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무순환과 기술혁신 간의 관계

        노세리(Se-Ri No),이상민(Sang-Min Lee)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18 경영경제연구 Vol.40 No.1

        본 연구는 기능적 유연화를 도모하는 대표적인 제도인 직무순환의 기능을 기업성과 측면에서 평가하고 이를 활성화하는 방안에 관한 연구가 미진하였던 점에서 나아가, 직무순환 제도의 기능을 재조명하고 활성화 방안논의하기 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직무순환 제도의 시행이 기업의 신제품이나 기술 개발과 같은 기술혁신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직무순환 제도는 어떠한 메커니즘을 통해 기술혁신에 영향을 미치는가?, 그리고 직무순환 제도가 기술혁신을 가능하게 하는 순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맥락적 요소가 필요한가? 와 같은 연구 질문에 대하여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학습 전이 시스템 모형(learning transfer system model)을 바탕으로 직무순환 제도의 기능과 활성화 방안을 논의한다. 연구결과, 직무순환 제도의 시행은 기술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순환 제도의 시행은 근로자 동기부여를 통해 기술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직무순환 제도의 시행과 근로자 동기부여 그리고 기술혁신 간의 관계는 조직의 학습지원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We studied the effects of Job rotation and discuss revitalization plan of job rotation. we presented the answer for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How do job rotation affect new technology and new product or service?, Second, What mechanism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rotation and innovation?, Third, What kinds of organizational factors influ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rotation and innovation?. We discussed revitalization plan of job rotation based on Learning Transfer System Model. The result presented job rotation affect technology innovation. Job rotation affect innovation through employee motivation. In addition, organizational Learning support moderate the relationship among job rotation, employees motivation, and technology innovation.

      • KCI등재

        가족친화적 고성과작업시스템에 대한 듀얼아젠다 접근

        노세리(Se ri No),이상민(Sang-Min Lee) 한국인사·조직학회 2011 인사조직연구 Vol.19 No.3

        기업의 경영활동은 경제적 성과에 초점을 두고 수행되어 왔지만, 경제적, 사회문화적 환경의 변화 속에서 기업이 지속적으로 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경제적 성과뿐 아니라, 사회적 성과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기업의 중요한 이해관계자인 근로자와 그 가족들의 가치관이 점차 일 중심에서 일과 삶의 조화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변하면서 근로자들의 일과 삶의 조화는 기업이 다루어야 할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이제까지 기업의 경제적 성과 향상을 지향하고자 하는 노력은 주로 고성과작업시스템의 논의를 통하여 근로자들의 일과 삶의 조화의 이슈는 가족친화 경영을 통하여 다루어져 왔으며, 이를 통합적으로 다루고자 하는 시도는 매우 부족하였다. 이는 기업에게 있어 근로자들의 일과 삶의 조화와 경제적 성과 추구는 대립적으로 보였기 때문이다. 경제적 성과 향상과 일과 삶의 조화를 동시에 지향 할 수 있도록 작업시스템을 재설계 하고자 하는 관점을 듀얼아젠다 접근이라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듀얼아젠다 접근을 통해, 기업이 경제적 성과와 근로자의 일과 삶의 조화를 동시에 추구할 수 있도록 고성과작업시스템과 가족친화경영을 통합한 작업시스템을 제시하고 그 효과를 측정하고자 한다. 실증분석은 「2007 사업체패널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총 1,741개의 표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고성과작업시스템과 가족친화경영은 각각 경제적 성과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양성평등 수준으로 측정된 근로자의 일과 삶의 조화에 대하여 가족친화경영은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고성과작업시스템은 부분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고성과작업시스템과 가족친화경영은 일과 삶의 조화에 대하여 긍정적인 상호작용효과를 보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고성과작업시스템은 근로자의 일과 삶의 조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조직은 가족친화경영의 도입을 고려하고 나아가 가족친화적 고성과작업시스템의 구축을 통하여 지속가능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이제까지 조직의 경제적 성과 향상에 초점을 두고 논의되던 고성과작업시스템의 한계를 인식하고, 통합적인 관점을 통해 기업이 경제적 성과 향상뿐 아니라 일과 삶의 조화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작업시스템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의 한계점은 본문의 마지막에서 논의하도록 하겠다. Corporations traditionally carry out tasks that mainly focus on economic profit and organizational efficiency. However, corporations should consider social performance as well as economic profit to get sustainability of the firm in an uncertain and unstable business environment. Social performance, which corporations aim in the 21st century can be achieved by managing various stakeholder. Currently, the values of employees and their family, which are important to stakeholder, are changing from only work-oriented to both work and family -oriented. Thus, employees' work and life balance has become vital. This value change causes a transformation of the firm's culture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Managing work and life balance for the employee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for stakeholder and corporation. Until now, we have considered high-performance work system as a respond to the economical profits. And work and life balance is to the family-friendly management. However, an attempt to put economic performance and work and life balance in one picture was insufficient. These two are actually compatible to each other. Excessive pursue of economic profits may disrupt healthy work and life balance of employee and work and life balance seems to be achieved by sacrificing their economic profits. Dual agenda approach is a perspective of redesigning corporations work system that can achieve adversarial concepts of economic profits and work and life balance. In this research, through dual agenda approach, we will present family-friendly high-performance work system which could enhanc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worker's work and life balance.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2007 Workplace Panel Survey from」 the Korea Labor Institute. The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of all, both high-performance work system and family-friendly management have positive effect on economic profit. Family-friendly management has positive effect on work and life balance. However, high-performance work system has negative effect on work and life balance. Finally, high-Performance work system and family-friendly management have interaction effect on work and life balance. The noticeable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is that high-performance work system has negative effects on work and life balance. High-performance work system makes employees to commit to their work and lead to increase the work time, and builds a culture leading to competition among employees. Consequently, these characteristic of work system cannot make employees' work and life balance. Thus, family-friendly management should be considered along with high-performance work system to enhance not only economic profits but also work and life balance. This is because family-friendly management has positive effects on economic profits and it reduces negative effects that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has on the work and life balance. Thus, a need to integrate high-performance work system and family-friendly management is essential for enhancing economic profits of corporations and employees work and life balance. With the combined approach, the corporations can expect sustainability.

      • KCI등재

        직무요구와 창의적 성과의 관계

        노세리(Se Ri No),김미희(Mi hee Kim),이상민(Sang Min Lee) 한국인사관리학회 2015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9 No.1

        본 연구는 일과 가정의 상호작용 모형(work life interaction model )과 몰입-증진 이론에 근거하여 직무요구와 창의적 성과 간의 곡선적 관계에서 나타나는 일-가정 증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근로자들은 직장에서 경험하는 업무량이나 시간 압박의 정도가 적정 수준일 때에 이를 최적의 자극으로 받아들이고 일에 몰입한다. 이러한 일 몰입은 일 외의 경험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근로자들이 일 경험을 바탕으로 가정에서 주어진 역할을 보다 잘 수행할 수 있다고 느끼게 되는 일-가정 증진에 영향을 주게 된다. 그리고 주목할 것은 근로자의 일-가정 증진이 근로자의 직장 영역에서 과업성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근로자는 일-가정 증진을 통하여 일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면서 발생한 긍정적 감정과 지식 및 기능의 축적으로 자원의 풍족을 경험한다. 이러한 자원의 풍족으로, 근로자는 과업을 수행하면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여유를 가지고 접근하게 되며 다양한 생각을 바탕으로 해결책을 제시하여 창의적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다양한 산업과 규모의 26개 기업에서 근무하는 244명 근로자들을 표본으로 사용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직무요구와 창의적 성과 사이에 유의미한 비선형적 관계가 존재하며, 둘째, 직무요구와 일-가정 증진 역시 유의미한 비선형적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일-가정 증진은 직무요구와 창의적 성과 간의 곡선적 관계를 완전매개(full mediation)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Individual creativity is important to organization innovation. We focus on job demands that affect the creative performance as a crucial work environment. Job demands refers to aspects of job that require sustained effort, and, as such incur certain costs as a result. Bear & Oldham (2006) argu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s and creativity is inverted U-shape. When job demands are not high or low levels but moderate level, the employees recognize intermediate level of job demands as a optimal stimulation. However, the study has explained the curvilinear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 and creativity in manufacturing industry, and in concept of job demand as time pressure for creative work performance. In addition, the study cannot demonstrate the mechanism that explain the curvilinear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s and creative performance. How does moderate level of job demands enhance creativity? According to engagement-enrichment theory, engagement leads to enrichment. Previous studies focus on enrichment such a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t are caused by work engagement. However, work engagement can lead to non-work experience. For example, Bakker & Domerouti (2008) demonstrated that employees who experience work engagement that is characterized by vigor and absorption voluntarily participate in various activities at home. In addition, they argued because various domains such as work and family are not separate but integrate, family life affect work performance. Greenhaus & Powell (2006) insist although there is a work-family conflict which is negative role conflict, there is a work-family enrich-ment which is positive synergy role accumulation. Based on work and life integration model, especially, enrichment process, this study present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moderate level of job demands and creative performance. In addition, we demonstrate the effect of non-work experience such as work-family enrichment in the curvilinear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s and creativity based on engagement-enrichment theory. Amabile(1988) has demonstrated intrinsic motivation is key factor in creativity. Job demand can be enhancer intrinsic motivation as well as hinder intrinsic motivation depend on perception of employees. Previous literature insists there are curvilinear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 and creativity. According to optimal experience theory, the moderate level of pressure for work load and work speed or time lead to intrinsic interest. The optimal stimulation makes employees engage their work. As a result, the employees who engage the job show risk taking behavior to achieve the goal. In other word, because the employees who engage their task show experimental behavior and exploitation activities, they create outstanding new and novel performance. Furthermore, engagement of the job cause enrichment state according to engagement-enrichment theory. Work engagement, which is defined as a positive, fulfilling work-related state of mind characterized by vigor, dedication, and absorption, causes enrichment according to engagement-enrichment theory. Employees who engage their job feel vigor or absorption, as a result, they think that their job is very meaningful and helpful for their develop-ment. The feeling leads to positive affect and attitude for their job as well as their life such as family. Thus, the employees have confidence to carry out their roles as a father or mother through the positive affect accumulated by job. In addition, when the employees experience work-family enrichment, they recognize that they have abundant resource such as social capital and psychological resource. Thus, the employees feel relaxed, which make them have various alternative and show risk taking behaviors. We use 224 samples consist of various firm sizes and industry in the analysis. We conduc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to verify t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이케아코리아의 복리후생제도는 어떻게 다른가?

        박지성(JiSung Park),노세리(Se Ri No),김미희(MiHee Kim) 한국경영학회 2019 Korea Business Review Vol.23 No.4

        본 연구에서는 총보상 이론에서 주장하는 인력 유인 및 유지에 있어 복리후생제도가 가진 중요성에 주목하고, 이러한 복리후생제도가 가진 효과를 적절하게 보여줄 수 있는 사례로 이케아코리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복리후생제도에 대한 일반적 정의와 범위, 총보상 이론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고, 총보상의 관점에서 현재 비용 투입 대비 효과가 낮다고 평가되는 복리후생제도의 중요성에 대해 재조명하였다. 다음으로 구체적인 이케아코리아의 복리후생제도 사례분석을 위하여 그 뿌리와 같은 모기업 이케아 그룹의 역사적 발전과정과 현황, 조직문화와 핵심가치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조직문화와 핵심가치에 근거하여 설계된 이케아코리아의 복리후생제도들을 유형화하여 제시하였으며, 이케아코리아의 복리후생제도가 어떠한 측면에서 인재 확보 및 유지에 있어 강점을 갖는지 역시 논의하였다. 뿐만 아니라, 모든 제도가 완전무결할 수 없다는 점을 고려하여 현재 이케아코리아가 마주한 복리후생제도 관련 이슈들을 정리하고 이에 대한 방향성을 고민하는 한편, 국내 기업들이 복리후생제도를 설계하거나 운영함에 있어 이케아코리아의 사례가 줄 수 있는 시사점에 대해서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employee benefit programs and this study analyzes IKEA Korea which effectively shows the effects of such benefit programs. Based on this purpose, we firstly introduce the total rewards theory and the types of employee benefit programs, and revisit the values of employee benefit programs which underestimated the output versus input in terms of total rewards. Next, in order to specifically analyze the case of IKEA Korea, the historically developmental processes, the current situations, organizational culture, and core values of IKEA as the root of IKEA Korea in advance.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is study suggests employee benefit programs of IKEA by grouping each practices which are designed by organizational culture and core values. Moreover, this study discusses that which aspects of IKEA benefit programs have strengths in talent acquisition and retention.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there is no perfect system in the world, this study summarizes the issues related benefit programs that IKEA Korea currently and potentially faces. And lastly, this study proposes the implications of the IKEA Korea case to be helpful for Korean companies which consider the design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better employee benefit program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공감의 불안 완화 효과에 관한 연구: 긍정정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형진 ( Hyung-jin Choi ),이상민 ( Sang-min Lee ),노세리 ( Se-ri No ) 한독경상학회 2015 經商論叢 Vol.33 No.3

        공감(compassion)은 타인의 고통에 주목하고 그들의 감정을 느끼며, 더 나아가 고통을 완화할 수 있도록 실제적인 도움을 주는 행동이다. 현대 사회에 접어들면서 개인은 삶의 많은 시간을 조직에서 보내기 때문에 사회적 집단에 소속된 개인은 자신이 경험한 고통을 사회적 집단에 반영하는 경향을 보이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조직이 공감과 같은 구성원의 감정의 표현 이나 이해를 관리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초기 공감 연구자인 Blum(1980)은 공감이 긍정적 심리 상태를 강화시키기 보다는 오히려 부정적인 심리 상태를 완화하는 데에 더 효과적이라고 주장하였다. 본 연구는 긍정정서 확장 및 형성 이론에 근거하여, 공감이 긍정적 정서와 감정을 강화한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공감은 주로 부정적 심리 상태를 완화한다는 초기 공감 연구의 관점을 통합하여 공감이 긍정정서를 매개로 하여 불안을 완화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임상실습에 대한 스트레스가 큰 간호학생 2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공감의 대상을 구체적으로 논의하게 위해 불안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불안을 ‘존재하는 불안’과 ‘부재하는 불안’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실증분석 결과, 고통을 받고 있는 개인이 경험한 공감은 고불안과 유의미한 수준에서 부(-)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저불안과는 유의미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긍정정서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공감이 고불안을 낮추는데 긍정정서가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공감은 불안과 같은 부정적 심리 상태, 특히 일시적인 또는 미비한 불안 상태가 아닌 심각한 부정적 상태를 완화하는데 효과를 가진 것을 알 수 있다. Compassion is one of helping behavior for people who have been experiencingsuffering. It is generated from the attention of someone else’s pain and the feeling their emotions, and then it is passed to them through some action in order to alleviate their suffering, such as verbal expression of support, granting of time or materials for recovery and practical help. Entering the modern society, because many people have been spending amount of time in the organization, it is no surprise that their sufferings arising from their personal live have a negative impact on both other employeesincluding oneself and organizations in connection with psychological, physical and financial outcomes. In this regard, the importance of managing and understanding employee’ the expressions of emotions, such as compassion, are emerging in organization. According to Blum (1980) who is one of the initial compassion researchers, purpose of compassion links more closely with alleviating negative conditions of sufferers rather than revitalization of a positive state of mind. In this study, based on broaden-and-build model of positive emotion theory, by integrating both results of preceding research that compassion can enhance positive affect and emotion of the people, and prospective of initial study of compassion that a sense of purpose of compassion is basically to alleviate their suffering, we have set up a hypothesis, effect of compassion can relieve anxiety as mediated by positive affect. To test hypothesis this study proposed, we survey 217 university student of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in Kangwon. To discuss limited objects of compassion, based on preceding research of compassion and anxiety, we also empirically examine state- anxiety by dividing it two aspects as anxiety-present and anxiety-absent following Spielberger (1968, 1977). As a result, we found that compassion sufferer experienced is notnegatively related to anxiety-absent but anxiety-present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Furthermore, we also found mediating effects that positive affect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d compassion and high-anxiet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compassion has an effect on the negative psychological states of the people such as anxiety. Especially, it has a more significant impact on alleviating the serious negative conditions such as jittery or strained that it does not mean that temporary or slight anxiety such as less stable or pleas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