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학 성취도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급별 특성 비교 분석

        남궁지영(Jiyoung Namkung),김위정(Wuijeong K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14 교육평가연구 Vol.27 No.1

        이 연구는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연구」에서 수집한 초ㆍ중ㆍ고 1-3주기 자료를 활용하여, 학교급별로 수학 성취도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특성이 어떻게 다른지를 비교ㆍ분석하였다. 1-3주기 자료를 유사종단자료로 구성하여 3수준 다층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고정효과 모형 분석을 통하여 학교과정 변인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초ㆍ중ㆍ고 모두 수학 성취도 분산의 대부분을 학생간 분산이 차지하였지만,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학교수준 분산이 증가하였다. 둘째, 모든 학교급에서 학교평균 SES와 지역규모의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그 효과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과정 변인으로는 초등학교의 경우 교사 성취압력과 교사 자율성이, 중학교에서는 교사열의가, 고등학교에서의 교사 성취압력과 열의가 성취도 향상에 긍정적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정책과 관련해서는 평가결과활용이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유의한 긍정적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학교배경의 효과가 커지며, 모든 학교급에서 교사 변인이 중요하되, 효과가 발휘되는 방식에서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paper examines how school characteristics affecting students' math achievement differ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using 1st-3rd cycles of「Analysis on the Actual Status and Quality of School education」data. 3 level multi-layer model of student-time-school and panel fixed-effects model are performed. Results of analysis show that school level variance tend to increase as school level goes up while most of math achievement variance are attributed to between-students variance in all school levels. Second, school mean SES and area size have significant effect in all school levels and the effect tend to increase as school level goes up. Third, teachers' achievement pressure and autonomy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enthusiasm in middle school, teachers' achievement pressure and enthusiasm in high school have positive effect on math achievement among school process variables. Fourth, application of evaluation results have positive effect in middle and high school related with school polic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effects of school background increase as school level goes up and teacher variables are important in all school levels while the way teacher variables affect students' achievement differs depending on school levels.

      • KCI등재

        자율형 공ㆍ사립 고등학교의 성과 분석

        김위정(Wuijeong Kim),남궁지영(Jiyoung Namku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14 교육평가연구 Vol.27 No.2

        본 연구에서는「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연구」의 고등학교 3, 4주기 자료를 이용하여 학력향상과 만족도 제고 측면에서 자율형 공ㆍ사립고등학교의 성과를 분석하였다. 다층분석 결과, 국어와 수학 성취도 모두 자사고 전환학교들이 전환이후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공고 전환학교도 국어 성취도에 있어서는 전환이후 향상되어 일반고 수준을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사고와 자공고 모두 학생배경과 학생과정을 통제하면 일반고와의 차이가 감소하여, 선발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학교 과정 변수로는 교사 열의와 수업분위기, 평가정보활용 등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사고의 경우에는 학생배경 및 과정, 학교 배경 및 과정을 통제하여도 여전히 일반고와 큰 차이를 보여 이 연구에서 밝히지 못한 학교 효과가 남아있음을 시사한다. 학교만족도에 대한 다층분석 결과, 자사고 전환학교의 만족도가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고, 자공고는 약간 상승, 일반고는 약간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공고는 학생배경, 자사고는 학생배경과 학생과정(성취도, 학교관계만족도, 학업만족도)을 통제하면 일반고와 유의한 차이가 사라져, 학생특성의 변화와 교사ㆍ교우와의 관계, 학교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결정적인 차이를 낳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ses the outcomes of autonomous public and private high schools in term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satisfaction by using 'Actual status and qualities of school education in Korea' data. The results of multi-level analysis show that both Korean and math scores of students in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 have improved dramatically. In case of autonomous public high school, Korean scores of students have improved to the similar level of general high schools. However, difference between general high school and both autonomous high schools decreases after controlling students backgrounds and students process variables, which suggests that there exists significant selection effect. For school-level process variables, teachers' enthusiasm, class atmosphere, use of evaluation information have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performance. However, school effects that this study fail to reveal still remains in case of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s. The results of multi-level analysis on school satisfaction show that students satisfaction in private autonomous school has risen most sharply. It also shows a little rise in public autonomous schools and a little drop in general high schools. The significant difference disappear after controlling students background in case of autonomous public high schools and students backgrounds and process variables in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s, which suggests that the change of students characteristics, satisfaction on teachers-students relationship and school education have critical effects.

      • KCI등재

        대학생의 시민의식 수준 및 영향 요인 분석

        박희진(Park, Heejin),남궁지영(Namkung, Ji Young) 한국교육정치학회 2018 敎育政治學硏究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university students level of citizenship and influencing factors. We suggest citizenship comprises four sub-factors namely tolerance, participation, ethics, volunteerism citizenship based on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Data from the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2005(KELS 2005) is analyze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university students’citizenship and influencing factors. The result shows that the level of citizenship of university students is higher than that of the comparison groups. It also reveals that the influencing factors of university students’ citizenship are emotional support from parents, GPA,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hours of reading time in highschool, students’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and their sense of belonging, etc.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is suggested based on the discussion of the result.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종단연구2005 코호트를 활용하여 대학생의 시민의식 수준을 동일 연령대 대학생이 아닌 집단과의 비교를 통해 알아보았으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시민의식의 하위요인은 선행연구를 토대로 관용의식, 사회참여의 식, 봉사의식, 윤리의식으로 조작적으로 규정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대학생의 시 민의식 수준은 같은 연령대의 취업자나 구직자에 비해 높고, 취업을 병행하는 경우보 다 전일제 대학생의 시민의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대학생의 시민의식 수준은 배경특성인 부모의 정서적 지원과 학생 성적, 중·고교 시기의 교우 관계 및 독서활동 시간, 대학 입학 이후의 경험 특성인 대학 소속감, 대학생활 적응, 심화교양과목 수강 정도, 정치참여경험의 다양성, 자원봉사경험 여부 등과 정적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논의하고, 후속 연구 와 분석 방향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중학생의 ‘미래 핵심역량’ 영향 요인 분석

        박희진(Park, Heejin),남궁지영(Namkung, Ji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8

        본 연구의 목적은 OECD의 ‘미래 핵심역량 ’프로젝트인 DeSeCo의 모형을 차용하여 개발된 미래핵심역량 진단검사지를 통해 수집된『학교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연구』의 2013년(4주기) 중학교 3학년 데이터(213개교, 13,246명)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중학생의 ‘미래 핵심역량’ 관련 가정, 학생, 학교특성 요인을 탐색하는데 있다. 본 미래핵심역량 진단검사지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는‘창의역량,’‘자기주도역량,’ ‘사회역량’ 으로 구성되며, 분석을 위하여 학생-학교의 2수준 다층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가정 특성 요인을 살펴본 결과, 부모-자녀 관계는 모든 하위 영역과 유의미한 관련을 보였고 문화향유정도는 창의 및 자기주도역량과 관련을 보였다. 둘째, 학생 특성 요인을 살펴본 결과, 자아존중감, 진로성숙도, 학습전략, 학습끈기, 수업태도가‘미래 핵심역량’의 모든 하위 영역과 정적인 관련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학교 특성 요인과 ‘미래 핵심역량’ 간 관계는 다음과 같다. 수업분위기는 ‘미래 핵심역량’의 모든 하위 영역과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서울지역 학생의 창의역량 및 사회역량이 다른 지역의 학생들 보다 높고, 학교 내 기초학력미달학생의 비율이 낮을수록 창의역량 및 자기주도역량이, 교사의 성취압력이 높을수록 사회역량이 높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미래 핵심 역량 제고를 위하여, 교사-학생 간, 교우 간 관계 개선 및 학교 수업분위기 개선, 학생들의 자아존중감 및 진로성숙도 향상과 부모-자녀 간 관계 증진, 독서 및 체육활동 경험 기회 확대 등을 위한 노력과 지원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factors related to middle school students’ ‘key competencies.’ A theoretical framework is adopted from the OECD’s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DeSeCo) Project. The DeSeCo Project suggests three major components of the key competencies and those concepts are renamed as social competencies, creative competencies, and self-autonomy to be operationalized and surveyed within the framework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KLSPSS). Student-school two level Hierarchical Linear Model(HLM)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fourth round of middle school survey of the KLSPSS. In total, 213 middle schools and 13,246 9th graders were selected across the country. First, the findings suggest that parent-children relationship has positive relationships with all of the three sub-categories of key competencies and cultural experiences with creative and self-autonomy competencies. Second, among the students’ factors, students’ self-esteem, career maturity levels, strategy and perseverance in learning, and classroom attitude hav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all of the key competencies. Third, class atmosphere has positive relationships with every sub-category of key competencies. In addition, students in Seoul show higher creative and social competencies than those in other regions, and students in schools with less underachievers and stronger accomplishment-oriented pressure show higher social competencies. The analyses suggest that education policies that improve students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teachers, and themselves(self-esteem), students’ attitude in classroom, classroom atmosphere, and students’career maturity levels and that increase students’ readings and physical education can improve students’ key competen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