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녀공학대학교의 군사문화와 여학생 ‘시민권’ 구성과정

        나윤경(Yoonkyeong Nah) 한국여성학회 2007 한국여성학 Vol.23 No.1

        이제껏 우리나라 대학교는 초ㆍ중ㆍ고등학교에 비해 연구자들의 관심을 많이 받지는 않았다. 그나마 소수의 여성주의자들이 연구를 진행했을 뿐인데, 이들 연구에 의하면 남녀공학대학교는 제대한 복학생들의 존재로 인해 군사문화가 유지, 재생산되고 있는 문제적 공간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와 같은 맥락에서 남녀공학대학교의 음악대학 성악과를 중심으로 복학생들이 구축하고 유지하는 군사문화의 지형과 특성을 밝힌다. 특히 군사문화가 남녀공학대학교 안에서 여학생들이 가지는 구성원으로서의 자격을 남학생들의 그것과 다른 방식으로 구성하는 지점을 드러낸다. 연구자는 결론적으로 한국사회의 남성중심성이 대학, 군대, 기업의 남성중심적 연계를 통해 강화된다고 지적하면서, 특히 엘리트 군인(ROTC)과 기업이 가장 선호하는 인재(‘대졸 군필’ 남성)를 육성하는 남녀공학대학교가 성평등적으로 재편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Colleges have seldom been research subjects, if any, compared to primary schools. A few feminist researchers have conducted research on them, in which they point out that "returnees(Bok-hak-saeng)" are those who maintain and reproduce military culture back on co-ed campuses. The present study conducted through interviews with vocalist students in the music department reconfirms that co-ed colleges are problematic because of the returnees who "transplant" military culture back to campus from the army. Highlighting the fact that the gender ratio among vocalist students and professors is well-balanced, the researcher propose that there be cultural reflectivity and struggle for gender equity along with legal procedures such as affirmative actions.

      • KCI등재

        평생교육의 오래된 새 길

        나윤경(Nah, Yoonkyeo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13 평생교육학연구 Vol.19 No.2

        인문학이 골목 안으로 들어와 대중화의 길을 걸으며 대규모 성인들을 모으고 있지만, 그 성인들을 학습자가 아닌 청중으로 환원하면서 어떤 의미에서 학교교실에서 행했던‘실패한’인문학의 길을 또 다시 노정하는 것 같은 인상을 준다. 자본이 인간을 다만 값싼 일회성 노동도구로 전락 시키는 신자유주의적 맥락에서 인문학은 학습자의 맥락을 비판적으로 읽고 재구성하려는 시도로서의 교육학적 실천성을 결여한 탓에 성인 노동자들에게 치유나 힐링 그 이상의 역할을 하지 못한다. 이러한 양상은 평생교육이 인적자원개발론과 성찰적 인문학이라는 두 모순적 진영 사이를 진자 운동하듯 오가며 성인들에게 현재적 맥락을 바꾸어 낼 수 있는 실천적 비젼을 비추는 데 소홀한 사이에 발생한 현상이기도 하다. 이 같은 맥락에서 본고는 평생교육의 전환학습 이론이 인문학적 성찰성과 조우하여 인적개발론이 추동한 끊임없는 자기계발을 멈추게 하고, 현재적 맥락을 전환하는 데 주력하는 전환학습적 인문학으로 선회할 것을 주장한다. Humanities as a discipline has been popularized to gather adult learners on a large scale recently. However, it seems to repeat its failure within the “Ivory Tower” by making adult learners just passive “listeners” as it did on campus. In the context of neo-liberalism where human beings are exploited as disposable instruments for the sake of maximizing capitals, humanities does not provide answers or critical perspectives with those adult learners since it lacks the practical faculty to criticize and reconstruct the reality that all adults are situated in and suffering from. Instead, it just gives the sense of “being healed” or "being consoled". On the other hand, while continuing education has been shuttling between humanities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which are quite opposite in terms of defining the meaning of human beings as the goal and the means, respectively, it came to neglect the reflectivity that is essential for human beings to change their living conditions In this vein, the author of present study insists that adults' transformative learning combined with humanities halt the self-directed developmental culture/trend encouraged by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al orientation and turn around its head toward "transformative humanities" to help people criticize and change their oppressive contexts under the regime of neo-capitalism.

      • KCI등재

        반페미니즘 안정화 시대의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 실천적 기의 구성과 ‘선한’ 윤리로서의 페미니즘 가르치기

        나윤경(Nah, Yoonkyeong) 한국여성연구소 2022 페미니즘 연구 Vol.22 No.2

        언론과 정치권에서 시작해 한국 사회에 마치 ‘출몰’한 존재로 다루어져 온 이른바 ‘이대남’은 페미니즘 대학 강의실에서도 어려운 존재다. 본 논문은 그러나 이들이 한국 사회에 급작스레 나타난 존재가 아니라 지금 정치권의 실세, 80년대의 20대 남성 ‘586’의 ‘진화’된 존재라고 주장한다. ’87 민주화 체제 이후에도 지속된 여성에 대한 성차별, 그간 누적된 성폭력에 대한 고발 #미투는 이른바 ‘민주화 세력’이 실질적 민주주의를 향한 노력에 게을렀음을 방증한다. 이 두 세대 남성의 공통적 특징은 이념과 구호가 내건 기표에 정서적으로만 현혹될 뿐 그들이 열망하거나 혐오하는 이념에 대한 착실한 기의 구성 노력이 없는 반지성주의적 태도다. 이런 맥락에서 페미니즘의 의미도 모른 채 캠퍼스에서 페미니즘에 대한 극불호의 정서를 감추지 않는 20대 남성을 위한 페미니스트 페다고지의 전략으로 본 논문은 그간의 연구 성과와 더불어 ‘실천적 기의 구성’과 ‘선한’ 윤리로서의 페미니즘 교육을 제안한다. ‘Korean male youths in their 20s’ (KMY) [ee-dae-nahm] which has been noticed by political circles and the press during the last presidential election in Korea is a ‘target group’ for feminist instructors’ teaching because of their notorious resistance to feminist ideologies advocating social minorities such as the differently abled, foreigners, and women. This paper assumes that these young men are ‘evolving ones’ from men of a generation ahead, who were so-called ‘protagonists of democratization of Korea’ during the 80s when they were in their 20s (PDK). One of the commonalities these two generations of men, who are apparently different in terms of political orientations, share is anti-intellectualism which drove them into an extreme level of affect such as hatred for feminism for KMY and aspiration for democracy for PDK without intelligent approaches to ideologies each of them are hateful of and longing for. In this vein, construction of the signified for the signifiers of feminism and recognition of individual practice of doing good to others based upon feminisms have been suggested as a few promising feminist pedagogical strategies.

      • KCI등재

        한ㆍ일 대학생의 성 평등 의식 비교

        나윤경(Yoonkyeong Nah),최윤진(Yoonjin Choi) 한국평생교육학회 2011 평생교육학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한일 대학생들의 성 평등 의식 중 적대적 성별 의식과 온정적 성별 의식 검사를 목적으로 한다. 한일 양국에서 사회적 인지도가 유사한 두 사립대학교 교양수업 수강자 각각 380명과 233명을 대상으로 다면성별의식검사를 활용, 설문조사하였다. 한국 학생들은 일본 학생들에 비해서 온정적 성별의식을 더 많이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한국의 남녀 학생 모두가 실질적 불평등관계와는 다르게 낭만적 성역할에 기반 하여 평등한 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도록 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적대적 성별의식과 온정적 성별의식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선행연구 결과와 마찬가지로 양국 모두 남성보다 여성에서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그 문화나 사회적 규범들 속에 내포된 남성 위주의 체제 정당화 논리들에 순응하여 적대적 성별의식과 온정적 성별의식을 모두 수용하였거나 이와는 반대로 적대적 성별의식뿐만 아니라 온정적 성별의식에 암묵적으로 포함된 남성 지배적 이데올로기를 간파하여 적대적 성별의식과 온정적 성별의식을 모두 거부하였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멀고도 가까운’ 한일 양국 대학생들의 성 평등 인식의 차이와 특징을 이해하는 것은 국제적 교류가 더욱 증대되는 세계화 맥락에서 한일 양국의 상호이해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Researchers of this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research on gender sensitivity of Korean and Japanese college students. Korean students show more Benevolent Sexism(BS) than their Japanese counterpart and Japanese students display more Hostile Sexism(HS) than their Korean counterpart. Researchers insist that BS could be more difficult to be changed since it is not obvious or tends to be considered “romantic” and “equal” in heterosexual relationships, which is based upon an idealogy of division of gender roles. The beauty of this kind of comparative study is that the research findings can be a reference point to which people on both sides refer when looking at or reflecting on themselves. For example, Korean students who perform conspicuous consumption to have a romantic relationship can evaluate their dating practices, which have been “manualized”, comparing with their Japanese counterpart and vice versa. Although there are many things in common between Korea and Japan as countries under the Confucian culture, there are many different things as well, such as BS and HS. As the globe gets globalized, people within a nation state come across the borders and it happens to workers, migrants, and college students as well. Equal relationship between genders across the borders is more critical than ever in the era of globalization. Both Korean BA and Japanese HS are subjects to be reflected by both sides of people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selves.

      • KCI등재후보

        자녀 사교육을 통한 모성 구성과정 - 평생학습자로서의 성인 여성에 대한 이해의 한 방식

        나윤경(Nah Yoonkyeong),태희원(Tae Heewon),장인자(Jang In-Ja) 한국평생교육학회 2007 평생교육학연구 Vol.13 No.4

          본 논문은 30, 40대 고학력 중산층 여성들의 사교육을 통한 모성수행을 강제하는 문화적 지형을 그리며, 과잉된 한국적 모성 수행 주체인 여성들에 대해 평생교육이 어떠한 개입을 모색해야 할지 질문한다. 모성 수행의 가장 큰 부분을 자녀(사)교육으로 규정하는 담론들은 여성들의 자녀교육에 대한 몰입과 헌신이 자발적인 ‘극성’으로 보이게 만든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여성들을 교육 담당자로 호명하고 상벌로 훈육하는 가족 내·외부의 가부장성이 존재한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처럼 고등교육을 경험한 어머니들은 자녀교육에 대한 책임과 의무를 이행하지만, 그것이 갖고있는 모순과 한계를 알고 있으며, 그럼으로써 책임과 의무에 몰입하기보다는 ‘수행’하면서 ‘자신만의 길’ 찾기를 유예하지 않기도 한다. 이들은 한국 사회에서 여성들이 남성과 유사한 종류의 ‘시민권’을 획득하는 것이 현재로선 매우 어렵다는 것을 알고 있다. 따라서 현재 모성 수행의 시간은 여성들에게 가부장사회에서의 시민성을 보장해주며, 후일 새로운 일을 도모할 수 있게 해주는 준비의 기간일 수 있다. 이 지점에서 본 연구는 평생교육의 개입을 모색하려 한다.   This article is intended to map out the cultural influences of patriarchism that have been reinforcing the "conventional" motherhood to women in their 30s and 40s with K-12 children and asks how lifelong education will be involved with these women who are "acting out" the reinforced motherhood as an "education manager." The present discourses in which middle-aged women are defined as "education manager" contribute to making these women look hyper-active and autonomous in managing their children"s educational matters. However, behind this scene there exists patriarchism inside and outside families that disciplines mothers into the position of a manager for their children"s education by giving them both punishments and rewards. Although women like the interviewees for the present research who are highly educated and are in the middle class fulfill responsibility and obligation for educating children, they see-though its drawbacks and strengths, so that they just "act out" good motherings and never delay their exploring endeavors toward the "ways of my own." These women have known that Korean women are not equal to men when it comes to the matter of acquiring "citizenship." In this sense, during the time when women act out the "pre/pro-scribed" motherrhood they could take an advantage of this period as an opportunity for them to prepare themselves for designing their future as a "full citizen." Researchers of the present study find this point for lifelong education to be involved with. This is because without understanding of the acted-out motherhood of women in their 30s and 40s, it would be impossible to perceive them as lifelong learners as they have been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 KCI등재

        여학생들의 ‘목소리’를 통해 드러난 남녀공학대학교의 남성중심성

        나윤경(Nah YoonKyeong) 한국여성학회 2005 한국여성학 Vol.21 No.2

        여성 CEO와 여성 정치인의 출현, 삼군사관학교로의 여성 진입 등 여권신장을 알리는 소수 여성들의 선전(善戰)은 우리사회의 성차별 체감지수를 낮춰주기는 하지만 실제로 전문직 여성의 비율을 측정하는 세계 여성권한척도(GEM)에서 우리사회는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우리나라의 대학교는 전문직 여성들을 배출하는 거의 유일한 기관임에도 불구하고, 그 안에서 행하여지는 교육적 실천의 내용들이 젠더 시각으로 조명되어진 적이 없다. 필자는 우리사회의 낮은 GEM 지수가 대학 내 여성들의 경험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남녀공학대교와 여자대학교를 모두 경험한 다섯 명의 연구 데이터 제공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남녀공학대학교 내 여성들의 경험을 이해하고자 한다. 연구결과가 갖는 상하위 범주들은 남녀가 ‘공존’하는 공간으로서의 남녀공학대학교가 성평등적이지 않음을 드러내준다. 따라서 남녀공학대학교의 ‘정상성’을 회의할 것이 주장된다. The ever-increasing number of female CEOs, female politicians, and female cadets of Military Academy has made Korean society insensitive to the gender discriminative reality against women. However, the Gender Empowerment Measure by the United Nations, as of the year 2003, indicates that Korea still ranks 63rd among 70 surveyed countries. Nonetheless, colleges that are to produce future professionals and experts have been exempted from being evaluated in terms of how and what students are learning. As the necessity of gender perspectives to be applied to many aspects of the society increases, policies and educational practices have been modified or transformed accordingly. However, Korean ‘Ivory Tower' does not open its door to any kind of evaluation process but some organizations of so-called ‘advanced' countries. In this context, one hardly knows what takes place in the Korean Ivory Tower. Particularly, seldom do we know how students experience the educational practices performed on co-ed campus. The present paper is based on an assumption that the low position of Korean society on the GEM scale is associated with how female students experience and interpret the educational practices in colleges. It is because students' experiences and interpretations of the educational activities on campus are likely to direct their careers in the future. In this context, five female college students who have been in both women's college and co-ed college are interviewed to compare their experiences on both sides. Interviews with them reveal the male-centeredness of co-ed colleges. Two themes have emerged out of the interviews: the image of patriarchal women college as a ‘deficit’ space; male-centeredness of co-ed colleges.

      • KCI등재

        십대 여성의 외모중심 인식을 추동하는 일상과 성형의료산업

        나윤경(Nah Yoonkyeong),태희원(Tae Heewon),노주희(Roh Ju-hee),장인자(Jang Inja),이지은(Lee Jieun) 한국여성학회 2009 한국여성학 Vol.25 No.4

        한국사회에 만연한 외모중심주의가 십대 여성들의 자아존중감 훼손을 야기할 수 있다고 보고하는 선행 연구들은 십대들이 외모중심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 ‘힘 기르기’ 교육이 시급함을 시사한다. 하지만 최근 이루어지고 있는 외모중심주의 인식 개선 교육프로그램들은 그 전제나 내용이 ‘자기 몸 사랑하기’나 ‘몸에 대한 인식전환’ 등 자아의 문제에 머물러 있어 십대들에게 외모중심적인 인식을 조장하고 강요하는 일상적 문화와 성형의료산업 등 외부조건에 대한 비판을 결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기초로 본 연구는 십대들로 하여금 외모중심적 인식을 ‘삐딱하게' 보도록 돕기 위한 교육적 개입은 첫째, 십대들에게 성형에 대한 욕망을 추동하고 외모의 중요성을 끊임없이 환기시키는 또래, 부모, 교사, 대중매체 등을 아우르는 일상문화, 둘째, 미의 기준을 생산하며 그것을 과학과 기술이라는 이름으로 포장하는 남성중심적 성형의료산업 등에 대한 비판을 수반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Existing research suggests that there be educational programs for teenagers who are vulnerable to so-called ‘look-ism' that pervades Korean society. According to studies on ‘look-ism', it has undermined teenagers' self-esteem. In this vein, programs that these studies propose are centered mainly around the modernist ideology that is geared to urging individuals to overcome one's environment, no matter what that is. This is because oneself that is premised in modernism is thought to be equipped with indomitable will and rationality. However, researchers of this article point out that those existing studies and programs based on them still remain around the ‘self' that can be modified with one's will. Researcher on this article, instead, bring the outer environment that promotes ‘look-ism' to teenagers into question. That is, researchers on this study emphasize that teenagers ‘in the process of becoming' should criticize their environment that whispers ‘look-ism' on a daily basis and take a reflective position toward it. The environment that present researchers problematize includes friends, parents, and even school teachers, all of whom foster the significant meanings of appearance to teenagers. So-called ‘beauty industry' that covers up their capitalistic desires with jargons of science and technique and misleads teenage consumers is one of the problematic environment as well. Lastly, internet media that produces, circulates, and reproduces of ‘talks of the bright side' of plastic surgeries should be one of objects that teenagers take a critical stance toward. Educational programs that is intended to facilitate teenagers to become a ‘resistant subjects' is required to focus on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m, not just teenagers' self itself.

      • KCI등재

        여성주의 질적 연구방법이 평생교육학 연구에 주는 시사점

        나윤경(Nah, Yoonkyeo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11 평생교육학연구 Vol.17 No.1

        평생교육학 분야는 물론, 한국 교육학계 전반의 연구에 걸쳐 질적 연구방법은 다른 인문사회과학 분야에서의 연구와 비교할 때 주요한 연구방법으로 자리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젠더를 분석틀로 하는 연구 역시 한국 학계에서는 매우 드물다. 본고는 '과학적' 혹은 '객관적'연구가 결국은 남성들의 주관성에 근거한 연구라는 스탠리와 와이즈의 틀로써 지금까지 '고전'의 위치를 차지해온 연구들이 가리고 있는 여성과 관련한 진리가 드러나야 한다고 주장한다. 여성에 대한 진리가 드러나기 위해서는 그녀들의 경험과 시각에 근거한 여성주의적 관점, 즉 분석 틀로서의 젠더가 연구에 적용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또한 소수자인 여성의 경험세계가 보다 깊이 있게 이해되기 위해서는 질적 연구방법과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진행된 사회과학적 논의들이 평생교육학 연구자들에 의해서 기꺼이 수용, 전유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것이 체계적으로 가능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연구중심 대학을 표방하는 대학교의 대학원생들은 그들의 수학 과정 중 질적 연구방법과 젠더를 분석 틀로 사용하는 사회과학과의 소통에 노출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현재처럼 소수자와 다양성의 문제가 중요하게 부각될 때라면 더욱더 그러하다.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has not been hired by/in the field of education research as wildly as it has been in othe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in Korea.. It is particularly true of in the research of lifelong education. Also, few research has employed gender as a research framework in Korean academia. This article states that women's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which have been covered by male-centered research orientation, nontheless pretending to be scientific and objective, should be visualized and deeply understood. To accomplish this objective, it is pivotal to apply feminist perspectives to research process as well a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Research-centered Korean universities are required to provide their graduate students with course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nd feminism within their curricular, so that those students may conduct research on social minorities and diverse voices they may bring with them. It is so true of current Korean society where the issues of minorities and diversity gets keener.

      • KCI등재후보

        세계화 맥락에서의 여대생 리더십 향상 교과과정개발을 위한 제언

        김현미(Kim Hyun Mee),나윤경(Nah Yoonkyeong),조혜선(Cho Haesun) 한국평생교육학회 2006 평생교육학연구 Vol.12 No.3

          여대생 글로벌 리더십 향상 교과과정의 방향을 위해 본 연구가 제안하는 것은, 첫째, 성 불평 등 현실 인식을 바탕으로, 성별 고정관념을 초월한 사유를 돕는 과정, 둘째, 한국내의 다양한 문화 교차지역의 현장 연구와 분석을 통해 우리 안에 들어와 있는 다양한 문화적 타자들과의 소통을 고민하는 과정, 셋째, ‘능력’ 위주의 교육보다는 세계적 변화와 정세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돕는 과정, 그리고 넷째, 역할 모델로서 가까운 미래를 ‘구체적으로’ 상상하게 하는 ‘접근 가능한’ 인물 혹은 케이스가 활용되는 과정 등을 제안한다. 결국 여대생들의 글로벌 리더십 향상을 위한 대학의 교과과정은 남성중심적인 사회의 현상들에 대하여 전통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자신과 맥락을 분석하게 돕는 것은 물론, 해외에서 커리어를 계획하는 것에 대해 큰 저항이 없는 여대생들에게 다문화 감수성을 ‘구체적으로’ 배양, 발전시킬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고민을 반영하여야 한다.   The present study, which is intended to suggest the orientation in developing curriculum for female college students" leadership education, found out that female students still carry the dichotomous gender stereotypes in relation to the construct of leadership. This suggests that colleges establish programs that encourage female students to realize their potent and to reflect on their concepts of femininity and masculinity. As “globalization” has been passed as “westernization” or “subjectificaion” in the Korean society, Korean college students may have lost their capability to communicate with cultural diversity. In this regard, college education has to provide the methodology promoting students to comprehend the “culturally different others” who have long been with us within our society. Thus, researchers suggest that the curriculum for female college students" leadership education carry the two strands of sensitivity: feminist gender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ist multiculture sensitivity.

      • KCI등재

        대학 내 성폭력 가해자 연구

        나윤경,노주희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3 여성학논집 Vol.30 No.2

        슈워츠 외(Schwartz et al., 2001)는 여성주의 일상행위이론으로써 대학교가 ‘준비된 가해자-보호 장치 부재-적절한 피해자’ 등 성폭력 조건이 갖추어진 공간이라고 설명하였다. 본 연구는 가부장 사회의 상식이 된 ‘강간신화’와 더불어 대학교의 ‘준비된 가해자-보호 장치 부재-적절한 피해자’라는 조건이 다시 한국적 맥락과 만나 더욱 입체적으로 확장되어 대학 내 여대생들에게 성폭력을 가한다고 말하고 있다. ‘스승으로서의 교수’의 애정이 성폭력과의 경계를 흐리는 지점, 대학원생에 대한 교수의 상대적 권력을 크게 구성해내는 신자유주주의 상황의 청년실업 현상, 온전히 사적 공간인 교수 연구실, 교수사회의 학문적 공동체의 부재, 성폭력 사후 해석으로 동원되는 ‘술’, 여전한 여성에 대한 ‘성녀’(聖女)와 ‘성녀’(性女) 이분법, 그리고 가해자들의 반격까지 ‘준비된 가해자-보호 장치 부재-적절한 피해자’라는 지점을 확대하고 입체화 한다. 교과서적인 답인 것 같지만 대학 내 성폭력 예방교육과 대학 내 여성의 인권 신장이 여성에 대한 성폭력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Feminist routine activities theory explains why campus becomes the space where sexual violence takes place more often than expected. This study says that ‘rape myth’, the common sense of patriarchal societies, along with the constituents of feminist routine activities theory, which are ‘motivated offender-absence of guardians-availability of suitable targets, tends to be expanding in Korean society to produce sexual violence on campus. The relationship based upon apprenticeship between professor and student, high rate of youth unemployment, professors room as a purely private sphere, the absence of colleagueship among professors, Koreans’ conspicuous consumption of alcohol, the binary concept of women as mom and prostitute, and the backlash of the offender cubicalize the feminist routine activities theory. The researchers suggest that empowering education for women and men will reduce the sexual violence on cam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