반적인 사회복지와 어떤 차별성을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현재 우리의 모습이 과연 카리타스적인 삶인지에 대한 의구심을 끊임없이 제기하면서 이에 대한 구체적이고 명확한 답을 찾고 있다. 최근 한국카리타스 윤리강령의 제정이 임박한 시점에서 현재까지의 가톨릭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어떤 부분이 교회의 가르침과 카리타스의 핵심가치가 구현되고 있는지를 대구카리타스 사례를 통해 짚어봄으로써현재에도 여전히 진행형인 카리타스 현장의 움직임과 그 움직임 속에 모든 종사자가 느끼는 기쁨과 갈등의 양상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앞으로 설계하게 될 한국카리타스의 방향점에 참고할 수 있는 자료가 되기를 희망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the core values ​of Caritas are implemented in the practice of Catholic social welfare. As a research method for this, in addition to a comparative study of Caritas with the Catholic Church literature, a case study method was selected to examine how the 14 principles presented in the International Caritas Code of Ethics for Staff are being implemented in the current Daegu Caritas practice field. 1,297 Catholic social welfare facilities nationwide have made efforts to learn and apply Caritas in various ways. Nevertheless, workers in the field are still curious about what kind of difference it has from general social welfare, and they are constantly raising doubts as to whether we are caritas-like, and are looking for specific and clear answers. At the time when the recent enactment of the Caritas Korea Code of Ethics for Staff is imminent, we would like to point out what part of the Catholic social welfare practice field up to now, through the case of Daegu Caritas, where the teachings of the church and the core values ​of Caritas are being implemented. So, after examining the activities of the Caritas field, which are still in progress, and the joy and conflict experienced by all workers in those activities, we hope that this will serve as a reference for the direction of Caritas Korea to be designed in the future.

      • 가정외보호 청소년 자립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카리타스학적 접근으로

        박순자,도건창 가톨릭꽃동네대학교 카리타스복지연구소 2021 복지논총 Vol.1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upport for self-reliance of adolescents in out-of-homecare based on the caritas science, which studies the practice and theory of caritas in the Catholic Church, and to suggest measures accordingly. In the first step, this paper meta-analyzed 10 qualitative studies that dealt with the self-reliance of out-of-homecare youths. Through meta-analysis, three categories before termination of protection (legal regulations, awareness of self-reliance, process of preparing for self-reliance and relationship within out-of-homecare) and three categories after termination of protection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tate, economic difficulties and support, relationship for independence) were derived. In the second step, the authors identified the findings of this analysis, which is based on Catholic social doctrine, and suggested four ways to support the caritas-like self-reliance of out-of-homecare youth. First, understanding self-reliance in an integrative and holistic way requires a process of cognitive change. Second, preparation for self-reliance should be carried out continuously through systematic plan from the time of admission to the job connection after the end of protec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make use of personal advisors for the stability of independent life in the early stage. Through the process of reconciliation and forgiveness, support for the restoration of ties with the original family should be continuously provided. 이 연구는 가톨릭교회의 카리타스에 관한 실천과 이론을 연구하는 카리타스학에 근거하여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자립지원을 식별하고 그에 따른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은 첫 단계에서 가정외보호 청소년의자립을 연구한 질적 논문 10편에 대하여 메타분석을 하였다. 메타분석을 통해 보호종료 전 3개 범주(자립 관련 법적 규정, 자립에 관한 인식, 자립준비 과정과 가정외보호 내 관계)와 보호종료 후 3개 범주(정서․심리적 상태, 경제적 어려움과지원, 자립을 위한 관계성)가 도출되었다. 둘째 단계에서는 이 분석결과를 가톨릭사회교리에 근거하여 식별한 후 카리타스다운 자립지원 실천방안을 네 가지로 제안하였다. 첫째, 자립을 통합적이고 전인적으로 이해하는 인식 변화의 과정이 필요하다. 둘째, 자립 준비는 입소 때부터 시작하여 보호종료 후 직업 연계까지 체계적인 계획을 통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초기 자립 생활의 안정을 위한PA(Personal Advisor) 인력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화해와 용서의 과정을 통해원가족과의 유대 회복을 위한 지원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후보

        학대피해노인전용쉼터 퇴소 후 노인공동생활가정 생활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까리따스노인공동생활가정을 중심으로

        최유숙,도건창 가톨릭꽃동네대학교 카리타스복지연구소 2023 복지논총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학대피해 노인 공동생활가정 거주 노인의 신체적․정신적 회복 과정 속 경험과 효과적인 지원내용을 관찰하고, 그 의미를 카리타스학적 관점에서 식별하여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대피해 노인 공동생활가정인 ‘까리따스노인공동생활가정’ 거주인 및 거주 경험자 5명과 심층 면담을 하고 이를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했다. 학대피해 노인 공동생활가정의 생활 경험과 공통적 속성으로 막막함에서 안도를 찾음’, ‘안정과 존중을 체험함’, ‘회복과 안정으로 새 삶의 첫걸음을 뗌’, ‘자립을 함께 준비함’, ‘(퇴소 후) 새 세상을 체험함’, ‘친정 같은 곳이 필요함’의 6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분석 결과를 카리타스학적 관점에서 식별해 까리따스노인공동생활가정의 실천이 학대피해 노인의 기본권 보장을 위해 적극적으로 개입했고, 존중을 통해 전인적 회복과 안정을 추구했으며, ‘거저 줌’의 원칙에 따라 자립을 지향했다는 점에서 가톨릭 사회교리와 카리타스 실천의 목적에 부합함을 확인했다. 이를 토대로 개인 사정을 감안한 유연한 거주기간, 공동가치를 추구하는 관계 기관의 일관성 있고 집중적인 지원, ‘거저 줌’과 ‘생명과 사랑의 공동체’를 체감할 수 있는 ‘친정’과 같은 공동체 형성, 이용인의 자부담 최소화를 제안했다. 약자 가운데 약자인 학대피해 노인을 위한 도움을 적시에, 그들에게 결핍된 인간애를 체감할 수 있게, 개인별 욕구와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제공하기 위해 인간애 전달을 추구하는 카리타스 관계망의 적극적인 개입과 참여가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experiences and effective support provided during the physical and mental recovery process of abused elderly people living in communal living homes, identify its meaning from a caritas perspective, and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accordingly.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residents and experienced residents of ‘Caritas Senior Citizens’ Community Living Home’, a communal living home for elderly victims of abuse, and these were analyzed us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Finding relief from despair through common attributes and living experiences of elderly victims of abuse in group living homes’, ‘Experiencing stability and respect’, ‘Taking the first step into a new life with recovery and stability’, ‘Preparing for independence together’, Six categories were derived, including ‘Experiencing a new world (after discharge)’ and ‘Needing a place like my parents’ hom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identified from a Caritas perspective, and the practice of Caritas senior living homes actively intervened to guarantee the basic rights of elderly victims of abuse, pursued holistic recovery and stability through respect, and achieved self-reliance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giving freely'. It was confirmed that it conforms to the purpose of Catholic social teaching and Caritas practice in that it was aimed at . Based on this, a flexible residence period that takes into account individual circumstances, consistent and intensive support from related parties pursuing common values, and the formation and use of a community like a 'parent' where you can experience 'free giving' and a 'community of life and love'. It was proposed to minimize people's out-of-pocket expenses. The active intervention and participation of the Caritas network that pursues the delivery of humanity is requested in order to provide timely help to the weak among the weak, the elderly who have been victims of abuse, so that they can experience the humanity they lack, and flexibly according to individual needs and situations. do.

      • KCI등재후보

        회칙 「하느님은 사랑이십니다」에 나타난 카리타스 고유성의 실천적 구현에 관한 사례연구 - 코로나19 시대 무료급식소를 중심으로 -

        이미자,도건창 가톨릭꽃동네대학교 카리타스복지연구소 2023 복지논총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팬데믹 시대에 무료급식을 통하여 카리타스 고유성이 어떻게 실천되는지를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수도권에서 코로나19 기간에 중단 없이 주 5회 이상 급식을 제공한 가톨릭 무료급식소를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진행했다. 먼저 조사 대상 기관 자료와 회칙 『하느님은 사랑이십니다』, 그리고 관련 가톨릭교회 공식 문헌에 관한 문헌 연구를 했다. 이어서 연구 대상 시설 운영자와 심층 면담을 수행하고, 분석 결과를 회칙「하느님은 사랑이십니다」 31항에 명시된 카리타스의 고유성을 중심으로 식별하였다. 코로나19 팬데믹 시대 무료급식소 활동에서 드러난 카리타스는 첫째, 급식소 이용인의 절박한 상황을 알아차리는 ‘보는 마음’이 있었다. 연구 참여기관은 이들의 긴급하고 특수한 상황을 인식하고 사명 의식에 근거한 판단과 사랑의 창의력을 발휘하여 용기 있게 대응하였다. 둘째, 급식소 운영이 어려울 때, 이웃이 카리타스에 동참했고, 봉사자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으로 ‘마음의 양성’을 하여 인류애를 체감하게 하는 급식이 되었다. 셋째, 이용인을 환영하고, 그들에게 묻고, 경청하면서 이용인 중심으로 ‘섬김의 봉사’를 하였고, 무료급식을 통한 사랑 실천을 다른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 삼지 않았다. 이처럼 연구 참여기관의 무료급식 활동은 회칙 『하느님은 사랑이십니다』에 근거한 카리타스의 고유성을 실천적으로 드러냈다. This research sought to explore how the uniqueness of Caritas is practiced through soup kitchens in the COVID-19 pandemic. To accomplish this, a case study was conducted on Catholic soup kitchen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at provided meals at lease five times a week without interrup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First, we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of the organization’s materials, the encyclical God is Love, and related official Catholic Church literature. We then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operators of the facilities studied, and organized our findings around the uniqueness of Caritas as described in the encyclical, God is love. First, Caritas in action in soup kitchen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was characterized by, first, a “‘a heart which sees” that recognized the desperate situation of the people who use them. Recognizing their urgent and unique circumstances, the organizations in the study responded courageously with love, creativity, and judgment based on their Christian sense of mission. Second, when it was difficult to operate the soup kitchen, neighbors joined Caritas, and ongoing training of volunteers built “formation of the heart” so that the meals became a tangible expression of humanity. Third, by welcoming, asking, and listening to the users, the organization centered on the users and did not use the practice of love through free meals as a means to other ends. In this way, the soup kitchen activities of the participating organizations demonstrated in practice the uniqueness of Caritas based on the encyclical, “God is love.”

      • KCI등재

        가톨릭 사회복지기관 사회복지사의 성찰일지에 나타난 존재 중심 영성 살이 실천 사례연구

        황종렬(Hwang, Jongryul),도건창(Do, Gunchang),김미숙(Kim, Mee Sook)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21 생명연구 Vol.62 No.-

        그리스도교 영성 살이는 하느님의 흔적을 띤 존재인 우리가 타인에게 생명의 숨을 매개하는 삶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존재 중심 영성 살이 관점에서 가톨릭 사회복지기관 실천가들의 성찰일지를 분석해서 인간의 존재론적 존엄성을 우선적으로 인식하고, 그리스도교 영성 살이 과정이 사회복지 실천에서 어떻게 작용할 수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존재 중심 영성 살이의 사회복지 실천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가톨릭사회복지회 산하기관에 근무하는 실천가들이 작성한 성찰일지 세 사례에 대하여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존재 중심 영성 살이 실천과정은 ‘존재와 존재의 대면’, ‘식별을 통한 인간 존재의 상태 이해’, ‘역할 차원에서 존재 차원으로 전환하는 행동’(행동 1)과 ‘존재가 존재를 동반하는 행동’(행동 2), 곧 대면-식별-행동 세 과정으로 구성되며, 이를 통해서 존재 중심으로 복지 당사자를 동반하는 과정으로 이해되었다. 결론에서는 존재 중심 영성 살이 개념이 비신앙인에게도 적용 가능한지, 영성 살이가 이론적 진술에 머무르지 않고 구체적인 실천 지침을 제공하는지, 영과 숨, 존재와 역할을 통합한 영성 살이 교육이 왜 필요한지 등을 논의하였다. Being-based living of Christian spirituality can be seen as a life in which we, bearing the traces of God, mediate the breath of life into ot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flective journals of Catholic social workers from the perspective of being-based living of spirituality, to recognize ontological dignity of human beings. It explores the possibility of applying being-based living process of spirituality to the practice of social welfare by looking at how the process of Christianity’s spiritual living can be actualized in the practice.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case study on three cases of reflective journals prepared by practitioners of the Catholic Social Welfare Associ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being-based spiritual living process consists of four stages: ‘encountering of being vs. being’, ‘understanding the status of human being through discernment’, ‘action that transforms from a role level to a being level’, and ‘action in which being accompanies being’. The ‘encountering-discerning-acting’ was understood as a process that accompanies others in a being-based spiritual living. In conclusion, we discussed whether the concept of being-based spiritual living is applicable to non-believers, whether spiritual living provides concrete guidelines for practice without staying in the theoretical statement, and why spiritual living education that integrates spirit and breath, being and role is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