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저학년을 위한 문식성 교육

        노명완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0 한국초등국어교육 Vol.42 No.-

        현재 모든 나라에서는 국어(자국어) 교육을 가장 중요한 학교 교육으로 삼고 있다. 이는 국어 교육에서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를 지도하기 때문이다. 초등학교 저학년에서의 문식성 교육에 초점을 맞춘 이 논문에서는 문식성을 두 측면에서 살펴보고 있다. 하나는, 문식성을 심리적 측면 특히 구성주의적 측면(더 정확하게는 ‘인지-사회-문화적 구성주의’)에서 살펴보고, 두 번째는 문식성을 교과과정과 지도방법 측면에서 살펴보고 있다. 문식성은, 애초에는 읽기와 쓰기를 지칭하는 개념이었다. 그러다가 점차 인지가 발달하고 사회문화적 요구가 높아지면서 문식성 개념은 말하기와 듣기까지 포함하는 언어적 의사소통, 고등사고기능, 국가발전, 문명사회 및 민주사회 형성으로까지 그 개념을 넓어졌다. 이런 확장된 문식성 개념 속에는 문식성을 보는 기저 이론의 발전도 포함되어 있다. 이 논문에서 확인 분석한 문식성의 기저 이론은, 그 발달 순서로 보면, 인지심리학, 스키마 이론, 구성주의, 독자반응이론, 사회문화적 이론이다. 본 논문의 두 번째 과제인 교육과정 검토에서 연구자는 문식성 개념을 일과성과 총체성으로 규정하면서 10가지의 핵심 지도 지도내용을 선정하였다. 이 핵심 지도 내용은 초등학교 저학년에서 고등학교에 이르는 전체의 교육과정에 모두 포함되어야 하는 핵심 지도 내용들이다. 문식성 교수 방법으로 연구자는 기능 지도와 전략 지도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여 제시하면서, 전통적인 기능 지도의 개념을 비판하면서 인지구성주의적 문식성 지도 방법으로 전략 지도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전략 지도의 구체적 방법으로 피어슨의 책임이양 모형과 노명완의 과정지도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두 지도 방법은 비고츠키의 근접발달영역과 비계설정 개념에 기초하는 방법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nderlying theories of the concept literacy, and the curriculum and methods of literacy education in the 1-2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 concept of literacy in its early period meant only reading, and then included the 4-language behaviors as a whole. But as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psychology, the increase of the demandstirom high technological society, the concept of literacy extended widely, as we knowtirom such phrases as ‘language and literacy’, ‘literacy and high-order thinking skills’, ‘literacy and communication’, ‘literacy and education’, ‘literacy, society, and culture’, ‘literacy and national development’, ‘literacy and democracy’.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concept of literacy in two aspects: One is the underlying psychological theories in the concept of literacy, and the other is the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methods of literacy education. As of the underlying theories, I examined and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five theories such as cognitive psychology, schema theories, constructivism, reader response theory, and sociocultural theory. In the study, I also examined the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methods of literacy education in the 1-2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 basic approaches I took in the examination was the wholesome psychological process of literacy, which means, the reading process includes the whole processes from decoding, to word recognition, sentence comprehension, reading strategies, and to the meta-cognitive knowledge and monitoring. And I suggested two instructional models, Pearson’s ‘Explicit Instructional Model’ and the ‘Process-centered Comprehension Model’ that was developed by the writer of this paper, Myeong-wan Noh. These two instructional models heavily depended upon the Vygotsky’s ZPD(Zone of Proximal Development) and Scaffolding concep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wo points: One is that the concept of literacy is highly reader-based cognitive, constructive, and sociocultural processes, and the other is that the teaching of literacy even in the early stages of elementary school should be reader-based strategic, and self-regulatory learning activities.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讀解와 記憶에 대한 세 가지 硏究 接近方法의 理論的 考察

        盧命完 한국교육학회 1986 敎育學硏究 Vol.24 No.1

        今世紀 초엽에 이루워진 人間의 言語理解와 記憶에 대한 Huey(1908)와 Bartlett(1932)의 연구는 행동주의로 인한 약 반 세기의 공백기간이 지난, 70년대에 들어와서야 비로소 새로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Huey는 眼球運動을 중심으로 文字知覺과 讀解에 미치는 言語의 중요성을 밝히려 노력하였으며, Bartlett는 認知過程에서 일어나는 讀者의 旣存知識의 機能과 記憶構造(知識構造)의 理論化에 보다 큰 관심을 기울였다. 이 두 연구는 70년대 후반부터 일기 시작한, 言語學, 認知心理學, 人工知能의 統合科學이라고 할 수 있는, 認知科學의 礎石 되었다. 讀書過程을 글과 讀者와의 相互作用의 過程이라고 볼 때, Huey의 연구는 글에 대한 연구에 가깝다고 할 수 있으며, Bartlett의 연구는 讀者에 대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이 두 연구의 판정은 讀書에 대한 최근 연구에도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 이 論文은 글에 대한 연구로서 Frederiksen의 글 구조 분석과 讀解過程 모형을, 그리고 讀者의 旣存知識에 대한 연구로서 Bransford의 構成的 讀解過程과 Rumelhart의 이야기 文法(story grammar) 및 스키마(schema) 이론을 살펴보았다. Frederiksen은 讀解過程연구를 위해서는 읽기의 대상이 되는 글과 독자가 읽고 난 후 재현하는 回想文(recall protocols) 을 분석할 수 있는 분석의 틀이 먼저 마련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이 두 가지의 글 구조를 분석할 수 있는 틀을 구안하였다. 이 틀은 글의 意味構造와 論理構造를 근간으로 하고 있다. 意味構造는 글의 의미를 命題(proposition) 단위로 분석함을 뜻하며, 論理構造는 의미의 단위인 命題들 사이의 關係構造를 뜻한다. 성격상 의미구조에서는 각 명제들 사이에 독립성이 유지되지만 논리구조에서는 각 명제들 사이가 관계구조로서 位階性을 띈다. Frederiksen의 讀解過程모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이해할 수 있다. 하나는 글에 분명하게 진술된 意味의 確認過程이며, 다른 하나는 글에는 분명히 진술되어 있지 않지만 讀解過程에서 推論되어 구성되는 意味의 創出過程이다. 따라서, 記憶 속에 表象되는 글의 意味는 글에 직접 표현된 의미와 독자가 독해과정에서 창출하여 낸 의미의 복합 형성체이다. Bransford는 文章의 기저를 이루는 深層構造로부터 직접 의미를 번역해 내는 言語學的 解釋理論(interpretive)을 비판하면서, 記憶은 文章이 기술하고 있는 意味狀況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