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인적 성숙을 위한 시민교육 ― 아도르노, 김수환 추기경, 프란치스코 교황의 교육관을 중심으로 ―

        노성숙(Nho, Soung-Suk)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20 인간연구 Vol.0 No.40

        본 논문은 시민교육이 학교교육에만 국한될 것이 아니라 전 생애에 걸쳐 꾸준한 교육으로 확장되어야 한다는 비판적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II장에서는 오늘날 교육현실을 비판적으로 직시하기 위해 오히려 가장 극단적인 반례가 되는 시민의 한 사람으로서 아돌프 아이히만을 소개한다. 그러고 나서 그가 평범한 일상을 살면서, 법을 지키려는 시민의 의무를 다했지만, 오히려 역설적으로 어떻게 홀로코스트의 엄청난 비인간적인 야만성에 빠져들고 말았는가를 비판적으로 들여다본다. III장에서는 아도르노의 교육에 대한 사유들을 토대로 야만적 교육현실의 문제점을 비판한 뒤, ‘성숙을 위한 시민교육’이라는 아도르노의 개념을 고찰한다. 그가 말하는 ‘성숙’은 다름 아닌 ‘스스로 사유하는 자율적 주체’가 되어 자신이 속한 ‘사회에 대한 비판적 자기성찰’을 지속적으로 실천함으로써 ‘올바른 의식을 생성’하는 데에 있다. IV장에서는 가톨릭교회의 입장과 연관시켜서 ‘전인적 성숙을 위한 시민교육’의 이념과 그 실천가능성에 대해 알아본다. 아이히만과 정반대로 탈야만과 성숙을 실현한 한 시민이자 종교지도자로서 김 추기경의 구체적인 삶을 소개한 뒤, 김 추기경과 프란치스코 교황의 교육관을 살펴본다. 김 추기경은 시민 민주주의의 이념인 자유, 평등, 박애가 그리스도교적 인간관에 자리 잡고 있으며, 그에 따라 성숙을 위한 시민교육도 그리스도교적 전인성에 뿌리내리고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프란치스코 교황은 ‘성숙을 위한 교육’은 시간을 들인 경험을 필요로 한다고 강조하면서, 스스로 선택하는 자유와 사회적인 공동선과 더불어 한 걸음 더 나아가 종교적 거룩함이라는 차원에까지 이르는 교육을 실천해 나가야 한다고 말한다. 이와 같이 볼 때, 아도르노, 김 추기경, 프란치스코 교황은 각각 서로 다른 사상적 배경을 지니고 있지만, 이들은 공통적으로 ‘전인적 성숙’이라는 교육목표를 매우 뚜렷하게 강조한다. 이들이 공통적으로 말하는 시민교육은 개인으로서의 시민 각자가 스스로 생각하고 자유로운 선택을 할 수 있는 존재이어야 하며, 자신이 속한 사회에 대해 비판적 성찰을 할 수 있고, 자신을 넘어서서 타인과 함께 공동선을 지향하고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는 데에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논문은 김 추기경이 말한 ‘전인적 성숙을 위한 시민교육’을 아도르노의 철학적 차원과 프란치스코 교황의 영성적 차원으로 심화와 확장을 시도해 본 데에 그 의의가 있다. This paper begins with the critical awareness that a citizen’s educa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school, but should continue throughout their life. Chapter II introduces Adolf Eichmann as one of the most extreme counter-citizens in order to critically face education today. This chapter examines how, paradoxically, Eichmann fell into the inhuman barbarity of the Holocaust, although he maintained his routine and fulfilled his civil duty to uphold the law. Chapter III critically considers the problem of barbarism in education based on Adorno’s theory of education, and then examines Adorno’s concept of civil education to achieve maturity. Adorno’s definition of maturity is to create the right consciousness by becoming an autonomous subject that thinks for oneself and by practicing continuous critical reflection on the self and on society. Chapter IV examines the practicality of civic education for the maturity of a person as a whole in relation to the Catholic Church. This chapter introduces the life of Cardinal Kim, who, in contrast to Eichmann, achieved debarbarization and maturity as a citizen and religious leader. This chapter also examines the educational views of Pope Francis. Cardinal Kim believes that civil democracy is based on the Christian view of humanity, so that civil education for maturity should be rooted in Christian wholeness. Pope Francis also stresses that maturity requires time-consuming experience and says maturity must reach religious holiness with and beyond the ability to choose freedom and the social common good. Adorno, Cardinal Kim, and Pope Francis have different theoretical backgrounds, but they each emphasize clearly the educational goal of the maturity of a person as a whole. Their common vision of civic education is that each citizen should be able to think for themselves and make free choices, to reflect critically on their society, and to look beyond themselves and work toward the common good. This paper deepens and expands Cardinal Kim"s concept of civic education for a whole person’s maturity into the philosophical dimension of Adorno and the spiritual dimension of Pope Francis.

      • KCI등재
      • KCI등재

        외상에 대한 ‘기억’의 철학상담적 치유가능성 모색 -아도르노의 ‘회상’개념과 변증법적 사유를 중심으로-

        노성숙 ( Nho¸ Soung Suk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7 가톨릭철학 Vol.0 No.29

        최근 한국사회에서 5.18, 세월호 등으로 인해 트라우마, 즉 외상에 대한 관심들이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과연 외상 생존자들에게 외상에 대한 기억을 없애고 ‘망각’하도록 도와야 할까? 아니면 ‘기억’을 통해 외상에 직면하여 그 사건을 말로 표현하고 증언하도록 해야 할까? 외상을 기억하는 것, 그 자체가 고통인데 생존자들로 하여금 그 고통을 돌아보고 외상을 이야기하도록 하는 것은 과연 생존자들에게 치유의 일환일 수 있을까? 본 논문에서 필자는 우리시대 인간의 조건을 사유해야 한다는 아렌트의 비판적 문제의식을 공유하는 데에서 출발하여, 외상 생존자들의 ‘기억’이 단지 개인적인 차원만이 아니라 사회와의 연관성에 대한 성찰적 사유로 이어질 때에야 비로소 치유될 수 있다는 점에 천착하고자 한다. 기존에 이루어진 정신의학적 치료나 심리치료의 작업에서도 외상에 대한 ‘기억’은 매우 핵심적 전환점을 마련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기존의 치료나 상담적 접근에서 외상을 치유하기 위해 ‘기억’이 왜 그리고 어떤 의미에서 중요한 치료적 요인이 될 수 있는지를 알아본 뒤, 이를 철학상담과의 대비를 통해 고찰하고자 한다. 우선적으로 2장에서는 트라우마 치료에서 양대산맥을 차지하고 있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에 대한 정신의학적인 치료와 “외상 후 성장(Posttraumatic Growth)”에 대한 심리치료 및 상담적 접근의 핵심을 정리해보고, 그 안에서 ‘기억’이 지니는 치료적 의미와 중요성을 살펴볼 것이다. 3장에서는 아도르노 사상을 중심으로 ‘기억’과 변증법적 사유에 대한 철학적 이해를 시도할 것이다. 4장에서는 기존의 심리치료나 상담에서의 ‘기억’에 대한 작업이 지니는 제한점을 되짚어본 뒤, PTDS의 ‘장애’와 PTG의 ‘성장’ 사이에서 외상을 치유하기 위한 ‘기억’의 철학상담적 토대를 마련해 본다. 이로써 외상을 치유하기 위한 기존 치료의 보완책이자 하나의 대안으로서 아도르노의 ‘회상’개념과 변증법적 사유에 기반한 철학상담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In recent decades, interest in trauma has grown in South Korean society due to the May 18<sup>th</sup>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the Sewol ferry disaster, and other events. Some have wondered if survivors should be assisted in ‘forgetting’ their memories of traumatic events or if they should be encouraged to face the trauma through those memories and discuss their experiences. Remembering trauma is painful, but it has been considered that having survivors experience that pain through discussing their traumatic experiences can be part of the healing process. This paper begins Arendt’s statement that one should consider human conditions and considers whether trauma survivors can heal only when their traumatic memories have been connected to introspective thinking concerning not only individual dimensions but also associations with society. In previous psychiatric treatment and psychotherapy studies, memories of trauma have been essential turning point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ason and context in which memories can be an important therapeutic factor when healing trauma using existing therapies or counseling approaches. It compares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to philosophical counseling approaches. Chapter 2 discusses the core of the psychiatric treatment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and the core of psychotherapy and counseling approaches to post-traumatic growth(PTG). The approaches occupy two major streams in trauma treatment. The therapeutic implications and importance of memories in the aforementioned treatment methods are examined. Chapter 3 discusses the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memories and dialectical thinking; the discussion centers on Adorno’s concepts. Chapter 4 reviews the limitations of existing psychotherapy and counseling work on memories. A basis is established for the philosophical counseling of memories in trauma healing. As such, this study considers philosophical counseling approaches based on Adorno’s concepts of ‘Eingedenken’ and dialectical thinking as supplementary and alternative approaches to existing trauma healing.

      • KCI등재

        인간다운 삶을 위한 철학적 대화로의 초대

        노성숙(Nho Soung-suk)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0 인간연구 Vol.0 No.19

        최근 철학의 새로운 분야로 부상하고 있는 철학상담은 1981년 아헨바흐(Achenbach)에 의해 ‘철학실천’이라는 용어로 시작되었다. 철학상담은 상담자인 철학자로 하여금 학계라는 울타리를 벗어나 애초에 실제 삶의 맥락으로부터 시작되었던 ‘철학함’을 회복시키고자 노력한다. 본 논문은 ‘왜 오늘날 철학실천으로서의 철학상담이 필요한가’라는 질문에 천착한다. 우선적으로 오늘날 철학 안팎으로 ‘철학상담’이 새롭게 시작되는 배경을 폭넓게 알아본다. 그러고 나서 이러한 역사적 맥락으로부터 창안된 아헨바흐의 ‘철학실천’으로서의 철학상담에 대한 구상을 집중적으로 고찰한다. 그리하여 그가 왜 ‘철학실천’의 문을 열었는지, 철학상담에서 ‘철학함’과 ‘철학자’는 어떤 의미로 이해되는지, 나아가 그가 왜 ‘실천’이라는 용어를 강조해서 사용하려 하는지를 알아본다. 또한 이와 같이 시작된 ‘철학실천’이 여타의 상담들과 구체적으로 어떻게 다르게 전개되는지를 밝혀 본다. 앞으로 철학상담은 인간에 대한 깊은 통찰력과 지혜의 자양분을 바탕으로 일상적인 삶의 고민과 갈등, 실존적 위기 등에 처한 사람들에게 ‘인간다운 삶’, ‘잘 삶’을 위한 유익한 대화의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Philosophical counseling, initially coined as “philosophical practice” by Achenbach in 1981, emerged recently as a new field of philosophy in its own right. It attempts, by recasting the philosopher as a counselor, to bring philosophy back from academia and recover the ancient notion of “doing philosophy”, in a real-life context. This paper focuses on the question of why philosophical counseling as philosophical practice is required in the contemporary world. First, it seeks to introduce the background for the beginning of philosophical counseling within and without the academic world of philosophy. Next, it investigates Achenbach’s conception of philosophical counseling as philosophical practice that appears in historical context, focusing on why he opened the door to “philosophical practice”. It also investigates the meaning of “philosophizing” and “philosopher” in his practice, as well as why h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ractice” instead of “counseling”. Furthermore, it pays attention to the difference between philosophical practice and other forms of counseling. There is reason to believe that philosophical counseling based on deep insight and human wisdom will give people in existential crisis or in problems of everyday life a useful opportunity to maintain dialogues that will improve their “well-being” and fulfill the realization of an authentic “human life” in the future.

      • KCI등재

        현대 상담이론 및 심리치료적 접근의 철학적 배경

        노성숙(Soung Suk Nho) 철학연구회 2012 哲學硏究 Vol.0 No.99

        A science of counseling emerged recently as a new field in responds to the rapidly growing demand for counseling in contemporary society.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lay the foundation for a new discipline of a philosophy of counseling. This article examines human understanding and also worldview that are required for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First, I attempt to investigate how the unconsciousness and instinct of Freud`s psychoanalysis are related to the will of Schopenhauer`s thought. And I examine Socratic dialogue, which is the original basis of Beck`s cognitive therapy and Ellis`s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Finally, I introduce the background for the beginning of existential approaches i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and then investigate existentialism itself as a base of existential psychotherapy and person-centered therapy, focusing on Heidegger`s human understanding and his view of the world. I hope that both counselor and client receive philosophical nourishment by investigating human understanding and worldview that are the fundamental premise of contemporary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Furthermore, I pave the way for the contemporary use of philosophy with an interdisciplinary interest.

      • KCI등재

        이야기로 풀어내는 주체성

        노성숙(Nho Soung-Suk) 한국현상학회 2006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29 No.-

        본 논문은 서구 근대적 주체성의 남성중심성을 비판하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성 인지적 주체성이 과연 무엇이며, 오늘날 여성주의의 입장에서 차이를 존중하면서도 단순히 본질주의에 빠지지 않는 여성 주체성을 어떻게 재구성할 것인지의 문제를 다룬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페넬로페와 오디세우스’의 서사를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오디세이』와 『페넬로피아드』의 텍스트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페넬로페의 자아정체성과 주체성에 주목한다. 그리하여 오디세우스와의 종속적 연관성 속에서 페넬로페가 지녀왔던 본질주의적 속성, 즉 ‘정숙한 여인’의 가부장적 전형을 해체하고, ‘이야기하기’(스토리텔링)의 주체로서 페넬로페의 주체 형성 과정을 재구성한다. 나아가 페넬로페와 오디세우스의 재회가 지닌 ‘상호 주체성’의 진정한 의미와 한계를 가늠해 본다.

      • KCI등재

        5ㆍ18 트라우마와 치유

        노성숙(Nho, Soung-Suk)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6 神學展望 Vol.- No.194

        본고는 5・18 트라우마의 치유를 위해서 반드시 ‘개인과 사회의 역학관계’를 성찰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비판적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한편으로 개인에게 들이닥친 다양한 5・18 트라우마의 구체적인 내러티브에 한걸음 더 가까이 다가가보고, 다른 한편으로 개인이 겪는 5・18 트라우마를 사회공동체와의 변증법적 모순성 속에서 검토한다. 나아가 5・18 트라우마의 구체적인 고통을 들여다 볼 때, 개인과 사회공동체가 함께 ‘치유’되기 위해서 과연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를 고찰한다. 먼저 Ⅱ장에서는 개인의 다양한 삶의 현장에 덮쳐온 5・18 트라우마, 그 ‘말할 수 없었던’ 고통의 ‘생생한’ 내러티브를 경청한다. 5・18 트라우마는 개인적이고도 사회적인 ‘역사의 기억’을 다룬다. Ⅲ장에서는 트라우마에 대한 심리학적 혹은 임상적 접근에서 5・18 트라우마에 드러난 고통의 양상, 그리고 그 고통과 사회공동체의 연관성을 살펴본다. 먼저 최근 트라우마 논의의 중심을 차지하고 있는 PTSD의 증상, 곧 과각성, 침투(재경험), 억제(회피와 정서적 마비)에 대해 알아본다. 5・18 트라우마는 이러한 PTSD만이 아니라 한국 사회만의 역사적이고 사회적인 맥락에서 ‘만성화되었으며 집단적인 2차 트라우마’로서의 독특성을 지닌다. 따라서 5・18 트라우마와 사회공동체의 연관성에 천착하여, 사회공동체가 개인의 고통을 가중시킴으로써 어떻게 2차, 3차 트라우마를 재생산해왔는지에 비판적으로 주목한다. 또 다른 한편으로 5・18 극복을 위한 사회적 제도화의 역사적 성과를 검토한 뒤, 왜 그 제도화가 5・18 트라우마의 극복을 위한 사회적 지지로서 불충분한지를 성찰한다. Ⅳ장에서는 5・18 트라우마의 치유를 위해 개인과 사회공동체가 어떤 관계를 맺어야 하는지를 밝히고, 그 구체적인 하나의 모델로 ‘증언’을 제시한다. 트라우마 치유를 위해서는 생존자의 안전을 확립한 뒤, 트라우마 당사자의 언어로 ‘기억을 통한 내러티브의 재구성’이 필수적이다. 나아가 사회공동체가 그 내러티브를 경청하며 사회적 지지를 보임으로써 개인과 이웃 간의 관계성을 회복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5・18 트라우마의 진정한 치유를 위해 개인과 사회공동체는 ‘진상규명’의 과제를 지속적으로 수행해나가야 할 것이다. This paper begins with the critical awareness that, in order to heal the 5・18 trauma,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and society must be taken into account. On the one hand, the paper describes concrete narratives of the diverse effects of the 5・18 trauma on individuals. On the other hand, the trauma that individuals suffered is examined in terms of its dialectical relationship with their community. Moreover,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ort necessary to heal the concrete pain of the 5・18 trauma in individuals and the community together. First, Chapter Ⅱ focuses on vivid narratives of ‘unspeakable’ pains that individuals who were attacked experienced. The trauma of 5・18 deals with individual and social ‘memories of history’. Chapter Ⅲ sheds light on some aspects of suffering and its relationship with society and community. First of all, it examines PTSD symptoms in the center of recent discussions on trauma; for example, hyper-arousal, intrusion(re-experiencing), and constriction(avoidance, emotional numbing). The trauma of 5・18 includes these symptoms, but also is chronic and collective in the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 of the Korean Society. I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5・18 trauma and society, this paper critically analyzes how society has produced secondary or tertiary trauma by increasing an individual’s pain. After examining the historical results of social institutionalization to overcome the 5・18 trauma, this paper describes why social institutionalization provides insufficient social support for overcoming the 5・18 trauma. Chapter Ⅳ considers how individuals and communities establish a relationship in order to heal the 5・18 trauma and suggests ‘testimony’ as one model. To heal trauma, it is necessary to create “narrative reconstruction through memory” in a language of agency, after establishing the survivor’s safety. And when a community listens to these narratives and provides social support, it endeavors to re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and their neighbors. At the same time, the individuals and the community should consistently perform the task of “truth ascertainment” to heal the 5・18 trauma.

      • KCI등재

        가해하는 공동체? 치유하는 공동체?

        노성숙(Soung Suk Nho) 철학연구회 2015 哲學硏究 Vol.0 No.108

        This paper concern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 pain suffered by individuals affected by the Sewol Ferry disaster. This process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and Society, as opposed to treating the pain of each person separately through medical or psychological therapy alone. It will examine specifically the types of thinking that are necessary for socially healing an individual’s pain. The possibility of social healing from the viewpoint of ‘philosophical counseling as a philosophy practice’, which is a process of thinking that connects individuals and society together using pain as a medium, is investigated. Chapter II sheds light on the criticism of Korean society that was raised by a letter from one of the Sewol ferry disaster survivors, a girl called “C”. There follows an assessment of the pain that survivors, such as “C” and the bereaved have suffered and an analysis of why and how the healing of pain can be connected to the social community. In addition, it considers the contrasting attitudes of the community regarding individual pain. Chapter III critically analyzes the current situation within the community and examines the problem of the community’s incompetence, which tends to increase the individual’s pain through secondary or tertiary assault, by linking it with Arendt’s ideas relating to thoughtlessness. Chapter IV considers the actions that the community should take in order to effectively heal the pain of individuals who have been drastically affected by the Sewol ferry disaster, including the kinds of thinking required. This paper argues that, in order to deal with the Sewol disaster trauma, the truth must first be ascertained. True healing can only take place when the uniqueness of each individual’s pain can be diversely expressed and collectively considered within a communit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계몽과 신화의 변증법

        노성숙(Soung Suk Nho) 철학연구회 2000 哲學硏究 Vol.50 No.-

        아도르노와 호르크하이머는 『계몽의 변증법』에서 계몽의 역사 전반을 추적하였고, 그 과정에서 특히 지배와 사고의 연관성을 검토했다. 본 논문에서는 『계몽의 변증법』에 나타난 `계몽과 신화의 변증법`의 압축적 내용을 구체적으로 해명해보고, 그 사상적 기반을 고찰한다. 이를 위해 신화는 이미 계몽이었다. 계몽은 신화론으로 되돌아가고 있다라는 아도르노와 호르크하이머의 주요 테제를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이 테제는 신화와 계몽에 대한 통상적인 대립관계를 부인하고 양자간의 긴밀한 연관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통해 아도르노와 호르크하이머는 서구의 사상사 전반에 대한 역사철학적인 비판을 시도한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그들의 테제에 전제된 신화와 계몽개념의 내용적 차이에 주목하고, 그 차이가 이미 계몽이 주도하고 있는 척도를 통해서 파악되고 있음을 밝힌다. 또한 두 주요 테제에서 신화개념과 계몽개념이 각각 어떻게 쓰이는지를 검토한다. 여기서 신화개념은 계몽의 예비적 단계와 강압적인 주술이라는 이중적 의미를 지니는데, 이는 `계몽`의 변증법적 측면을 명시하기 위해 쓰인다. 또한 계몽개념도 양가적인 의미를 지니는데, 계몽은 한편으로 신화론적인 계기를 지니지만, 다른 한편으로 자기성찰에 근거하여 자신을 넘어설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다. 이와 같은 논의를 통해 아도르노와 호르크하이머의 주요 테제가 신화에 대해서는 제한적이고 편협한 이해를 그리고 계몽 ·이성에 대해서는 매우 분명한 강조를 바탕으로 구성되어 있음이 드러난다. 끝으로 본 논문은 이렇듯 신화와 계몽에 대한 비대칭적인 이해가 과연 무엇에 근거하고 있는가를 묻고, 이를 진화론과의 연관성, 유물론적인 관점, 파시즘이라는 역사적, 사회적인 맥락에서 고찰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