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말뭉치를 활용한 ‘환경문학’과 ‘생태문학’ 의미 분석

        유해준(Yoo, hae-jun) 문학과환경학회 2022 문학과 환경 Vol.21 No.1

        본 연구는 ‘환경문학’과 ‘생태문학’ 연구에 나타난 어휘의 사용 양상을 토대로 ‘환경문학’과 ‘생태문학’의 개념적 차이를 살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산업화 시대의 문제를 인간 중심에서 확대하여 자연 중심으로 사고하게 되면서 생태주의에 대한 관심이 문화, 예술, 교육 전반에 영향을 주게 되었다. 문학 연구에도 1980년대가 되면서 이에 대한 연구가 ‘생태’, ‘환경’, ‘녹색’, ‘자연’ 등의 주제로 다루어지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런 다양한 접근으로 이루어진 연구에 대해 개념적 정리가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환경문학’과 ‘생태문학’ 연구의 개념 정리를 위해 관련 연구를 시간적 차이를 두고 살피었다. 이 때 계량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학술논문의 어휘 사용 양상을 살피어 ‘환경문학’과 ‘생태문학’의 개념 차이 및 관련 연구 주제라고 할 수 있는 ‘생태시’, ‘생태소설’, ‘녹색문학’, ‘생태환경 문학’ 등도 함께 살피었다. 이를 통해 두 용어 사이의 관련성과 함께 연구 내용에 나타나는 차이를 정리하여 두 용어 사용의 변화 양상과 개념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ceptual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literature’ and ‘ecological literature’ based on the aspect of using vocabulary shown in the researches on ‘environmental literature’ and ‘ecological literature’. As the problems of the industrialization period were expanded from human-centeredness to nature-centered thought, the interest in ecologism influenced the overall culture, arts, and education. In the 1980s, the researches on literature started handling the themes such as ‘ecology’, ‘environment’, ‘green’, and ‘nature’. This study was started from perceiving the necessity to conceptually-organize the researches in such various approaches. For the conceptual organization of researches on ‘environmental literature’ and ‘ecological literature’, the relevant researches were examined with time differences. At that time, this study also examined ‘ecological poetry’, ‘ecological novel’, ‘green literature’, and ‘eco-environmental literature’ together as the relevant research themes and conceptual differences of ‘environmental literature’ and ‘ecological literature’ by examining the aspect of using vocabulary in academic theses through the use of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Through this, this study aimed to reveal the aspect of changes in use and conceptual differences of two terms by organizing differences shown in the research contents and relation between two term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 정보연계성의 함의와 환경인문학의 역할 ― 친환경 식량생산과 음식문화

        김대영 문학과환경학회 2018 문학과 환경 Vol.17 No.2

        Recently, environmental humanities which try to respond to anthropocene environmental degradation mainly pursue to enhance interdisciplinary study and public communication. Environmental humanities try to analyze the environmental phenomena and to make up proper policies with Interdisciplinary study and to encourage the public actively to participate in the policies. These roles of environmental humanities can be supported by information-connectednes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lthough industrial revolution might cause recent anthropocene issues, new kind of information-connectedness can challenge the existing limit of industry for sustainable environment. This study, therefore, scrutinizes how environmental humanities can enhance interdisciplinary study and public communication with information-connectedness, especially, for alternatives of food production system and culinary culture. Studies of environmental humanities for agriculture and related culture can be important because these studies can give a theoretical and practical basis for sustainable environment. Theoretically, environmental humanities can dismantle dichotomy between human and nature with agricultural perspective. Practically, it can suggest realistic alternatives for human-nature symbiosis. So, studies of environmental humanities for local agriculture and culinary culture can contribute to establish theoretical and practical responds for anthropocene era. This kind of study can give some space to discuss how human can coexist with nature through enhancement of interdisciplinary study and public communication in environmental humanities as well as, can expand the horizon of study of environmental literature with various genres. 최근 환경인문학은 인류세 환경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학제간 연구와 대중과의 소통을 추구한다. 환경인문학의 학제간 연구는 현 상황을 정확하게 규명하여 적절한 대응책을 마련하게 하며, 대중과의 소통은 환경문제 대응책에 대중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환경인문학의 시대적 역할은 4차 산업혁명의 정보연계성으로 더욱 강화될 수 있다. 비록 산업혁명이라는 용어가 현재의 환경문제의 요인일 수 있지만, 정보연계성은 기존 산업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한 방법론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환경인문학이 정보연계성으로 어떻게 학제간 연구와 대중과의 소통을 강화할 수 있는지, 특히 대안적 식량생산방안을 학제간 연구로 접근하여 대중에게 소개하는 방안을 탐색한다. 지역농업과 요리문화에 대한 환경인문학적 연구는 환경문학연구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 현재의 환경문제에 인문학적 통찰력과 대중의 환경인식고취를 추구하는 환경문학연구는 환경인문학의 다 학제간 연구로 인간-자연의 이분법적 경계를 허물고 인간과 자연이 공존할 수 있는 농업방식과 요리문화를 타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식량생산과 활용에 대한 환경인문학적 연구는 지속가능한 환경을 위한 실천적 대안을 논의하여 현 인류세 환경문제에 대응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환경인문학이 4차 산업혁명의 정보연계성을 활용하여 다양한 학문분야의 연계와 대중과의 소통을 강화하여 인간과 자연이 공존할 방안을 논의할 뿐 아니라, 환경문학연구의 지평을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 정보연계성의 함의와 환경인문학의 역할

        김대영(Kim, Dae-young) 문학과환경학회 2018 문학과 환경 Vol.17 No.2

        최근 환경인문학은 인류세 환경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학제간 연구와 대중과의 소통을 추구한다. 환경인문학의 학제간 연구는 현 상황을 정확하게 규명하여 적절한 대응책을 마련하게 하며, 대중과의 소통은 환경문제 대응책에 대중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환경인문학의 시대적 역할은 4차 산업혁명의 정보연계성으로 더욱 강화될 수 있다. 비록 산업혁명이라는 용어가 현재의 환경문제의 요인일 수 있지만, 정보연계성은 기존 산업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한 방법론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환경인문학이 정보연계성으로 어떻게 학제간 연구와 대중과의 소통을 강화할 수 있는지, 특히 대안적 식량생산방안을 학제간 연구로 접근하여 대중에게 소개하는 방안을 탐색한다. 지역농업과 요리문화에 대한 환경인문학적 연구는 환경문학연구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 현재의 환경문제에 인문학적 통찰력과 대중의 환경인식고취를 추구하는 환경문학연구는 환경인문학의 다 학제간 연구로 인간-자연의 이분법적 경계를 허물고 인간과 자연이 공존할 수 있는 농업방식과 요리문화를 타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식량생산과 활용에 대한 환경인문학적 연구는 지속가능한 환경을 위한 실천적 대안을 논의하여 현 인류세 환경문제에 대응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본 연구는 환경인문학이 4차 산업혁명의 정보연계성을 활용하여 다양한 학문분야의 연계와 대중과의 소통을 강화하여 인간과 자연이 공존할 방안을 논의할 뿐 아니라, 환경문학연구의 지평을 확장할 것이다. Recently, environmental humanities which try to respond to anthropocene environmental degradation mainly pursue to enhance interdisciplinary study and public communication. Environmental humanities try to analyze the environmental phenomena and to make up proper policies with Interdisciplinary study and to encourage the public actively to participate in the policies. These roles of environmental humanities can be supported by information-connectednes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lthough industrial revolution might cause recent anthropocene issues, new kind of information-connectedness can challenge the existing limit of industry for sustainable environment. This study, therefore, scrutinizes how environmental humanities can enhance interdisciplinary study and public communication with informationconnectedness, especially, for alternatives of food production system and culinary culture. Studies of environmental humanities for agriculture and related culture can be important because these studies can give a theoretical and practical basis for sustainable environment. Theoretically, environmental humanities can dismantle dichotomy between human and nature with agricultural perspective. Practically, it can suggest realistic alternatives for human-nature symbiosis. So, studies of environmental humanities for local agriculture and culinary culture can contribute to establish theoretical and practical responds for anthropocene era. This kind of study can give some space to discuss how human can coexist with nature through enhancement of interdisciplinary study and public communication in environmental humanities as well as, can expand the horizon of study of environmental literature with various genres.

      • KCI등재

        생태시를 활용한 대학 생태문학교육의 방향

        오현진 문학과환경학회 2022 문학과 환경 Vol.21 No.4

        이 연구는 생태시를 활용한 대학 생태문학교육의 방향을 모색하여 대학생들에게 생태환경교육을 실행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전제로 국어과 교육과정 분석과 생태시 교육 연구 검토를 통해 초중등학교의 생태문학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사라진 생태 환경 교육에 대한 내용이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다시 등장하였지만, 성취기준이나 교육 목표 차원으로 제시되지 않았다는 한계를 드러냈다. ‘공동체’가 직면한 여러 가지 문제 중 하나로 생태 환경 문제를 예시하고 있다. 생태 환경 주제를 다룬 작품의 읽기를 교육의 출발점으로 삼아 생태 의식이나 소양을 기른다는 교육 방식이 국어과의 여러 과목에서 반복적으로 제시되고 있었다. 학생들이 생태시를 이해하고 감상하는 것에서 출발하는 교육 방법으로 진행되다보니, 생태 환경 문제에 대해 주목하는 활동은 문학적 교육 목표를 달성한 뒤 심화 활동으로 제시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이에 생태시가 지닌 문학적 가치와 함께 생태 의식, 생태 감수성, 생태 소양을 기르는 데 적합한 교육적 가치에 주목하여 생태시를 문학교육에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수행되기도 하였다. 대학 생태문학교육은 생태 문학의 고유한 특성을 근거로, 문학교육뿐만 아니라 환경교육, 생태교육과의 접점을 갖는 융복합 교과로서의 차별점을 갖게 될 것이다. 초중등 교육에서 문학 중심의 생태교육이 이루어지는 것과 다르게 대학에서는 생태주의에 중점을 두고 보다 다양한 주제와 형식을 가진 생태시를 활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심층 생태주의뿐만 아니라 사회 생태주의까지 보다 확장된 범주의 생태교육이 가능하다. 대학 생태문학교육에서는 문학 작품 감상을 중심으로 한 문학교육 방식에서 벗어나, 대학 전공을 기반으로 융복합 교육과 매체 교육 역시 가능하다.

      • KCI등재
      • KCI등재

        최호길·최명길 시 연구 - 로컬리티와 생태 지평을 중심으로

        남기택,권석순 문학과환경학회 2017 문학과 환경 Vol.16 No.4

        This paper provides an analysis of the poems written by Ho-gil Choi and Myeong-gil Choi, who are brothers from Gangwon area. Particularly, the poems are analyzed in terms of locality. First, the notions of family community and hometown often occur in their works, which shows their fundamental trust in them. In addition, we can also find the horizon of ecology based on spaceness in the poems. One important characteristic of their poems is that they make use of local materials. For example, in the poems spatial images of Gangwon area like Seorak Mountain occur repeatedly. The poems are based on the naturalistic trend of Gangwon area; that is, natural environment and communal life are reflected in their poems, which ultimately leads to ecological literature of Gangwon area. The two brothers tried to form a local field of literature, and their efforts are important source for establishing the local history and completing the history of local literature. The accomplishment made by their poems through locality should be remembered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본고는 강원 지역의 형제 시인 최호길과 최명길의 시 세계에 대해 로컬리티와 생태적 지평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시인의 생애와 시적 자의식은 지역이라는 범주와 긴밀히 연관되는데, 강릉은 최호길과 최명길의 출생지로 어려서부터 가족과 함께 삶을 살았던 근거지이다. 성인이 된 이들은 각각 동해와 속초에 정착하여 문학 활동을 하다가 생을 마감했다. 이들의 시 세계는 강원 지역의 친자연적 성향에 기초하고 있다. 강원 지역이 지닌 천혜의 자연환경, 생태문학적 전통 등이 이들 시 세계에도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먼저, 이들의 시에는 고향의 원형과 중층적 양상이 빈빈히 등장한다. ‘어머니’, ‘할아버지’, ‘할머니’ 등 가족 공동체의 다양한 형상 역시 고향을 중심으로 하는 시적 지평의 근저를 형성하는 주요 요소라 하겠다. 다음으로, 이들의 작품 세계를 통해서 장소성에 기반한 생태학적 지평을 발견할 수 있다. 문학적 삶과 실천 장소로서의 지역은 최호길과 최명길 시의 핵심적 의미망을 형성하게 된다. 문학 내적으로는 설악산과 동해가 대표적인 장소 이미지로 반복 전유된다. 이는 장소성을 매개하는 전형적인 서정의 양상이요, 해당 지역의 생태문학적 지평을 형성하는 소이일 것이다. 문학 외적으로는 생태주의적인 삶, 지역 문단의 구성과 헌신적 노력 등이 실천적 양상으로 부각된다. 이러한 면모는 문학적 측면에서 로컬 히스토리를 정립하는 데 필수적인 요인 중 하나이다. 이처럼 최호길과 최명길의 시는 문학이 인간 삶의 총체성을 반영하고, 대부분의 생이 존재가 귀속된 지역에서 이루어진다는 보편적 명제를 실증하는 사례에 해당된다. 소재주의를 넘어 로컬리티를 전유한 성취, 생태학적 시학의 지평 등은 최호길과 최명길의 시 세계가 지닌 문학사적 의의로 기록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생태학적 피카레스크

        신두호(Shin, Doo-ho) 문학과환경학회 2017 문학과 환경 Vol.16 No.2

        ‘생태학적 피카레스크’는 문학작품 분석에서 피카레스크 양식과 피카로로서의 주인공을 생태학적 원리와 관점을 적용하여 살피는 것을 의미한다. 즉, 주인공은 피카로로서 자신이 처한 사회문화적, 정치적, 시대적, 자연환경적 불리한 상황에서, 정해진 목적지를 향해 처한 상황을 극복하면서 전진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의 흐름처럼 이곳저곳으로 다니면서 자신을 열어두고 자연생태계 전체의 조화와 생존을 우선으로 삼는 생태학적 원리에 따라 행동함으로써, 타인과의 공존을 통한 자신 및 전체의 생존을 함께 모색한다. 생태학적 피카레스크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자연계 및 인간사회에서 공존을 통한 생명의 지속이라 할 수 있다. 그동안 많은 논쟁이 되어 왔던 마크 트웨인의 『헉클베리 핀의 모험』결말 부분 역시도 생태학적 피카레스크 관점에서 해석해 낼 수 있다. 이 작품이 미국문학에서 차지하는 비중만큼이나 이 작품의 결말을 둘러싼 다양한 해석과 평가가 이어져왔지만, 이 작품이 문학생태학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요소가 많음에도 아직까지 문학생태학적 관점에서 결말부분에 대한 논의는 아주 미진하다. 문학 작품에 대한 평가는 평가자 본인의 개인적인 문학적 소신이나 도덕적, 철학적 관점에 의존하며, 특히 정전문학작품의 경우 평가 시점의 시대적인 상황을 작품해석에 적용시켜 작품에 새로운 의미를 지속적으로 부여하여 왔다. 소위 훌륭한 정적문학 작품으로 간주되는 작품들의 생명력이 시대를 초월하여 지속적으로 이어지는 것은 바로 이와 같은 이유때문이기도 하다. 환경문제가 여전히 중요한 사회적 관심사로 남아있는, 아니, 인류세 관점이 제기하듯, 점점 더 심각한 상황에 접어든 현재적 관점에서, 생태비평이 환경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루는 현대소설이나 자연문학 작품에 관심을 기울이면서도 기존의 정전 소설작품에 관심을 가져야 할 이유가 된다. 비평적 관행과 현시대의 사회적 관심이 더더욱 요구되는 환경문제를 고려할 때, 『헉클베리 핀의 모험』, 특히 결말 부분 해석에 피카레스크 양식의 생태학적 적용, 즉 문학생태학적 적용은 의미 있는 시도이다. An ecological picaresque is an application of ecological principles and perspectives in the study of picaresque novel and its protagonist picaro. The picaresque world resembles a natural system in which humans are but one small organism, and within the picaresque world every existence is interdependently connected with other existences. And the picaro, unlike a tragic hero who either altruistically makes an utmost effort for the welfare for all humanity or strives for reaching ideal causes and goals, tries merely to adapt himself/herself to the given environment and circumstances in the spirit of survival of his/her own and others, leaving himself/herself opened to the world. Mark Twain’s The Adventure of Huckleberry Finn can be examined as the ecological picaresque novel, and especially its ending Phelps Farm episodes, which have invited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debates in the study of American literature, but to which no critics in a genuine sense have ever tried ecocritical approaches, can legitimately be shed a light from an ecological picaresque. Assessment of literary works is normally made from critics’ subjective artistic, ethical, and/or philosophical perspectives, and standards and, with the passage of time, canonical literary works especially are constantly added with new meanings when they are interpreted in accordance to new social and cultural circumstances. This is the reason that what is passed as great classical works survives across and time and place, and The Adventure of Huckleberry Finn is certainly not an exception. One of the most urgent and important social issues at the present time is environment degradation, and the current literary studies and criticism have duly steered their attention to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issues and awareness as a way of contributing to and fulfilling social responsibilities. In this vein, an attempt to interpret the controversial ending episodes of The Adventure of Huckleberry Finn from the ecological picaresque is timely and valu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