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시선과 모더니티

        노명우(Nho Myung Woo) 한국문화사회학회 2007 문화와 사회 Vol.3 No.-

        서양 문명은 시각 중심주의에 기초를 두고 있다. 현대적 주체의 특징 또한 시각 중심의적 사유 틀 속에서 이해될 수 있으며 현대사회에서 이미지로의 선회는 급격하게 일어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전제에서 출발하여 모던적 사유의 특징을 시선, 원근법, 시각 중심주의라는 키워드를 통해 파악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첫 번째 부분은 서양적 사유의 시각 중심주의적 기원을 다루며, 두 번째 부분은 데카르트적 원근법주의를 현대적 시선의 등장이라는 측면에서 다룬다. 마지막 부분에서는 데카르트적 원근법주의와 현대 도시의 시각적 풍경 사이의 관계를 다루었다. The Western civilisation rests on the foundation of ocularcentrism, which can be comprehended within the boundaries of the traits of modern subject or framework of ocularcentric cogitation. The contemporary society where we are dwelling reflects rapid pictorial turn, and ocularcentrism is quickly rising as a critical concept for understanding this modern society. This study starts from this presupposition, and endeavours to examine the way of modern thinking through gaze, perspective, and ocularcentrism.

      • KCI등재

        남성 사이버 패션 커뮤니티 '디젤매니아'를 통해 본 남성성 수행에 관한 사례 연구

        노명우(Nho, Myung-Woo),김우진(Kim, Woo-Jin) 한국소비문화학회 2014 소비문화연구 Vol.17 No.3

        패션과 관련된 소비는 흔히 여성적인 현상이라고 간주되어 왔고, 패션에 관심을 기울이는 남성은 남자답지 못하다고 취급되어 왔다. 본 연구는 패션에 관한 정보를 익명의 다른 남성과 교환하는 사이버 공간에서의 동성사회성을 통한 새로운 남성성 수행을 분석한다. 이러한 새로운 남성성 수행 현상을 탐색하기 위해 연구자는 한국의 대표적인 남성 사이버 패션 커뮤니티인 '디젤매니아'를 대상으로 가상 에쓰노그래피를 수행하였다. 또한 게시판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통해 이들의 상호작용 특징을 파악할 수 있는 포스팅 분석을 시도하였고, 비참여관찰로 인한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연구현장을 잘 알고 있는 정보제공자를 인터뷰하였다. '디젤매니아'의 게시판에서는 패션에 대한 관심을 매개로 남성 사이의 활발한 상호작용이 이뤄진다. 남성들은 패션에 관한 정보를 서로 주고받으며 '디매인'이라는 집단 정체성을 공유하고 자신의 패션 코디를 타인들로부터 평가받는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형태의 동성사회성을 수행하고 있다. 이들은 여성을 수동적인 쾌락의 대상으로 삼는 헤게모니적 남성의 시선에서 벗어난 남성성을 보여준다. 또한 패션을 매개로 강화된 동성사회성의 배후에는 여성의 로맨스 대상이 되려는 욕망이 담겨있다. 이 점에서 이들은 동성애 남성과는 구별되는 이성애 전략을 남성성 수행을 통해 보여준다. 또한 '디매인'이 추구하는 이상적인 패션 형태인 '디매스타일'은 특정 브랜드의 세트라는 점에서, 이들은 소비주의와 강력하게 결합한 채 새로운 남성성을 수행하고 있다. Interests in fashion and consumerism have largely been regarded as feminine phenomena. Men's fashion has remained largely outside the academic research arena. As society transforms, changes are observed not only in biological maleness but also in masculinity itself. The rise of the 'New Man', and his interest in fashion and appearance, is a signal of these changes. This study explores a men's cyberspace fashion community, 'Dieselmania', one of the largest such cyberspace groupings in Korea. The study's findings lead us to conclude that 'Dieselmania' can represent the emergence of 'New Man' in Korea. 'Dieselmania' members actively exchange information about fashion. They are willing to act as their own fashion and style subjects, and then be evaluated by others. The author terms this as 'homosociality', created from male shared interests. This growing cyberspace community shows the interlocking relationship between masculinity and consumerism in Korea.

      • KCI등재

        사이버공간 상호작용을 통한 ‘자랑’의 의미 형성

        노명우(Nho, Myung-Woo),이선이(Lee, Su-Ni),이현서(Yi, Hyun-Seo),최지연(Choi, Ji-Youn)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2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29 No.3

        이 연구는 사이버공간 익명의 관계에서 전개되는 자랑 행위를 둘러싼 사회적 상호작용(포스팅, 조회 및 댓글)을 살펴보고 자랑의 의미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위해 디시 인사이드의 자랑거리 갤러리(자랑갤)를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2011년 10월부터 12월까지 57일간 게시된 1,420개의 게시물에서 게시자, 자랑거리 대상 및 상호작용(포스팅-조회-댓글)에 관한 자료를 선택하여 빈도분석과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사이버공간인 자랑갤에 나타난 자랑대상의 유형은 현실세계에서 전통적으로 인정받는 자랑대상의 유형과 유사하였다. 그러나 2011년 게시물을 초창기 2002년 게시물과 비교하면 비물질적인 자랑대상이 크게 증가하는 등 자랑대상 유형의 변화가 있었다. 또한 전체 550명 게시자 중 12명의 적극적 참여자 게시물 수가 전체 게시물 수의 27%에 이르고 이들의 게시물에 대한 조회 수와 댓글 수가 매우 높아 자랑행위 성공(인정)에 있어서 소수 갤러의 영향력이 존재하였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자랑갤에서 무엇이 자랑이 되는가 하는 것은 자랑대상의 내용의 본질에 있는 것이 아니라 자랑행위를 둘러싼 갤러들간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자랑의 의미가 (재)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자랑갤에서는 자랑을 인정받기 위한 친밀한 관계를 만들고자 하는 노력의 결과로 유사 공동체가 형성되고 있어 자랑행위 인정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people construct meaning of boasting through social interaction in the cyberspace. This study explores a Korean internet message board for boasting, so called “Jarang-Gall in DC-Inside.” The researchers collect data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posting people, the objects of boasting, and the social interaction process(posting → reading → replying) from 1,420 posted messages in the board for 57 days in 2011. This study employs frequency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redominant types of the objects of boasting in the cyberspace, such as money and successful achievement are similar to the types in the real world. Second, however, the frequency of posting immaterial objects has been increased compared to the past data in 2002. Lastly, 12 active participants posted 27% of the total number of posted messages and this group of people have strong influence on the meaning construction of boasting in the board. Based on the findings, we conclude that it is not the nature of objects for boasting but the social interaction that constructs meaning of boasting. At the same time, the participants of the internet board tend to build some intimate close relationships (semi-community) to get other participants’ approval for their posting.

      • KCI등재

        유명인의 ‘인기 트위터’와 셀레브리티 문화

        노명우(Nho, Myung-Woo)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2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29 No.4

        트위터는 급성장하고 있는 대표적인 마이크로 블로깅 기반 SNS이다. 140자 미만의 텍스트 메시지를 유저끼리 교환할 수 있는 트위터는 메시지의 신속하고 광범위한 전파 가능성으로 인해 학자들의 주목을 받아왔다. 본 논문은 코리안 트위터즈 닷컴이 제공하는 한국의 트위터리안에 대한 데이터를 통해, 한국에서 가장 많은 팔로워를 확보하고 있는 100개 트위터를 ‘인기 트위터’로 분류하고 그 특징을 분석하는 탐색적 연구이다. 100개의 ‘인기 트위터’는 소수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셀레브리티(대다수는 직업상 연예인)의 계정이었다. ‘인기 트위터’는 다수의 구독자를 확보한 트위터일 뿐만 아니라 의견 지도자에 못지않은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인기 트위터’에 대한 분석을 통해 숨겨져 있는 트위터의 기능을 인지도 관리와 셀레브리티와의 파라 소시얼 관계 형성이라는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셀레브리티는 유명세를 관리하기 위한 수단으로 트위터를 활용하고 있으며, 평범한 사람들은 셀레브리티와이 파라-소시얼 상호작용을 통해 실재감 있는 친밀성을 기대하며 셀레브리티의 트위터를 구독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Twitter is an online SNS and microblogging service. Its users can send and read text messages known as ‘tweets’, limited to 140 characters. Twitter has a directed friendship model: users choose other Twitter user accounts to ‘follow’(subscribe) in their stream, and they make their own subscription groups of ‘followers’. There is no technical requirement of reciprocity. Twitter has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from scholars because it enables a widespread and rapid delivery of messages. This paper selected 100 ‘popular twitter users’ in Korea by analyzing the data provided by www.koreantwitter.com. The 100 popular users are celebrities and most of them with a few exceptions are entertainers. They have remarkably influential power on a their number of subscribers. Celebrities utilize Twitter as a means to manage their fame and high visibility, and ordinary people follow those celebrity Twitter users and develop a sense of intimacy through parasocial interaction with celebrities.

      • KCI등재

        간지나는 니뽄삘과 한일 문화교류의 시제

        노명우 ( Myung Woo Nho ) 한국사회역사학회 2007 담론 201 Vol.10 No.3

        An unanticipated phenomenon has emerged after the lifting of Japanese cultural exports to Korea. A new phenomenon called the Korean wave has been observed where Korean popular culture is consumed in Japan. A deluge of arguments on the Korean wave has paid attention only to the consumption of Korean culture in Japan but failed to recognize Japanese culture consumed in Korea. This study endeavors to analyse the current status of Japanese popular culture consumed in Korea. The specific case focused throughout this study is the younger generation and its frenzy in reference to ``Ganginanun Nippon Feel`` considered as a sub-culture within Korea. This study examines the tense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through this phenomenon.

      • KCI등재

        에쓰노그래피와 문화연구방법론

        노명우 ( Myung Woo Nho ) 한국사회역사학회 2008 담론 201 Vol.11 No.3

        문화가 사회과학의 중요한 연구 대상으로 떠오르면서 문화 연구방법론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이른바 `문화로의 선회`는 이중의 의미를 지닌다. 한편으로 `문화로의 선회`는 문화라는 연구 영역과 대상에 대한 학자들의 관심 증대를 표현한다. 동시에 `문화로의 선회`는 새로운 연구 방법론에 대한 주목과 결부되어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대표적인 질적 방법론이자 영국 `문화연구`를 대표하는 연구 방법론인 문화기술지 에쓰노그래피에 대한 재조명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은 `문화로의 선회`를 둘러싼 논쟁이 진행 중인 현재의 상황에서 에쓰노그래피의 가능성과 한계를 짚어보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에쓰노그라피를 단순한 방법론 기법의 조합이 아니라 (1) 연구 대상 선택 (2) 연구 방법 (3) 서술과 기술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선회`를 꾀하는 지적 기획으로 파악하고자 했다. 이러한 `선회`를 본 논문에서는 재현의 주체와 재현 대상의 관계를 번역가의 과제라는 맥락에서 재해석하고 이를 통해 `문화로의 선회`는 동시에 `대화/번역으로의 선회`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제시하였다. The cultural methodology has been given substantial attention with culture becoming one of the major research objects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s. The so-called cultural turn retains dual implications. On the one hand, the cultural turn implies the increased exposure culture, as a research domain and an object, receives from scholars. Simultaneously, the cultural turn implies a noteworthy research methodology newly established. In compliance with such trend, it is necessary to review ethnography, a typical qualitative method representing the cultural studies. This study endeavors to explore the potentialities and limitations of ethnography as a cultural methodology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active controversies over the cultural turn are present. In this study, ethnography is understood as an intellectual project encompassing (1) the selection of the research object, (2) research method, and (3) description and writing, rather than as a mere set of methods. Fur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of representation and the object of representation is re-translated in the context of the task of the translator, and the cultural turn is shown to be closely related with the turn to dialog and translation in this study.

      • KCI등재

        스펙터클로 재현되는 ‘조국근대화’와 영화 『팔도강산』 시리즈(1967-1971)의 대중성

        노명우(Nho, Myung Woo) 인문콘텐츠학회 2015 인문콘텐츠 Vol.0 No.38

        국립영화제작소가 제작한 「팔도강산」은 1967년에 개봉된 한국영화 중 관객 동원 1위를 차지할 정도로 인기를 얻었다. 흥행성공에 힘입어 「팔도강산」은 이후 「속팔도강산. 세계를 간다」와 「내일의 팔도강산」등의 시리즈로 제작되었고 모두 관객동원에 성공했다. 「팔도강산」 시리즈의 연이은 흥행은 관객동원에 실패한 다른 국책영화와 비교되는 매우 예외적인 사례이다. 「팔도강산」 시리즈의 예외적 ‘대중성’은 설명되어야 할 특이 현상인 것이다. 「팔도강산」 시리즈는 ‘조국 근대화’라는 기치 아래 박정희 정권이 제2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을 추진하던 시기(1967-1972)에 제작되었고 인기를 얻었다. 그렇기에 「팔도강산」 시리즈의 ‘대중성’은 영화의 상업적 성공뿐만 아니라, 박정희 정권이 내걸었던 ‘조국 근대화’라는 이데올로기가 대중에 의해 수용되어 시대의 상식으로 자리잡아가는데 영화라는 시청각 언어가 기여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조국 근대화’라는 이데올로기는 「팔도강산」 시리즈를 통해 이성적인 인쇄언어로 구성된 담론 체계가 아니라 구경거리로 제시되었다. 관객들은 구경거리로 제시되는 ‘조국근대화’의 이데올로기에 영화관람을 통해 편입됨으로써 ‘조국근대화’는 평범한 사람들의 대중적 동의를 획득한 ‘시대의 상식’으로 굳건히 자리잡을 수 있었던 것이다. 〈Paldogangsan(Six Daughters)〉 was a very succesful South Korean film produced by the National Film Production Centre of Korea in 1967. It topped the theatre attendance record of the year. Its success was followed by two sequals, 〈Pladogangsan 2(The Land of Korea)〉 and 〈Nae-il-ui Paldogangsan(Tomorrow’s Scenery of Korea)〉. All of the three films in the series achieved excellent performance in the box office. The continued success of the Paldogangsan Series is a very exceptional case in comparison with the other films by the National Film Production Centre of Korea : most of its productions remained unpopular. It’s hard to explain its unusually phenomenonal ‘popularity’. The Paldogangsan Series gained ‘popularity’ during the period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Second Five-Year Plan of Economic Development(1967-1972), with its slogan ‘Modernization of the Fatherland’. The ‘popularity’ of the series does not simply mean a commercial success but also the fact that the ideology of President Park’s regime was accepted by the common people : the ideology of the government-driven ‘Modernization of the Fatherland’ was not presented in the rational ‘print language’, but presented as a cinematic spectacle in this film series.

      • KCI등재후보

        비보이 공연의 성공 요인 분석과 해외 진출 방안 연구

        강윤주(Kang Yun-ju),노명우(Nho Myung-woo) 인문콘텐츠학회 2007 인문콘텐츠 Vol.0 No.10

        21세기의 ‘키 인더스트리(Key Industry)’로 부상한 문화산업, 그러나 ’한류 문화산업‘은 과도한 스타 의존성 때문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춤이 발휘하는 강력한 페르소나가 강점인 비보이 공연은 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비보이는 흑인 하위문화로 시작되었지만, 한국에서는 비보이를 소재로 한 각종 무대 공연으로 변형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비보이 공연작품의 특징을 분석하고 이들이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를 알아보았다. 한국 비보이의 뛰어난 기량 및 세계 대회 석권으로 인한 전세계적 호평, 전용관 설치 및 가족극으로의 변용은 국내에서 비보이 공연이 성공할 수 있었던 중요한 요인들이었다. 해외에서 비보이 공연이 성공하기 위한 SWOT 분석 결과로 나온 전략들은 국내 비보이 뿐 아니라 해외 비보이들을 겨냥한 인터내셔널 비보이 아카데미의 설립과 해외에 어필할 수 있는 흥미 있는 서사 개발, 더 많은 관객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많은 전용관 설치 유도 등이다. 한류가 공략해 온 동아시아 지역경계를 넘어서 저패니메이션이 추구했던 세계 시장을 목표로 노력할 때 비보이 공연은 더 큰 성공 가능성을 지닌다 하겠다. Culture Industry is appeared as a 'key industry' of the 21st century. But it seems that ‘Hallyu(aka Korean Wave) Culture Industry' has already declined because it was much too dependent upon some 'Stars(celebrities)'. 'B-Boy' performance, which was begun as a type of subculture or anti-culture among afro-Americans and developed as a stage performance for the first time in the whole world, can be an alternative one to break through this situation. This article analyses some box-office record-breaking performances such as 「Ballerina who loves B-Boyz」, 「Good morning, B-Boy」, and 「B-Boy Korea」. According to an analysis, factors of success include the followings; 1. excellent B-Boy dance, 2. world-wide acknowledgement from winning a number of prizes in the world's 4 biggest battles, 3. existence of exclusive B-Boy performance halls, and 4. transformation of the B-Boy performing concept, from a dance for late teens to a performance for families. According to SWOT, the followings must be analysed for strategies for international success of a performance; 1. establishment of international B-Boy academy which can train both Korean and foreign B-Boy performers, 2. developing interesting stories for foreign audiences, and 3. improvisation at B-Boy performance halls for active interaction with audience in B-Boy performances. This article underlines that B-Boy performance can be much more successful when it overpass its strength from the limit of successful Hallyu in Southeast Asia to a wider area of the world.

      • KCI등재

        청소년주의와 세대 신화

        원용진(Yong-Jin Won),이동연(Dong-Yeon Lee),노명우(Myung-Woo Nho) 한국언론정보학회 2006 한국언론정보학보 Vol.36 No.-

        청소년과 관련된 연구들은 ‘청소년주의’라는 덫에 빠지는 경향이 있다. 청소년 집단을 단일한 특성을 지닌 연령 집단으로 보는 가정에 집착하기 때문이다. 그 집착은 청소년을 성인세대와 대당으로 놓는 경향으로 연장된다. 이어 세대 논쟁으로 옮겨가기도 한다. 물론 이같은 분류 혹은 대당은 전혀 근거가 없지는 않다. 대중매체의 성장으로 인해 청소년 세대의 문화가 획일화되는 모습을 보인다는 점에서 일면 정당성을 가지기도 한다. 또한 청소년들이 학교라는 공동체를 통해 동일 정체성을 가질 가능성도 과거에 비해 높아졌다. 하지만 청소년집단이 성인기에 진입한 후 동맹집단으로 존재하지 않고 있음에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청소년 집단을 세대 집단으로만 한정짓기에는 청소년을 내부로부터 구별지어주는 명백한 변인들이 존재하고 있다. 부모의 계급이나 청소년들의 성별 등에 주목하지 않고서는 청소년 집단의 내부적 차이, 그들의 ‘구별 짓기’ 등을 설명해낼 수가 없다. 청소년주의라는 덫은 연구자가 오류를 범하게 할 뿐만 아니라 청소년을 소외시키는 신화적 효력을 내게 된다. 'Youthism' is pushing the youth research field into a trap of binarism fallacy. It tends to divide the whole population into the young and the old, and further gives an acceleration toward moving the division into the discursive realm of generation gap. The discursive transference is not taking place without any reasonable grounds. The series of discourse is based on two significant phenomena: changes in media background and longer schooling than ever before. Media environment overriding youth culture binds the young in a group and makes them enjoy homogeneous cultural genres. And schooling also seems to play an important role for the youth to have same cultural menus regardless of region, social strata, cultural background. But we need to recognize that after getting into the adulthood, they are not existing in the form of alliance. The youth are not in a homogeneous group. Neither are their culture. The youth are consisted of a variety of groups along such variables as gender, class of their parents. They tend to make distinction not only from the older generation but from the other peer groups. Unless avoiding the trap of youthism, we are blamed for closing eyes to the youth's desire to be distinctive among themselves. Youthism seems to be an active myth even in our academic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