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소아 청소년에서 발생한 치아의 매복 및 외과적 노출술에 의한 매복치의 맹출유도

        남순현(Soon-Hyeun Nam) 대한치과의사협회 2014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52 No.5

        Tooth eruption disturbance is seen commonly in mixed dentition or early permanent dentition. During this period of time, children experience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craniofacial skeleton and dentition, so the impaction and eruption disturbance of permanent teeth make many problems in oral and maxillofacial areas. Eruption guidance of impacted tooth is not simple because many factors related to impaction are considered. Several factors such as etiology, tooth development stage, location of impacted teeth or eruption pathway, patient cooperation, etc. need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deciding the management of the impacted tooth. In the present study, it was assessed the etiology and impaction status of impacted tooth through various cases, and try to explain the treatment method to guide eruption by surgical exposure.

      • KCI등재

        두개골 및 두개봉합부 초기발육과정에서의 전사조절인자인 Msx2와 Dlx5의 역할

        송민호,박미현,남순현,김영진,류현모,김현정,Song, Min-Ho,Park, Mi-Hyun,Nam, Soon-Hyeun,Kim, Young-Jin,Ryoo, Hyun-Mo,Kim, Hyun-Jung 대한소아치과학회 2003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0 No.3

        두개봉합부의 조기융합으로 일컬어지는 craniosynostosis는 두개봉합부에서의 골아세포의 조기분화 및 석회화의 결과로 나타나는 선천성 발육이상이다. 최근 유전학적 연구에 의하면 homeobox gene인 Msx2의 변이에 의해 Boston-type craniosynostosis가 야기되며, 또한 Dlx5 homozygote mutant mouse의 표현형에서 두개골의 골화지연을 포함한 다양한 두개안면부위의 이상을 발견하였다는 보고가 있었다. 게다가 Msx2와 Dlx5 homeodomain protein의 상호작용에 의해 성숙골아세포의 표지자인 osteocalcin의 전사를 조절할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일련의 결과들은 Msx2 Dlx5 및 osteocalcin 유전자들이 두개골의 골화과정과 두개봉합부의 형태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제시해주고 있다. 두개골의 성장과 두개봉합부의 형태발생시 이러한 유전자들의 기능을 알아보기위해 mouse의 태생기 (E15-E18) 동안 osteocalcin, Msx2, 및 Dlx5 유전자들의 발현양상을 조사하였다. Osteocalcin은 E15부터 두정골의 골막에서 관찰되었으며, 발생시기가 후기일수록 강한 발현양상을 나타내었다. Msx2는 시상봉합부의 미분화간엽조직과 osteogenic front에서 강하게 발현되었으며 경막과 hair follicle에서도 관찰되었다. Dlx5는 osteogenic front를 포함한 두정골의 골막에서 강하게 발현되었으나 시상봉합부의 미분화간엽조직 에서는 발현되지 않아, Msx2와는 발현양상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두개골과 두개봉합부의 발육과정에서의 Msx2와 Dlx5의 기능을 좀더 심도깊게 분석하기위해, 여러 가지 signaling molecule들의 protein을 사용하여 in vitro 실험을 시행하였다. BMP-2, -4 protein의 overexpression은 bead 주위로 Msx2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하였으나, 다른 $TGF{\beta}$ superfamily인 $TGF{\beta}1$, GDF-6, -7 bead들 주위로는 Msx2를 관찰할 수 없었다. 또한 FGF, Shh protein 역시 bead주위로 Msx2의 발현을 유도하지않았다. 흥미롭게도 BMP-2, -4 protein의 overexpression은 bead 주위로 Dlx5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하였으나, 다른 $TGF{\beta}$ superfamily, FGF, Shh bead주위로는 Dlx5를 관찰할 수 없어, Msx2와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 결과들을 종합해볼 때, Msx2와 Dlx5 유전자는 두개골과 두개봉합부의 성장발육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BMP signaling은 이 두 전사조절인자들을 조절하므로써 두개골의 골화과정과 두개봉합부의 형태발생 및 유지에 관여하고 있음을 제시해주고 있다. 특히 BMP signaling에 specific downstream gene인 Msx2 및 Dlx5의 발현양상의 차이는 골아세포의 분화시 이들 유전자가 각각의 독특한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Craniosynostosis, known as a premature fusion of cranial sutures, is a developmental disorder characterized by precocious differentiation and mineralization of osteoblasts in the calvarial sutures. Recent genetic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mutation in the homeobox gene Msx2 causes Boston-type human craniosynostosis. Additionally, the phenotype of Dlx5 homozygote mutant mouse presents craniofacial abnormalities including a delayed ossification of calvarial bone. Furthermore transcription of osteocalcin, a mature osteoblast marker, is reciprocally regulated by the homeodomain proteins Msx2 and Dlx5. These facts suggest important roles of osteocalcin, Msx2 and Dlx5 genes in the calvarial bone growth and suture morphogenesis. To elucidate the function of these molecules in the early morphogenesis of mouse cranial sutures, we have first analyzed by in situ hybridization the expression of osteocalcin, Msx2 and Dlx5 genes in the developing parietal bone and sagittal suture of mouse calvaria during the embryonic (E15-E18) stage. Osteocalcin mRNA was found in the periosteum of parietal bones from E15, and gradually more highly expressed with aging. Msx2 mRNA was intensely expressed in the sutural mesenchyme, osteogenic fronts and mildly expressed in the dura mater during the embryonic stage. Dlx5 mRNA was intensely expressed osteogenic fronts and the periostem of parietal bones. To further examine the upstream signaling molecules of transcription factor Msx2 and Dlx5, we have done in vitro experiments in E15.5 mouse calvarial explants. Interestingly, implantation of BMP2-, BMP4-soaked beads onto the osteogenic fronts after 48 hours organ culture induced etopic expressions of Msx2 and Dlx5 genes. On the other hand, overexpression of $TGF{\beta}1$, GDF-6, -7, FGF-2, -4 and Shh did not induce the expression of Msx2 and Dlx5. Taken together. these data indicate that transcription factor Msx2 and Dlx5 play critical roles in the calvarial bone and suture development, and that BMP siganling is involved in the osteogenesis of calvarial bones and the maintenance of cranial sutures through regulating these two transcriotpn factors. Furthermore, different expression patterns between Msx2 and Dlx5 suggest their specific functions in the osteoblast differentiation.

      • KCI등재

        Effect of Presurgical Nasoalveolar Molding in Un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Infants

        김진선,김영진,남순현,김현정,Kim, Jin-Sun,Kim, Young-Jin,Nam, Soon-Hyeun,Kim, Hyun-Jung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2013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0 No.3

        구순구개열은 얼굴에 발생하는 다양한 종류의 기형 중 빈번히 발생하는 기형으로, 발생 빈도는 일반적으로 1000명당 0.28~3.74명으로 알려져 있으나 파열의 종류, 인종 및 성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구순구개열의 치료는 수술영역에서 많은 발전이 있었지만 수술만으로는 문제점을 해결하기는 어렵다. 파열부 간격을 줄이고 구순열 수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술전 신생아 정형술의 개념이 1950년 McNeil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최근에는 술전 비치조 정형장치(presurgical nasoalveolar molding appliance, PNAM)를 사용하여 치조골뿐만 아니라 코의 모양을 정상화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세 명의 환자가 편측성 구순구개열로 진단받은 후 술전비치조정형장치 장착을 위해 의뢰되었다. 레진과 교정용와이어를 이용하여 제작한 K-NAM 장치물을 입술 성형 수술을 시행하기 전까지 장착하였다. 첫 내원시와 nasal molding을 시행하여 입술 성형 수술을 하기 직전, 입술 성형 수술 이후 콧구멍의 높이, 너비, 비주의 각도를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 세 증례에서 모두 코의 대칭성이 증가하며 술 후 심미개선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K-NAM 장치물은 장치의 장착, 유지, 조절이 용이하고 장착한 상태에서 수유가 가능하기 때문에 장착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nasal molding이 가능한 한정된 기간 안에 최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젖병을 빠는 행위가 가능해짐으로써 동시에 구강조직의 발달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Cleft lip and palate, the most common craniofacial anomalies, are severe congenital defects that have an incidence of 0.28 to 3.74 per 1000 live births. Although there has been great improvement in the field of cleft surgery, surgical approach cannot be the single solution to resolve the various problems encountered in patients with cleft lip and palate. The concept of presurgical infant orthopedics (PSIO) for gradual closure of the cleft gap and simplified surgical performance was first introduced by McNeil in 1950. Recently, there are many attempts not only to approximate the alveolar segments but also to reshape the nasal cartilage. Three infants with un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were referred from the department of Plastic Surgery for presurgical nasoalveolar molding (PNAM). Maxillary appliances using resin with orthodontic wire were fabricated. Then these appliance was applied until patients underwent lip surgery. In all cases, the patients could wear the appliance all day since they were able to eat even with the appliance on, This resulted in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nasal symmetry were found. Our appliance, namely K-NAM, extends the wearing time within the limited period and as a result it is expected to maximize the treatment effects. Used properly, this appliance would play a major role in enhancing nasal symmetry with satisfactory results.

      • KCI등재

        I급.II급.III급 부정교합환아에서의 설골의 위치

        송윤주,김현정,남순현,김영진,Song, Yun-Ju,Kim, Hyun-Jung,Nam, Soon-Hyeun,Kim, Young-Jin 대한소아치과학회 1999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6 No.3

        설골은 주위골 조직과는 직접적인 연결이 없이 근육과 인대를 통해 혀, 하악골, 두개골, 쇄골, 견갑골, 갑상연골, 인두 등에 연결된다. 이러한 특이한 해부학적 관계 때문에 설골의 위치는 하악의 위치, 머리의 위치, 기도상태에 따라 변하게 된다. 이에 저자는 설골과 부정교합과의 관계, 기도와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경북대학교 소아치과에 부정교합을 주소로 내원한 환아 64명 (남자 : 39명, 여자 : 25명, I급 부정교합 : 25명, II급 부정교합 : 15명, III급 부정교합 : 24명)의 설골의 위치를 측면 두부방사선 규격사진상에서 계측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I, II급 부정교합환아에 비해 III급 부정교합환아에서 설골은 더 전방에 위치하였고, 설골의 경사도도 더 완만하였다. 2. I, II, III급 부정교합환아에서 설골은 하악골과 척추골사이의 전후방적 위치는 일정하였다. 3. 설골은 하부기도의 전방경계를 이루는 골격구조임을 알 수 있었다. The importance of the hyoid bone lies in its unique anatomic relationships. It has no bony articulations but provides attachment for muscles, ligaments, and fascia of the pharynx, mandible, and cranium. Various studies have documented a variability of hyoid bone position in relation to changed mandibular position or head postu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hyoid bone position and inclination on cephalometric radiographs of three groups of patients exhibiting Class I, II, and III malocclusions.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show a more anterior position of the hyoid bone and also less steep inclination of the hyoid bone. 2. The anteroposterior position of the hyoid bone relative to the cervical vertebra and mandible was very constant. 3. The hyoid bone represented the anterior bony boundary of the pharynx at a lower level than PNS.

      • KCI등재

        두개봉합부의 초기형태발생과정에서 BMP와 그 수용체의 발현 양상

        윤양하,이상원,박미현,류현모,남순현,김영진,김현정,Yune, Yang-Ha,Lee, Sang-Won,Park, Mi-Hyun,Ryoo, Hyun-Mo,Nam, Soon-Hyeun,Kim, Young-Jin,Kim, Hyun-Jung 대한소아치과학회 2002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9 No.3

        Bone morphogenetic proteins(BMPs)는 형태형성 및 세포 분화동안 다양한 조절 역할을 담당하는 신호전달 인자이다. 시상두개봉합부 발생시 BMPs와 그 수용체의 역할을 분석하기 위해, in situ hybridization방법을 이용하여 태생 15일에서 18일 시상두개봉합부에서 그 발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BMP-2와 BMP-3은 태생 15일부터 osteogenic front와 두정골에서 발현을 보였으며 태생 16일부터 모낭에서 발현이 시작되었다. BMP-4는 osteogenic front에서 강하게 발현되었으며, 간엽조직 및 두정골에서 약하게 발현되었다. BMP-5는 모낭에서 발현되었다. 이전 연구에서 BMP-6는 비후된 연골세포에서 발현된다고 보고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발현되지 않았다. BMP-7은 태생기에 두정골에서 발현되었다. BMPR-IB는 osteogenic front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발현되었으나, BMPR-IA는 발현되지 않았다. 이런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두개봉합부 초기 형태발생시 BMP-4는 미분화 간엽세포로부터 골아세포로 commit되는 초기단계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BMP-2와 BMP-3는 전구 골아세포에서 골아세포로의 분화과정에, BMP-7은 좀 더 분화가 진행된 골아세포 및 골의 분화 유지에 중요하며, type I 수용체 중 BMPR-IB가 BMP들의 신호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예측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BMP 신호전달은 다양한 BMP 리간드들과 그 수용체들에 의해 골아세포 분화 전반에 걸쳐 관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Bone morphogenetic proteins(BMPs) are secretory signal molecules which have a variety of regulatory functions during morphogenesis and cell differentiation. To evaluate roles of BMPs and their receptors on mouse sagittal suture development, we have examined their expression patterns in serial sections of sagittal sutures by in situ hybridization during embryonic stages(E15-E18). BMP-2 and BMP-3 were expressed in the osteogenic front and parietal bone on embryonic 15day, from E16 in hair follicle. BMP-4 was strongly expressed in the osteogenic front and weakly expressed in the mesenchyme and parietal bone. BMP-S was expressed in the hair follicles. BMP-6 was not expressed in this study. BMP-7 was expressed in parietal bone during embryonic stage. BMPR-IB was expressed in the osteogenic front, but BMPR-IA was not. From these datas, we suggest that the BMP-4 regulates the early commitment of mesenchymal cells to the osteogenic lineages, the BMP-2 and BMP-3 may be involved in regulating the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 precursor cells. BMP-7 was involved in maintenance of differentiated osteoblasts. BMPs were key signaling molecules that regulate early calvarial bone morphogenesis, mediated by BMPR-IB.

      • KCI등재

        매복된 상악 견치의 자가치아이식을 통한 치험례

        김태완,김현정,김영진,남순현,Kim, Tae-Wan,Kim, Hyun-Jung,Kim, Young-Jin,Nam, Soon-Hyeun 대한소아치과학회 2003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0 No.2

        매복치의 적절한 맹출 유도를 위해서는 유치의 상태, 치조골과 치아와의 상관관계, 환자의 치령, 치료에 대한 환자의 협조도 및 경제적 상태의 고려 등 많은 요소에 좌우되는 복잡한 치료계획이 필요하다. 만약 맹출장애의 원인이 발견되었다면, 맹출 유도를 위해서는 원인의 제거와 다양한 술식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치아이식법은 매복된 치아의 위치가 외과적인 노출과 후 교정적인 견인이 어려운 곳에 존재하는 경우, 발치에 앞서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다. 본 증례는 매복 상악 견치의 자가이식을 시행한 3증례를 보고한 것으로, 자가이식 치료 후 관찰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공여 치아 제거시 가해지는 외상이 최소가 되게 하여야 한다. 치근단이 완성된 치아를 이식할 경우에는 치수괴사의 가능성이 높으므로 치수치료를 고려하여야 한다. 복잡한 매복증례에서 교정치료시 소요되는 경비 및 시간을 고려하여 치아이식을 시행할 수도 있다. 수용부의 치조와는 공여 치아의 치근보다 약간 커야 하며, 공여치아의 치근 크기와 치조골의 순설측 폭경에 따라 open 또는 closed procedure로 형성할 수 있다. The appropriate treatment for eruption guide of impacted teeth necessitates the formulation of a comprehensive treatment plan, which is dependent upon a number of factors such as the condition of the deciduous teeth, dental and skeletal relationship, dental age of the patient, willingness of the patient to undergo extensive dental treatment and financial considerations. If the etiology of the eruption disturbance has been identified, the elimination of the causes and various procedures can be used for eruption guide. Particularly the transplantation is a valuable alternative to extraction of impacted teeth, where surgical exposure and subsequent orthodontic realignment are difficult or impossible. This report present three cases of autotransplantation of impacted maxillary canine. As the result in these cases, atraumatic removal of donor tooth during operation is prerequisite to an optimal clinical result. Due to a high possibility of pulp necrosis, endodontic treatment of fully developed transplanted teeth should be undertaken. In complex case, autotransplantation can save time and less expensive than orthodontic forced eruption. Recipient socket should be prepared to a size that is slightly larger than the root of the donor tooth, and can be prepared with open or close procedure depends on root size of donor tooth and buccolingual width at transplantion site.

      • KCI등재

        두개골 봉합부의 초기 형태발생과정에서 Msx 유전자들의 발현양상

        이상엽,박미현,유현모,남순현,김영진,김현정,Lee, Sang-Youp,Park, Mi-Hyun,Ryoo, Hyun-Mo,Nam, Soon-Hyeun,Kim, Young-Jin,Kim, Hyun-Jung 대한소아치과학회 2003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0 No.1

        두개골의 성장은 뇌의 발달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두개봉합부 주위 여러 조직들사이의 조화로운 상호작용을 필요로 한다. 두개골의 조기융합으로 알려진 craniosynostosis는 이러한 상호작용의 불균형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으며, craniosynostosis의 원인 유전자의 하나로 Msx2가 알려져 있다. Msx1, Msx2, Msx3로 구성되어 있는 Msx 유전자는 homeobox를 포함하고 있는 전사조절인자로, 초파리의 muscle segment homeobox 유전자의 homologue이다. Msx1과 Msx2 유전자들은 척추동물의 발생과정에서 조직 상호작용하는 여러 부위에 서로 겹치는 양상으로 발현되며 기관형성동안 상피-간엽조직 상호작용과 연관되어 나타나고, BMP와 FGF signaling의 표적 유전자들이다. Mouse 두개골의 시상봉합부와 관상봉합부의 초기 형태발생과정에서의 Msx 유전자들의 기능을 알아보기위해, 태생 15일에서 태생 18일까지의 mouse의 두개골을 이용하여 in vivo 실험을, 태생 15.5일 mouse 두개골을 이용하여 in vitro 실험을 시행하였다. 시상두개봉합부에서는, Msx1은 봉합부의 간엽조직과 dura mater에 발현하였으며 Msx2는 두개봉합부와 dura mater에 강하게 발현되었다. 관상두개봉합부에서는 Msx1, Msx2 유전자 모두 강하게 발현되었으며, 골막에서도 관찰할 수 있었고, Msx1이 Msx2보다 좀더 광범위하게 발현되었다. In vitro 실험결과, BMP2 bead 주위로 Msx1 mRNA와 Msx2 mRNA 모두 발현되었으나, FGF2 bead 주위로는 Msx1만 발현되고 Msx2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Msx1, Msx2 유전자들은 태생기 두개봉합부의 형태발생 및 유지를 조절하는데 중요하며, Msx 유전자들은 거의 유사한 발현양상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들 유전자들을 조절하는 상위 siganling에 의해 서로 보완적으로 혹은 독립적으로 기능을 나타내고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The development of calvarial bones is tighly co-ordinated with the growth of the brain and needs of harmonious interactions between different tissues within the calvarial sutures. Premature fusion of cranial sutures, known as craniosynostosis, presumably involves disturbance of these interactions. Mutations in the homeobox-containg gene Msx2 cause human craniosynostosis syndrome. Msx genes, which are consist of Msx1, Msx2 and Msx3, are homeobox-containg transcripton factors, and were originally identified as homologue of Drosophila msh(muscle segment homeobox) gene. Msx1 and Msx2 genes, expressed mostly in overlapping patterns at multiple site of tissue interactions during vertebrate development, are associated with epithelial-mesenchymal interactions during organogenesis, targets of BMP and FGF signaling. To elucidate the function of Msx genes in the early morphogenesis of mouse cranial suture, we analyzed the expression of them by in situ hybridization during embryonic(E15-E18) stage, and did vivo experiments in E15.5 mouse using rhBMP-2, rhFGF-2 protein soaked bead. In the sagittal suture, Msx1 was expressed in the mesenchyme of suture and the dura mater, Msx2 was intensely expressed in the sutural mesenchyme and the dura mater. In the coronal suture both of Msx genes were expressed intensely in the sutural mesenchyme and expressed in the periosteum also. Msx1 had a broader expression pattern than Msx2. BMP2 beads induced expression of both Msx1 and Msx2, FGF2 beads induced expression of Msx1, but not Msx2. Taken together, these data suggest that Msx1 and Msx2 genes have important role in regulating the morphogenesis and maintenance of embryonic cranial suture. Both of Msx genes are expressed similarly but because of their upstream signaling, they function dependently or cooperatively according to change of signaling molecule.

      • KCI등재

        Bone Morphogenetic Protein 2 가 두개골 성장 및 두개봉합부의 초기형태발생에 미치는 영향

        정혜경,박미현,유현모,남순현,김영진,김현정,Jung, Hae-Kyung,Park, Mi-Hyun,Ryoo, Hyun-Mo,Nam, Soon-Hyeun,Kim, Young-Jin,Kim, Hyun-Jung 대한소아치과학회 2003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0 No.2

        뇌와 두개골의 조화로운 성장 발육은 성장 중인 두개골과 이 뼈들을 연결하는 두개봉합부들 그리고 발육중인 뇌사이의 일련의 상호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두개봉합부의 조기융합으로 알려진 craniosynostosis는 이러한 상호균형적인 관계가 파괴될 때 야기될 수 있다. Bone morphogenetic protein의 하나인 Bmp2는 골 각각의 형태와 골격의 상대적인 비례성을 조절하는데 관여하고 있으며, Bmp의 하부 유전자로 알려져 있는 Msx2 homeobox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Boston-type craniosynostosis를 야기한다 이와 함께 Dlx5 homozygote mutant mouse의 표현형은 두개골 골화의 지연을 포함한 다양한 두개안면의 이상을 나타낸다. 이러한 사실들은 Bmp2, Msx2, Dlx5 유전자들이 두개봉합부의 형태발생과정에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Mouse 두개봉합부의 초기형태발생과정에 위 유전자들의 기능을 알아보기 위해, 태생기 동안의 시상봉합부에서의 Bmp2, Msx2, Dlx5 유전자들의 발현양상을 in situ hybridization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Bmp2 mRNA는 osteogenic front에서 강하게 발현되었으며, parietal bone의 골막에서도 관찰되었다. Msx2 mRNA는 시상봉합부의 미분화 간엽조직에서 강하게 발현되었으며, osteogenie front 및 dura mater에서도 관찰되었다. Dlx5 mRNA는 osteogenic front와 parietal bone에서 강하게 발현되었다. 두개봉합부에서의 Bmp signaling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해 태생 15.5일 mouse의 두개골을 이용하여 in vitro 실험을 시행하였다. Bmp2-soaked beads를 osteogenic fronts에 올려놓고 48시간 기관배양한 결과 BSA 대조군에 비해 Bmp2 beads 주위 조직의 두께와 세포수가 증가하였으며 Msx2와 Dlx5 유전자들의 발현을 유도하였다. 그러나 FGF2 beads주위로는 이들 유전자들의 발현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Bmp2 유전자는 두개골 성장과 두개봉합부의 초기 형태발생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Bmp signaling은 Msx2, Dlx5 유전자들을 조절함으로써 두개골의 골화와 두개봉합부의 유지에 관여하고 있음을 제시해 주고 있다. Co-ordinate growth of the brain and skull is achieved through a series of tissue interactions between the developing brain, the growing bones of the skull and the sutures that unite the bones. Craniosynostosis, the premature fusion of cranial sutures, presumably involves disturbance of these interactions. Bmp2, one of bone morphogenetic proteins (Bmps), is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the shapes of individual bones and the relative proportions of the skeleton. Mutations in the homeobox gene Msx2, known as a downstream gene of Bmp, cause Boston-type human craniosynostosis. The phenotype of Dlx5 homozygote mutant mouse presents craniofacial abnormalities including a delayed ossification of calvarial bone. These facts suggest important roles of Bmp2, Msx2 and Dlx5 genes in the cranial bone growth and suture morphogenesis. To elucidate the function of these molecules in the early morphogenesis of mouse cranial sutures, we first analyzed by in situ hybridization the expression of Bmp2(E15-18), Msx2 and Dlx5 genes in the developing sagittal suture of calvaria during the embryonic stage. Bmp2 mRNA was intensely expressed in the osteogenic fronts and also at the low level in the periosteum of parietal bones during embryonic stage, Msx2 mRNA was intensely expressed in the sutural mesenchyme and mildly expressed in the dura mater during the embryonic stage. Dlx5 mRNA was intensely expressed osteogenic fronts and parietal bones. To further examine the role of Bmp signaling in cranial suture, we did in vitro experiments in E15.5 mouse calvarial explants. Interestingly, implantation of Bmp2-soaked beads onto the osteogenic fronts after 48 hours organ culture resulted in the increase of the tissue thickness and cell number around Bmp2 beads, compared to BSA control beads. In addition Bmp2 induced etopic expressions of Msx2 and Dlx5 genes. On the other hand, overexpression of FGF2 did not induce the expression of Msx2 and Dlx5. Taken together, these data indicate that Bmp2 signaling molecule has a important role in regulating the cranial bone growth and early morphogenesis of cranial suture. We also suggest that Bmp signaling is involved in all the stages of osteogenesis of cranial bones and the maintenance of cranial suture by regulating Msx2 and Dlx5 genes, and that Msx2 and Dlx5 genes are specific transcription factors of Bmp signaling pathway.

      • KCI등재

        만기 잔존된 제 2 유구치 발거에 의한 제 2 소구치의 자발적 맹출 유도

        이근혜,남동우,김현정,김영진,남순현,Lee, Keun-Hye,Nam, Dong-Woo,Kim, Hyun-Jung,Kim, Young-Jin,Nam, Soon-Hyeun 대한소아치과학회 2003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0 No.3

        매복은 임상적 또는 방사선학적으로 인식할 만한 맹출로의 장애물이나 잘못된 치배의 위치로 인하여 치아의 맹출에 진전이 없는 것을 말한다. 제 3 대구치와 상악 견치를 제외하고 제 2 소구치에서 가장 흔히 매복이 발생하며, 소구치의 매복은 전체 매복의 0.5%를 차지한다. 소구치 매복의 치료에는 교정적 견인과 외과적 재위치가 필요할 수도 있지만, 만기 잔존된 유구치에 의해 발생한 소구치 매복은 유구치의 발거 및 공간 유지로서 소구치의 맹출을 유도할 수 있다. 본 증례는 제 2 소구치의 미맹출을 주소로 경북대학교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환아에서 만기 잔존된 제 2 유구치를 발거하고 공간 유지를 하여 제 2 소구치의 자발적 맹출을 시도하였는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만기 잔존된 제 2 유구치와 연관된 매복된 제 2 소구치는 유치 발거를 통한 최소한의 치료로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2. 제 2 소구치가 맹출할 때까지 적절한 공간 유지와 정기적인 방사선 검사가 필요하다. 3. 교정적 견인 또는 외과적 재위치를 시도하기 전 치아의 이동을 확인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이 허용되어야 한다. 4. 치근이 미완성된 치아에서 좀 더 성공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Impaction is defined as the cessation of the eruption of the tooth caused by a clinically or radiographically detectable physical barrier in the eruption path or by the ectopic position of tooth germ. Besides the third molars and the maxillary canines, the most common impacted tooth is the second premolar. The overall frequency of premolar impaction has been reported to be 0.5%. In some cases, orthodontic traction and surgical repositioning may be indicated. When impacted second premolar is involved with prolonged retained second primary molar, extraction of primary molar and space maintenance lead to eruption of second premolar. In these cases, all patients visited t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or the chief complaint of unerupted second premolar. Extraction of prolonged retained second primary molar and space management are tried for spontaneous eruption of impacted second premolar toot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When impacted second premolar is involved with prolonged retained second primary molar, minimal treatment via elimination of primary molar leads to successful results. 2. Proper space management and periodic radiographic examination are required before eruption of second premolar. 3. Sufficient time must be allowed for confirm of tooth movement before orthodontic traction or surgical repositioning. 4. The result is more successful in incomplete root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