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식인-시인’의 시적 과제와 이상(理想)

        나민애(Ra, Min-ae) 한국현대문학회 2014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3

        본 논문은 시인 신석초의 시사적 의의를 재조명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석초는 유명에 비해 그 논의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시인에 해당한다. 이러한 상황은 석초의 작품 수준이 미달했기 때문이 아니라 작품 외적인 기타 사항에 기인하고 있다. 신석초는 지극히 전통적인 가문에 태어나 그 유풍을 태생적으로 익히고 중세적 교양교육을 정통으로 받은 문인이다. 그리고 이 전통적인 인문 교양의 입장이 근대 문물과 충돌하고 조화되는 과정을 시적으로 훌륭히 소화해낸 시인이기도 하다. 신석초의 문학 세계 안에서는 이미 소멸한 세계와 현재 도래한 세계라는 상반된 요소가 충돌하고 있는데 이 충돌의 의의를 규명할 때 과거의 전통이 현재 문학의 장에서 어떻게 진화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석초를 통해 이 검증을 진행할 수 있다면, 신석초의 문학은 시인 개별의 문제가 아니라 중세와 근대를 걸쳐 이루어진, 중세적 지식인의 근대적 문학인으로의 변모라는 흐름을 확인하는 지표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의식 하에 본고에서는 석초의 작품 전반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분석 과정에서는 최대한 원전을 참고하고자 했으며 그 과정에서 신석초의 작품세계를 ‘바라춤’-‘프로메테우스’-‘처용’의 세 유형으로 분류했다. 이 분류는 그의 ‘지성시’의 발로와 흐름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작품 세계 안에 보이는 제 유형의 작품군은 ‘지식인-시인’으로서의 시적 모색을 구체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본고에서는 석초가 고수한 ‘지식인-시인’으로서의 정체성이야말로 전통적 문인으로서의 자의식이 근대적이고 문학적인 형태로 변모한 바라고 파악한다. 즉, 석초의 지성적인 자의식은 세대/계승/변화의 키워드와 맞물려 있으며 이 자의식의 문학적인 발로인 ‘지성시’의 면면에서는 문명과 지성에 대한 시인의 정신적 주유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 덧붙여 본고에서는 신석초의 정신세계를 형성한 주변망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인보와의 만남, 이육사와의 공통 분모 등을 통해 신석초의 내면 세계를 추적하고자 했다. 물론 신석초 일인으로는 ‘지식인-시인’이라는 거대한 흐름의 일부만을 확인할 수 있지만 이를 발화점으로 삼아 전통의 문학적 계승을 규명하는 후속 작업이 시작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alue a poetic significance of Shin Sok-cho. Even though he has been one of famous poets, study results about him and his literature have been not much. This situation is not cased by level of the work but external situation. He was born in a traditional family and received a traditional liberal arts education. But when he was grown, he was middle of a period of cultural upheaval. At this point, his poecical importance was apparent. He brilliantly obtained poetic results in the process of conflict of the base of traditional liberal arts and modern civilization. So through his poetic achievement we can identify how medieval consciousness came into conflict with modern consciousness. And we can identify how medieval consciousness achieve harmony with modern consciousness, too. In this study we regard him as one of symbolic and significant indexes about a literary transfiguration of the medieval intellectual class. This study attempted to classify his texts by three type, i.e., Bara dance style, Prometheus style, Cheoyong style. This typical analysis is expected to clarify a groping of ‘intellectual-poet’. Based on such aim this study examine the literature and spiritual network just like contact with Lee Yook-sa and Chŏng In-bo to check a track of his inner world. If it is proved that ‘intellectual-poet’ is proceptive appearance of medieval intellectual class in modern times, it might embody the internal pursuit of the modern Joseon literature more specifically.

      • KCI등재

        공군 기관지 『코메트』의 문학사적 의미와 가치 연구 - 수록된 시작품 분석 및 새로 발굴된 작품을 중심으로

        나민애(Ra, Min-ae) 한국현대문학회 2020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62

        공군 기관지 『코메트』를 문학 연구의 목적으로 고찰한 이 논문은 이 잡지를 만든 문인들의 참여와 수록된 전체 시 작품을 분석한 결과물을 담고 있다. 『코메트』는 1952년부터 1961년까지 총 49권 발행된 공군의 기관지인데 이 시기는 한국 전쟁 및 전후의 상황과 겹쳐 있다. 그러다보니 자연스럽게 이 잡지는 전시 종군 문인단의 활동, 전후 시인들의 창작물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가 된다. 『코메트』는 공군 본부에서 정훈을 목적으로 발행한 잡지임에도 불구하고 매우 다양한 문화 영역을 소개하고 다루는 점에서 특이한 점이 있다. 또한 49건의 발행물 중 2건을 제외한 모든 권호에 시를 수록하여 총 150편이 넘는 창작시를 담아내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시부문에서는 정훈을 의도적으로 지향하는 작품보다 자유롭게 시심을 펼친 다양한 주제의 작품의 작품이 많았다. 『코메트』의 풍성한 문예면 및 고정적 시 코너의 운영은 1950년대 문인들에게는 상당한 도움이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본고에서는 『코메트』지의 출발과 운영, 구성에 대해 전반적으로 살펴 잡지의 의미를 밝히고 나아가 모든 시 작품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유치환, 박목월, 박두진, 김규동, 조병화의 시집 미수록작 9편을 발굴했다는 점에서 『코메트』지와 이 논문의 의의를 가름하고자 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agazines named Comet made by the Republic of Korea Air Force in the 1950s and the poems published in them. The magazines Comet were published from 1952 to 1961. The purpose of the magazine was to boost the morale of the Korean military and raise the status of the Korean military to the people. The magazine began publication when the Korean War broke out. So naturally, the magazine includes literary activities during the war. After the Korean War, poets published several poems in Air Force magazines. Therefore, the magazine provides a good source of information on the activities of writers during the Korean War and the 1950s poetry materials. Magazine Comet have introduced a wide variety of cultural areas. It contained a total of 154 poems. The poems contained in Air Force magazines were more free-themed than military-related poems. In this paper, we look at the beginning, operation and composition of magazine Comet in general. The study then reveals that the magazine needs to be considered in the field of literary research. And in this study, the list of all the works in this magazine is compiled and the results are analyzed. An analysis of magazine Comet found new works by poets in this paper. The works of famous poets were not published in their poems, but they remained in this magazine. This paper contains newly discovered poems.

      • KCI등재

        김준오(金埈五) 시학(詩學)에서 ‘동일성(同一性)들’의 중층적 의미(意味) 연구 -저서 『시논(詩論)』을 중심으로

        나민애(羅民愛) ( Ra Min-ae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1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9 No.2

        본 논문은 김준오의 『시론』을 바탕으로 그의 시학이 지닌 의미를 상세하게 논구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동서고금 시론의 종합판이자 한국 문학의 특수성을 반영한 주체적 시론으로서 김준오『시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동일성’의 문제를 빼놓을 수 없다. 본고에서는 동일성의 문제를 ‘동일성들’의 복수적 문제로 층위를 나누어 김준오의 시론을 파악하였다. 세계인식의 대전제로서 보편적 동일성, 서정시의 구성 원리로서의 동일성, 작품 창작원리의 구체적 양상으로서의 동일성으로 나누어 그것의 대상, 주체, 대상-주체의 관계, 그에 대한 저자의 태도를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동일성들을 원초적 이상향으로서의 ‘본질적 동일성’, 깨어진 동일성을 회복하려는 ‘방법적 동일성’, 창작과정의 구체적 양상으로서의 ‘선택적 동일성’으로 세분화할 수 있으며 시대적 필연성을 지니고 있음을 논구하였다. 동일성을 ‘동일성들’로 세분화하고 그것의 의미와 추구, 저자의 태도와 의도를 고찰하는 논의를 통해 보편성의 동일성과 특수성의 동일성을 아우르려는『시론』의 지향성을 보다 명확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Kim Jun-oh’s poetry by examining his book, The Poetry. The Poetry has wielded considerable influence since the 1980s when it was first published. Furthermore, it is recognized as a seminal book of poetry and an exemplary work. The Poetry, a comprehensive collection of existing poetic theories, can also be considered a subjective reflection upon the peculiarities of Korean literature. The question of identity can not be neglected while building an understanding of this book. This paper divides the topic of equality into multiple problems, which are termed “identities.” This study identifies such identities by dividing them into three. The first layer involves universal identification based on a premise of universal awareness. The second layer concerns the uniformity of lyric poetry as a constructive principle. The third level involves the identification of the principles of creation process. This paper examined these three categories of identities―the subject of equality, the target-subject relationship, and the author’s attitude toward it. Consequently, this paper identified essential identity as an original utopia, method identity to restore broken sameness, and selective identity as a concrete aspect of the creative process. Thus, the book’s orientation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segmenting identities into “identities” and by considering its meaning, pursuit, the author’s attitude toward them.

      • KCI등재

        제2의 동인지 시대와 『낭만』지의 시사적 의미

        나민애(Ra, Min-ae) 우리말글학회 2016 우리말 글 Vol.68 No.-

        이 논문은 『낭만』이라는 1936년대 잡지를 대상으로 그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잊혀진 잡지인 『낭만』지의 정당한 복권을 위해서는 『낭만』 하나에 국한된 논의를 벗어나 1930년대 후반의 전체적인 활동과 문단 안에 이 잡지의 위치를 파악해야 할 필요가 있다. 단 한번 출간된 잡지여서 실질적으로는 창간호로 종간되었지만, 의미적으로는 종간이 이후의 작업으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1936년 『낭만』이라는 문단적 결과물이 이후 37년, 38년을 거쳐 1939년에 『시학』지 4권과 1940년 『신찬시인집』으로 이어졌던 키워드는 민태규와 윤곤강 등의 인물이었다. 이들 문단적 짝패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제2의 동인지 시기로 칭할 만큼 활발한 문예지 활동이 선보였던 1930년대 후반의 지형도를 일부 이해할 수 있다. 본고는 『낭만』지가 이후 『시학』의 프롤로그적 역할을 십분 맡아 행했을 뿐만 아니라 1930년대 후반 동인지 시기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였다고 파악한다. 그리고 『낭만』이라는 제호가 때늦은 낭만주의의 신봉이 아니라 ‘낭만’이라는 과거의 유산에 ‘주지주의’라는 전대의 유산을 더해 새로운 ‘신낭만주의’의 주창이었음을 논구한다. 본고는 과거의 여러 성과를 종합한 이러한 기획은 당대 신세대 시인들의 ‘종합’에의 이상과 새로운 ‘조선시의 완성’이라는 기치와 연결되는 지점이 있으며 이 활동의 총체적 탐색을 통해 1930년대 후반 시단의 의의가 재구될 수 있다고 판단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and to revalue magazine 『Nang-man(浪漫)』. The dictionary meaning of ‘Nang-man’ is romance, but this magazine is not simple group that collected romanticism poems. 『Nang-man』 was born in 1936, and made some stream to the period of coterie magazines in late 1930’s. After first period of coterie magazines in 1920’s, there was a signal that new generation poets made new magazines and poetic movement. More specifically it connected to another magazine 『Si-hak(詩學)』 in 1939, and 『A newly compiled anthology(新撰詩人集)』 in 1940. Min, Tae-gyu and Yoon, gon-gang was literary mates that leaders of that stream. They wanted to make ‘the completion of Joseon-poetry’ and it meaned they tried to overcome a period of literature stagnation and pursued a accumulation and digestion of romantic literature and modernism literature in the past. It can be very important point to understand poetry and poets in late 1930’s. Through the general investigation on the second period of coterie magazines in 1930’, we can understand more distinct meaning of 1930’s literary topography.

      • KCI등재

        모더니즘의 본질과 시의 본질에 대한 논리적 충돌 : 1930년대 후반 시단의 세대논쟁 연구

        나민애(Ra Min-ae) 한국현대문학회 2010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2

        This study purposed to prove the meaning and development process on the Generation Debate of poetical circles in the last-1930's. Based on the history of criticism in korean literature, the importance of Generation Debate in the last-1930's has been generally recognized. Up to the present, attention of study on the Generation Debate in the last-1930's was centered upon novel circles. But there was Generation Debate not only in novel circles, but also in poetical circles. And this Generation Debate in poetical circles express a important reaction to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in Joseon-literature'. Generation Debate of poetical circles has begun from critics of Lim, Wha. He had a negative position on the new figures, but specially expressed an positive attitude to some poets, that is Oh, Jang-whan, Kim, Kwang-gyun, Yoon, Gon-gang. His attitude had a special purpose to earn back a essence of Modernism literature by helping some new poet to real generation representative. So he bitterly criticized Jeong, Ji-yong and new poets of 『Mun-jang』 magazine. But new poets of 『Mun-jang』 magazine gave their opinion by repute to Lim, Wha's critics. Actually this generation Debate of poetical circles was confrontation between Lim, Wha and Jeong, Ji-yong. And this opposition occurred from differences about 'who is the real new leader of new generation' and 'what's the new poetry spirit'. Lim, Wha regarded historicity and the sense of the tines as important with the object of succession of Modernism On the other hand Jeong, Ji-yong and new poets of 『Mun-jang』 magazine considered they would overcome a crisis of Joseon-literature through a pursuit on essential artistry. We can find comprehension and changing process of the time on concept of Modernism and concept of poetry from this Generation Debate of poetical circles.

      • KCI등재

        한국전쟁기 박목월 시인 작품 발굴 및 의의 연구 - 공군문고 시집 『창궁(蒼穹)』(1952)을 중심으로

        나민애(Ra, Min-ae) 우리말글학회 2021 우리말 글 Vol.89 No.-

        본 논문은 학계에 알려지지 않은 박목월의 시 두 편을 소개하고 그 의미를 고찰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기본 자료는 공군문고 시집 『창궁(蒼穹) 』(1952)으로서 이 시집은 전쟁기 종군 시집으로 유형화할 수 있다. 여기 수록된 박목월의 두 편 작품 중에서 「고요한 하늘은」은 개인 시집 및 전집에 누락된 작품으로서 박목월의 흔치 않은 정훈시로 성격 규정할 수 있다. 박목월의 특성을 드러낸 작품은 아니지만 전쟁기 종군 문인으로서의 활동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가 된다. 이와 함께 수록된 「군화」라는 시는 상당히 문제적인 작품으로 이 작품은 『창궁(蒼穹)』이후 시집이 아닌 시인 산문집에 수록되었음을 본고에서 확인하였다. 작품 분석을 통해 시 「군화」는 박목월의 중기 특성과 종군 문학적 소재와 결합된 작품임을 논증하였다. 『창궁(蒼穹)』이 개인시집과는 차별적인 전시의 합동 시집임을 전제할때 관련 논의를 통해 그동안 가려져 있던 박목월의 전시 활동이 규명되고 나아가 누락되었던 미수록작이 시인의 전체 작품 목록에 추가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written to introduce two poems by Park Mok-wol, unknown to the academic community, and to consider their meanings. The basic material is Chang-gung(1952), a collection of poems by the Air Force, which can be categorized as a collection of poems by the group writer of service in Korean war. Among Park Mok-wol"s two works included here, “The Quiet Sky” is a work omitted from his collection of private poems and works, which can be characterized as a rare poem by Park Mok-wol. Although the work does not reveal Park Mok-wol"s characteristics, it is a material that confirms his activities as the group writer of service in Korean war. Along with this, the poem “Gunhwa” was a very problematic work, and it was confirmed in its headquarter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work, it was argued that the poem “Gunhwa” was combined with Park Mok-wol"s mid-term characteristics and the literary material of the war. Assuming that Chang-gung is a collection of poems that are different from individual poems, it is hoped that related discussions will clarify Park Mok-wol"s exhibition activities, and that the missing works will be added to the poet"s entire list of works.

      • KCI등재

        1930년대 후반 ‘제2의 동인지기’와 윤곤강의 역할

        나민애(Ra, Min-ae) 우리말글학회 2016 우리말 글 Vol.70 No.-

        이 논문은 1930년대 후반 시단의 지형도를 확보하려는 연구의 일부로서 1930년대 후반 시문학이 지닌 주체적인 성격을 규명하고 시사적인 의미를 재론하려는 목적 하에서 작성되었다. 그 목적을 전제로 삼되 이번 논문에서는 윤곤강을 논의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 즉 이 논문은 1930년대 후반 시단의 특수성을 통해 윤곤강을, 반대로 윤곤강을 통해 1930년대 후반의 시단의 성격을 드러내고자 하는 시도를 담고 있다. 문학사의 집중적인 조명에서는 비껴 있지만 윤곤강은 당대 문단에서 괄목할 만한 활약을 펼쳤던 문인이었다. 그는 상당히 다채로운 활동을 벌인 비평가였으며 시집들을 펴낸 시인이었고 문예지를 탄생시킨 매체제작자였다. 이른 시기에 사망했기 때문에 활약이 해방 이후의 문단에까지 이어지지는 못했지만 윤곤강은 1930년대 후반에 새롭게 등장한 신세대 문인들 가운데에서도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한 활동을 했던 시인이었다. 사상적으로는 카프 계열의 문인이라고 평가받고 있지만 본고는 윤곤강의 진면목이 1930년대 후반 세대론과 세대교체의 열망, 그리고 다양한 문예지의 출간 및 기획을 통해 드러난다고 보고, 이를 중심으로 윤곤강을 재론하였다. 윤곤강은 《낭만》지를 만들었고 이것은 1930년대 후반 동인지 시기의 상징적인 출발이 되었다. 당시 신세대 문인들의 종합판이자 조선 시단의 축적된 시적 역량을 총체적으로 보여준 결실이었던 《시학》지를 만든 주역도 바로 윤곤강이었다. 이런 활동이 가능했던 필연성과 의미를 알아보기 위해서 본고는 《낭만》지와 《시학》지에서의 활동을 포함, 그 이전인 윤곤강의 문단 출발기부터 해방 직전까지의 상황을 고찰한다. 이를 통해 당대 신세대론을 이끈 시론가이자 매체제작자인 윤곤강의 활동을 보다 자세히 규명할 수 있으며 나아가 1930년대 후반 신세대의 시적 이상과 지향성을 확인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e one of aims of this study is to revalue Yun Gon-gang, especially pointed his role and poetics in the late 1930s. We can understand in more detail the situation at the time when showy and through his activities. Yun Gon-gang had a wide variety of activities. He was an active critic and poet, and had planned to publish the octerie magazine as 《Romantic》and 《Poetic》in the middle and late 1930s. He died in 1950, therefore a long time did not work. But his plays, especially among the new generation of new poets emerged in the late 1930s is remarkable. So far his work has been evaluated levels not very high and he He was recognized as the KAPF poets. However his true value revealed in his poetics activities and generational change at that time. He was one of new generation in late 1930’s and leader to plan and make coterie magazines. Through this study we can determine the orientation and ideals of a new generation of poets in the 1930s.

      • KCI등재

        『맥』지와 함북 경성(鏡城)의 모더니즘

        나민애(Ra, Min-Ae) 한국시학회 2014 한국시학연구 Vol.- No.41

        본 논문은 『맥』이라는 잡지의 전반을 고찰하고 그 의미를 새롭게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맥』은 지금까지 총 1~5집이 존재한다고 알려져 왔으며 그 내용이 파악된 것은 4집까지이다. 그런데 2014년 초 윤길수 소장가에 의해 『맥』 6집이 존재한다는 사실과 그 실체가 공개되었다. 본고는 새로 공개된 『맥』 6집까지 포함해 잡지의 전체를 다시 고찰하여 이 잡지의 의의를 새롭게 살피고자 했다. 그렇지만 본고의 목적은 비단 6집의 소개에 머무르지 않는다. 새로운 자료를 학계에 널리 알리는 것이 본고의 일차적 목적이되, 본고에서 본격적으로 제기한 문제의식은 『맥』이 지금까지 과소평가된, 매우 독특하고 중요한 잡지라는 사실이다. 본고에서는 1930년대 후반 지방 문단이 보여 준 활약의 하나로서 『맥』을 고찰하면서 그 의의를 확인하고자 했다. 『맥』지는 중앙 문단이 아닌 함북이라는 지방 문단이 지닌 지역성을 분명하게 대표하고 있었으며, 신인 중심으로 이루어져 당대 기존의 모더니즘 문학에 대한 비판적인 자세를 견지하고 있었다. 지방 중심이라는 점과 신인 중심이라는 두 특징으로 인해 『맥』지는 기존 중앙 문단과는 차별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었다. 즉, 함경도 경성(鏡城)을 지역적 구심점으로 삼은 잡지 『맥』은 지방 문단과 문인이 경성(京城)의 중앙 문단에서 활발하게 일었던 모더니즘을 어느 정도는 받아들이고 한편으로는 극복의 대상으로 삼은 결과물을 담고 있다. 구체적으로 『맥』지의 동인들이 뛰어넘고자 했던 기존 문학이란 1930년대 전반 모더니즘이라는 주류 사조와 정지용ㆍ김기림이라는 양대 문인의 성취였다. 본고에서는 『맥』지의 활동을 살핌으로써 1930년대 후반 시단의 세대교체를 확인하고 신인들의 새로운 시에 대한 모색이 지닌 의의를 규명할 수 있었다. 나아가 이 논의를 통해 한국 근대 문학의 발전이 경성(京城)과 유명 문인들에 의해 좌우된 것이 아니라 지방 문학과 신인 문학을 통해 한국화/토착화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and to revalue magazine MAC. The magazine has been known up to five books have been published up to now, by 2014 the beginning Yoon, Gil-soo has released the sixth volume of magazine MAC. Through this we can now better understand the entire magazine. Based on the 1-6 volumes of MAC, this study attempted to re-examin the whole magazine MAC, identify the significance. MAC is the literary coterie magazine which was publishes by young poets in late 1930’s, and key persons were poets of Gyeongseong(鏡城) in Hamgyeongbuk-do. This unique magazine clearly represented the locality of local literature of Hamgyeongbuk-do and showed a critical attitude to the existing literary world centering a celebrity in capital because most of members of that magazine were rookies and lived in local. At that time there was a main current based on two poet, Jeong, Ji-yong and Kim, Gi-rim in poetry world of Gyeongseong(京城) literature. But members of MAC had independent attitude on main literary current, and tried to surpass existing literature. They are new generation of literature and showed new aim and the necessity of change. It mean there was dynamic movement to seek of change with new generation as its center in literature of late 1930’s. Based on the achievement of MAC this study examine to identify they are a representative sample of replacement of literary generations in late 1930’s. Also their poetic achievement and attempt indicate that modernism of Joseon was naturalized and korean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