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농업토목 표준 및 전문시방서 개편 및 코드화

        권형중 ( Hyungjoong Kwon ),김선주 ( Sunjoo Kim ),강병윤 ( Byungyoon Kang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본 과업의 목적은 한국농어촌공사에서 관리하고 있는 농업토목공사 표준시방서와 농어촌정비공사 전문시방서를 개편하는 것으로, 2016년도에 개편된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 설계기준과의 연계가 가능하고 국가표준코드체계에 부합될 수 있도록 표준/전문시방서의 표준코드체계를 정립하고자 한다. 농어촌정비사업과 관련된 농업토목공사 시공에 관련된 계약의 적절한 이행 및 관련 공사시방서를 작성할 목적으로 1999년에 농업토목공사 표준시방서를 제정하였고, 2000년에는 관련 공사의 세부적인 공정 및 방법을 수록한 농어촌정비공사 전문시방서를 제정하여 현재까지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현재 사용되고 있는 표준/전문시방서는 관련 공사시방서의 계약문서로서 활용하기에는 관련 규정이나 법규 등의 개선 및 최신 신기술 등의 반영이 필요하며, 설계기준과의 연계를 위한 표준코드체계가 마련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토부에서는 2011년부터 “건설공사기준 선진화 및 운영체계 정비 연구”(국토해양부, 2011)를 시작으로 설계기준과 표준시방서를 개편하고 있으며, 콘크리트 표준시방서는 2003, 2004, 2009년에 걸처 3차례 개정되었고, 도로공사 표준시방서는 2003, 2009년에 걸쳐 개정되는 등 각종 국사 표준시방서의 내용이 수정·보완되고 있다. 따라서, 농업토목공사 및 농어촌정비사업분야의 시설물 안전 및 공사시행의 적성성과 품질을 확보하고, 관련 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농어촌정비사업과 관련한 발전된 기술을 반영하고 국가 표준시방서 및 법령의 개정을 바탕으로 수정 및 보완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농업토목공사 표준시방서와 농어촌정비공사 전문시방서의 구축 현황을 파악하고, 일반 토목 분야의 표준/전문시방서와 비교를 통하여 농업토목공사 특성에 맞는 표준/전문시방서로 개편함과 동시에 농업생산 기반정비사업 설계기준과의 연계를 위하여 표준코드체계를 마련하였다. 표준시방서는 개편된 설계기준의 코드체계와 동일하게 표준코드체계를 정립하였고, 전문시방서는 공정별 공사내용으로 코드체계를 개편하였다.

      • 농업용 저수지의 수요/공급량 산정 방법 연구

        권형중 ( Hyungjoong Kwon ),최경숙 ( Kyungsook Choi ),조건호 ( Gun Ho Cho ),이재남 ( Jae Nam Lee ) 한국농공학회 2018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8 No.-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저수지의 공사 및 지자체 관할 저수지의 이수안전도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실제 최근 가뭄으로 농업용 저수지는 용수공급 능력이 부족하여 매년 가뭄에 의해 피해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최근 기후변화에 의해 과거에 비해 가뭄의 빈도가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며, 강도 또한 증가 추세이며, 1973년 기상관측 이후 5∼7년 주기로 전국적 가뭄이 반복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농업에 있어서 농업용수는 식량안보의 핵심요소이며, 모든 작물생산에서부터 판매에 이르기까지 농업적 가치사슬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농업용수는 농작물 생산뿐만 아니라 농촌 지역의 환경 보전을 위한 주요한 자원으로 농업용수의 안정적 확보와 효율적 이용, 적정 배분은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해 필수적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2016)에서는 장기적으로 고령화 및 농산물 시장개방에 따른 수입농산물의 국내시장 잠식, 교역조건 악화에 따른 농업소득 감소의 영향으로 경지면적은 2020년 165.7만 ha, 2025년 162.3만 ha까지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고, 국민 1인당 경지면적은 2014년 기준 343㎡에서 2020년 322㎡, 2025년 312㎡로 계속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며, 경지이용률도 장기적으로 2014년 104.2%에서 2025년까지 98.9%로 하락하여, 2025년은 2014년 대비 5.3%p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지속적인 가뭄과 논·밭 면적이 급격히 변화함에 따라 목표연도의 논·밭 용수 수요가 달라질 것으로 예상됨으로 중장기 용수공급 및 수요량 재산정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요량 산정 방법으로 ① 기후변화 요소를 고려한 수요량 산정, ② 경지면적 변화를 고려한 수요량 산정, ③ 회귀수량 변화를 고려한 수요량 산정으로 검토하고, 공급량 산정방법으로 ① 기존 농어촌용수이용합리화계획 방법 적용, ② 수자원장기종합개발 계획 방법 적용, ③ 실측치 기준의 단위면적당 평균 공급량 산정 방법을 대상지구에 적용 및 비교 분석하여 개선된 수요량 및 공급량 산정 방법을 제언하고자 한다.

      • 농업용수 효율화를 위한 표준유역단위 관리체계 구축 방안 연구

        권형중 ( Hyungjoong Kwon ),김필식 ( Philshik Kim ),김상현 ( Sanghyun Kim ),신용철 ( Yongchul Shin ),변용훈 ( Yonghoon Byun ),최경숙 ( Kyungsook Choi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최근 통합물관리 시행에 따라 낙동강 유역단위 농업용수 물관리 체계로의 전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물관리기본법 시행에 따른 통합물관리 정책의 본격 추진으로 유역단위 물관리 체제에 부합한 낙동강 유역의 농업용수 관리체계 개선이 필요하며, 통합물관리 정책에 부응하고 안정적인 농업용수 확보를 위해서는 지속가능한 농업용수관리체계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수 관리 체계화 및 농업용수 이용효율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낙동강 유역을 대상으로 국가물관리 체제에 부합된 낙동강 유역의 농업용수 표준유역단위 물관리체계 구축과 농업용수 이용효율 개선을 위한 표준유역 단위 농업용수 관리체계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낙동강 유역 내 166개의 용수구역을 대상으로 용수구역 내 편입되어있는 272개 표준단위유역의 현황과 공사관할 및 시군관할 저수지 9,288개소, 관정 10,958개, 양수장 2,734개에 대한 농업용 수리시설물 DB를 구축하였으며, 유역 내 농업용수 관리기관별 관리대상 시설물, 관리체계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낙동강 유역 내 용수구역의 표준유역단위 변환 시 문제점에 대한 CASE 분석을 수행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 농촌용수 수요/공급량 산정 및 정보시스템 개발

        권형중 ( Hyungjoong Kwon ),김필식 ( Philshik Kim ),김선주 ( Sunjoo Kim ),이재혁 ( Jaehyouk Lee ),최규훈 ( Gyuhoon Choi ),심재훈 ( Jaehoon Shim )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1 No.-

        국내의 댐 1,800여개 중 관개용댐이 1,114개소로 약92%를 차지하며 대부분이 소규모 댐으로 이루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소규모 댐은 용수전용 댐으로 홍수조절능력이 없고, 대규모 댐 관리와 같은 운영 기준이 정립되어 있지 않은 현실이다. 따라서 최근 이상기후에 대해 가뭄과 홍수피해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정주권의 변화와 농촌용수의 다양화로 피해 규모도 증가하고 있다. 신설댐과 기존의 소규모댐을대상으로 홍수조절능력과 운영 기준의 정립에 대한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국내의 대표적 대규모 댐은 유역 연간 강우량의 약80%를 저수하여 강수의 계절적 편중뿐만 아니라 연도별 강수량 변화에 대응할 수 있을 정도로 물 이용 효율은 대단히 높다. 그러나, 농업용수 관개용 댐은 연간 강우량의 30%를 저수하여 강수의 계절적 편중을 극복할 수 없어 상대적으로 물 이용 효율이 매우 낮은 실정이다. 특히, 관개용 댐들이 단일목적의 농업용수에서 최근 4대강 사업의 일환인 저수지 둑높이기 사업을 통하여 저수지 저류량이 증가하고 다목적의 농어촌용수의 개발로 전환되면서 많은 저수량을 확보할 수 있을 정도로 규모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방류능력의 보강이나 운영기준이 없어 물 이용 효율이 대단히 저조하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안성시 이동지구에 대하여 물수지 분석에 필요한 실측자료를 수집하고 실측되지 않는 수문량에 대하여는 자료를 구축하는 방법 및 표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수집 구축된 자료를 이용하여 농업용 저수지를 포함한 관개지역의 물수지 분석을 통하여 수혜구역의 필요수량에 대한 농업용 저수지의 용수공급 능력 평가 및 관개 후 하천으로 회귀되는 수량을 산정함으로서 관개 지역의 수요/공급량을 정량화하여 효율적인 저수지 운영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를 기존의 농촌용수 종합정보시스템에서 조회하고 저수지 운영에 필요한 정보 분석 기능을 구현하고자 한다.

      •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용수의 가뭄 취약성 평가지표 개발

        권형중 ( Hyungjoong Kwon ),김선주 ( Sunjoo Kim ),강승묵 ( Seungmook Kang ),박현준 ( Hyunjun Park ),김해도 ( Haedo Kim ) 한국농공학회 2016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6 No.-

        산업화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는 심각한 기후변화의 원인으로 작용하여 우리나라를 포함한 전세계는 이에 대응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지구온난화 및 엘리뇨 현상 등으로 인하여 가뭄, 홍수, 한파, 혹서 등의 재해와 기상이변이 속출하고, 최근 들어서는 우리나라의 경우 매년 가뭄이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IPCC 제5차 평가보고서에 의하면 최근 10년간 전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은 이전보다 급격이 증가하였고, 우리나라 온실가스 총배출량도 1990년대에 비해 약 100%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농촌지역에서의 주요 기후변화 영향은 농업용수의 가용성과 적정 공급, 식량 안보, 농업 소득 등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농업이나 물, 산림, 생물 다양성 등을 위한 추가적인 적응 대책을 농촌지역의 발전을 위한 의사결정 차원의 정책으로 실행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하고 있다. 미국, 영국, 일본 등 주요 선진국에서는 기후변화 관련 법적, 제도적 근거를 마련하여 자국의 기후변화 적응 프로그램을 이미 시행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기후변화에 대비하기 위하여 체계적인 현실적인 적응 전략 도출을 위한 필요기술을 개발함으로서 농업용수 뿐만 아니라 수자원 관리 기술 및 시설물의 적응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절실한 실정이다. 농업분야에 있어서는 「농업· 농촌 및 식품산업 기본법」의 제47조의2, 시행령 제19조의2 제1항, 시행규칙 제5조에 의하여 “기후변화가 농업에 미치는 영향과 기후변화에 따른 취약성 조사· 평가”에 관한 기준을 제정하였다. 이러한 법적 근거를 바탕으로 농촌진흥청에서는 작물, 병해충, 가축 등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평가 결과보고서를 5년마다 제출하도록 고시하였다. 농업생산기반시설물 역시 기후변화에 따른 취약성을 평가하고 이를 위한 실태조사를 실시하도록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는 바,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수와 관련된 실태조사 항목을 개발하고, 가뭄 취약성 평가를 위한 평가지표를 개발하고자 한다. 개발된 평가지표를 대표 용수구역에 적용하여 가뭄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고,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농업생산기반시설물의 미래 가뭄에 대한 취약성 분석 및 적응 능력을 평가하고자 한다.

      • 이수 설계기준 정립을 위한 기초자료 현장 조사 및 분석

        권형중 ( Hyungjoong Kwon ),최경숙 ( Kyungsook Choi ),남원호 ( Wonho Nam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지구온난화와 엘리뇨 현상 등의 기후변화로 인하여 세계적인 가뭄, 홍수, 한파, 혹서 등의 재해 및 기상이변이 속출하고, 최근 들어서는 우리나라의 경우 매해 가뭄이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기후변화의 영향과 심각성은 수자원, 생태계, 산림, 보건, 농업 및 사회기반시설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관측 혹은 전망되고 있는데, 특히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4차 보고서(2007)에서는 미래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 중 가장 취약한 부분으로 기후시스템 변화에 따른 강수패턴의 변화와 이로 인한 가용 수자원의 감소를 선정하였다. 미국, 영국, 일본 등 주요 선진국에서는 기후변화 관련 법적, 제도적 근거를 마련하여 이미 자국들의 기후변화 적응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기후변화에 대비하기 위해 체계적이고 현실적인 적응 전략 도출을 위한 필요 기술을 개발함으로서 농촌용수 뿐만 아니라 수자원 관리 기술 및 시설물의 적응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절실히다. 특히, 소규모 농업용 저수지는 용수공급 능력이 부족한 실정으로 저수지 본연의 용수공급 기능을 상실하거나 농업용수 공급 및 유지관리 측면에서 비효율성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상기후 및 집중호우에 의한 취약성 증대, 홍수조절능력의 부재, 시설의 노후화, 관리인의 고령화에 따른 유지관리의 문제 등 운영 및 관리의 한계점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수분야와 관련된 설계기준의 정립을 위한 기초자료 조사를 위하여, 농업용 저수지를 주수원공으로 사용하는 전국 14개 농업용저수지를 선정하고, 유역면적, 관개면적, 작부시기 등의 저수지 물수지 모의를 위한 현장자료를 수집하였다. 관개면적은 14개 저수지 중 2개소의 관개면적이 약 4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못자리 면적은 1.1%에서 17% 사이의 비율로 조사되었고, 이앙용수량은 약 60mm에서부터 300mm까지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작부시기의 경우에는 묘대기, 이앙기, 본답기 모두 10일에서 20일 정도 시기가 앞당겨졌으며, 최대담수심은 60mm에서 200mm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현장조사 결과 관개지구의 필요수량을 산정하기 위한 모의 기본값과 현장 상황이 상이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현장 상황이 반영된 물수지 분석을 통하여 현재 및 미래의 이수 설계기준을 정립하고자 한다.

      •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용 저수지의 미래 한발빈도 분석

        권형중 ( Hyungjoong Kwon ),최경숙 ( Kyungsook Choi ),남원호 ( Wonho Nam ) 한국농공학회 2018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8 No.-

        지구온난화와 엘리뇨 현상 등의 기후변화로 인하여 세계적인 가뭄, 홍수, 한파, 혹서 등의 재해 및 기상이변이 속출하고, 최근 들어서는 우리나라의 경우 매해 가뭄이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기후변화의 영향과 심각성은 수자원, 생태계, 산림, 보건, 농업 및 사회기반시설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관측 혹은 전망되고 있는데, 특히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4차 보고서(2007)에서는 미래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 중 가장 취약한 부분으로 기후시스템 변화에 따른 강수패턴의 변화와 이로 인한 가용 수자원의 감소를 선정하였다. 미국, 영국, 일본 등 주요 선진국에서는 기후변화 관련 법적, 제도적 근거를 마련하여 이미 자국들의 기후변화 적응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기후변화에 대비하기 위해 체계적이고 현실적인 적응 전략 도출을 위한 필요 기술을 개발함으로서 농촌용수 뿐만 아니라 수자원 관리 기술 및 시설물의 적응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절실히다. 특히, 소규모 농업용 저수지는 용수공급 능력이 부족한 실정으로 저수지 본연의 용수공급 기능을 상실하거나 농업용수 공급 및 유지관리 측면에서 비효율성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상기후 및 집중호우에 의한 취약성 증대, 홍수조절능력의 부재, 시설의 노후화, 관리인의 고령화에 따른 유지관리의 문제 등 운영 및 관리의 한계점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용 저수지의 이수 대책을 도출하기 위하여, 현재부터 2100년까지 이수안전도 즉, 한발빈도를 예측하였으며 2050년 전후로 나누어 한발빈도 변화를 평가하였다. 이수안전도 분석 방법은 앞서 기술하였듯이 물수지 분석된 시계열 자료로부터 빈도분석을 통하여 한발빈도를 산정하여 현재 대비 미래의 한발빈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13개 저수지에서 모두 현재 설계 한발빈도인 10년 빈도에서 저하되었으며 특히, 금광저수지의 경우, 유효저수량은 약 천2백만톤인데 비하여 미래 이수안전도 곡선상의 10년빈도 필요수량이 미치지 못하며, 2050년 이전에는 3년, 2050년 이후에는 4년의 한발빈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용 저수지의 가뭄 취약성 평가

        권형중 ( Hyungjoong Kwon ),강승묵 ( Seungmook Kang ),김선주 ( Sunjoo Kim ),김필식 ( Philshik Kim ),박현준 ( Hyunjun Park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최근 지구온난화와 엘리뇨 현상 등의 기후변화로 인하여 세계적인 가뭄, 홍수, 한파, 혹서 등의 재해 및 기상이변이 속출하고, 최근 들어서는 우리나라의 경우 매해 가뭄이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특히, 농업 용수는 타 목적별 용수에 비하여 사용량이 연중 고르지 못해 주로 6월부터 9월 중순까지 소요되는 용수이이며, 필요 수량은 기후, 토양, 관개방식, 용수로 시설의 양수, 지하수위 등의 지배를 받으며 시기적, 지역적으로 변동이 많아 정확하게 그 양을 측정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타 용도에 비해 유효우량 비중이 높고, 회귀수량이 반복 이용됨으로써 이용 효율이 높으며 기상, 토양, 작물의 종류, 생육조건, 수원공의 종류 등의 관련 인자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다. 유역의 합리적인 수자원 수요와 공급계획 등을 위해서는 이러한 지역에 대한 용수 수요공급 조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며, 최근까지 연구 조사에서 농업용수 이용 효율은 굉장히 낮은 것으로 나타나는데, 농업용수 이용 효율의 개선을 위해서는 용수수급 특성을 조사 · 분석하고, 이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 홍수 등 기상 재해에 대응하고 한정된 농촌용수를 합리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대상지구에 대한 농업용수 이용 효율성을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기후변화에 의한 농업기상 및 용수에 대한 취약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가뭄에 대한 취약성지표를 5년 단위로 평가한 결과 1980년대 초에는 0.68로 안전 단계에서 2010년대에서는 1.12인 우려 단계로 다소 취약한 단계로 평가되었다.

      • 농업토목공사 특성에 맞는 표준/전문시방서 개정 방안 연구

        김선주 ( Sunjoo Kim ),권형중 ( Hyungjoong Kwon ),박지성 ( Jisung Park ) 한국농공학회 2015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5 No.-

        물 정보의 농어촌정비사업 중 토목공사 시공에 관련된 계약의 적정한 이행 및 공사시방서를 작성할 때 활용할 목적으로 1999년 “농업토목 표준시방서”, 2000년 “농어촌정비공사 전문시방서(토목편)”을 제정/ 활용하고 있다. 설계도면, 공사시방서 등은 계약문서로 손색이 없어야 하나, 현재 국내 설계도면, 공사시방서는 많은 미흡한 점들을 가지고 있으며, 설계도서 작성의 기본이 되는 설계기준도 미흡한 상태에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가표준시방서 중 “콘크리트 표준시방서”는 3차례(2003년, 2004년, 2009년) 개정 되었고, “도로공사표준시방서”는 2차례(2003년, 2009년) 개정되는 등 각종 국가 표준시방서의 내용이 수정·보완 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농업토목 표준시방서(1999년 제정)”와 “농어촌정비공사 전문시방서(2000년 제정)”는 제정된 후 개정 및 보완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농어촌정비사업의 기술발전과 관련된 국가 표준시방서 및 법령의 개정으로 “농업토목 표준시방서” 및 “농어촌정비공사 전문시방서”의 수정·보완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국내외 관련 건설공사 표준시방서 및 전문시방서가 관련 산업의 발전 속도를 반영하고 지속적으로 개정하여 관련분야의 요구를 반영하고 있으나, 농업토목공사 표준시방서 및 농어촌정비사업 전문시방서는 제정된 후 개정되지 않아 이와 같은 관련 산업분야의 발전 속도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가적으로 건설공사 관련 시방서 및 기준을 통일된 체계로 개정하는 작업이 진행 중임. 따라서 이를 반영하여 농업토목공사 표준시방서 및 농어촌정비사업 전문시방서의 개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999년도 개정된 농업토목공사 표준시방서 내용 검토 및 분석하고, 총 17장으로 구성된 농업토목공사 표준시방서의 각 장을 분류하여 개정된 관련 국내·외 시방서 및 규정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2000년도 개정된 농어촌정비 전문시방서의 검토 및 분석하고, 총 16장으로 구성된 농어촌정비공사 전문시방서의 개정된 관련 국내·외 전문시방서 및 규정과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농업토목공사의 특성을 반영하고, 관련된 농어촌 정비 사업을 고려하며, 신기술 및 신공법 등을 반영하여 선진화/표준화를 위한 국가 설계기준 형식 및 규격에 부합되도록 표준 및 전문시방서를 개정하였다.

      • 재이용이 가능한 저수지 증고 및 하천용 가물막이 개발

        김필식 ( Philshik Kim ),권형중 ( Hyungjoong Kwon ),이재혁 ( Jaehyouk Lee ),최범준 ( Bumjun Choi ),박현준 ( Hyunjun Park ) 한국농공학회 2015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5 No.-

        우리나라 연평균 수자원 총량은 1,297억톤이고 이용가능한 수자원량은 58%(753억톤)이며, 이 중 바다로 유실되는 32%(420톤)를 제외하고 연간 26%(333억톤)을 이용하고 있다. 용도별로 보면 생활용수 75억톤, 공업용수 21억톤, 농업용수 159억톤 및 유지용수 78억톤 등으로 사용되며 농업용수가 약 48%로 가장 많은 양이 차지하고 있다. 농업용수는 국내 수자원 소비량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으나, 주기적인 가뭄에 따른 용수 부족이 매년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대한 대책으로 저수지 준설, 둑 높이기, 다단계 양수장 건설 등을 통한 저수량 확보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나 준설 및 둑 높이기시 막대한 사업비와 양수장 조성 공간 부족 등으로 농업용수 확보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수자원 개발 및 친수공간 조성을 목적으로 매년 1,000여건의 하천공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하천공사로 인해 가물막이의 설치 및 해체가 계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하천공사시 가물막이 설치를 위해 중장비의 출입 반드시 필요하나 중장비 출입이 어려운 지역에서는 공사기간 지연 및 경제성 등의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휴대용 차수막의 구조개선을 통해 ① 저수지 증고 및 하천 가물막이에 적합한 설계 및 설치 방법을 개발하고, ② 수압 및 부유물질에 안전하도록 강도를 개선하였으며, ③ 내구성, 경제성, 유지관리성이 개선된 재이용이 가능한 휴대용 차수막을 개발하였다. 휴대용 차수막 개발로 인해 저수지 증고 및 하천 가물막이 뿐만 아니라 방재 및 레크레이션 용도 등 다목적 활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수자원 분야에 다수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