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직변화를 위한 대화의 특성에 대한 연구: 긍정탐구(Appreciative Inquiry)를 중심으로

        남궁은정 ( Eun Jeong Namgung ),장영철 ( Young Chul Chang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4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2 No.1

        본 연구에서는 조직변화를 이루는 과정에서 대화가 중요하다는 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최근 조직변화 관리 기법으로 부상하고 있는 긍정탐구를 기본틀로 설정하여 긍정탐구에서 대화적 특성이 어떻게 드러나는지 살펴보았다. 긍정탐구는 기존의 조직에 대한 시각에서 벗어나, 조직을 문제가 아니라 해결책이라는 긍정적인 시각을 제시했다. 또한 조직을 사회적 구성물의 하나로 보면서, 조직 구성원의 상호작용이나 상징화 등 담론 활동에 따라서 조직의 현실이 달라질 수 있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하지만 그동안 긍정탐구에서 긍정성이 크게 부각된 반면 사회 구성의 측면은 다뤄지지 못한 경향이 있다. 이 연구는 대화의 관점에서 긍정탐구를 살펴보면서, 긍정탐구가 조직변화를 가능하게 했던 조건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긍정탐구에 대한 관점을 확장하고, 이것이 실행의 측면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 논하였다. Dialogue plays an important role in creating the conditions for organizational changes. Based on the previous works on dialogue, this study focuses on the dialogue associated with change process. To deal with it, this study employed Appreciative Inquiry(AI) as a mean of managing collective dialogue. In AI, organization is a solution itself, not a problem to be solved. Also it holds that discursive behaviors including interactions and symbolizations of organization members can create and change the reality of an organization. A body of previous researches on AI, however, have more focused on positivity and less on aspects of social construction. This study explores that how AI can lead remarkable changes in a lot of organizations. In this study, the meaning of dialogue in AI is discussed and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are given.

      • KCI등재

        한국 신문 속 명명하기의 수사학

        남궁은정(Eun-Jeong Namgung),신성진(Seong-Gene Shin),이인희(In-Hee Lee) 한국언론정보학회 2008 한국언론정보학보 Vol.43 No.3

        신문에서는 사회의 커다란 갈등이 생겼을 시 ‘국론 분열’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하지만 이 말은 매체 속에서 사회적으로 특정한 의미를 구성하고 있는 사회맥락적인 언어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 사회에서 ‘국론 분열’이라는 표현이 함축하고 있는 의미는 무엇이며 이것이 우리 사회에서 맡고 있는 역할은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특히 이 단어가 특정한 상황을 명명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특히 사회 내의 최고 위계를 갖는 사회적 단어인 승부수 언어라는 점에서 ‘국론 분열’의 쓰임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세계, 중앙, 문화, 동아, 서울, 국민, 한국, 경향, 조선, 한겨레 등 총 10개의 주요 일간지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각 신문에서 나타나는 ‘국론 분열’이라는 단어의 텍스트적 의미를 밝히기 위해 은유와 등치된 단어들의 빈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사회적 맥락 속에서 구성되는 의미를 알아보기 위해 각 신문에서 지칭한 ‘국론 분열’적 사건과 ‘국론 분열’의 주체를 찾아 빈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론 분열’은 병, 재앙, 비용의 은유로 주로 표현되고 있었으며, 이에 대한 태도나 제시하는 대처행동은 부정적이면서 수동적이었다. 둘째 ‘국론 분열’은 국정, 국가적 손실, 사회문제, 이념 등과 같은 단어들과 같은 위계를 가지고 있었다. 섯째 ‘국론 분열’적 사건과 ‘국론 분열’의 주체는 각 신문사마다 각기 다르게 지칭되어 신문사에 따라 승부수 언어를 다르게 의미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승부수 언어는 참여자들과 기존 행위자간의 권력 불균형을 만들고 일부 개인이나 집단을 배제시킨다는 점에서 수사적 힘을 갖게 된다는 논의 또한 이뤄졌다. This study examined how the meaning of news stories covering the split of national opinion was constructed in the media to represent social conflicts. To clarify the function of the term 'split of national opinion' as an ultimate term, this study examined the meaning of the term in the context of both text and society. Ten newspapers were included in the content analysis. The frequency of words used for the purpose of metaphor and equivalent in describing the split of national opinion was calculated to determine their meaning in the textual context. The frequency of incidents and subjects involved in allegedly causing the split of national opinion was calculated to determine their meaning in the social contex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erm 'split of national opinion' was coined by the newspapers as a metaphor of disease, disaster, and cost. The attitudes or the ways in which the split of national opinion was dealt with were generally negative and passive. Second, the term 'split of national opinion' was dealt with an equivalent status of such terms as national policy, national loss, societal problems, and ideology. Third, each newspaper reported that the split of national opinion had been caused by certain subjects, which indicates that each newspaper had its own position of viewing who was the key player in splitting the national opinion. The implication was also discussed that the use of the ultimate term would incur the unbalance of power between participants and the existing players, which would make individuals or groups who were involved in the social actions excluded and make the newspapers exercise the rhetorical power as news media.

      • KCI등재

        Now and Future of Data Sharing

        Eun Namgung(남궁은),Seunghee Kim(김승희),Jaeuk Hwang(황재욱)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19 생물치료정신의학 Vol.25 No.1

        지난 10년간, 인간 신경과학의 재현성과 투명성의 가치를 감안하여 뇌 자기공명영상(MRI) 데이터 공유 관행이 증대하고 있다. 인간 신경과학의 큰 변동성과 높은 위양성 비율을 고려했을 때, 보다 견고한 연구 결과를 위해서는 더욱 방대한 다차원 데이터베이스가 필요하다. 현재, 여러 조건과 다중양식을 활용한 수백여 개의 뇌영상 연구들에 걸친 수만 개의 뇌 자기공명영상 데이터세트가 뇌 자기공명영상 데이터 저장소를 통해 공유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뇌 자기공명영상 공유의 목적, 절차 및 현재 상태를 검토할 것이다. 비판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다. 본 종설은 주로 구조적 및 기능적 뇌 자기공명영상 공공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프로젝트와 과학적 발견에 중점을 두었으며, 이는 구조적 뇌영상의 경우 T1 및 확산 강조 영상으로, 기능적 뇌영상의 경우 휴지상태 및 과제기반 기능적 뇌영상으로 세분화될 것이다. 뇌자기공명영상 공유의 도전과제와 미래적 지향점은 마지막으로 논의된다. 뇌 자기공명영상 공유의 진보는 효과적인 종적 및 다방향 뇌영상 연구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인간 신경과학의 더욱 빠른 진전으로 이어지리라 기대되는 바이다. Over the past decade, practice of sharing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data is increasing given significance of reproducibility and transparency in human neuroscience. Larger multimodal brain MRI databases are needed for more robust research findings considering potential possibilities of large variability in human neuroscience. There are currently more than tens of thousands of shared brain MRI datasets across multiple conditions and hundreds of neuroimaging studies using multimodality through shared brain MRI data repositories. This article critically reviews aims, procedures, and current state of brain MRI data sharing. This review focuses on projects and research findings using structural and functional MRI open databases and is further divided into T1- and diffusion-weighted images for structural MRI as well as resting-state and task-based functional MRI. The challenges and directions are finally discussed. Advances in brain MRI data sharing will lead to more rapid progression in human neuroscience by fostering effective longitudinal, multi-site, multimodal neuroimaging research.

      • KCI등재

        중소기업 직장 여성의 갈등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남궁은정(Eun-Jeong NamGung),신성진(Seong-Gene Shin),허경호(Gyeong-Ho Hur) 한국언론정보학회 2008 한국언론정보학보 Vol.41 No.1

        직장 생활을 하는 여성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직장 여성들에 대한 담론은 부족한 편이며, 성과 중심이나 불평등과 같은 편중된 시각이 대부분이다. 여성들의 갈등 경험은 직장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호 작용의 다양한 측면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여성들이 처해있는 직장 생활의 현실을 여실히 보여줄 수 있는 좋은 사례이다. 또한 이 연구는 갈등 연구에 적합한 연구 방법의 하나로 현상학적 연구를 제안하고 있다. 기존의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한 갈등 연구들이 갈등대처 유형과 같은 변인을 밝히는데 치중하였다는 한계를 가지기 때문이다. 갈등은 무엇보다 맥락에 상당 부분 의존하며, 역동적인 상호 작용 속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구체적이며 총체적인 해석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에서는 여성들이 직장 내에서 겪고 있는 갈등 경험을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연구하였다. 그 결과, 다음의 여덟 가지 주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 번째 주제는 ‘불합리한 상황’, 두 번째 주제는 ‘위계적 질서’이다. 세 번째 주제는 ‘갈등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이며, 네 번째 주제는 ‘여자와 남자의 차이 인식’, 다섯 번째 주제는 ‘관계의 문제를 중시함’으로 나타났다. 여섯 번째 주제는 ‘소극적 대처 행동’이며, 일곱 번째 주제는 ‘공격적인 대응’, 마지막 여덟 번째 주제는 ‘적극적으로 갈등에 대처’였다. 아울러 이 같은 결과가 갖는 함의와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case of women's conflict experience In small and medium size enterprises. Although the number of women working in business organizations is rapidly growing in Korea, discourse about them is still scarce. Some discourse about them focuses only on the productivity and inequality aspects within the organizations. Therefore, we need to examine their organizational lives through a more dynamic and performance based perspective. Especially, because conflicts experience by women within business organizations involve a variety of organizational interactions, they reveal the vivid reality with which working women face today. The existing conflict research studies focused on communication or interpersonal relationship are limited by the fact that they have primarily dealt with the variables such as conflict management styles. However, conflict research needs a more specific and wholistic interpretation because conflicts usually depend on their contexts and interaction dynamics. Therefore, the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was employed as a more appropriate method for the current conflict study. Results shows that the two themes were identified regarding the conflict content. The first and second themes were the unfair situations and the hierarchical rank respectively. The three themes were identified regarding the attitudes about conflicts. They were the passive stance coward conflicts, the recognition of the gender difference, and the acknowledgement of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al aspect respectively. Finally, three more themes were identified regarding the conflict management styles. The first, second and third themes were the passive responding, the aggressive responding and the positive conflict management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made.

      • KCI등재
      • KCI등재

        논쟁성향, 언어적 공격성, 커뮤니케이션 불안감이 갈등관리 방식에 미치는 영향

        남궁은정(Eunjeong Namgung),김은정(Eun Jung Kim),김인영(In-Yun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5

        본 연구에서는 논쟁성향과 언어적 공격성,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불안감 등 커뮤니케이션 관련 변인들이 갈등관리 방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총 404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논쟁 성향이 높은 사람일수록 갈등상황에서 통합, 경쟁, 타협 방식을 사용하며, 회피나 양보방식은 사용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로 언어적 공격성이 높은 사람일수록 경쟁 방식을 사용하며, 회피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커뮤니케이션 불안감이 높으면 회피나 양보 방식을 사용하게 되며, 통합이나 경쟁은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에 대한 논의 및 함의 또한 다루었다. This article examine the way in which communication-related variables such as argumentativeness, verbal aggressiveness, and communication anxiety have an effect on conflict management. Four hundred and four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rgumentativeness had positive effects on integrating, dominating, and compromising style, while negatively on obliging and avoiding style. Second verbal aggressiveness resulted in more of dominating style and less of avoidance. Third communication anxiety had positive effects on avoidance and obliging style and had negative effects on integrating and dominating style. These findings are coupled with further discussion and implication.

      • People Interview - 이준식 공과대학혁신위원회 위원장

        남궁은,NamGung, Eun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2014 과학과 기술 Vol.541 No.-

        공과대학혁신위원회가 지난 1월 14일 출범했다. 최근 10년간 공과대학은 SCI 논문 등 연구실적측면에서 많은 성장을 했으나, 이제는 창조경제를 이끌 실용적이고 질적인 성장을 추구할 시점이다. 공과대학혁신위원회는 공과대학이 실질적 부가가치를 만들어 내는 신기술과 창의적 인재의 공급원이 되도록 위상과 역할을 재정립하고 이론 위주 연구와 교육에서 벗어나 창조경제실현을 주도할 수 있는 전진기지로서의 역할과 성장을 돕기 위해 신설됐다. 그동안 공과대학의 양적 지표에 집중돼 있던 여러 가지 문제점 해결을 위해 위원회가 잘해낼 수 있을지 그 중심에 있는 이준식 공과대학혁신위원회 위원장(서울대 연구부총장)을 만나 앞으로의 포부를 들어봤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