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녀공학대학교의 군사문화와 여학생 ‘시민권’ 구성과정

        나윤경(Yoonkyeong Nah) 한국여성학회 2007 한국여성학 Vol.23 No.1

        이제껏 우리나라 대학교는 초ㆍ중ㆍ고등학교에 비해 연구자들의 관심을 많이 받지는 않았다. 그나마 소수의 여성주의자들이 연구를 진행했을 뿐인데, 이들 연구에 의하면 남녀공학대학교는 제대한 복학생들의 존재로 인해 군사문화가 유지, 재생산되고 있는 문제적 공간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와 같은 맥락에서 남녀공학대학교의 음악대학 성악과를 중심으로 복학생들이 구축하고 유지하는 군사문화의 지형과 특성을 밝힌다. 특히 군사문화가 남녀공학대학교 안에서 여학생들이 가지는 구성원으로서의 자격을 남학생들의 그것과 다른 방식으로 구성하는 지점을 드러낸다. 연구자는 결론적으로 한국사회의 남성중심성이 대학, 군대, 기업의 남성중심적 연계를 통해 강화된다고 지적하면서, 특히 엘리트 군인(ROTC)과 기업이 가장 선호하는 인재(‘대졸 군필’ 남성)를 육성하는 남녀공학대학교가 성평등적으로 재편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Colleges have seldom been research subjects, if any, compared to primary schools. A few feminist researchers have conducted research on them, in which they point out that "returnees(Bok-hak-saeng)" are those who maintain and reproduce military culture back on co-ed campuses. The present study conducted through interviews with vocalist students in the music department reconfirms that co-ed colleges are problematic because of the returnees who "transplant" military culture back to campus from the army. Highlighting the fact that the gender ratio among vocalist students and professors is well-balanced, the researcher propose that there be cultural reflectivity and struggle for gender equity along with legal procedures such as affirmative actions.

      • KCI등재

        반페미니즘 안정화 시대의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 실천적 기의 구성과 ‘선한’ 윤리로서의 페미니즘 가르치기

        나윤경(Nah, Yoonkyeong) 한국여성연구소 2022 페미니즘 연구 Vol.22 No.2

        언론과 정치권에서 시작해 한국 사회에 마치 ‘출몰’한 존재로 다루어져 온 이른바 ‘이대남’은 페미니즘 대학 강의실에서도 어려운 존재다. 본 논문은 그러나 이들이 한국 사회에 급작스레 나타난 존재가 아니라 지금 정치권의 실세, 80년대의 20대 남성 ‘586’의 ‘진화’된 존재라고 주장한다. ’87 민주화 체제 이후에도 지속된 여성에 대한 성차별, 그간 누적된 성폭력에 대한 고발 #미투는 이른바 ‘민주화 세력’이 실질적 민주주의를 향한 노력에 게을렀음을 방증한다. 이 두 세대 남성의 공통적 특징은 이념과 구호가 내건 기표에 정서적으로만 현혹될 뿐 그들이 열망하거나 혐오하는 이념에 대한 착실한 기의 구성 노력이 없는 반지성주의적 태도다. 이런 맥락에서 페미니즘의 의미도 모른 채 캠퍼스에서 페미니즘에 대한 극불호의 정서를 감추지 않는 20대 남성을 위한 페미니스트 페다고지의 전략으로 본 논문은 그간의 연구 성과와 더불어 ‘실천적 기의 구성’과 ‘선한’ 윤리로서의 페미니즘 교육을 제안한다. ‘Korean male youths in their 20s’ (KMY) [ee-dae-nahm] which has been noticed by political circles and the press during the last presidential election in Korea is a ‘target group’ for feminist instructors’ teaching because of their notorious resistance to feminist ideologies advocating social minorities such as the differently abled, foreigners, and women. This paper assumes that these young men are ‘evolving ones’ from men of a generation ahead, who were so-called ‘protagonists of democratization of Korea’ during the 80s when they were in their 20s (PDK). One of the commonalities these two generations of men, who are apparently different in terms of political orientations, share is anti-intellectualism which drove them into an extreme level of affect such as hatred for feminism for KMY and aspiration for democracy for PDK without intelligent approaches to ideologies each of them are hateful of and longing for. In this vein, construction of the signified for the signifiers of feminism and recognition of individual practice of doing good to others based upon feminisms have been suggested as a few promising feminist pedagogical strategies.

      • KCI등재

        중년기 남성공무원의 부부갈등에 대한 질적연구 및 평생교육학적 제안

        나윤경(Nah Yoon Kyeong),박성희(Park Seong Hie) 한국평생교육학회 2004 평생교육학연구 Vol.10 No.4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부부는 양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연장된 노년기 부부관계는 삶의 질을 좌우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곧 노년기를 맞게 될 중년기 부부는 퇴직 등 변화한 환경 속에서 새로 운 역할을 만들어 행복한 노년기를 만들어가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되었다. 문헌에서여성은 노년기 부부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남성은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에 따라서 황혼이혼이 ‘노인여성의 주도’로 일어나며 ‘고령화’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부부관계의 향상 에 목표를 둔 프로그램을 개발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연구자들은 퇴 직 전ㆍ후에 있는 남성 공무원과, 공무원을 남편 혹은 아버지로 둔 가족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화목한 가족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원인을 분석하였다 부부갈등에 관한 문헌은 우리 나라 남성들의 가부장성이 가족의 조화로운 관계 형성과 유지를 방해하는 변인임을 지적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대상자들과 의 인터뷰를 통하여 남성공무원들의 조화롭지 못한 측면들이 연구과정에서 도출되었으므로,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평생교육학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In the aging society, elderly married couples are increasing in Quantity and the marital relationship has power over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Therefore, these couples have to construct a new role in this changing society. Generally it is noted that the satisfaction of married women is decreasing; however the satisfaction of married men continues. There are also many more couples remaining married but at the same time there are many who are on the verge of divorce. In this context, the present study interviewed men planning to retire from the government wjthin two or three years, women, and children whose spouses and fathers, respectively, have been working for the government, and identified major factors causing breakages among family members. In the Korean literature on family, the patriarchal nature of Korean society has been pointed out as a culprit for preventing a harmonious relationship among family members. In this vein, the present study is in accordance with other existing ones, and at the same time it reveals how the patriarchy represented by men unfolds within the family and seeks ways to solve it. The stori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theorized into six categories and suggestions were provided for each theorized problem.

      • KCI등재

        한ㆍ일 대학생의 성 평등 의식 비교

        나윤경(Yoonkyeong Nah),최윤진(Yoonjin Choi) 한국평생교육학회 2011 평생교육학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한일 대학생들의 성 평등 의식 중 적대적 성별 의식과 온정적 성별 의식 검사를 목적으로 한다. 한일 양국에서 사회적 인지도가 유사한 두 사립대학교 교양수업 수강자 각각 380명과 233명을 대상으로 다면성별의식검사를 활용, 설문조사하였다. 한국 학생들은 일본 학생들에 비해서 온정적 성별의식을 더 많이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한국의 남녀 학생 모두가 실질적 불평등관계와는 다르게 낭만적 성역할에 기반 하여 평등한 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도록 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적대적 성별의식과 온정적 성별의식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선행연구 결과와 마찬가지로 양국 모두 남성보다 여성에서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그 문화나 사회적 규범들 속에 내포된 남성 위주의 체제 정당화 논리들에 순응하여 적대적 성별의식과 온정적 성별의식을 모두 수용하였거나 이와는 반대로 적대적 성별의식뿐만 아니라 온정적 성별의식에 암묵적으로 포함된 남성 지배적 이데올로기를 간파하여 적대적 성별의식과 온정적 성별의식을 모두 거부하였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멀고도 가까운’ 한일 양국 대학생들의 성 평등 인식의 차이와 특징을 이해하는 것은 국제적 교류가 더욱 증대되는 세계화 맥락에서 한일 양국의 상호이해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Researchers of this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research on gender sensitivity of Korean and Japanese college students. Korean students show more Benevolent Sexism(BS) than their Japanese counterpart and Japanese students display more Hostile Sexism(HS) than their Korean counterpart. Researchers insist that BS could be more difficult to be changed since it is not obvious or tends to be considered “romantic” and “equal” in heterosexual relationships, which is based upon an idealogy of division of gender roles. The beauty of this kind of comparative study is that the research findings can be a reference point to which people on both sides refer when looking at or reflecting on themselves. For example, Korean students who perform conspicuous consumption to have a romantic relationship can evaluate their dating practices, which have been “manualized”, comparing with their Japanese counterpart and vice versa. Although there are many things in common between Korea and Japan as countries under the Confucian culture, there are many different things as well, such as BS and HS. As the globe gets globalized, people within a nation state come across the borders and it happens to workers, migrants, and college students as well. Equal relationship between genders across the borders is more critical than ever in the era of globalization. Both Korean BA and Japanese HS are subjects to be reflected by both sides of people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selves.

      • KCI등재

        평생교육의 오래된 새 길

        나윤경(Nah, Yoonkyeo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13 평생교육학연구 Vol.19 No.2

        인문학이 골목 안으로 들어와 대중화의 길을 걸으며 대규모 성인들을 모으고 있지만, 그 성인들을 학습자가 아닌 청중으로 환원하면서 어떤 의미에서 학교교실에서 행했던‘실패한’인문학의 길을 또 다시 노정하는 것 같은 인상을 준다. 자본이 인간을 다만 값싼 일회성 노동도구로 전락 시키는 신자유주의적 맥락에서 인문학은 학습자의 맥락을 비판적으로 읽고 재구성하려는 시도로서의 교육학적 실천성을 결여한 탓에 성인 노동자들에게 치유나 힐링 그 이상의 역할을 하지 못한다. 이러한 양상은 평생교육이 인적자원개발론과 성찰적 인문학이라는 두 모순적 진영 사이를 진자 운동하듯 오가며 성인들에게 현재적 맥락을 바꾸어 낼 수 있는 실천적 비젼을 비추는 데 소홀한 사이에 발생한 현상이기도 하다. 이 같은 맥락에서 본고는 평생교육의 전환학습 이론이 인문학적 성찰성과 조우하여 인적개발론이 추동한 끊임없는 자기계발을 멈추게 하고, 현재적 맥락을 전환하는 데 주력하는 전환학습적 인문학으로 선회할 것을 주장한다. Humanities as a discipline has been popularized to gather adult learners on a large scale recently. However, it seems to repeat its failure within the “Ivory Tower” by making adult learners just passive “listeners” as it did on campus. In the context of neo-liberalism where human beings are exploited as disposable instruments for the sake of maximizing capitals, humanities does not provide answers or critical perspectives with those adult learners since it lacks the practical faculty to criticize and reconstruct the reality that all adults are situated in and suffering from. Instead, it just gives the sense of “being healed” or "being consoled". On the other hand, while continuing education has been shuttling between humanities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which are quite opposite in terms of defining the meaning of human beings as the goal and the means, respectively, it came to neglect the reflectivity that is essential for human beings to change their living conditions In this vein, the author of present study insists that adults' transformative learning combined with humanities halt the self-directed developmental culture/trend encouraged by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al orientation and turn around its head toward "transformative humanities" to help people criticize and change their oppressive contexts under the regime of neo-capitalism.

      • KCI등재

        모성적 생산성과 여성 평생교육

        나윤경(Nah, Yoon Kyeo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14 평생교육학연구 Vol.20 No.1

        모성이데올로기란 엄마와 아이의 이해를 대립적으로 놓고, 그 둘의 대립적 성격을 주조한 사회문화적 조건에는 눈감은 채, 엄마의 이해를 희생해야 한다고 믿도록 하는 것이다. 자본주의적 생산성을 각인한 경쟁사회에서의 여성들은 자신이 축적한 자본주의적 생산성을 아이를 위해 포기함으로써 모성이데올로기를 실천하며 동시에 자본주의적 생산성을 대체할 '모성적 생산성'을 발휘하게 된다. 자본주의적 생산성이 전제하는 생산/재생산의 이분법은 남/녀, 공/사 등의 근대적 이분법으로 변주, 확장되면서 남성을 가정으로부터, 여성을 사회로부터 소외 시킨다. 이러한 기획은 여성들을 위한 평생교육-학습의 내용을 자녀와 가정을 위한 것으로 제한해 모성적 생산성을 극대화 하는 데 일조한 측면이 있다. 본 논문은 평생교육-학습의 장이, 언급한 이분법적 도식을 해체하는 방식으로 사유하고 실천하지 않으면 여성들은 여전히 모성이데올로기를 강화하며 자녀사교육 등을 통하여 모성적 생산성을 극대화 할 것이라고 판단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평생교육장 안에서 모성의 재생산 노동을 생산 노동화 하는 가치체계의 변혁에 대한 진지한 논의가 필요한 것은 아닌지, 그렇게 함으로써 언급한 이분법을 해체하고 소외가 아닌 인류의 지속가능성을 구축하는 평생교육-학습의 지향점이 모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닌지 제안한다. "Motherhood" as an ideology makes people believe that the interests of mother and child are competitive and the interest of mother should be sacrificed for the sake of that of her child, ignoring the sociocultural plot which has structured the competitive relations of the interests of mother-child. Women who have embodied the value of capitalistic productivity through modern education and systems are faced with a phase, upon marriage and childbirth, which forces her to adopt "motherly productivity" instead of capitalistic productivity. In result, women have come to produce and reproduce the ideology of motherhood. The capitalistic productivity is based upon the binary concept of modernity, which has been isolating men from home, women from society. This tends to limit women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to selecting programs that would maximize their motherly productivity. This study suggests that lifelong education and learning de-construct the binary concept of men/women, private/public, productivity/reproductivity to encourage women and men to re/conceptualize the "caring labor" as productivity in a true sense for the sake of sustainablity of human beings.

      • KCI등재

        여성주의 질적 연구방법이 평생교육학 연구에 주는 시사점

        나윤경(Nah, Yoonkyeo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11 평생교육학연구 Vol.17 No.1

        평생교육학 분야는 물론, 한국 교육학계 전반의 연구에 걸쳐 질적 연구방법은 다른 인문사회과학 분야에서의 연구와 비교할 때 주요한 연구방법으로 자리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젠더를 분석틀로 하는 연구 역시 한국 학계에서는 매우 드물다. 본고는 '과학적' 혹은 '객관적'연구가 결국은 남성들의 주관성에 근거한 연구라는 스탠리와 와이즈의 틀로써 지금까지 '고전'의 위치를 차지해온 연구들이 가리고 있는 여성과 관련한 진리가 드러나야 한다고 주장한다. 여성에 대한 진리가 드러나기 위해서는 그녀들의 경험과 시각에 근거한 여성주의적 관점, 즉 분석 틀로서의 젠더가 연구에 적용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또한 소수자인 여성의 경험세계가 보다 깊이 있게 이해되기 위해서는 질적 연구방법과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진행된 사회과학적 논의들이 평생교육학 연구자들에 의해서 기꺼이 수용, 전유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것이 체계적으로 가능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연구중심 대학을 표방하는 대학교의 대학원생들은 그들의 수학 과정 중 질적 연구방법과 젠더를 분석 틀로 사용하는 사회과학과의 소통에 노출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현재처럼 소수자와 다양성의 문제가 중요하게 부각될 때라면 더욱더 그러하다.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has not been hired by/in the field of education research as wildly as it has been in othe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in Korea.. It is particularly true of in the research of lifelong education. Also, few research has employed gender as a research framework in Korean academia. This article states that women's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which have been covered by male-centered research orientation, nontheless pretending to be scientific and objective, should be visualized and deeply understood. To accomplish this objective, it is pivotal to apply feminist perspectives to research process as well a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Research-centered Korean universities are required to provide their graduate students with course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nd feminism within their curricular, so that those students may conduct research on social minorities and diverse voices they may bring with them. It is so true of current Korean society where the issues of minorities and diversity gets keener.

      • KCI등재

        교육소비자에서 교육주체로 : ‘새로운’ 공교육 주체에 대한 담론화

        나윤경(Nah Yoon kyeo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16 평생교육학연구 Vol.22 No.4

        본 논문은 서울시 교육청이 공교육 정상화 방안으로 ‘일반고 전성시대’를 표방하며 2015년 서울시 일반 고등학교 학생 40명을 대상으로 7개월 간 실행한 <오디세이 학교>에 대한 참여관찰 연구의 일부이다. 연구과정 중 <오디세이 학교> 학생의 부모가 자녀의 입학지원을 위해 작성한 보호자 의견서와 이들과의 인터뷰에서 일반적으로 ‘교육열’의 대명사로 불리던 한국의 ‘학’부모지형에 변화가 생겼음이 감지되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변화를 학부모들이 교육 ‘소비자’에서 교육 주체로 새롭게 구성된 현상으로 의미화하고자 한다. 이 변화가 대안교육 현장이 아니라 일반 공교육 현장에서 나타난 것이기에 그 의미가 적지 않다. 이명박 정부 하에 시행된 <고교다양화 300 프로젝트> 이후 ‘다양화’의 명분 아래 ‘자율형’ 사립학교가 그전까지 꾸준히 진행되어 온 교육의 시장화를 본격화 시키며 학부모들을 ‘소비자’화 해 왔다. 시장화 된 교육의 목표를 단적으로 드러내는 성적이나 이른바 스펙 등을 전제하는 도구적 학습이 아니라, 자녀들에게 인문학적 의미의 성장과 학습을 독려하는 이 부모들의 출현에 대해 교육학계가 담론화 해야 할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특히 직업교육과 자기계발 등 도구화된 교육담론을 주도해 왔다는 혐의에서 자유롭지 않은 평생교육학계가 바로 이 부모들에게 주목하고 담론화 함으로써 도구적 교육관과 결별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This article is about Odyssey High School, which was established by the Office of Education-Seoul in cooperation with uncertified alternative schools as an experimental public alternative school in 2015. Forty 1st graders of high schools in Seoul were enrolled with Odyssey School and participated in three cooperating alternative schools for 7 months. Programs provided by these schools include performing arts, film-making, and music in addition to their basic humanity courses such as reading, writing, and dialogues that are aimed to promote critical and reflective ways of thinking. Parents sending their children to Odyssey High School indicate that Korean parents notoriously known for their excessively demanding attitudes toward children’s instrumentalized learning as the status quo are changing. The present study is intended to highlight them as subjects of education in comparison with consumers of education. Those parents who have been conspicuously extravagant with marketized education are not simply excessively demanding but are ‘backward’ in the era of 1% of ‘elites’ governing the 99% as long as the current system maintains. The goal of becoming part of the 1% is not something achieved but given as evidenced in the popular sarcasm of ‘silver-spooned vs. mud-spooned’ in Korea. These parents who penetrate the context in which their children are situated and provide them with critical and reflective education within the frame of public alternative schooling, rather than supporting them to be as competitive as the silver-spooned, deserve attention because they are the ones who challenge the conventional way of instrumentalized learning in Korea, with which the academia in Korea has hardly intervened.

      • KCI등재

        기혼자들의 '외도'를 통해서 본 한국 사회의 가족, 그 평생교육학적 의미

        나윤경(Nah, Yoon Kyeong),박은실(Bark, Eun Sil),강미연(Kang, Mi Youn),서정미(Suh, Jung Mee) 한국평생교육학회 2009 평생교육학연구 Vol.15 No.4

        자기계발만이 최고의 가치가 되어 가고 있는 신자유주의 맥락에서 '영혼의 위안처'로서의 위치를 가져 왔던 가정이 부부에게 갖는 의미는 어떤 것일까? 특히 신자유주의 시대에 중산층 가정에서 일고 있는 변화는 자녀의 계층을 유지, 상승시키기 위해 돈 버는 기계로 변한 아버지, 교육 매니저로 변신한 어머니가 두 영역간 역할 차이를 더욱 공고히 하며 가정을 자녀 중심의 '사교육 프로젝트'를 실행하는 도구적 공간으로 만들어 낸 것이다. 이제 아무도 가정에서 위로 받을 수 없으며, 자녀를 중심으로 한 중산층의 사교육 프로젝트는 남편의 경제력과 아내의 정보력만을 요구할 뿐이므로, 부부간의 대화는 물론 다툼도 적게 만들고 있다. 본 연구는 바로 이러한 맥락에서, 그렇다면 지금 사람들은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을 가능하게 하는 '친밀감'이라는 가치를 가정 내에서, 그것이 불가능하다면 가정 밖에서 어떻게 만들고 경험하고 있을까라는 질문을 던진다. 만일 친밀감과 사랑이 이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전유되고 있다면, 그것은 평생교육학적 관점에서 어떠한 의미를 갖게 되는가라는 질문도 던진다. '인적자원개발'이라는 명분으로 신자유주의의 자기계발 담론에 저항적 실천이나 담론을 펼치지 못한 평생교육학의 역할에 대해 비판적 성찰이 요구된다고 주장한다 In the context where the ideology of 'self-development' is counted the most, what does 'home', which once meant to be 'the shelter of the soul', mean by to married couples in the Korean society? In particular, changes taking place in Korean middle-class families in the Age of neo-liberalism are that husbands and wives became instrumental for escalating their children's socio-economic class and resulted in reinforcing the division of gender labor and turing home into an instrumental place where "after-school private education" is brought about. No one is being taken care of in home and no one is arguing or fighting at home because the project of "after-school private education" requires only husbands' economic and wives' informational ability. In this vein, researchers ask where Korean married couples obtain 'intimacy' which we think makes human beings social beings; if home is not the place where intimacy can be found, elsewhere they seek for it. If intimacy is appropriated by those who are "outside" the marriage, what does this mean by to life-long education.

      • KCI등재후보

        자녀 사교육을 통한 모성 구성과정 - 평생학습자로서의 성인 여성에 대한 이해의 한 방식

        나윤경(Nah Yoonkyeong),태희원(Tae Heewon),장인자(Jang In-Ja) 한국평생교육학회 2007 평생교육학연구 Vol.13 No.4

          본 논문은 30, 40대 고학력 중산층 여성들의 사교육을 통한 모성수행을 강제하는 문화적 지형을 그리며, 과잉된 한국적 모성 수행 주체인 여성들에 대해 평생교육이 어떠한 개입을 모색해야 할지 질문한다. 모성 수행의 가장 큰 부분을 자녀(사)교육으로 규정하는 담론들은 여성들의 자녀교육에 대한 몰입과 헌신이 자발적인 ‘극성’으로 보이게 만든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여성들을 교육 담당자로 호명하고 상벌로 훈육하는 가족 내·외부의 가부장성이 존재한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처럼 고등교육을 경험한 어머니들은 자녀교육에 대한 책임과 의무를 이행하지만, 그것이 갖고있는 모순과 한계를 알고 있으며, 그럼으로써 책임과 의무에 몰입하기보다는 ‘수행’하면서 ‘자신만의 길’ 찾기를 유예하지 않기도 한다. 이들은 한국 사회에서 여성들이 남성과 유사한 종류의 ‘시민권’을 획득하는 것이 현재로선 매우 어렵다는 것을 알고 있다. 따라서 현재 모성 수행의 시간은 여성들에게 가부장사회에서의 시민성을 보장해주며, 후일 새로운 일을 도모할 수 있게 해주는 준비의 기간일 수 있다. 이 지점에서 본 연구는 평생교육의 개입을 모색하려 한다.   This article is intended to map out the cultural influences of patriarchism that have been reinforcing the "conventional" motherhood to women in their 30s and 40s with K-12 children and asks how lifelong education will be involved with these women who are "acting out" the reinforced motherhood as an "education manager." The present discourses in which middle-aged women are defined as "education manager" contribute to making these women look hyper-active and autonomous in managing their children"s educational matters. However, behind this scene there exists patriarchism inside and outside families that disciplines mothers into the position of a manager for their children"s education by giving them both punishments and rewards. Although women like the interviewees for the present research who are highly educated and are in the middle class fulfill responsibility and obligation for educating children, they see-though its drawbacks and strengths, so that they just "act out" good motherings and never delay their exploring endeavors toward the "ways of my own." These women have known that Korean women are not equal to men when it comes to the matter of acquiring "citizenship." In this sense, during the time when women act out the "pre/pro-scribed" motherrhood they could take an advantage of this period as an opportunity for them to prepare themselves for designing their future as a "full citizen." Researchers of the present study find this point for lifelong education to be involved with. This is because without understanding of the acted-out motherhood of women in their 30s and 40s, it would be impossible to perceive them as lifelong learners as they have been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