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필렛 熔接部의 殘留應力이 疲勞强度에 미치는 影響에 關한 硏究

        노승희 조선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47

        It is very important fatigue crack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HAZ in order to the fatigue life of welding structur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fatigue test was carried out under low and high load using the welding specimens and the PWHT specimens by fillet wel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residual stress, PWHT, HAZ, and weld toe zone upon the fatigue strength, the fatigue life, and the fatigue crack propagation behavior. The summarized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fatigue life of the continuous welding specimen was increased about 20% at high load and about 85% at low load, comparing with the skip welding specimen. 2. Because the initial crack was delayed by the high compressive residual stress and the effect of skip and fillet welding joint, the fatigue life of the continuous welding specimen was shown higher than that of skip welding specimen 3. Fatigue crack propagation rate of PWHT specimen at low load was shown higher than that of welding specimen, while it had almost same rate at high load. 4. The fatigue crack was generated at the start and the end of welding toe zone. The fracture surface at the fatigue crack initial stage was shown very rough, and the boundary was very widely distributed under high load than low load. It means that there was large plastic deformation by high load

      • 대학생의 자기비난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와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노승희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비난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와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생 252명을 대상으로 자기비난 척도,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 자기자비 척도, 우울 척도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와 SPSS PROCESS Macro 3.1을 이용하여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에서 자기비난과 내면화된 수치심은 우울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자기자비는 자기비난, 내면화된 수치심, 우울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다고 나타났다. 둘째, 자기비난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이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났다. 셋째, 내면화된 수치심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자기비난과 우울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이 매개된 상태에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의 우울을 줄이기 위해서는 자기비난과 내면화된 수치심과 함께 자기자비가 통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주제어 : 자기비난, 내면화된 수치심, 자기자비, 우울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riticism and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The survey was conducted to 252 college students. The questionnaire included scales of self-ciriticism, internalized shame, self-compassion, depression. Data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SPSS 25 and SPSS PROCESS Macro 3.1. for verifying mediating effect, moderating effect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The followings are the summary of the results: First, both self-criticism and internalized sham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self-compass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lf-criticism, internalized shame and depression. Second, internalized shame partially mediated between self-criticism and depression. Third, self-compass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depression. Fourt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riticism and depression, there was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on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The results suggested that self-compassion should be integrated with self-criticism and internalized shame to relieve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Key words: self-criticism, internalized shame, self-compassion, depression

      •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유아 부모의 인식 및 실태 연구

        노승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열풍이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현실에 맞추어 영어교육이 실시되고 있는 사립유치원에 자녀를 보내는 부모와 영어교육이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국공립유치원에 자녀를 보내는 부모의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현재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이 이루어지는 국공립유치원 부모의 인식과 실태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사립유치원과 국공립유치원 부모의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인식과 그 실태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앞으로 조기영어교육의 목적과 그 방향을 정하고, 올바른 조기영어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게 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인식은 사립유치원의 부모와 국공립유치원의 부모 간에 차이가 있는가? 2. 조기영어교육의 참여 실태는 사립유치원의 부모와 국공립유치원의 부모 간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경기도내 국공립유치원과 사립유치원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부모 2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조사도구로는 이선주(2003), 안영애(2006), 이정란(2006)이 사용한 연구도구를 수정·보완 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빈도와 백분율을 계산하였으며, ??2검증과 t검증을 사용하여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기영어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국공립유치원과 사립유치원 부모 모두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인식과 유아교육기관에서 영어교육의 적합성에 대해서는 두 집단의 부모 모두 그다지 긍정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기영어교육의 교육방향 및 목표를 나타낸 결과에서는 조기영어교육의 내용 중 주제로 삼고 싶은 내용에서 국공립유치원 부모는 영어에 흥미를 느낄 수 있을 정도의 노래와 게임을 주제로 삼아야 한다고 인식하였고, 사립유치원의 경우 유치원에서 일어나는 유아 주변의 일들을 주제로 삼아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사립유치원 원아는 100% 조기영어교육을 받고 있었고, 국공립유치원 원아는 50%가 조기영어교육을 받고 있었다. 과거 조기영어교육을 받다가 중단한 이유는 아이가 흥미가 없어서가 가장 높았고, 영어교육 시작 시기는 국공립유치원 원아가 만 5세로 사립유치원 원아(만 3세)보다 높았다. 조기영어교육 실시 동기는 국공립유치원 부모가 또래들이 영어교육을 받고 있고, 유아가 관심을 보였기 때문이라고 응답했다. 사립유치원 부모는 유치원의 방침이고, 또래 아이들이 받고 있기 때문에 영어교육을 시킨다고 응답하였다. 영어교육의 만족도 부분에서는 두 집단의 부모 모두 그다지 긍정적이지 않게 인식하고 있었고, 만족도가 낮은 이유로는 유아가 흥미를 보이지 않기 때문이 가장 많았다. 조기영어교육에서 개선되어야 할 점에 대한 결과는 두 집단의 부모 모두 유아의 발달 수준에 맞는 프로그램 개발로 인식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현재 만 5세 자녀를 둔 부모의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조사하여 비교하였고, 이를 통해 유아의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examin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and practice of early English education between parents with children attending a private kindergarten and those with children attending a national or public kindergarten, and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effective early English education. Questions to be answered by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s the perception of early English education different between parents with children attending a private kindergarten and those with children attending a national or public kindergarten? 2. Is the practice of early English education different between parents with children attending a private kindergarten and those with children attending a national or public kindergarten?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00 parents with children attending a national or public kindergarten or a private kindergarten in Gyonggi?]do. From collected data were calculated frequencies and percentages, and differences were analyzed through ??2?]test an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th of the two parent groups recognized the necessity for early English education highly, but were negative to the perception and adequacy of early English education. Second, satisfaction with early English education was low in both of the two parent groups, and the most frequent reason for dissatisfaction was that their children did not show interest. As to what to be improved in early English education, both of the two groups mentioned the development of programs adequate for young children. As presented above,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early Englis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rough surveying parents?f perception and practice of early English education.

      • 기혼여성의 출산정책에 대한 지지도가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제1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을 중심으로

        노승희 경기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속적인 출산율 하락과 기대수명의 연장으로 급격한 인구고령화를 경험하고 있는 우리나라는 출산율 하락에 따른 사회문제를 국가적 위기로 인식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2006년 6월 관계부처 합동으로 2010년까지 40조원이 투입되는 ‘제1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새로마지 플랜 2010)’을 수립·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2009년말 기준 합계출산율이 1.15명으로 인구 대체수준의 절반을 겨우 넘고 있어, 시행 5년차인 현재 정책의 실효성에 대한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정부의 저출산 대응정책인 ‘제1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새로마지플랜 2010)’에서 선정한 18개 주요 출산정책에 대한 지지도를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기혼여성의 출산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정책수립을 위한 제언에 그 목적을 두었으며, 연구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출산계획을 분석한 결과 전체 235명 중 68명(28.9%)이 향후 출산계획이 있는 반면, 167명(71.1%)은 없다고 응답하였으며, 희망 자녀수는 현재 자녀수가 많을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자녀에게 의지가 되는 형제·자매의 필요성’이 39.7%, ‘원만한 가정생활 유지’가 26.5%, ‘경제적 여유’가 14.7% 순으로 나타나 기혼여성의 출산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경제적인 요인보다는 부모들이 인식하고 있는 자녀에 대한 가치관 요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기혼여성이 출산계획이 없는 이유는 ‘자녀 보육·교육비 등 경제적 부담’이 38.3%, ‘육체적·정신적 부담’이 29.9%, ‘부부가 낳지 않기로 합의’가 10.8% 순으로 높게 나타나 자녀양육 및 교육에 대한 경제적 부담과 자녀돌봄에 대한 부담이 기혼여성이 출산을 중단하게 되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저출산 문제 및 정책에 대한 인식·태도를 살펴본 결과 70.7%가 저출산 문제를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저출산에 대한 사회적 책임감이 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쳤다는 응답은 4.5% 수준으로 출산문제에 대한 인식이 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혼여성의 출산정책에 대한 인식·태도에 있어서는 91.9%가 자녀의 출산과 양육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지원을 필요로 하였다. 또한, 정부에서 지원하는 출산정책에 대한 전반적인 인지도는 잘 알고 있는 응답자가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46.8%로 나타났다. 셋째, 기혼여성의 출산정책에 대한 지지도가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통제변인 중에서는 자녀수가 적을수록, 출산정책에서는 보육시설 미이용 아동 양육수당, 임산부 산전 진찰비용 지원, 국공립·직장보육시설 확충, 다양한 육아지원서비스 운영 지원, 산전후 휴가급여 지원 확대, 출산·육아기 이후 여성의 노동시장 복귀지원, 다자녀가정 소득공제확대 정책에 대한 지지도가 높을수록 기혼여성의 출산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우리나라 출산정책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들의 사회진출 증가 및 교육기회 확대, 가치관의 변화와 같은 다양한 요인의 영향으로 결혼연령이 상승하여 충분히 자녀를 출산할 수 있는 여건임에도 고령출산에 대한 편견, 소(少)자녀관 확대 등과 같은 일률적인 사회분위기로 인하여 스스로 출산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국민들의 인식 속에 깊게 뿌리 내려져 있는 소(少)자녀관을 변화시키고, 경제적으로 안정적인 환경에서 자녀를 출산하고 양육할 수 있는 사회적 여건을 조성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하여 자연스럽게 자녀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시키고, 이를 통해 출산의도를 높이는 전략을 취해야 한다. 둘째, 소(少)자녀관을 변화시키기 위한 사회적 노력과 함께 결혼적령기, 신혼부부 등 가임계층을 대상으로 출산정책에 대한 교육과 홍보를 강화하고, 국민의식 전환과 출산정책의 효과를 제고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셋째, 출산·양육가정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출산관련 지원금, 양육수당제도를 현실화하여야 한다. 또한, 출산 후 여성의 경력단절예방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고, 경제활동 참여 여성들이 일-가정의 양립이 가능할 수 있도록 국공립 보육시설, 시간 연장·시간제 등 다양한 보육서비스를 지속적으로 확대하여야 할 것이다. 아울러, 기존에 각 부처별로 수행하던 사업들을 단순히 묶어 놓기 보다는 적은 과제라도 수혜자의 욕구에 맞는 현실적인 정책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South Korean has been experience continuous decrease in birth rates and population aging society due to extend of life expectancy thus the government has acknowledged this social problem as a national crisis. As a countermeasure, the relevant authorities have invested 40 billion dollars from June 2006 to 2010. ‘The 1st low birth rates high life expectancy plan 2010’ was established and enforced. However, though all of these efforts, the birth rates of 2009 were 1.15 and the plan was criticized with its effectiveness. Therefore, this research was targeting married women and analyzed the approval ratings of 18 main policies in ‘the 1st low birth rates high life expectancy plan2010’. Based on these analys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bring out more effective policies that would result increase in birth intentions of married women and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 Firs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targeters’ birth plan, the 68(28.9%) out of 235 had future birth plans, 167(71.1%) said no birth plans and the wish numbers would decrease when they have many children. The reasons which effects the birth plan is ‘the need of brothers and sisters that the child can rely on’ was 39.7%, ‘a need of happy home’ 26.5%, ‘easiness in economic situation’ was 14.7%. as a result, the main reasons that effects the birth plan was not only effected by economic situations but how parents value their children. The reasons why married women does not have birth plan were ‘economic burdens of childcare and education’ was 38.3%, ‘physical and mental burdens’ was 29.9%, and ‘mutual agreement on no child’ was 10.8%. So that main reasons why married women does not want to have children were economic burdens and other physical, mental burdens they might face. Second, the examination in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s problems of low birth rates and policies, 70.7% were seriously aware of those problems. But, social responsibilities of low birth rates did affect their birth plans was only 4.5% so that the awareness of the problem would not affect the birth plans. 91.9% of married women said that they need government’s more positive aids in childcare and birth. Moreover, people who well recognize government’s birth policy were not even close to half of the whole 46.8%. Third, the analysis on married women’s approval ratings on birth policies were when they have small numbers of children, pecuniary aids in childcare facilities, pregnant women aids, increase in public childcare facilities, various childcare services, policy in deduction of income tax in many children home. People who have high approval ratings on these policies also have positive minds on birth intentions. Based on these analyses, the following are the future proposals for South Korea’s birth plan policies: First, increase in entry of women in public affairs and increase in education opportunities, change values have led to given birth when they aged, increase in values that only favors small numbers of children and some are just give up on their birth plans. Therefore, change in those values; create social conditions for birth and raise that economically stable. It would naturally lead to positive minds towards having children. Second, societal efforts to change the favoritism of small numbers children, reinforcement of educate and promote birth policies to people who just got married or about to be married. Seek the ways in which can bring up effectiveness of birth policy and change in attitudes towards birth policy. Third, the realization of support funds and substantial aids are greatly needed. Moreover, develop and manage various programs for women after birth, increase in childcare services and facilities which can help many working women to participate both work and home. In addition, instead of grouping many policies in one hand, realistic and practical policies should be performed even if its small tasks.

      • 비좌굴가새골조의 내진성능에 관한 해석적 연구

        노승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존의 모멘트저항골조의 비경제성과 일반가새골조의 취성적인 거동에 대한 대안으로서 비좌굴가새골조가 제안되었다. 비좌굴 가새는 심재와 심재의 좌굴을 방지하도록 심재를 둘러싸고 있는 보강재로 이루어져있다. 비좌굴 가새골조는 지진이 발생할 경우 비좌굴가새가 먼저 항복함으로서 대부분의 지진에너지를 비좌굴 가새가 받게 되어서 보와 기둥 등의 주구조 부재에는 거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 비좌굴 가새골조가 적용될 경우, 3층 골조에 대하여 모멘트 저항골조와 일반 가새골조를 비좌굴가새골조와 비교하여 그 우수성을 알아보았다. 또한 우리나라는 미국과 일본에 비하여 중약진 지역이므로 건물의 층수가 높아질 경우 지진하중보다는 풍하중에 의하여 건물의 횡력저항 시스템이 결정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풍하중에 대하여 비좌굴 가새를 설계될 경우의 비좌굴가새골조의 성능도 알아보았다. 또한 비좌굴가새를 건물골조 시스템과 이중골조 시스템에 비좌굴가새를 각각 적용한 후의 거동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비좌굴가새골조는 경제적이면서 안정적인 거동을 보였고, 비좌굴가새가 이중골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경우 골조의 잔류변형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Buckling-Restrained Brace(BRB) is a new Brace system, where the steel core is encased by steel tube which prevent the steel core from buckling under compressive force. The previous research and tests were performed for low rise braced frames. In this study, 3, 6 and 9-story BRBFs were designed and the inelastic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DRAIN-2DX. The 3-story buckling-restrained braced frame, concentrically braced frame, and moment resisting frame were designed and the pushover analysis was performed. To study the behavior of various buckling-restrained braced frames against the earthquake, the timehistory analysis was performed. Two seismic design categories were selected and buckling-restrained braced frames were designed against only earthquake load and both earthquake load and wind load. Then the behavior of the frames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buckling-restrained braces were applied to building frame system and dual system. Through each analysis, we obtained the results as follows ; (1) In pushover analysis for 3-story frames, BRBFs (Buckling-Restrained Braced Frames) showed better performance then moment resisting frame and ordinary concentrically braced frame. BRBFs were more ductile then ordinary concentrically braced frames and more lighter then moment resisting frames. (2) As a result of pushover analysis, the story drift of BRBFs were more uniformly distributed than ordinary concentrically braced frames. It appears that when large earthquake happens, the damage will not be concentrated in one story but uniformly distributed in all stories. (3) As a result of timehistory analysis, for design seismic load, only braces yielded and the columns and beams remained elastically. For 2400 year seismic load, plastic hinges were developed in a few columns. It appears that no serious damage happen when a large earthquake happen. (4) BRBFs designed against wind and earthquake, maximum drift were developed in upper story but the degree of damage wasn't serious. (5) When the BRB were applied in building frame and dual system, there was no difference in displacement and drift. But in dual system, the residual displacement was decreased.

      • 언어발달 수준에 따른 만 2세 반 두 영아의 놀이특성 사례연구

        노승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inguistic development-based play characteristics of two-year-old toddl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linguistic development and play and then provide information to support the linguistic development and play of toddlers. Study participants were two toddlers in their two-year-olds' classroom of who were attending in O childcare center in Dongjak-Gu, Seoul. Of them, one has normal linguistic development, but the other has retardant linguistic development. As a study tool, the investigator used the Preschool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Scale (PRES) developed by Kim Yeong-tae, Seong Tae-je and Lee Yun-gyeong (2003). The method of study was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study was carried out over the period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08. And the investigator used copied video tapes and study notes as analytic data in general. Study question-centered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difference of play pattern between a normal linguistic development toddler and a retardant linguistic development toddler?' Their linguistic development-based play patterns could be examined on the basis of the developmental level of play and the modality of linguistic usage. Their developmental level of play was analyzed on the basis of 'Young children' Developmental Level of Play' developed by Kim Myeong-sun and Seong Ji-hyeon (2002). Study findings show that the toddler of normal linguistic development presents symbolic play level development whereas the toddler of retardant linguistic development presents non-symbolic play level development. As for the linguistic usage, the toddler of normal linguistic development clarifies the situation of play, thus utilizing language and finding the elements of play within the language whereas the toddler of retardant linguistic development expresses his thought in a nonverbal way and pleasantly imitates the words of peers. Second, 'What is the difference of toy utilization between a normal linguistic development toddler and a retardant linguistic development toddler?' Their linguistic development-based play characteristics were presented in the meaning of toy and the modality of relationship among toys. To the toddler of normal linguistic development, a toy is main subject of pretense and he uses it as a medium of bridging mutual relations whereas to the toddler of retardant linguistic development, a toy is the subject of curiosity and exploration and he presents the modality of using it as a means of voluntarily attempting play. In addition, the toddler of normal linguistic development creatively connects the toys of which attributes are different, thus forming the relationship of adding and finding newness whereas the toddler of retardant linguistic development repetitively plays with the toys of which attributes are connected each other, thus forming the lasting relationship with one or two toys. Third, 'What is the difference of characteristics of the interaction with peers between a normal linguistic development toddler and a retardant linguistic development toddler?' As for the two toddlers' characteristics of the interaction with peers, the meaning of peers has to do with the level of linguistic development in the leading of play, the method of interaction when conflicts are taken place during play, and the process of interaction with peers. As for the modality of leading of play, the toddler of normal linguistic development takes the initiative of play by means of directing, defining and suggesting the play whereas the toddler of retardant linguistic development passively adapts himself to the play which is led by peers. As for the method of interaction when conflicts are taken place during play, the toddler of normal linguistic development claims the ownership of toys and presents his feelings with words whereas the toddler of retardant linguistic development presents his intention physically or by shouting. As for the process of interaction with peers, the toddler of normal linguistic development regards peers as the one who helps recreate play whereas the toddler of retardant linguistic development regards peers as the one who is a good model of imitation and as the subject to which he can do an approach run. Study findings show that toddlers play in an appropriate way according to their level of linguistic development. They use language as an important means of play and consolidate the basis of linguistic, perceptiv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via play. In this regard, teachers and parents must understand toddlers' characteristics of play and then provide them appropriate play for their development. 본 연구는 언어발달 수준에 따른 만 2세 반 두 영아의 놀이특성이 어떠한지를 살펴보아 그 사례를 통하여 영아의 언어발달과 놀이 사이의 관련성을 인식하고 그들의 언어발달과 놀이를 지원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시 동작구에 위치한 O어린이집 만 2세 반 두 명의 남아로 선정되었다. 이들은 언어발달 선별검사를 통해 보편적인 언어발달을 보이는 영아 한명과 언어발달이 느린 영아 한명이다. 연구도구로는 김영태, 성태제, 이윤경(2003)에 의해 개발된 ‘취학 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발달 척도’(Preschool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Scale : PRES)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2008년 9월부터 11월 까지 참여관찰로 이루어졌으며 분석 자료로는 비디오 녹화 테잎 전사본과 연구노트가 주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연구문제 중심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편적인 언어발달 수준을 보이는 영아와 언어발달이 느린 만 2세 반 두 영아의 놀이 형태는 어떠한가?' 두 영아의 놀이 발달 수준과 놀이 중 나타나는 언어 활용 양상을 바탕으로 언어발달 수준에 따른 놀이 형태를 살펴볼 수 있었다. 연구 참여자의 놀이 발달 수준은 김명순, 성지현(2002)의 ‘영아의 놀이 발달 수준’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보편적인 언어발달 수준을 보이는 영아는 상징 놀이 수준의 놀이발달을 보이며 언어발달이 느린 영아는 비 상징 놀이 수준의 놀이발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놀이 중 나타나는 언어 활용의 경우 보편적인 언어발달 수준을 보이는 영아는 놀이 상황을 명료화 · 구체화하는데 언어를 이용하며 언어 속에서 놀이 요소를 발견하여 놀이하였다. 한편, 언어발달이 느린 영아의 경우 놀이 상황 중 비 언어적으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며 또래의 말을 모방하며 즐거움을 느끼고 있었다. 둘째, '보편적인 언어발달 수준을 보이는 영아와 언어발달이 느린 만 2세 반 두 영아의 놀잇감 활용은 어떠한가?' 놀잇감을 활용하는 데 있어 그들에게 놀이감이 의미 하는 바와 놀잇감들의 관계 맺기 양상에서 언어발달 수준에 따른 놀이 특성을 나타냈다. 먼저 보편적인 언어발달 수준을 보이는 영아의 경우 그들에게 놀잇감은 가작화하기의 주요 대상으로서 또래와의 상호 관계를 연결해 주는 매체로 이를 활용 했다. 반면, 언어발달이 느린 영아에게 놀잇감은 호기심을 갖고 탐색해보는 대상으로서 자발적으로 놀이를 시도해 보는데 활용하는 양상을 보였다. 다음, 보편적인 언어발달 수준을 보이는 영아는 속성이 다른 놀잇감들을 창의적으로 연결하여 놀이함으로써 더하여 새로움을 발견하는 관계를 맺어나갔다. 반면 언어발달이 느린 영아는 속성이 연관된 놀잇감으로 반복적으로 놀이하며 관련 있는 한 두 가지의 놀잇감의 지속적인 관계를 맺어나가고 있었다. 셋째, '보편적인 언어발달 수준을 보이는 영아와 언어발달이 느린 만 2세 반 두 영아의 또래와의 상호작용 특성은 어떠한가?' 두 영아의 또래와의 상호작용 특성은 놀이 이끌어가기, 놀이 중 갈등 발생 시 상호작용 방식, 또래 상호과정에서 두 영아에게 또래가 의미하는 바에 있어 언어발달 수준에 따른 차이가 있다. 우선 놀이를 이끌어 가는 양상에 있어서 보편적인 언어발달 수준을 보이는 영아는 놀이를 지시하고 정의하며 제안하는 방식으로 놀이의 주도권을 잡아 주도자로서 놀이하였다. 반면, 언어발달이 느린 영아의 경우 또래가 주도하는 놀이에 순응하는 이끌려가고 있었다. 다음, 놀이 중 갈등 발생 시 상호작용 양상에 있어서 보편적인 언어발달 수준을 보이는 영아는 말로 놀잇감의 소유를 주장하였으며 자신의 감정을 이야기하였다. 반면, 언어발달 수준이 낮은 영아의 경우 몸으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거나 소리를 지르는 행동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보편적인 언어발달 수준을 보이는 영아에게 또래는 놀이를 재창조 하도록 도움을 주는 이를 의미하며 언어발달이 느린 영아에게는 좋은 모델로서 모방하여 도움닫기를 할 수 있는 대상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영아는 자신의 언어 발달 수준에 따라 발달 수준에 적합한 나름의 방법으로 스스로 놀이해 나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언어를 놀이의 주요한 도구로서 활용하며 이와 함께 놀이를 통해 언어를 발달시켜 나가며 비단 언어 능력 뿐만 아니라 인지, 사회, 정서적 발달의 기초를 다지고 있었다. 영아의 교사와 양육자는 언어발달 수준에 따른 영아들의 놀이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그들의 발달에 적합한 놀이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 만 5세 유아음악교육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노승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만 5세 유아음악교육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협력적 실행과정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교육적 의미를 도출하여 만 5세 유아음악교육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만 5세 유아음악교육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협력적 실행의 과정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둘째, 만 5세 유아음악교육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협력적 실행의 의미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하늘유치원 만 5세 무지개반에서 2018년 3월 초부터 2018년 7월말까지 약 5개월간 협력적 실행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무지개반 담임교사와 유아 18명, 연구자이다. 참여관찰, 면담 및 수업 협의, 교사와 연구자의 저널, 객관화된 검사, 각종 문서자료 및 음악활동 결과물 등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5세 유아음악교육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협력적 실행을 위해연구자는 연구 참여자와 라포르를 형성하고 공동의 목표를 명확히 하였다. 연구 현장의 음악교육 실태 및 교사의 음악교수 효능감 및 태도를 진단한 결과를 토대로 실행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1차 실행 계획 및 실행, 평가, 2차 실행 계획 및 실행, 종합평가의 과정이 순환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음악교육의 내용, 교수-학습방법, 환경의 측면에서 만 5세 유아음악교육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실천하였다. 음악교육 내용은 음악적 요소를 고려한 음악교육 영역 내 균형 있는 음악교육 내용 수립, 음악 교수-학습방법은 대·소집단 음악활동과 음률영역 연계 및 통합적이고 포괄적인 교수-학습방법 적용, 음악교육 환경은 음악적 탐색과 표현을 촉진하는 물리적 환경 및 민감성 있는 상호작용을 통한 심리적 환경 구축을 위한 실행이 이루어졌다. 둘째, 만 5세 유아음악교육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협력적 실행과정의 의미를 유아, 교사, 연구자, 연구 참여자 외 측면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유아는 음악을 느끼고 즐기며 표현하는 과정을 통해 음악성을 계발하였으며, 교사는 음악교육에 대한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며 연구하는 교사로 성장하였다. 연구자는 유아 음악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자로서 성장하였으며 더 나은 수업을 위한 협력적 관계가 연구 유치원 내에서 형성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음악교육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로 개선과제를 연구 교실에서 인식하고 교육현장의 맥락 및 연구 참여자를 고려한 맞춤형 교사교육의 과정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교사의 음악교수 전문성 및 유아의 음악 경험, 연구자 및 연구 현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음악교육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현직교사교육의 방안을 제시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a cooperative practice course designed to manage music education for 5-year-old preschoolers more effectively. It assesse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course and suggests ways to improve it. To achieve this, it ask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how does the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currently used in managing music education for 5-year-old children improve teaching quality? Second, what is the significance of collaborative action for a more effective management of music education for 5-year-old children? Focusing on collaborative action, the researcher carried out a research project lasting approximately five months, from March 2018 to July 2018, in "Rainbow Class," a class for 5-year-old preschoolers, at Haneul Kindergarten in Seoul. The research participants included the homeroom teacher, 18 preschoolers, and the researcher. Data were obtain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interviews, class discussions, journals kept by teachers and the researcher, tests measuring teachers' music teaching efficacy, documents, and the results of musical activities. Thes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producing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First, to effectively manage music education through cooperation, the researcher began by creating rapport with the participants and clarifying common objectives. Agreed goal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status of music education in the field and the teachers’ levels of efficacy in musical education. A cyclical process was established, in which a primary plan was actioned and evaluated, followed by a secondary plan and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data. Various methods of managing children’s music education were studied; topics included music education curricula,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 environment. To develop an effective music curriculum, it was important to establish balanced content within the field, taking various musical factors into consideration. The present study prioritized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that either connected large- and small-group musical activities with music and movement areas, or adopted integrated and comprehensive teaching-learning methods. Another important goal was to strengthen the classroom environment for music education, both to promote inquiry and expression, and also to build a psychological environment that fostered sensitive interactions. Secondly, the importance of working cooperatively to deliver music education to 5-year-old preschoolers was explored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children, teachers, researcher, and other participants. The children developed musical skills through a process of feeling, enjoying, and expressing music. The teachers became better educators by collaborating to impart practical knowledge of music. The collaborative action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took effect on improvement of the field which had problems with music education, researchers growth as a music teacher educator, fellow teachers, kindergarten, and so on.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efficient ways to teach music to children through cooperative practice. It identified challenges in the research setting and suggested ways of customizing educational processes to reflect the needs of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 larger context. In doing so, it succeeded in making a positive impact on the musical expertise of teachers, the musical experiences of children, the researcher’s own knowledge, and the research field. The present study offers valuable insights into ways of educating teachers to manage music education for 5-year-old preschoolers more eff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