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농업가뭄대응을 위한 Web 및 GIS 기반 가뭄정보시스템 개발

        남원호 ( Wonho Nam ),최진용 ( Jin-yong Choi ),김한중 ( Han-joong Kim ),장민원 ( Min-won Jang ),유승환 ( Seung-hwan Yoo ),김태곤 ( Taegon Kim )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가뭄의 진행에 따른 적절한 대응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시간적인 가뭄의 발생과 가뭄상황의 공간적인 분포의 파악이 필요하며, 이는 적절한 가뭄평가 수단 및 가뭄 모니터링을 통하여 가뭄단계를 설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가뭄을 극복하고 농촌수자원의 안정적 확보와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서 적절한 농업가뭄상황을 분석하고 평가할 수 있으며 농업가뭄대책의 수립과 시행을 뒷받침할 수 있는 기술적ㆍ과학적 근거가 될 수 있는 통합농업가뭄지수 (Integrated Agricultural Drought Index)를 제안하였다. 또한 현재의 농업가뭄상태를 분석하고 농업가뭄대응을 위한 다양한 기상시나리오를 설정하여 향후 지역별 농업가뭄의 위험과 피해를 예측하고, 적절한 농업가뭄대응책 수립 및 농업수자원 관리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Web 및 GIS 기반 농업가뭄정보시스템은 물 관리자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들에게 가뭄 정보를 신속하고 손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효과적인 장ㆍ단기 사전가뭄대책을 위한 기반을 제공하고 가뭄 예보 및 가뭄 시 적절한 대응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써 활용 가능성이 클 것으로 판단된다.

      •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를 위한 수리시설 검측장비용 점검항목 설계

        김태곤 ( Taegon Kim ),남원호 ( Wonho Nam ),최진용 ( Jin-yong Choi ),김진택 ( Jin-taek Kim )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농업용 수리시설물은 소규모이면서 개소수가 많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관리하기가 어려우며, 현재 운영 및 시설 현황 파악조차 쉽지 않다. 농어촌공사에서 관리하고 있는 수리시설물은 수리시설감시원이 종이 조사표에 수기를 하여 시설상태를 점검하고 있어 자료의 누락 및 오류, 전산화를 위한 재입력 과정 등의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이에 시설 점검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휴대용 검측장비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 중이며, 본 연구에서는 검측장비 개발에 있어서 필요한 점검항목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야장 및 수자원 관리지침 등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수리시설별, 점검시기별로 점검항목을 제시하였다.

      •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용 저수지의 미래 한발빈도 분석

        권형중 ( Hyungjoong Kwon ),최경숙 ( Kyungsook Choi ),남원호 ( Wonho Nam ) 한국농공학회 2018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8 No.-

        지구온난화와 엘리뇨 현상 등의 기후변화로 인하여 세계적인 가뭄, 홍수, 한파, 혹서 등의 재해 및 기상이변이 속출하고, 최근 들어서는 우리나라의 경우 매해 가뭄이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기후변화의 영향과 심각성은 수자원, 생태계, 산림, 보건, 농업 및 사회기반시설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관측 혹은 전망되고 있는데, 특히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4차 보고서(2007)에서는 미래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 중 가장 취약한 부분으로 기후시스템 변화에 따른 강수패턴의 변화와 이로 인한 가용 수자원의 감소를 선정하였다. 미국, 영국, 일본 등 주요 선진국에서는 기후변화 관련 법적, 제도적 근거를 마련하여 이미 자국들의 기후변화 적응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기후변화에 대비하기 위해 체계적이고 현실적인 적응 전략 도출을 위한 필요 기술을 개발함으로서 농촌용수 뿐만 아니라 수자원 관리 기술 및 시설물의 적응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절실히다. 특히, 소규모 농업용 저수지는 용수공급 능력이 부족한 실정으로 저수지 본연의 용수공급 기능을 상실하거나 농업용수 공급 및 유지관리 측면에서 비효율성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상기후 및 집중호우에 의한 취약성 증대, 홍수조절능력의 부재, 시설의 노후화, 관리인의 고령화에 따른 유지관리의 문제 등 운영 및 관리의 한계점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용 저수지의 이수 대책을 도출하기 위하여, 현재부터 2100년까지 이수안전도 즉, 한발빈도를 예측하였으며 2050년 전후로 나누어 한발빈도 변화를 평가하였다. 이수안전도 분석 방법은 앞서 기술하였듯이 물수지 분석된 시계열 자료로부터 빈도분석을 통하여 한발빈도를 산정하여 현재 대비 미래의 한발빈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13개 저수지에서 모두 현재 설계 한발빈도인 10년 빈도에서 저하되었으며 특히, 금광저수지의 경우, 유효저수량은 약 천2백만톤인데 비하여 미래 이수안전도 곡선상의 10년빈도 필요수량이 미치지 못하며, 2050년 이전에는 3년, 2050년 이후에는 4년의 한발빈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이수 설계기준 정립을 위한 기초자료 현장 조사 및 분석

        권형중 ( Hyungjoong Kwon ),최경숙 ( Kyungsook Choi ),남원호 ( Wonho Nam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지구온난화와 엘리뇨 현상 등의 기후변화로 인하여 세계적인 가뭄, 홍수, 한파, 혹서 등의 재해 및 기상이변이 속출하고, 최근 들어서는 우리나라의 경우 매해 가뭄이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기후변화의 영향과 심각성은 수자원, 생태계, 산림, 보건, 농업 및 사회기반시설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관측 혹은 전망되고 있는데, 특히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4차 보고서(2007)에서는 미래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 중 가장 취약한 부분으로 기후시스템 변화에 따른 강수패턴의 변화와 이로 인한 가용 수자원의 감소를 선정하였다. 미국, 영국, 일본 등 주요 선진국에서는 기후변화 관련 법적, 제도적 근거를 마련하여 이미 자국들의 기후변화 적응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기후변화에 대비하기 위해 체계적이고 현실적인 적응 전략 도출을 위한 필요 기술을 개발함으로서 농촌용수 뿐만 아니라 수자원 관리 기술 및 시설물의 적응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절실히다. 특히, 소규모 농업용 저수지는 용수공급 능력이 부족한 실정으로 저수지 본연의 용수공급 기능을 상실하거나 농업용수 공급 및 유지관리 측면에서 비효율성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상기후 및 집중호우에 의한 취약성 증대, 홍수조절능력의 부재, 시설의 노후화, 관리인의 고령화에 따른 유지관리의 문제 등 운영 및 관리의 한계점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수분야와 관련된 설계기준의 정립을 위한 기초자료 조사를 위하여, 농업용 저수지를 주수원공으로 사용하는 전국 14개 농업용저수지를 선정하고, 유역면적, 관개면적, 작부시기 등의 저수지 물수지 모의를 위한 현장자료를 수집하였다. 관개면적은 14개 저수지 중 2개소의 관개면적이 약 4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못자리 면적은 1.1%에서 17% 사이의 비율로 조사되었고, 이앙용수량은 약 60mm에서부터 300mm까지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작부시기의 경우에는 묘대기, 이앙기, 본답기 모두 10일에서 20일 정도 시기가 앞당겨졌으며, 최대담수심은 60mm에서 200mm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현장조사 결과 관개지구의 필요수량을 산정하기 위한 모의 기본값과 현장 상황이 상이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현장 상황이 반영된 물수지 분석을 통하여 현재 및 미래의 이수 설계기준을 정립하고자 한다.

      • 농업 가뭄의 선제적 대응을 위한 농업용 저수지 용수공급 취약성 지수의 활용

        방재홍 ( Jehong Bang ),최진용 ( Jin-yong Choi ),남원호 ( Wonho Nam ) 한국농공학회 2018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8 No.-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가뭄, 집중 호우와 같은 극한 기상이 빈번히 일어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안정적 농업수자원 확보 및 이용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빈번한 자연재해로 인해 사회·경제적 피해가 매년 발생하고 있다. 자연재해에 대한 대책으로 사후복구보다 사전 대응의 경제적 측면이 유리하지만 사전 대응은 가뭄 발생 상황에 대한 예측 곤란으로 인해 사후복구 중점의 위기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 가뭄 사전 대응을 통해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확률론적 접근을 이용하여 선제적 가뭄 대응을 기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기법의 평가를 위한 대상저수지로 고삼, 고잔, 금광 저수지를 선정하였으며 시기별 용수공급 취약성 지수를 산정하였다. 취약성 지수의 평가는 비관개기와 관개기를 구분하였으며, 비관개기의 경우 탱크 모형을 이용하여 유역 유입량을 모의하였으며, 관개 종료 시점의 저수율을 기준으로 이듬해 관개 시작 시점에 저수율이 90% 이상이 될 확률을 산정하였고, 관개기의 경우 공급가능량과 수요량의 확률 분포를 산정 후 확률곱(convolution)을 통해 남은 관개시기 동안 용수공급에 실패할 확률을 산정하였다. 또한 선제적 가뭄 대응을 위하여 수요량 조정을 통한 실패확률의 감소가 가능하도록 하고, 이를 기준 실패확률과 비교 검토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선제적 가뭄 대응이 중요해지는 가운데 용수부족이 예상되는 농업용 저수지 운영 방법 도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침엽수 산림에서의 토양수분 소비패턴 분석

        홍은미 ( Eunmi Hongk ),최진용 ( Jinyong Choi ),유승환 ( Seunghwan Yoo ),남원호 ( Wonho Nam )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우리나라 면적의 67%에 이르는 660만ha의 산림 중 침엽수림은 273만ha (42.4%), 침엽수와 활엽수가 섞여 자라는 혼효림은 185만ha (28.8%)를 차지해 활엽수림의 168만ha (26.0%)보다 훨씬 넓게 분포하고 있다. 이와 같이 넓은 산림은 가뭄과 홍수와 같은 수문현상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강우에 따른 유출 특성에 기여하는 바가 클 뿐 아니라, 산림에서는 강우와 증발산 그리고 침투와 유출에 이르는 다양한 수문현상이 복합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유출량을 산정할 때 일반적으로 농업의 유역면적에 70%를 차지하며, 산림은 수자원을 함양하여 가뭄방지와 홍수방지 그리고 토양유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어 우리나라에서는 1960년 이후 조림에 힘써왔으며 정부의 강력한 산림녹화사업과 산림훼손 방지를 위해서 다각적으로 노력한 결과 우리나라의 임목밀도가 크게 증가하였으나 최근 이에 따른 부작용도 나타나고 있다. 잘 관리된 수목과 조림은 산림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나 과도한 임목밀도는 오히려 증발산량의 증가, 옆면에 의한 강우 차단량의 증가, 낙엽 및 부식토의 증가 등으로 인하여 가뭄과 홍수 또는 산사태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수자원함양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어 산림에서의 토양수분 변화 특성과 토양수분 환경에 대한 연구는 중요한 요소(Component) 연구가 될 수 있다. 또한 봄에서 여름으로 진행되는 시기에 수목의 활발한 증발산에 따른 토양수분의 변화와 가을에서 겨울로 진행되는 수목의 증식의 둔화와 기온 하강에 따른 토양수분 변화양상이 계절마다 다르게 나타남에 따라 실제 산림에서의 토양수분 모니터링과 이를 통한 시간별, 깊이별 토양수분 변화 및 소비패턴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침엽수 산림에서의 토층별 월별 소비패턴을 정립하기 위하여 서울대학교 태화산 학술림에 토양수분 장기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여 시간별, 토층별 토양수분 측정을 하였다. 또한, 침엽수림에서의 토양수분 환경을 분석하기 위하여 측정을 통한 토양수분 데이터 및 기상자료를 활용하여 월별, 일별 토양수분 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토양수분 소비량을 산정하여 침엽수림에서의 토층별, 월별 토양수분 소비패턴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