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과학에 도입된 통합 단원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요구 및 발전 방향

        노석구(Noh, SukGoo)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0 교육논총 Vol.40 No.4

        2015년 개정 초등 과학교육과정에 처음으로 탐구 영역이 아닌 내용 영역의 통합 단원이 도입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과학 교육 현장에 처음으로 도입된 내용 영역의 통합 단원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파악하고 통합 단원에 대한 수업을 마친 후 교사들의 수업에 대한 인식, 개선 요구 사항 등을 파악하고 나아가 통합 단원 구성에 대한 요구도 등을 탐색하여 차기 교육과정 개정시 도움이 될 수 있는 시사점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우리 나라 중부권 소재의 현직 초등학교 교사중에서 4학년이나 6학년 과학 교과의 수업을 진행한 경험이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인터넷을 통하여 설문을 배포하고 데이타를 수집한 후,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 교사들은 통합 단원 존재에 대한 인식 시점은 해당 단원을 지도하면서 인식하였다는 답이 많았으며, 심지어 단원을 지도하고 난 후에도 그 단원이 통합 단원임을 인식하지 못했다는 답변도 상당수 존재하였다. 또한 통합 단원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도는 높은 것으로 판단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통합 단원을 지도하는 것이 쉽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높았지만 쉽지 않다고 생각하는 비율도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차기 교육과정 개정시 통합 단원의 수를 현행 교육과정과 비슷하게 하거나 약간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으며, 통합 단원의 지도와 관련하여 교사들은 ‘구체적인 활동이 가능하도록 내용 구성’, ‘내용 중복 문제 해결’, ‘개념보다 소재 중심의 내용 구성’ 등을 개선 요구 사항으로 제시하였다. The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revised in 2015 initially introduced integrated units, not concerning the inquiry, but content dom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s regarding integrated units of the content domain, and to analyze their understanding and improvement requirements after teaching integrated units. Subsequently, the study offers recommendations for the next curriculum revision. The study involved surveys with teachers from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central Korea who had taught science in Grades 4 or 6.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online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statistics program. The primary results are as follows: many teachers mentioned that they comprehended integrated units while teaching them, although some others said they did not recognize the units they taught as integrated units even after teaching them.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many students were extremely interested in integrated units and several teachers believed that teaching them was easy. However, a few teachers also regarded it as challenging. A significant number of teachers considered it desirable that the number of integrated units should be about the same or a little more compared to the current level. With regard to teaching integrated units, the teachers suggested, as requirements for improvement, the “organization of contents that enable concrete activities,” “avoiding repetition of the same content,” and “organization of material-oriented rather than concept-oriented contents.”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대한 초등예비교사의 이해, 인식, 실천

        임희준(Lim, Heejun),노석구(Noh, Sukgoo),송현순(Song, Hyunsoon),장인실(Chang, Insil),최일선(Choi, Ilsun)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20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10 No.3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대한 초등예비교사의 이해, 인식, 실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250명으로 구글 설문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대한 이해를 조사한 결과, ‘빈곤층 감소와 사회안전망 강화’, ‘성평등 보장’을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라고 파악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많았으며, 환경보존 관련 목표에 대한 이해가 높았다. 초등예비교사들의 전반적으로 지속가능발전목표에 대한 인식의 수준이 높았으며, ‘건강하고 안전한 물관리’, ‘건강하고 행복한 삶’에 대한 인식은 특히 높은 반면 경제성장 영역의 목표들에 대한 인식은 낮게 나타났다. 학년별로는 1∼2학년보다 3∼4학년의 인식 점수가 더 높아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대한 인식이 학년에 따라 더 강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실천과 관련해서는 ‘모두를 위한 양질의 교육’, ‘성평등 보장’에 대한 실천 의지가 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식과 실천 사이에 차이가 있었으며 전체적으로는 높은 인식에 비하여 실천 경험이나 실천 의지는 그에 비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예비교사교육에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이해, 인식과 실천 사이의 격차를 줄이는 노력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understanding, perceptions, and practice o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250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e data was collected with Google survey.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In terms of understanding of SDGs, man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didn’t understand that ‘no poverty’ and gender equity’ are SDGs, while they highly understood the environment conservation related goals as SDGs. In terms of perceptions of SDGs,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s perceptions were generally high. Especially their perceptions on ‘clean water and sanitation’ and ‘good health and well-being’ were high, while their perceptions on economic developmental related goals were low. Junior/seniors perceptions on SDGs were higher than those of freshman/sophomore. In terms of practice of SDGs,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ractice or effort for practice on ‘quality education’ and ‘good health and well-being’ were hig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and practice on SDGs.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for ESD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 학생의 사전질문 분석틀 개발 및 적용

        강헌태 ( Hountae Kang ),노석구 ( Sukgoo Noh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8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8 No.2

        학생의 사전질문은 교사에게 학생의 관심사와 수준을 제공해줄 뿐만 아니라, 교육의 수요자인 학생의 관점을 반영하여 교수-학습을 진행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해주는 유용한 수단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의 사전질문을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분석틀을 개발하고, 이 분석틀을 적용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과학 학습 단원과 관련된 학생의 사전질문을 분석하는 것이다. 개발된 분석틀은 지식형, 확장형, 호기심형 질문의 3개의 대범주로 구성되며, 각각의 범주에서 다시 몇 개의 하부 영역으로 세분된다. 개발된 분석틀을 이용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과학 5, 6학년 학습 단원에서 제시한 학생 사전질문 914개를 분석한 결과, 학년 및 학습 단원, 차시별로 분포하는 질문 유형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형별 질문의 비율에도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전질문 분석틀을 통해 학습에 대한 학생의 요구를 파악하고 이를 반영한 학생 중심의 교수-학습의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추후 연구에서도 분석틀이 유의미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student’s pre-questions (pre-class questions related to the learning contents) not only provide the teacher a gauge of the interest and level of the student, but also provide a useful means of providing clues to proceed with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nalytical framework for effectively analyzing students’ pre-questions and to analyze students’ pre-questions related to elementary science learning unit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by applying this framework. The developed framework is composed of three major categories: knowledge type, extended type, and curious type, each of which is then subdivided into several sub-categories. Using the developed analysis framework, 914 pre-questions from the students presented in the 5<sup>th</sup> and 6<sup>th</sup> grades of elementary science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and the types of questions distributed by grade. The percentage of questions by type was also differ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tudents’ needs for learning can be grasped through the pre-questions analysis framework and reflected i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and student-centered learning contents and methods could be presented. It is expected to make a meaningful contribution to the analysis framework.

      • KCI등재

        초등학생의 과학핵심역량 측정을 위한 컴퓨터 기반 평가도구(TCSC) 개발

        채희인 ( Chae Heein ),노석구 ( Noh Sukgoo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3 초등과학교육 Vol.42 No.2

        본 연구는 과학핵심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표준화된 도구가 개발되어있지 않아 학교에서 지필 위주의 수행평가가 이루어지고 있고, 평가 주체의 경우에도 교사에 의한 평가에만 머물러 있는 현실을 개선하기 위하여 표준화된 과학핵심역량 평가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교육 전문가와 초등학교 교사 5명의 검토를 바탕으로 초안을 마련하였으며, 과학교육을 전공한 교사 3명의 내용타당도 검토, 1차(52명)와 2차(54명) 난이도 및 변별도 검사를 시행하였고, 2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예비 검사를 시행하여 내적 신뢰도 분석을 하였다. 최종 확정된 문항은 4∼6학년 278명을 대상으로 본 검사를 진행하였으며, 7명의 교사가 평가자로 참여하였다. 이 과정에서 기초통계량 분석(평균, 표준편차, 최댓값, 최솟값, 왜도, 첨도)과 2차 측정모형을 구안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구성타당도-표준화회귀계수, 모형적합도-절대적합도, 증분적합도, 간명적합도 지수)을 시행하였다. 마지막으로 공인타당도 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과학핵심역량평가의 활용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문항 체계표 및 Z점수로 환산한 평정기준을 제시하였다. 최종적으로 13명의 과학교육 전문가와 교사, 그리고 409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과학핵심역량평가(TCSC) 개발은 평가의 주체를 교사에서 확장하며, 다양한 방식과 도구를 통해 보다 실제적인 평가를 가능하게 하고, 기존의 방식으로는 평가가 어려운 부분을 평가할 수 있었고, 컴퓨터 기반 평가로 인하여 교사의 편의성을 증진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tandardized evaluation tool of science core competencies to improve the reality that paper-oriented performance evaluation is being conducted in schools due to the lack of such a tool. Toward this end, we prepared a draft on the basis of a review of a science education expert and f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moreover, we conducted first and second tests to determine difficulty and discrimination. Lastly, we conducted reliability analysis on 25 students. The final questions were administered on 278 students in fourth to sixth grades, and seven teachers participated as evaluators. In this process, the study conduct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y devising a basic statistical analysis and a secondary measurement model. Finally, the study performed certified validity and reliability analyses. Based on the results and to present the use of the test of computer-based tools for the measurement of science core competencies (TCSC), the evaluation criteria were converted into a question system table, and Z-scores were presented. Finally, the evaluation tools were developed for 13 science education experts, teachers, and 409 students. The development of the TCSC was meaningful as an effective evaluation tool while expanding the subject of evaluation by teachers, which enables practical evaluation using various methods and tools, evaluates the difficult parts of the existing method, and enhances teacher convenience.

      • KCI등재

        초등 과학 교과서의 안전 주의 사항 제시 실태 분석 및 실험 안전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채희인(Chae, Heein),노석구(Noh, Sukgoo)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1 교육논총 Vol.41 No.4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의 안전 주의 사항 제시 현황을 분석하고, 교사의 안전에 대한 인식과 안전 확보를 위한 지도 현황 및 학생들의 안전 의식 실태를 파악하여 탐구 활동의 안전 확보를 위한 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초등학교 3∼6학년 과학 교과서를 분석하고, 교사 65명과 학생 13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 교과서에 포함된 안전 주의 사항은 135개였으며, 안전 주의 사항을 추가로 제시할 필요가 있는 탐구 활동은 15개였다. 대부분의 교사가 맛보기와 냄새 맡기 탐구 활동을 지도한 경험이 있었으며, 안전 장비를 착용하고 학생들에게도 안전 장비 착용을 지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는 배포된 실험 안전 매뉴얼을 이해하고 있었고, 맛보기와 냄새 맡기 활동 및 일회용 플라스틱 컵에 담긴 물질에 대해서는 안전성에 대한 우려를 갖고 있었다. 학생들의 안전 의식을 분석한 결과 실험복을 착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으며, 자신에게는 안전사고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는 신념을 가진 경우도 다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과학 탐구 활동 중에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안전의 우려가 있는 탐구 활동의 경우 교과서에 안전 장비를 준비물로 제시하고 안전 주의 사항을 명확하게 제시할 필요가 있으며, 성취기준 도달을 위해 필수적이지 않은 맛보기와 냄새 맡기 활동의 경우 삭제하고, 일회용 플라스틱 컵에 담긴 물질을 제시한 사진은 수정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safety precautions in textbooks, identify the status of teachers and students safety consciousness, and propose measures to secure safety in inquiry activities. Science textbooks from the 3rd to 6th grades of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were analyz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65 teachers and 137 student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135 safety precautions were included in the entire textbook and 15 additional inquiry activities were needed to present safety precautions. It was found that most teachers were experienced in teaching tasting and smelling inquiry activities, and that teachers wear most of the safety equipment and guide students to wear it as well. Teachers understood the experimental safety manual, and they had safety concerns about tasting and smelling activities contained in disposable plastic cups. Analysis of students insensitivity to safety revealed that there were cases where lab clothes were not worn, and that there were many cases where they believed that safety accidents would not occur. To prevent safety accidents that occur during scientific inquiry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present safety equipment as a preparation material in textbooks and safety precautions. If reach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is inessential, it is necessary to delete tasting and smelling activities and modify the photos showing substances in disposable plastic cups.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실험 기구의 명칭과 용도에 대한 이해

        여상인,노석구 仁川敎育大學校 科學敎育硏究所 2002 과학교육논총 Vol.14 No.-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예비교사인 교육대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실험 기구의 명칭과 그 용도에 관한 이해를 조사하였다. 검사 도구는 11개의 실험 기구를 그림으로 제시하고, 이름과 용도를 적도록 한 개방형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샬레, 비커, 눈금실린더는 80% 이상이 바르게 기구의 명칭을 표기하였으나, 스포이트와 약숟가락에 대한 바른 표기명은 각각 29.3%, 20.7%로 낮았다. 스포이트를 스포이드로 오기한 비율이 70.7%, 약숟가락을 약수저로 오기한 비율이 41.5%로 더 높게 나타났다. 실험 기구의 용도에 대한 이해는 실험 기구 명칭에 대한 오기율보다 더 심각하여, 실험 기구의 용도를 바르게 알고 있는 응답자가 매우 적었다. 메스플라스크, 삼각 플라스크, 피펫의 용도에 대한 이해가 가장 낮았으며, 윗접시 저울의 용도에서는 질량과 무게를 혼동하여 이해하고 있었다. 눈금실린더, 피펫, 비커, 삼각 플라스크를 모두 액체의 부피를 측정하는 기구로 이해하고 있어, 이들 실험 기구의 정확한 용도를 서로 구별하지 못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초등학교 예비 교사의 양성 과정에서의 과학과 실험·실습 과정의 강화, 실험 기구 명칭의 의미 있는 우리말 표현 등에 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based upon the survey on the name of 11 experimental tools and their uses. To implement this study, an open-ended, written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a sample of 188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ho attended the Inch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Korea.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More than 80% of the future elementary teachers wrote a correct vocabulary for three tool names : Schale(Petri dish), beaker, and graduated cylinder. And then 29.3% and 20.7% of them correctly wrote one for spuit and spatula(medicine dropper), respectively. But most of them didn't know a vocabulary for volumetric flask, pipette, erlenmeyer flask, which were not familiar with elementary teachers. 2. They had a wide range of perceptions of uses for the experimental tools. Their understanding of uses for volumetric flask, erlenmeyer flask, and pipette were very poor. And then most of them understood that graduated cylinder, pipette, beaker, and erlenmeyer flask were tools to measure the volume of solution or liquid, so they did not exactly distinguish the difference of their use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ith regard to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raining course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