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4년제 대학교 대학생의 역량모델 구축 사례: D여대를 중심으로

        노윤신,리상섭 한국기업교육학회 2013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competency model for D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reviewed literature and analyzed 1:1 in-depth interview. After expert and board meetings, this study developed the competency model for D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reflected five questions: alignment between competency model and vision & the concept of talent, representation of common core competencies required to occupational world, representation of university founder’s ideology & specialization, applicability for specialized strategies, diagnosis tool development, & curriculum connection, and consensus and bond of sympathy among university members. †The first author : Yun Shin Noh, Seoul National University, lucknys@hanmail.net ‡The corresponding author : Sang Seub Lee, Dongduk Women’s University, sangseub@dongduk.ac.kr The model consisted of 5 competency categories: Integrity, Leadership, Emotion, Acumen, and Diversity. The category of ‘Integrity’ consisted self-awareness, authenticity, and global citizenship competencies. Achievement oriented, confidence, and self-leadership competencies were included in ‘Leadership’ category. The category of ‘Emotion’ consisted of sensibility for culture & art, flexibility in thinking, and creative imagination competencies. The category of ‘Acumen’ consisted of integrated thinking, analytic thinking, information literacy, and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Relationship, communication, and teamwork competencies were subordinated to ‘Diversity’ category. 본 연구의 목적은 D 여대 대학생의 역량모델을 개발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 1:1 심층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 분석하여 잠정적 역량모델을 개발한 후, 타당성 확보를 위해 전문가 패널 및 위원회 피드백의 과정을 거쳐 최종 역량모델을 확정하였다. 본 연구는 역량모델 개발 과정에 5가지의 질문에 중점을 두었다. 첫째, 역량모델이 D 여대의 비전 및 인재상과 연계되었는가? 둘째,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공통의 핵심역량이 포함되었는가? 셋째, D 여대가 추구하는 D 여대만의 창학이념, 특화 이미지가 반영되었는가? 넷째, 향후 특성화 전략, 진단도구 개발, 교육과정 연계 등에 활용될 수 있도록 적용성이 있는가? 다섯째, 구성원의 합의와 공감대를 충분히 이끌어 내었는가?. 연구 결과, 5개의 역량군으로 전인적 품성, 주도적 리더십, 예술적 감수성, 통찰적 사고력, 사회적 공감력이 도출되었다. 전인적 품성 역량군에는 자기인식, 진실성, 글로벌 시민의식 역량이 포함되었고, 주도적 리더십 역랑군에는 성취지향성, 자신감, 셀프 리더십 역량이 포함되었다. 문화예술 감수성, 사고 유연성, 창의적 상상력 역량은 예술적 감수성 역량군에 포함되었고, 통찰적 사고력 역량군에는 융합적 사고, 분석적 추론, 정보활용, 문제해결 역량이 포함되었다. 포용적 관계형성, 의사소통, 팀웍 역량은 사회적 공감력 역량군에 포함되었다.

      • KCI등재

        대학생의 리더십 개발에 있어서의 코칭의 효과성에 대한 실험연구

        노윤신,정철영 한국직업교육학회 2015 職業 敎育 硏究 Vol.34 No.1

        This study examined the beneficial effects of the coaching for leadership development(the super leadership of coaches and self leadership of coaching client) of university students. As regards super leadership of coaches, 91 students as an experimental group(86 students as a control group) were given by the coaching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s on the average points of communication, interpersonal relations, encouraging the heart, pursuing excellence, enabling to act, and insight in between two groups and inter-group analysis. Second, the results of qualitative research from group interview and survey supported the effects of quantitative research. As for self leadership of coaching client, 182 students as an experimental group(180 students as a control group) were given 1:1 coaching from senior student coach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goal setting, self-observation, self-award, self-awareness, opportunity thought, and self-efficacy, imagination of future succes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and inter-group analysis. Second, results of qualitative research also indicated that 1:1 coaching was effective for improvement of self leadership.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리더십 개발에 있어서의 코칭의 효과성을 분석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코칭 프로그램을 통한 코치의 수퍼 리더십과 피코치의 셀프 리더십 개발을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사전사후통제집단 설계를 적용하였으며, 추가적으로 그룹인터뷰와 인터뷰 응답지의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코치의 수퍼 리더십의 경우, 코칭 프로그램(코치자격교육, 1:1코칭, 워크샵)을 이수한 91명의 실험집단과 그렇지 않은 86명의 통제집단의 집단 간, 집단 내 검사에서 수퍼 리더십의 요인인 커뮤니케이션, 대인관계, 동기부여, 탁월성 추구, 행동유도, 통찰력의 평균이 코칭 프로그램 이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상승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질적연구 결과에 있어서도 커뮤니케이션, 대인관계, 동기부여, 행동유도, 셀프 리더십이 도출되어 양적 연구결과를 지지하였다. 셀프 리더십은 질적 연구를 통해 새롭게 도출된 역량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피코치의 경우 실험집단 182명, 통제집단 180명의 집단 간, 집단 내 통계적 유의수준을 검증한 결과 도전적 사고, 성공상상, 자기인식, 자기관찰, 목표설정, 자아효능감, 자기보상의 셀프 리더십 요인들이 모두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며 질적연구에 있어서도 유사하게 목표관리, 자기인식, 긍정성, 자신감, 주도성이 도출되었다. 추가적으로 코치의 유의미한 지지자(supporter)로서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대학생의 리더십 구인 도출 및 진단도구의 개발

        노윤신,정철영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4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e the major construct factors of leadership for university students and to develop a leadership scale. A construct model of the leadership and instrument items were temporarily develop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of previous studies. The construct validity was verified based on the delphi method. Then, in the process of preliminary test and main surve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were applied. It was concluded that self-leadership wa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leading self-behavior and managing self-thought. Goal setting, self-observation, and self-reward were included into leading self –behavior. Self-awareness, opportunity thought, imagination of future success, and self-efficacy were constructed into managing self thought. 10 items for leading self-behavior and 13 items for managing self-thought were drawn. In case of super-leadership, it was classified driving action and inspiring challenge. Communication, interpersonal relations, and encouraging the heart were included into driving action. Inspiring challenge were composed of pursuing excellence, enabling to act, and insight. 11 items for driving action and 8 items for inspiring challenge were developed.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리더십 구인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진단도구를 개발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잠정적 구인화와 문항 개발을 실시한 후, 델파이 기법을 통해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다음으로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거쳐 내용 타당도와 변별 타당도 검증을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문항분석을 실시한 후, 도출된 모형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거쳐 모형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의 리더십은 셀프 리더십과 수퍼 리더십으로 구분되었으며, 셀프 리더십의 최종 구인은 자기행동주도와 자기사고주도의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자기행동주도 영역은 목표설정, 자기관찰, 자기보상으로 구성되었으며, 자기사고주도 영역은 자기인식, 도전적 사고, 성공상상, 자아 효능감의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수퍼 리더십은 행동촉진과 도전고취의 영역으로 구분되었으며, 행동촉진 영역은 커뮤니케이션, 대인관계, 동기부여, 도전고취의 영역은 탁월성 추구, 행동유도, 통찰력으로 구인이 형성되었다. 타당도 검증을 거친 최종 문항은 셀프 리더십의 자기행동주도 영역이 10개 문항, 자기사고 주도 영역이 13문항으로 총 23문항이 도출되었다. 수퍼 리더십의 경우에는 행동촉진 영역이 11개 문항, 도전고취 영역은 8개 문항으로 총 19문항이 개발되었다. 문항내적 일치도 계수를 통한 신뢰도 검증 결과, 셀프 리더십의 Cronbach's α 계수는 0.927, 수퍼 리더십은 0.947로 높은 신뢰도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국내 산학협력 연구동향 분석

        노윤신,이영수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8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0 No.1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trends in domestic research and presents some of the implications for the progress of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research in Korea. After searching for articles that included words related to the main topics of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in their titles, we selected 343 articles suitable for our research purposes. The data were then analyzed using a research framework composed of the research period, research topics, research method, and academic field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research has become more common since the 2000s. Second, active research on education, policy proposals, roles, and the challenges of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studies was conducted. Third, the topics of competency development and policy proposals for how to improve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were found to be particularly important in almost every academic fields. Fourth, the most frequently used research method was found to be the survey. Finally, proposals for further research were suggested. 이 연구에서는 그간의 산학협력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가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분석을 위해 2000년에서 2017년까지의 산학협력과 관련하여 발표된 343편의 학술논문을 연구시기, 연구주제, 연구방법, 기반학문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국내학술지논문 상세검색 서비스의 등재후보 및 등재지 학술지 논문을 기준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대학 및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산학협력 연구는 200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주제와 8개의 기반학문 측면에서 볼 때, 산학협력 교육 연구는 농수해양학 외의 모든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었고 역할 및 발전과제, 정책 및 제도 제안과 관련한 연구는 의약학 분야를 제외하고 모든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었다. 셋째, 역량개발과 인력육성과 관련한 교육 및 산학협력의 실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의 학문 분야에서 중요한 주제가 되고 있었다. 넷째, 연구방법의 측면에서 볼 때, 산학협력 연구의 연구방법으로 조사분석 연구가 가장 많이 적용되었으며, 다음으로 개발연구, 정책분석, 사례연구가 활용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른 향후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이 진로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 불확실성 불관용에 의해 조절된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노윤신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6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8 No.3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nd career adaptability.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junior and senior students in university. A total of 496 undergraduate students were drawn from this population. To analyze the results, SPSS 22.0 and SPSS Macro were us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areer exploration behavior had a direct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Second, th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nd career adaptability. Third, intolerance of uncertainty moderated the mediation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the relation between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nd career adaptability. Implications for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practi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lso, the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y were proposed.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이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적응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의 불확실성 불관용에 의한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4년제 대학교 가운데 인문/자연 계열의 비중이 균형적인 95개 대학의 3,4학년을 목표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총 820명을 표집하여 최종 15개 대학의 49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SPSS 22.0과 SPSS Macro를 활용하여 최종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탐색행동은 진로적응력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진로탐색행동은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간접적으로도 진로적응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진로탐색행동과 진로적응력 간의 관계에서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불확실성 불관용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불확실성 불관용의 크기가 커질수록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의 크기는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진로적응력에 있어서의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적응력과 주도적 성향, 진로탐색행동,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의 구조관계

        노윤신,정철영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6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tructural relations among career adaptability, proactive personality,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undergraduate students. For this purpose, structural model was set and analyzed, and the relations among variables within the model were identified.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junior and senior students in university. With the stratified random sampling method, 399 undergraduate students were drawn from this popul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oodness-of-fit of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of career adaptability, proactive personality,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satisfactory which confirm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the variables. Second, proactive personality,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a direct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Thir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had an indirect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of career adaptability and proactive personali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lso had an indirect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of career adaptability and proactive personali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an indirect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of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an indirect sequential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of career adaptability and proactive personality.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적응력과 주도적 성향, 진로탐색행동,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를 구명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4년제 대학교의 3,4 학년을 목표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총 720부를 표집하여, 최총 399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이 연구에서 제시한 대학생의 진로적응력과 주도적 성향, 진로탐색행동,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의 구조모형은 변인 간 구조관계를 예측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인과적 구조모형 내에서 대학생의 주도적 성향, 진로탐색행동,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적응력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인과적 구조모형 내에서 대학생의 주도적 성향은 진로탐색행동과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적응력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진로탐색행동은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적응력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대학생의 주도적 성향은 진로탐색행동과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을 연속적으로 매개하여 진로적응력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침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진로적응력을 개발하는 데에 요구되는 다양한 변인의 적용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 역량진단 도구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 : D 여자대학교를 중심으로

        노윤신 ( Yun Shin Noh ),리상섭 ( Sang Seub Lee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3 HRD연구 Vol.1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체계적 인재육성의 차원에서 D 여자대학교의 역량진단 도구를 개발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성요소 설정, 예비문항 개발,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구성요소와 문항 확정의 개발 단계를 거쳤다. 첫째, 구성요소의 설정에 있어서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D 여자대학생의 핵심역량을 진단하기 위한 잠정적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둘째, 잠정적 구성요소에 기반하여 예비문항을 개발한 후, 셋째, 예비조사 단계에서 구인 타당도, 변별 타당도, 문항내적 일치도를 통한 신뢰도 검증의 과정을 거쳐 잠정적 구성요소 및 예비문항을 조정, 선별한 후, 넷째, 본조사를 실시하여 구성요소와 진단문항을 확정하였다. 연구 결과, 전인적 품성, 주도적 리더십, 예술적 감성, 통찰적 사고력, 사회적 공감력의 5개 역량군의 16개 하위 역량에 대해 43개의 구성요소와 7점 Likert 척도의 총 176문항이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core competency for D women`s university students. The study was performed in four phases: 1) Domains of the construct establishment; 2) Instrument items development; 3) Validity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and 4) Norm development. In phase 1, a construct model of the competency of D women`s university students was temporarily develop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of previous studies. In phase 2, an initial set of 218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phase 1. In phase 3, the validity and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were established via the field test with 203 students and 194 items were selected based on the results. For verifying the validity and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the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s were applied. After revising the construct and items based on the field test, the main test were conducted with 1,389 students. Through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such as field test, 176 items were finally selected.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 academic years and the departments) for developing norms were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