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기술자의 공동연구 네트워크

        조혜선(Haesun Cho),김용학(Kim Yong-Hak) 한국사회학회 2005 韓國社會學 Vol.39 No.6

        개인 연구자가 전문가 네트워크에서 차지하는 구조적 위치는 연구기회, 성과, 그리고 권력을 다르게 하는 중요한 조건이 된다. 과학기술 분야 전문가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는 최근 들어 활성화되기 시작하였지만 남성지배적인 과학기술 분야의 생태학적 조건을 고려한 분석결과는 찾기 어렵다. 본 논문은 남성이 다수이고 여성이 소수라는 과학기술 분야의 생태학적 특수성에 주목하고 공동연구과제를 중심으로 나타나는 성별화된 사회자본의 특징과 구성원리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인적 자본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특성, 연구과제 수행의 유형에서 성별차이를 발견하였다. 둘째, 대형 연구과제 수행능력을 설명하는 네 가지 모델(성 모델, 인적 자본모델, 생태학모델, 그리고 네트워크모델)을 단계적으로 검토한 결과, 네트워크모델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외국과 마찬가지로 국내 과학기술 전문가 네트워크도 소수 집중의 불평등 구조이고 다수자인 남성이 네트워크에서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넷째, 과학기술 분야에서 남성을 중심으로 작동하는 유유상종의 원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일반 노동시장뿐만 아니라 전문화된 노동시장인 과학자의 세계에서도 성에 따라 자원과 기회가 달리 분포한다는 사실을 확인해 주고, 전문가 네트워크에서 구조적 위치는 연구자의 성과를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한 기제라는 사실을 시사하고 있다. While ample research on the social production of scientific knowledge demonstrates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on network in science and technology professions, little empirical research has investigated the role of networks in creating and reinforcing gender inequalities in the organizational distribution of pow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gendered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on network and to investigate gendered network mechanisms to affect professional achievement in science and technology professions whose members are over-dominantly composed of men.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mean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are indicated on collaboration patterns as well as human capital factors and network characteristics. Women are concentrated on solo or small scale projects less funded. Secondly, I test four competing models including sex model, human capital model, ecology model, and network model and find critical effect of network factors to acquire large numbers of big project. Thirdly, the average properties of the network in science and technology professions in Korea are dominated by the few individuals who have many collaborators. Men are more central when the other effects are held constant. Fourthly, the tendency of gender homophily in collaboration network depends on sex when the ecological environment is dominantly composed of men. Men in the dominant group are more likely to form homophilous ties in contrast to women in the minority group. Gendered network characteristics appear to imply that distribution of resources and opportunities depends on sex even in professions as well as in general labor market.

      • KCI우수등재

        결혼만족도의 결정요인

        조혜선(Haesun Cho) 한국사회학회 2003 韓國社會學 Vol.37 No.1

        결혼만족도는 ‘사회적 맥락 속에 존재하는 개인이 부부라는 이자적 관계에서 느끼는 주관적 선호’로 정의된다. 본 연구는 결혼만족도를 연구함에 있어서 여성의 경제참여에 따라 가정과 직장에서 경험하는 사회적 맥락의 변화, 성에 따라 각기 다르게 작용하는 요인들의 효과, 관계성이라는 과정적 요소, 그리고 개인이 아닌 부부단위에서 요인들의 상대적 의미 해석을 분석에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선행연구와 차별화를 시도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맞벌이 부부에 대한 실증적 자료를 활용하여 결혼만족도를 설명할 수 있는 세 가지 주요 모델?경제적 자원 모델, 성 역할 모델, 그리고 관계성 모델?각각을 다변량 분석하고 결과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결혼만족은 경제적 자본이라는 객관적 상황만이 아니라 성에 따라 달리 적용되는 성역할관, 상대방을 이해할 수 있는 기반으로서 관계성이나 의사소통이라는 과정적이고 맥락적 요소를 모두 포함한 관계성 모델에 의해 가장 효과적으로 설명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article examines key theoretical advances that have emerged in the study of marital satisfaction during the last decade, with special emphasis on (1) the change of the social context of marriage, including the increase of women’s economic participation rate and the gender role attitude; (2) the importance of the couple than the individual as the unit of analysis; and (3) the interpersonal processes in married couple, including the degree of mutual communication and last experience of fighting. This study tests and evaluates the three competing models, that is the resource model, the gender-role model, and the process model. Data which were collected via survey from 1145 married two-earner couples were analyzed by the method of multivariat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best of the three models is the process model, which indicates the importance of the degree of communication and the quality of relationship of the couple to explain the marital satisfaction.

      • KCI우수등재

        기혼여성의 고용지위 결정요인

        조혜선(Cho Haesun) 한국사회학회 2002 韓國社會學 Vol.36 No.1

        본 연구는 기혼여성들의 가정상황뿐만 아니라 고용지위별 다양성이라는 제도적 상황에 주목하여 기혼여성들의 경제참여의 특이성을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구와 달리 자영, 가족종사와 같은 비임금 근로형태가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한국 노동시장의 특성과 대졸 이상의 고학력의 인적자본을 가진 경우 오히려 경제활동 참여율이 낮게 나타나고 있는 여성 노동의 특성에 주목한다. 인구학적 요인, 인적자본, 가정상황의 다양한 요인들이 기혼여성의 고용지위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다항로짓분석한 결과 다음과 갚은 특징들이 나타났다. 첫째, 여성의 인적 자본은 고용지위라는 노동시장의 제도적 맥락에 따라 다른 영항을 미치고 있다. 제도적 보호조치가 존재하는 공기업에 피고용되는 경우는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에 대한 인적자본의 부정적 효과가 유일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생애주기의 효과는 모든 참여형태에 제약요인으로 작용했다. 특히 가장 장시간의 노동이 요구되고 유연적인 시간활용이 어려운 사기업에 피고용되는 경우 생애주기로 인한 제약효과는 가장 크며 사적인 대체수단으로서 조력자의 존재가 여성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셋째, 여성들의 가족종사라는 고용지위는 부부단위의 관계적 맥락에 따라 결정되었다. 남편의 수입 외에도 고용지위라는 가구의 경제적 위치는 부인의 참여형태 결정에 중요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기혼 여성들의 경제활동 참여가 노동상황과 가족상황의 복합적인 사회적 맥락에서 결정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four kinds of employment status such as employees in the public organization, employees in the private organization, self-employed workers, and family workers. This is meaningful in terms that there are lots of self-employed or family workers in the Korean labor market. The analysis attempts to measure the effects of the human capital, the family structure, and the subjective factors and to compare their effects on the choice of the employment statuses. The multi nominal logit analysis is used to explain the married women’s choices of the employment statuses and the result is the following: First, the effect of the human capital depends on the organizational context. The negative effect of the human capital is not shown for the employees in the public organization with the better work conditions. Second, the economic participation of women is impeded by the life cycle obstacles such as the existence of the young children less than 6 years old. The negative effect of the life cycle is maximized in the case of the employees in the private organization with the longest work hour and the least work flexibility. Third, the employment status of married woman is greatly affected by the husband’s employment status as well as his incom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economic participation of married woman is determined by the complex social context of the work and family situation.

      • KCI등재

        조기교육과 어머니 역할

        조혜선(Cho Haesun) 한국여성학회 2004 한국여성학 Vol.20 No.1

        본 연구는 남성중심적인 계급 재생산 논의에서 비가시화되어왔던 어머니라는 행위자에 초점을 맞추고 계급 재생산의 주체로서 어머니의 역할에 주목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어머니가 자녀교육과 관련하여 맺고 있는 사회 관계망의 특성을 살펴보고 어머니의 문화자본과 사회자본이 자녀의 조기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서울, 부산, 대전, 광주 지역에 사는 만 6세 혹은 7세의 자녀를 둔 어머니 118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자료를 이용하여 연결망의 특성, 조기교육에 대한 선택, 그리고 자녀의 교육 성취도에 대하여 다변량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를 정리해 보면 첫째, 어머니의 개인적 특성은 가구 수입, 지역 변인과 함께 어머니가 맺고 있는 사회관계망 특성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 변인은 사회관계망의 특성, 조기교육에 대한 선택, 그리고 자녀의 교육성취 평가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셋째, 다른 요인들을 통제한 후 계급 자체가 조기교육에 미치는 효과는 지지되지 않았으나 가구 수입과 가치관의 측면 에서 계급 차이는 여전히 유효하였다. 넷째, 어머니의 사회자본은 조기교육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다섯 째, 자녀의 성이 조기 교육에 미치는 영향은 부분적으로만 지지되었다. Despite lots of studies on class reproduction, it remains difficult for us to clarify mothers' role to reproduce their class in everyday life context. This research aims to uncover mothers' active roles mobilizing social capital for educating their children in Korea. Survey responses are collected from 1189 mothers of children aged 6-7 in Seoul, Pusan, Daejeon, and Kwangju, in order to analyze social network characteristics, decisions whether to have their children educated early, and evaluation of their children's achievement. Multiple regression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highlight mothers' strategic action to reproduce their class by means of educating their children. First, moth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household income and local variables affect social network characteristics such as network size, network composition, and network closeness in relation to their children's education, when other related variables are controlled. Second, social network characteristics, decisions whether to have their children educated early or not, and their children's educational achievement depend on local variables. Third, household income and educational philosophy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clas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children's education, although class itself does not affect it. Fourth, mothers' social capital affects educational decisions for their children. Fifth, children's sex has an effect on kinds of education their mothers select.

      • KCI등재

        과학기술 연구인력 보상체계의 성 차별성

        조혜선(Haesun Cho) 한국사회학회 2003 韓國社會學 Vol.37 No.3

        본 연구는 과학기술계에서 조직 내 연구자에 대한 보상체계를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명하여, 과학 전문 인력으로서 여성의 질적 위상과 문제점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현재 노동 현장에서 활동하는 과학기술 연구 인력의 임금 및 직급이라는 가치 평가 문제에 주목하고 ‘국공립 연구소에서 근무하는 자연과학, 공학, 생명공학을 전공한 석사 이상의 학력을 가진 정규직 남녀 과학기술 연구 인력’을 연구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성, 인적 자본 및 조직 특성들의 영향을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와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기술계라는 전문적인 영역에서 고급 인력으로서 여성 전문 인력의 현 좌표를 진단한다. 둘째, 인적 자본과 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과학 기술계 가치 평가 기제의 특징을 밝힌다. 다른 노동 영역과 달리 성 집단의 차이가 보상체계에 단독으로 영향력을 나타내지는 않았고 성을 통제하였을 때 인적 자본의 효과가 달리 나타나는 교묘한 양상을 띠고 있다. 셋째, 조직이라는 사회적 맥락의 특성들은 다른 요인을 통제하고 나서도 보상 체계에 중요한 구조적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수평적 분리의 지표로서 생명공학이라는 여성 특정적 분야가 타분야와 지속적인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는 사실은 과학계의 독특한 현실을 반영한 것이다. 이는 여성이 집중된 영역에서 조직 수준의 구조적 차별이 일어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gendered differentials in rewards(pay and organizational position) for employed scientist-researchers in Korea, and to find out the determinant factors. Research was done mainly by multivariate and multinominal logit analysis on data from 179 employed scientists with master’s or doctor’s degree in natural science, engineering, and biotechnology. And major findings from it are as follows. First, the national statistics of female scientist-researchers shows their concentration on certainly gender-specific departments and lower positions in organizations. Second, the effects of human capital variables differ by gender group although gender effect does not appear individually. Third, pay and organizational position are determined by the characteristics of an organization, such as institutional status, size, and research field. Especially the field of biotechnology with the highest degree of woman scientists’ concentration shows lower level of rewards compared with other fields,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n index of horizontal segregation.

      • KCI등재

        마태 효과

        조혜선(Cho Haesun) 한국사회학회 2007 韓國社會學 Vol.41 No.6

        본 연구는 과학자 사회의 핵심적인 특성으로서 그동안 논의되어왔던 ‘마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 과학자 사회의 거시적 불평등 현상을 이해하고 그 의미를 성찰해보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마태효과는 과학자 사회의 기회 구조의 불평등과 장기적 번동 추세에 대해 중요한 함의를 가지는 이론적 논의이지만 한국 사회에 이를 적용하거나 서구와 그 특징을 비교한 실증연구는 이제까지 없었다. 한국 과학자 사회에 대한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세 가지 대표적인 인정 유형-생산성, 인용수, 연구비-에서 한국 과학자 사회의 구조적 불평등과 누적 이익 현상의 존재를 확인하고 미국 사회를 준거로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였고 둘째, 현재 우리나라 과학자 사회에 존재하는 구조적 불평등과 누적 이익현상은 ‘제도적 자본’과 긴밀한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본 분석에 포함되지 않은 ‘없는 자’의 문제까지 추가적으로 고려한다면 실제 ‘누적 이익(혹은 불이익)의 효과는 더욱 증폭될 것이다. This study has a goal to understand the highly skewed distribution of scientific recognition among scientists and to reflect its meaning in terms of the matthew effect in the reward system, which means the accruing of greater increments of recognition for particular scientific contributions to scientists of considerable repute and withholding of such recognition from scientists who have not yet made their mark. There has been no research to explain the matthew effect among Korean scientists based on corroborative facts. Using cross-sectional survey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point to the following findings which are of theoretical implication. First, the distribution of three types of recognition including productivity, citation times, and fund becomes increasingly unequal as a cohort of scientists ages. Second, the accumulative advantage or disadvantage is mainly explained by the institutional location as 'the institutionalized science capital’.

      • KCI등재후보

        세계화 맥락에서의 여대생 리더십 향상 교과과정개발을 위한 제언

        김현미(Kim Hyun Mee),나윤경(Nah Yoonkyeong),조혜선(Cho Haesun) 한국평생교육학회 2006 평생교육학연구 Vol.12 No.3

          여대생 글로벌 리더십 향상 교과과정의 방향을 위해 본 연구가 제안하는 것은, 첫째, 성 불평 등 현실 인식을 바탕으로, 성별 고정관념을 초월한 사유를 돕는 과정, 둘째, 한국내의 다양한 문화 교차지역의 현장 연구와 분석을 통해 우리 안에 들어와 있는 다양한 문화적 타자들과의 소통을 고민하는 과정, 셋째, ‘능력’ 위주의 교육보다는 세계적 변화와 정세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돕는 과정, 그리고 넷째, 역할 모델로서 가까운 미래를 ‘구체적으로’ 상상하게 하는 ‘접근 가능한’ 인물 혹은 케이스가 활용되는 과정 등을 제안한다. 결국 여대생들의 글로벌 리더십 향상을 위한 대학의 교과과정은 남성중심적인 사회의 현상들에 대하여 전통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자신과 맥락을 분석하게 돕는 것은 물론, 해외에서 커리어를 계획하는 것에 대해 큰 저항이 없는 여대생들에게 다문화 감수성을 ‘구체적으로’ 배양, 발전시킬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고민을 반영하여야 한다.   The present study, which is intended to suggest the orientation in developing curriculum for female college students" leadership education, found out that female students still carry the dichotomous gender stereotypes in relation to the construct of leadership. This suggests that colleges establish programs that encourage female students to realize their potent and to reflect on their concepts of femininity and masculinity. As “globalization” has been passed as “westernization” or “subjectificaion” in the Korean society, Korean college students may have lost their capability to communicate with cultural diversity. In this regard, college education has to provide the methodology promoting students to comprehend the “culturally different others” who have long been with us within our society. Thus, researchers suggest that the curriculum for female college students" leadership education carry the two strands of sensitivity: feminist gender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ist multiculture sensitivity.

      • KCI등재

        과학기술 공동연구의 연결망 구조

        김용학(Kim Yong Hak),윤정로(Yoon Jung Ro),조혜선(Cho Haesun),김영진(Kim Yung Jin) 한국사회학회 2007 韓國社會學 Vol.41 No.4

        과학적 지식을 생산하는 공동연구 연결망은 과학자들의 의사소통 및 지식확산의 중요한 기제가 되고, 연결망의 구조적 특성은 연구성과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기에 중요한 연구의 대상이 되어왔다. 본 연구는 한국 과학자들 사이의 공동연구 연결망이 서구와 마찬가지로 ‘좁은 세상’의 특징을 지니며 전공 분야별로 연결망 구조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좁은 세상 연결망에서의 과학자 위치가 그의 연구 생산성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분석한다. 본 연구는 과학자들의 공동연구자 수가 대부분의 좁은 세상의 연결망에서처럼 멱함수 형태로 분포되어 있으며, 경로거리는 무작위 연결망에서의 그것과 비슷하고, 군집계수는 높게 나타나는 ‘좁은 세상’의 구조를 보인다는 점을 발견했다. 연결망의 구조적 특징은 연구 분야별로 다르게 나타난다. 대표적인 예로서 BT 분야는 포괄적이고, IT 분야는 분절적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 공동연구 연결망에서 징검다리 역할을 하거나 연결망의 중심에 놓인 연구자들의 연구 생산성이 높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다양한 전공분야에서 생산되는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접하는 데 유리한 구조적 위치에 놓인 과학자의 연구생산성이 나타난 것이다. Research on the network structure of scientific knowledge production has become a main concern, since it enables us to discern the structure of communication and knowledge diffusion among scientists. This study examines if the scientific collaboration network in Korea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mall world" as in the Western scientific community and identifies the structural differences across he subfield of scientific research. We also attempt to identify the effect of network locations on scientific performance. We found that the collaboration network among Korean scientists can be characterized as a small world network, where the degree distribution fits the power aw, the path distances are close to the random network, and the clustering coefficient s much higher than that expected in the random network. There are structural differences across research fields; for instance, the network in Bio Technology area s inclusive, whereas the network in Information Technology is segmented. We also found that researchers who are the bridges or who are at the center of the network ire more productive. This confirms that the position in the collaboration network s associated with scientific produ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