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검색빈도를 이용한 종합부동산세 및 재산세의 주택가격 인하효과 분석

        노산하,신진호 국토연구원 2021 국토연구 Vol.110 No.-

        Until recently, with the aim of stabilizing housing prices, policy announcements were made to increase the tax burden on the comprehensive real estate holding tax and property tax.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comprehensive real estate holding tax and property tax on housing prices by using internet search index data reflecting changes in consumer sentiment caused by this tax increase policy. The search index data showed a sharp rise when consumers recognized the actual tax imposed. On the contrary, at the time of the government's policy announcement, the search index increased relatively little except at the time of the resumption of comprehensive real estate holding tax taxation in 2018.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an increase in the comprehensive real estate holding tax or property tax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house prices in the short term. In addition, the effect of lowering the housing price of property tax would be greater than that of comprehensive real estate holding tax.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the case of increasing the tax burden of the comprehensive real estate holding tax and property tax for the purpose of stabilizing the housing price, policy implications are obtained that it is important to make the increased tax amount continuously recognized by households. 최근까지 급등한 주택가격의 인하를 유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종합부동산세 및 재산세의 조세부담을 증가시키는 정책 발표가 이어졌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세부담 증가 정책으로 인한 소비자 심리 변화가 반영된 인터넷 검색지수 데이터를 이용하여, 종합부동산세와 재산세가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검색지수 데이터는 소비자가 실제 부과된 세금을 인지하는 시점에서 급등하는 모습을 보였고, 정부의 정책발표 시점에서는 2018년 종합부동산세 과세 재개 발표 시점을 제외하고는 상대적으로 검색지수 상승폭이 적었다. 실증분석 결과, 종합부동산세 또는 재산세의 부담 증가는 가계의 심리에 영향을 미쳐서 단기적으로 주택가격 하락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합부동산세 보다는 재산세의 주택가격 인하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로부터, 주택가격 안정화를 목적으로 종합부동산세와 재산세의 세금 부담을 증가시키는 경우에는 인상된 세금을 사람들이 지속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 KCI등재

        유가 불확실성이 국내 경제변수에 미치는 영향

        노산하,김남현 한국국제경제학회 2019 국제경제연구 Vol.25 No.1

        We analyze the effects of oil-supply uncertainty, global demand uncertainty, and oil price uncertainty on key economic variables in South Korea. This paper measures all of the uncertainty using a time-varying coefficient VAR model with stochastic volatility (TVC-VAR-SV) based on a structural, oil-shocks VAR model from Kilian (2009). Our main results are that a positive shock to oil price uncertainty decreases both stock returns and industrial production in the U.S. and South Korea and consumer price index in South Korea while it increases the Won/dollar exchange rate over 1990. 2 ~ 2016. 11. The oil price uncertainty shocks have more significant impacts on the real oil price, the U.S. stock returns, the Korean industrial production, and the Won/dollar exchange rate after the financial crisis in 2008. In addition, the responses of these variables are more affected by the oil price uncertainty shocks during the periods when oil price uncertainty increases than the periods when oil price uncertainty decreases. 본 연구에서는 Kilian(2009)의 유가충격 모형을 TVC-VAR-SV 모형으로 추정하여 원유 공급, 글로벌 총 수요, 유가에 대한 불확실성을 측정한 후 이들이 국내의 경제변수에 어떤 영향을미쳤는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체기간(1990년 2월~2016년 11월)의 경우 유가 불확실성의충격은 국내외 주식수익률과 산업생산지수, 소비자물가지수를 하락시키는 반면 원/달러 환율은상승시켰다. 분석기간을 나누어 분석한 결과, 유가 불확실성의 충격이 실질유가, 미국 주식수익률, 원/달러 환율, 국내 산업생산지수에 미치는 영향은 금융위기를 지나면서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나타난다. 또한 이들 변수는 유가 불확실성이 하락하는 기간보다 상승하는 기간에 더 큰 영향을받고 있었다.

      • SSCISCOPUSKCI등재

        COVID-19 확산으로 인한 한국 경기침체의 거시경제적 주요 동인 분석

        노산하 ( Sanha Noh ),백인걸 ( Ingul Baek ) 한국경제학회 2022 The Korean Economic Review Vol.38 No.2

        본 연구는 2020년 본격적으로 시작된 전 세계적인 COVID-19 팬데믹이 유발한 경기침체의 주요 동인을 분석하고, 또한 이로 인해 발생하는 산업별 차별화된 영향도 함께 살펴본다. 한국경제의 구조적 충격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7개의 거시경제 동인(Driving forces)을 포함한 소규모개방경제 모형을 구축한 뒤, 2차 근사(2nd-order approximation)를 통해 모형을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팬데믹 기간 동안 일시적 생산성 충격이 주요 동인으로 작용하였으나, 2008년 금융위기와 다르게 영구적(추세적) 생산성 충격은 큰 역할을 하지 못하였다. 또한, 가계의 소비선호 충격은 코로나 확산기와 휴지기의 주기적인 변화에 따라 급격하게 변동하였다. 팬데믹 기간 동안 산업별로는 서비스 부문 중 숙박 및 요식업 분야가 거시경제 충격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한 것으로 나타났다. We investigate the main driving forces of business cycles and heterogeneity across industries during the COVID-19 crisis in Korea. We build a small open economy model, solved up to the second-order, to fit the stylized facts of business cycles and employ several structural shocks as candidates of driving forces. In contrast to the financial crisis in 2008, the transitory productivity shock is the predominant source, but the permanent productivity shock is assigned less importance during the pandemic. In addition, negative preference shocks rapidly reduce consumption in 2020Q1 and bounce back with upward pressure on consumption growth in 2020Q2 over the pandemic cycle. The service sector, especially accommodation and food, is the most adversely affected by structural shocks at the onset of the COVID-19 outbreak.

      • KCI우수등재

        전국 및 지역요인에 의한 주택가격 동조화 현상

        백인걸,노산하 한국경제학회 2020 經濟學硏究 Vol.68 No.2

        We examine the synchronization of housing prices across 97 districts (Gu) and cities (Si) by using a dynamic factor model. The model allows fluctuations in housing prices to be decomposed into two latent factors: (1) a national factor affected by economic conditions and economic policy and (2) a regional factor driven by region-specific characteristics. We find that the national factor was the main driver of housing cycles for 2004-2009. However, since 2015, the importance of regional factor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explaining fluctuations in housing prices. The increase in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regional factors appears in the non-capital region. In a panel regression, the unemployment rate and net population outflow explain housing price variance accounted for by the regional factors. The mortgage rate and inflation rate have little impact on the variance explained by the regional factors. According to our results, it would be required that the effective target of housing policies be set up at the small administrative district level. 본 연구는 총97개(특별․광역시의 71개구, 경기도의 26개시)지역의 주택가격을국가 경제상황 및 정책에 의해 영향을 받는 전국요인과 지역시장의 고유특성에영향을 받는 지역요인으로 나누어 주택가격의 동조화 현상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2004-2009년 기간에는 주택가격 변화율을 설명하는데 전국요인의 비중이 컸지만, 2015년 이후에는 지역요인이 주택가격 움직임의 많은 부분을견인하는 모습으로 변모하였다. 특히, 지역요인의 영향력 증가는 비수도권에서두드러지게 나타나 수도권과의 비동조화 현상이 심화되었음을 보여주었다. 패널회귀분석에 의하면 지역의 높은 실업률 및 인구유출은 지역요인 분산분해를 증가시켰지만, 금리와 물가는 지역요인 분산분해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주택정책의 목표범위를 전국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과거에 효과적이었다면 최근에 와서는 지역단위의 차별적 주택정책의 수립 및 관리가 필요한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유가충격이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분석: 국내 제조업 섹터별 파급효과를 중심으로

        백인걸,노산하,김태환 재단법인 에너지경제연구원 2023 에너지경제연구 Vol.22 No.1

        We investigate the differential effects and path of propagation for manufacturing-sector to oil price shocks by employing the endogenously clustered dynamic factor model to classify the sector according to energy depende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n the impact of oil price shock, all sectors in the clusters are uniformly affected through the manufacturing common factor, but different responses are shown by industry through the estimated industry cluster factor. Specifically, clusters composed of high-tech industries such as electronic-manufacturing respond greatly to internal changes in the economic system, such as the financial crisis, while clusters including chemical fiber manufacturing were more affected by shocks from outside the economic system, such as COVID-19. Second, by analyzing the impact of oil price fluctuations by industry, more detailed and diverse interpret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clusters consisting of high-tech industries and chemical fiber industries react sensitively to the increase in global aggregate demand, but mid- and low-tech industries are found to be more affected by supply shocks in the crude oil market. 본 연구는 내생적 클러스터 동적요인모형(Endogenously Clustered Dynamic Factor Model)을 통해 에너지 의존도에 따라 내생적으로 산업을 분류하여, 유가충격에 대한 산업부문별 파급효과 및 경로를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가충격 발생시 제조업 공통요인(common factor)을 통해 모든 산업군은 일률적인 영향을 받았으나, 추정된 산업 클러스터 요인(cluster factor)을 통해서는 산업별로 서로 다른 반응을 보였다. 예컨대, 전자부품 제조업과 같은 고위기술 산업으로 구성된 클러스터의 경우 금융위기와 같이 경제시스템 내부 변화에 크게 반응했고, 화학섬유 제조업을 포함하는 클러스터는 코로나19와 같은 경제시스템 외부에서 발생한 충격에 더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가 변동의 충격을 산업별로 분석함으로써 더 세밀하고 다양한 해석이 가능해졌다. 예컨대, 전세계 총수요 증가에 대해 고위기술산업 그리고 화학섬유 산업을 포함하고 있는 클러스터가 민감하게 반응했고, 중・저위기술 산업은 원유시장 공급충격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Effects of Bad Debt Adjustment on Repayment: Evidence from the KR&C Data Set in South Korea

        김남현,노산하 한국경제학회 2022 The Korean Economic Review Vol.38 No.3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debt adjustment for bad debts on repayment and discusses the optimal principal reduction rate. We use a logit model and propensity score matching, particularly employing a unique data set of creditors’ ledgers, debt adjustment information, and debtors’ characteristics from Korea Resolution & Collection, which manages bad debts in South Korea. We classify debtors into beneficiaries and non- beneficiaries of the debt adjustment program and find that beneficiaries have larger repayment amounts than non-beneficiaries. An appropriate reduction rate is derived from a quadratic function consisting of expected repayment and reduction rates. This function is postulated to explore moral hazards that may arise from the expansion of the principal reduction rate. We find that if reduction rate is expanded from 60% to 70%, then it does not reach the maximum repayment rate but maintains the debt adjustment system’s effectiveness and the fund’s st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