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재환자의 업종별 작업능력평가 세부항목 분석 : 한국표준산업분류를 중심으로

        노동희,조은주,강성구,정인선,김옥형,오태형,성준모,조현주,조남순,김진홍,이강표 대한작업치료학회 2021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9 No.4

        목적 : 본 연구는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라 산재환자의 작업능력평가 세부항목 실시 데이터를 분석하여 업 종별 직장복귀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 후향적 코호트 조사 연구로 근로복지공단 소속병원의 전자의무기록을 활용하여 2018년 1월부 터 2020년 12월까지 작업능력평가를 실시한 2,145명의 산재환자의 기초분석과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 라 건설업, 제조업, 전문ㆍ기술업, 시설 관리 및 서비스업, 운송업,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으로 분 류한 후 대상자들에게 시행된 작업능력평가 세부항목의 수행 빈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 작업능력평가에 참여한 대상자는 남성 1,798명(83.8%), 여성 347명(16.2%)이었으며, 연령대는 50-59세가 790명(36.8%)으로 가장 많았다. 산재 요양시작 이후 평균8.83 ± 5.32개월 시점에 평가가 이루어졌다. 제조업 692명(32.3%), 건설업 642명(29.9%), 전문ㆍ기술업 308명(14.4%)이 대부분이었 고 손상 부위는 하지 손상이 736명(34.3%)으로 가장 많았다. 작업능력평가 시 포함된 세부 평가항목 중 어깨높이에서 밀기ㆍ당기기, 작업장 이동에서 걷기, 기어가기, 자세유지평가에서 무릎 꿇기 작업을 제 외한 모든 항목에서 직업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건설업에서 들기와 옮기기의 수행 빈도가 높았고, 가장 무거운 무게까지 평가를 했으며, 제조업에서는 자세유지평가 빈도가 높았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작업능력평가에 참여한 산재환자의 동향과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라 실시되는 작업능 력평가 세부항목 차이를 확인하여 임상에서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sub-items of a functional capacity evaluation (FCE) according to the Korean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for work-related patients and to provide basic data of a return to work program provided by the industry. Method: This study i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targeting 2,145 work-related patients who underwent an FCE from January 2018 to December 2020 using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Korea Workers’Compensation and Welfare Service hospitals. The frequency of sub-items of the workability evaluation was analyzed after the classification of the industry was divided into construction, manufacturing, technical services, facilities management and service, transportation, and human health and social work activities according to the Korean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Result: The manufacturing industry had the most with 692 people (32.3%), and the affected body regions had the most lower extremity injuries with 736 people (34.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sub-items except push and pull at shoulder height, walking, crawling, and reaching while kneeling among the various industries. In particular, the construction industry was the highest in frequency and weight of lifting and carrying. The manufacturing industry, however, applied a posture maintenance evaluation the most frequently.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difference among the industries in sub-items of the FCE and suggested primary data referred to i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fields.

      • KCI등재

        재활치료시기가 산재 수부손상환자의 손 기능에 미치는 영향 : 후향적 조사연구

        노동희,차윤준,조은주,정인선,조한별,감경윤 대한작업치료학회 2021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9 No.4

        목적 : 본 연구는 산재 수부손상환자들을 대상으로 수부재활치료를 시작하는 시기가 손 기능에 미치는 영 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후향적 코호트 연구(retrospective cohort study)로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을 활용하였다. 2018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경남 창원의 C 병원과 전남 순천의 S 병원에서 수부재활치료를 받은 환자 127명을 대상으로 치료시기에 따른 손 기능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손상 후 4개월 이전(61명)과 4개월 이상(66명) 두 그룹으로 나누어 장악력, 집기, 휴식 시 통증, 활동 시 통증, Jebsen- Taylor Hand Function Test(JTHFT), Quick DASH를 비교하였다. 결과 : 산재 수부손상환자에게 수부재활치료를 제공하였을 때 두 그룹 모두 손 기능이 유의하게 향상이 되 었다(p < .05). 그룹 간 손 기능 변화량 비교에서는 장악력 검사, 측면집기, 휴식 시 통증, 활동 시 통 증, Quick DASH에서 4개월 이전 그룹이 4개월 이상 그룹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p < .05). 결론 :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치료시기가 빠를수록 손 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 었다. 따라서 수술 이후 산재수부손상 환자에게 초기재활에 대한 정보제공과 진단명, 손상부위, 손상정도 에 따른 적절한 치료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hand function according to the timing of the commencement of hand rehabilitation on patients with a hand injury from a work-related injury. Methods: A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this research used electronic medical records on 127 patients who received hand therapy at C Hospital in Changwon, South Gyeongsang Province, and S Hospital in Suncheon, South Jeolla Province, from January 2018 to December 2019.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a group receiving less than 4 months of rehibilitation (61 people) and a group receiving more than 4 months (66 people) so a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grip, pinch, pain during rest, pain during activity, Jebsen- Taylor Hand Function Test(JTHFT), and Quick DASH. Results: Both groups significantly improved their hand function (p < .05). In the comparison of changes in hand function between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grip strength, lateral pinch, pain during rest, pain during activity, and Quick DASH (p < .05).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early treatment is more positive to the resulting hand function than late treatment.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information on early rehabilitation be provided to patients post operation and that proper treatment is needed according to the diagnosis, injured area, and severity of the damage.

      • KCI등재

        작업능력강화프로그램이 산재근로자의 자기효능감, 우울, 재활동기에 미치는 효과 : 원 직무복귀를 중심으로

        노동희,조은주,한승협,감경윤 대한작업치료학회 2017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5 No.1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work-hardening program on Job retention in industrially injured workers in the view of self-efficiency, depression, and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Methods : Forty-nine injured workers who attended work-hardening program at Korea Workers' Compensation and Welfare Service (KCOMWEL) C hospital in Gyeongsangnam-do from June 2015 to August 2016 were recruited. Work-hardening program was offered to 49 injured workers 1 session (at least 3 hours) a day, 5 times a week, for 4~8 weeks. We evaluated self-efficacy, depression, and rehabilitation motivation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Additionally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y had returned to their own work two months after the intervention, and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were investigated. Results :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fficiency, depression, rehabilitation motivation between before and after work-hardening program (p<.05). Two months after the interven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fficacy between two groups (p<.05).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the work-hardening program have positive effects on self-efficacy, depression, rehabilitation motivation and suggests that self-efficacy is an important factor for returning to work. 목적 : 본 연구는 산재근로자를 대상으로 작업능력강화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 우울, 재활동기에 미치는 효과와 원 직무복귀에 따른 그룹 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5년 6월부터 2016년 8월까지 경상남도 소재의 C병원에서 작업능력강화프로그램을 실시한 산재근로자 4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작업능력강화프로그램은 1일 1회 3시간 이상, 주 5회, 총 4~8주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중재 전․후 자기효능감, 우울, 재활동기를 측정하였다. 산재요양기간 종료 후 2개월 뒤 추적관찰을 통해 대상자들을 원 직무복귀 그룹과 원 직무복귀 실패 그룹으로 나누어서 두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았다. 결과 : 작업능력강화프로그램 실시 후 자기효능감, 우울, 재활동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산재요양기간 종결 2개월 뒤 원 직무복귀 여부에 따라 두 집단 간 차이를 확인했을 때 자기효능감의 변화량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결론 : 본 연구에서 작업능력강화프로그램은 산재근로자의 자기효능감, 우울, 재활동기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고, 원 직무복귀 그룹에서 복귀실패 그룹보다 유의한 자기효능감의 향상이 나타났다.

      • KCI등재

        작업능력강화프로그램이 산업재해근로자의 원 직무복귀에 미치는 효과 : 자기효능감, 우울, 재활동기를 중심으로

        노동희,조은주,한승협,감경윤 대한작업치료학회 2017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5 No.1

        목적 : 본 연구는 산재근로자를 대상으로 작업능력강화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 우울, 재활동기에 미치는 효과와 원 직무복귀에 따른 그룹 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5년 6월부터 2016년 8월까지 경상남도 소재의 C병원에서 작업능력강화프로그램을 실시한 산재근로자 4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작업능력강화프로그램은 1일 1회 3시간 이상 주 5회, 총 4~8 주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중재 전・후 자기효능감, 우울, 재활동기를 측정하였다. 산재요양기간 종료 후 2개월 뒤 추적관찰을 통해 원 직무복귀 그룹과 원 직무복귀 실패 그룹을 나누어서 두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았다. 결과 : 작업능력강화프로그램 실시 후 자기효능감, 우울, 재활동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산재 요양기간 종결 2개월 뒤 원 직무복귀 여부에 따라 두 집단 간 차이를 확인했을 때 자기효능감의 변화량 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결론 : 본 연구는 작업능력강화프로그램이 산재근로자의 자기효능감, 우울, 재활동기 향상에 효과적임을 보 여주었고, 자기효능감이 원 직무복귀 성패에 중요한 요인임을 제안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work-hardening program on Job retention in industrially injured workers in the view of self-efficiency, depression, and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Methods : Forty-nine injured workers who attended work-hardening program at Korea Workers’ Compensation and Welfare Service (KCOMWEL) C hospital in Gyeongsangnam-do from June 2015 to August 2016 were recruited. Work-hardening program was offered to 49 injured workers 1 session (at least 3 hours) a day, 5 times a week, for 4~8 weeks. We evaluated self-efficacy, depression, and rehabilitation motivation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Additionally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y had returned to their own work two months after the intervention, and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were investigated. Results :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fficiency, depression, rehabilitation motivation between before and after work-hardening program (p<.05). Two months after the interven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fficacy between two groups (p<.05).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the work-hardening program have positive effects on self-efficacy, depression, rehabilitation motivation and suggests that self-efficacy is an important factor for returning to work.

      • KCI등재

        직업복귀프로그램에 참여한 산업재해근로자의 원직무복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동희,조은주,한승협,김광재,감경윤 대한작업치료학회 2017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5 No.4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job retention of injured workers. Methods: From November 2014 to August 2016, 92 injured workers attending a return-to-work program at C hospital in Gyeongsangnam-do were recruited. We investigated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the factors related to industrial accidents, companies, and the return-to-work program affecting their job retention. Results: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job retention and age, which is a socio-demographic factor. The period of medical service after an industrial accident, pain severity, and the factors of an industrial accident showed a significant effectiveness with regard to job retention. Moreover, employment status and work intensity, which are factors related to a company, showed an influence on job retention. In particular, the initial result of the work capacity and start time on work hardening were associated with job retention. However, there was no relation between duration of work hardening and job retentio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a younger age, shorter sick leave, lower amount of pain, lower work intensity, better initial result of work capacity, earlier start on a return-to-work program, and a regular position have advantage in injured worker returning to work. 목적:본 연구는 직업복귀프로그램에 참여한 산업재해근로자를 대상으로 원직무복귀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2014년 11월부터 2016년 8월까지 경상남도 소재의 C병원에서 직업복귀프로그램에 참여한 산업재해근로자 92명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요인, 산업재해관련 요인, 직업관련 요인, 직업복귀프로그램 요인들이 원직무복귀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산업재해근로자의 원직무복귀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인구사회학적 요인에서는 나이, 산업재해관련 요인에서는 산업재해요양기간, 통증, 직업관련 요인에서는 고용형태, 작업강도, 직업복귀프로그램 관련 요인에서는 작업능력평가 결과, 작업능력강화프로그램 시작시기가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적용기간은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본 연구는 산업재해근로자들이 나이가 적고, 산업재해요양기간이 짧고, 통증이 적을수록, 고용형태가 정규직이거나 작업강도가 낮을수록, 작업능력평가결과가 좋거나 직업복귀프로그램 시작시기가 빠를수록 원직무복귀를 높일 수 있음을 지지하였다.

      • KCI등재

        산재노동자의 직장복귀 형태 및 원직장 고용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동희,조은주,차윤준,한승협,감경윤 대한작업치료학회 201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7 No.2

        목적 : 본 연구는 산재보험패널조사 1~4차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재요양종결 후 직업에 복귀한 산재노동 자를 대상으로 원직장복귀와 재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원직장복귀자의 고용유지 요인을 분석하 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2년 1월부터 12월까지 산업재해요양 종결 노동자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산재보험패널조사 (Panel Study o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PSWCI)를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원직장복귀자 695명과 재취업자 642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요인, 산업재해 요인, 재활서비스 요인, 사업체 요인을 독립변수로 하여 직장복귀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2013년부터 2016년까지 4년 동안 원직장복 귀를 유지를 하고 있는 418명과 고용유지를 실패한 152명을 대상으로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결과 : 요양 기간 중 회사와의 관계가 유지될수록, 상용직일수록, 사업주가 제공한 편의 내용이 있을수록, 근무기간이 길수록, 사업장 노동자 수가 많을수록, 통증이 적을수록, 재활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을수록 산 재노동자의 원직장복귀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원직장복귀자의 고용유지는 남자일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근무기간이 길수록 순으로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원직장복귀에는 사업장 관련 요인이, 원직장 고용유지에는 성별과 교육수준, 근무기간 이 영향이 있었다. 산재노동자의 원직장복귀 및 고용유지를 위해서는 사업체 요인을 고려한 제도적 뒷받 침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that affect job retention and reemployment in injured workers who returned to work and then analyze factors to maintain their job in job retention group. Methods: We used 4 years consecutive data from Panel Study o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00 injured workers in termination of medical service from January to December 2012. The samples were divided into job retention group(n=695) and reemployment group(n=642) on primary data and confirme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type of return-to-work. Additionally, we analyzed the factors influencing job maintenance in the job retention group, which divided into the successful group(n=418) and the failure group (n=152). Results: Job retention was shown more in subjects who maintained good relations with a company and worked for a long period, were a regular worker, were given any convenience from a company, worked in large company, and had less pain. Moreover, the factors affecting job maintenance were ranked employment period, level of education, and gender.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job retention can lead job maintenance more efficiently than reemployment. The main factor that affects job retention is workstation factor, and that affects job maintenance is the employment period. We also suggest that institutional strategy related to workstation factor should be needed to make injured workers maintain their job.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