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 민주주의 이론에 기초한 PR 정체성 탐색 : 엘리트, 숙의, 경합적 민주주의에 관한 슘페터, 하버마스, 무페의 사상을 중심으로

        김홍중(Hongjoong Kim),이종혁(Jonghyuk Lee) 한국광고홍보학회 2021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3 No.2

        PR 연구의 지배적 패러다임은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모델에 기초해 유지되어 온 조직 중심의 기능적 연구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PR 연구 패러다임을 탐색해 보기 위해 민주주의 이론들을 바탕으로 PR이 갖는 정체성을 성찰해 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20~21세기 초까지 정치학에서 현대 민주주의 이론들이 전개되어 온 과정과 PR학에서 논의된 PR 모델들을 자기성찰적으로 비교 검토함으로써 양자 간의 상호 연관성을 탐색하였다. 1950년대까지 민주주의 이론을 사실상 지배했던 엘리트주의는 20세기 초 등장했던 선전 모델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20세기 후반 주도적 민주주의 이론으로 부상한 숙의 민주주의는 동 시대에 PR학을 지배한 쌍방향 균형 모델과 일정 부분 상응하였다. 한편 숙의 민주주의에 반발하며 등장한 급진적 민주주의 계열의 경합적 민주주의는 수사학적 옹호 모델의 정치 철학적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처럼 민주주의 이론 연구의 시각에서 PR 모델들을 고찰함으로써 사회적 맥락에서 PR이 갖는 정체성을 탐색하였으며, 포퓰리즘과 탈진실의 담론이 확산하는 전환기적 상황에서 민주주의의 퇴보를 막기 위해 다각적인 PR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dominant paradigm of public relations research has been organization-centered functional research on the basis of two-way communication model. This paper reflects on the identity of public relations in the democratic polity in an effort to pursue multiple paradigms in public relations research. By reviewing and comparing literature introspectively on the historic evolution of modern democratic theories and those of public relations models from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until the beginning of the 21<SUP>st</SUP> century, the relations between them have been explored. Elitism that had dominated the discussion on democratic theories until 1950’s was closely connected to and embraced Propaganda model which had been introduced in the early 20<SUP>th</SUP> century. Emergence of deliberative democracy as a leading democratic theory in the late 20<SUP>th</SUP> century corresponds to the dominance of two-way communication model over public relations research in the same era. On the other hand, agonistic democracy along the lines of radical democracy presented against deliberative democracy may become a potential theoretical basis of rhetorical advocacy model in light of political philosophy. As such the identity of public relations in social contexts has been explored by reviewing public relations models from the perspectives of democratic theories’ research. It presents the needs to research further the meaning of public relations in transitionary times with the spread of populism and post-truth discourses.

      • KCI등재후보

        1980년대 중국의 다다운동 연구 -황용핑의 샤먼 다다 활동을 중심으로-

        김홍중 ( Hongjoong Kim ),김도연 ( Doyeon Kim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6 예술과 미디어 Vol.15 No.1

        샤먼 다다는 1983년부터 1986년까지 중국 푸젠성의 샤먼에서 일어났던 현대미술 운동이다. 1980년대 중국은 문화혁명 이후 새롭게 문화와 예술이 피어나는 시기였다. 이 시기에 전국에서는 수많은 예술운동이 일어났으며 이들은 이후 89년현대예술전을 통해 하나의 조류로 정리되었다. 85신조라고 이후 이름 붙여진 예술운동 중 하나였던 샤먼 다다는 황용핑, 린춘 등의 작가들을 중심으로 20세기초 스위스에서 일어났던 다다이즘을 표방하여 반예술을 주장했다. 때문에 이들의 작품과 전시 활동은 85신조의 많은 예술운동 중에서도 가장 파격적인 형태였다. 특히 1986년 샤먼 신예술관에서 열린 《샤먼현대예술전》과 전시 후의 “전시작품개조, 훼손과 소각활동” 퍼포먼스는 중국 현대미술에 유래가 없던 극단적인 예술활동이었다. 86년부터 89년까지 샤먼 다다는 여러 전시와 퍼포먼스 등을 통해 당시 주류였던 전통적인 평면 회화나 조각과 완전히 다른 작품 세계와 기존 시스템에 대한 전복을 꿈꾸었다. 본고는 1980년대 중국에서 샤먼 다다라는 현대예술운동이 일어났던 배경부터 성립과 전개를 당시 발표되었던 사진 자료와 보도를 통해 살펴본다. 이들의 전시와 작품은 『중국미술보』등의 매체를 통해 중국현대미술계에 알려져 큰 반향을 가지고 왔다. 특히 황용핑은 자신의 글을 통해 샤먼 다다의 이론을 정립하는 등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샤먼 다다는 유동적인 단체였고 활동기간 또한 아주 짧았다. 하지만 문화혁명이 끝나고 막 예술과 문화가 표현을 시작하던 시기에 다른많은 예술운동들이 중국의 정치적 상황과 초기적인 작가들의 표현문제를 중점으로 다루었던 것과 달리 샤먼 다다가 예술과 작가의 근원적 문제에 접근하려 하였다는 것은 이들과 85신조의 다른 예술운동과의 가장 큰 차이였다. 또한 황용핑은 비트겐슈타인과 선종의 이론을 바탕으로 다다이즘의 재해석을 시도 하였다. 때문에 샤먼 다다는 비록 짧은 기간과 한정된 작품 수에도 불구하고 이후의 중국현대미술에 큰 영향을 주었다. 이에 본고는 샤먼 다다에 대한 연구가 중국현대미술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는데 큰 도움을 주리라 생각된다. Xiamen Dada is the Modern Art Movement occurred in Xiamen, a city of Fujian province China, from 1983 to 1986. In 1980s, China had the new blossoming period of Cultures and Arts after the China Cultural Revolution. In this period, many Art movements occurred from all over the China, and they became a new art wave called ‘85 New Wave movement. Xiamen Dada, which is one of the Art group of ‘85 New Wave’ claimed Anti-Art which expressing the Dadaism occurred in Switzerland during early 20th century. The Xiamen Modern Art exhibition, held in Xiamen New Art Center in 1986, and the performance that incinerating all the art works after the exhibition was the most extreme case of China modern art activity. This study explores from the background of Xiamen Dada Modern in 1980s China to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based on the photograph documents and press release at the time. These exhibitions and Huang Yongping’s article “Xiamen Dada: A Kinds of post modernism?” released through the ‘Fine Arts in China’ and other media resonated with Chinese modern art. Xiamen Dada was a flexible group and had short period of movement in China modern art history. However, from the historical point of view, Xiamen Dada was a distinctive movement that tried to approach the fundamental problems of art and artists. It was different from the other ‘85 New Wave’ that focused on China’s political situation, in the restarting period Chinese artists can express art and culture, right after the Cultural revolution. Besides, Huang YongPing re-interpreted Dadaism based on Wittgenstein’s and Zen meditation. Hence, even though Xiamen Dada had short period of time and limited art works, it has powerful influence on Chinese arts after. Therefore, this study of Xiamen Dada is expected to help in understanding diversity of Chinese contemporary art and providing new perspectives on Art.

      • e-Learning Program Developmen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Higher Education : Focusing on the Math Area

        김동일(Dongil Kim),황운재(Woonjae Hwang),김홍중(Hongjoong Kim),손지영(Jiyoung Son),김정호(Jeongho Kim),이기정(Kijeong Lee),신재현(Jaehyun Shin) 한국HCI학회 201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

        본 연구에서는 장애학생 고등교육 환경에서 수학 영역을 중심으로 e-러닝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여, e-러닝 프로그램 개발의 실제적인 고려사항과 장애학생 평가를 통한 개발 전략의 개선점이 무엇인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문헌연구를 통해 장애학생 대상의 e-러닝 설계 전략을 도출하고 수학 미적분학 내용에서 필요한 자료제시 전략을 실제로 구현하여 e-러닝 강좌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5 명의 장애학생들이 프로그램 구성과 인터페이스 등에 대해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수식을 디지털화하여 제시하는 특수 언어의 사용, 수식과 그래프의 대체텍스트 제공, 다양한 확대 및 설정 변경 기능, 동기화된 자막 제공 등이 실제적 고려사항으로 나타났다. 장애학생의 사용성 평가 결과, 수식과 그래프의 간결한 제시, 다양한 학습자 조절 기능 제공, 음성정보와 자막의 원활한 연동, 대체텍스트 제공의 보완, 단순한 화면 구성 등이 개선점으로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nd evaluate an e-learning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math area. An e-learning module of teaching calculus was developed according to design strategi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n, five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vision, hearing, and mobility disability) evaluated the usability of the e-learning program. The e-learning contents were consisted of learning materials in a variety of formulation, graph, and media to support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practical strategies of e-learning development are digitalizing formulas using MathML, providing alternative text, controlling various functions, and synchronized captions. Additionally, through the results of usability testing a number of solutions to improve the e-learning program were suggested as follows: concisely representing of formulation and graph, multiple controls of size and pace, smooth linkage between voice and captions, alt-text descriptions of most image files, and simple user interface design.

      • KCI등재후보

        중국 현대미술 작품에서 문화 유물의 재탄생 - 아이웨이웨이와 송동의 작품을 중심으로 -

        김도연 ( Kim Doyeon ),김홍중 ( Kim Hongjoong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6 예술과 미디어 Vol.15 No.4

        중국 현대미술은 지난 30년간 급속한 변화와 발전을 겪어 왔다. 새롭게 서양의 현대미술과 사상을 받아들인 작가들은 빠르게 이를 습득하고 자신들만의 방식으로 소화하였다. 1980년대가 중국 현대미술이 서양의 현대미술을 배우고 익히는 시기였다면 1990년대와 2000년대에 이르러 중국 현대미술 작가들은 새로운 관점에서 현대미술을 해석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관점과 해석 중에서도 본고가 주목한 것은 레디메이드 방식의 오브제 작품들이다. 특히 중국 작가들 중 일부는 문화적 유물 그 자체를 이용한 레디메이드 작품을 제작하였는데 본고는 그 대표적인 작가로 아이웨이웨이와 송동의 작품을 선택하여 연구하였다. 이 두 작가의 작품들은 중국의 긴 역사와 방대한 문화 자체를 그대로 드러냄으로 강력한 중국 성을 지닌다. 이 작가들은 왜 이렇게 문화유산을 이용하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무엇을 드러내고자 하는 것일까? 이러한 질문의 답을 찾기 위해 본고는 세 가지 방식, 파괴, 변형, 수집으로 문화유산을 이용한 작품들을 나누어 연구하였다. 아이웨이웨이는 한 대의 도자기와 같은 역사적 가치를 가진 유물을 떨어뜨려서 깨어버리거나 그 위에 새로운 색을 입히는 등 폭력적이고 파괴적인 방식으로 문화유물을 작품에서 이용한다. 이러한 그의 행위는 문화혁명과 언론의 탄압 등의 중국 현대사와 작가 자신의 개인사와 겹쳐져 더 많은 해석의 여지를 제공한다. 변형은 오브제를 활용한 작품들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방식이다. 높은 가치를 지닌 명대의 가구를 해체하고 재조립하여 가구의 용도를 바꾸는 아이웨이웨이의 변형은 가구에서 작품으로 오브제의 가치를 변화시킨다. 송동은 아이웨이웨이와 달리 흔하게 버려져 있는 창문틀과 문틀로 조각적인 오브제를 만든다. 송동은 오랜 기간 동안 각종 생활 용품을 수집한 어머니와 함께 작품을 제작하였다. 이 수집품들은 지극히 사적인 물건들을 통해 현대 중국의 가까운 과거를 다시 돌이킨다. 이렇게 특별한 가치를 지닌 사물들로 제작된 레디메이드 작품들은 기존의 뒤샹의 레디메이드와 완전히 다른 맥락에서 오브제를 이용하고 있다. 이들은 서사성을 강조하고, 개인적인 취향을 강하게 드러내며 시각적인 효과를 이용하는 것에도 주저하지 않는다. 특히 전통과 문화적 정체성을 주저하지 않고 강조하는 것은 후동방주의와 같은 선상에서 중국 현대미술의 대표적인 전략 중 하나이다. 중국의 전통과 정체성을 드러내는 현대미술의 전략과 작품에 대한 이해는 전통과 그의 활용이라는 동일한 과제를 지닌 우리 현대미술에도 의미 있는 참고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Contemporary art in China has experienced huge changes and rapid advances for the past 30 years. While 1980s was time for Chinese contemporary art to grasp and learn that of western, in 1990s and 2000s Chinese contemporary artists started to produce their works interpreting contemporary art in a new perspective. Among these new trends, this article focused on ready-made object works. Some Chinese artists particularly have produced ready-made works adopting a few artifacts that reflect China`s culture and history, which can be well exemplified by works of Ai Weiwei and Song Dong. Ai and Song both possess strong "Chinese" identity by revealing China`s long history and copious cultural identity itself in their works. Why do they use cultural heritage in their works and what do they want to represent through it?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article examines the works that made use of cultural heritages in three subcategories: destruction, transformation, and collection. Ai uses cultural heritages in violent and destructive ways, such as breaking or re-coloring old Han dynasty porcelain to make his art works. His act overlaps with the artist`s personal history and the Chinese modern history including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and the repression of the press, leaving more room for interpretation. Transformation is one of the most common ways when artists use objects in their works. Ai transforms Ming dynasty furniture that has high value in antique market into his own works, which alters the value of the objects from antique artifacts to art works. Unlike Ai, Song has made sculptural objects using many common items, such as old and abandoned window frames and door frames. Song also made some installations with his mother, who has a huge collection of old daily supplies. This personal collection brings back the near past of China. Ready-made art works which are made from items that have special values use objects in a context completely different from Duchamp`s. These works emphasize narrativity, strongly show personal preference, and have no hesitation in using visual effects of objects. Decidedly emphasizing tradition and cultural identity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strategies of Chinese modern, and it can be understood in association with the notion of Post-Asianism. Comprehending the strategy and works of contemporary art revealing Chinese tradition and cultural identity is expected to be a significant example for Korean modern art that shares the same task such as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radition.

      • KCI등재

        데리다의 『아카이브 열병』과 지연된 사후 작용

        김연희 ( Kim¸ Yoenhee ),김홍중 ( Kim¸ Hongjoong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20 예술과 미디어 Vol.19 No.1

        자크 데리다의 『아카이브 열병(Archive Fever: A Freudian Impression )』(1995)은 데리다가 1994년 런던에서 열린 국제 콜로퀴움에서 주어진 강의를 기초로 한 책이다. 데리다는 발표 장소인 프로이트 문헌소(Freud Archives)를 ‘프로이트의 집’으로서 정신분석과 연결하여 아카이브 너머에의 무의식을 다루고 있다. 글에서 데리다는 아카이브가 어떠한 외부적 장소에서 아카이브를 파멸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고 쓰고 있다. 이에 본고는 프로이트의 몇 가지 에세이(논문)를 근거로 지연된 사후 작용(deferred action)이 작동하는 방식이 꿈-무의식에서처럼 아카이브의 전제 조건인 망각과 기억에도 소급할 수 있다고 가정했다. 즉, 어떤 대상을 바라보는 관찰자의 실제 움직임으로 인해 과거를 틀 짓는 방식이 우리의 현재 위치에 의존한다고 보았다. 이는 데리다도 언급했듯이 아카이브 자체의 내재적 구조가 라캉의 정신분석학의 관점과도 연결되는 지점이다. 또한 프로이트의 지연된 사후 작용을 설명하는 데에는 ‘대타자의 욕망’이라는 라캉의 욕망이론이 보완을 해야 할 것이다. 이와 유사한 관점에서 할 포스터의 글 「아카이브 충동(An Archival Impulse)」을 보자면, 아카이브적 충동이 “대체로 상징적인 질서를 방해하는 비뚤어진 계획”이라고 결론 짓는다. 이는 라캉의 구조에서 보자면 대타자(권력자, 아버지, 왕)를 소환하는 식의 보수적 욕망이 아닌 창조적인 구조로 연결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런 데리다의 논의에 의해 추론된 ‘아카이브 아트’는 결코 총체성을 보여주거나 기억을 그대로 소환하는 작업은 아니다. 본고는 데리다의 글을 통해 아카이브 자체의 욕망이 지연된 사후 작용에 의해 구성된 것으로 보고 데리다의 주이상스적 아카이브 작업에서 긍정성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rchive Fever: A Freudian Impresion(1995) by Jacques Derrida has its basis on the lecture that took place at an international colloquium in London in 1994. In Freud Archives, Sigmund Freud’s home where Derrida presented his essay Archive Fever: A Freudian Impression, Derrida interrogates psychoanalysis, especially a realm of unconsciousness beyond the archive. Derrida states that the archive aims to deconstruct the notion of archiving in an external space. Based on Freud’s essays, this paper discusses an assumption that the way of deferred action being conducted may be casted from the prerequisite qualities of archive, oblivion and memory, like in the dream-unconsciousness. That is, our current place is a heavily dependent matter on the way a witness’s observation of a subject matter defines the past. As mentioned by Derrida, an immanent structure of archiving aligns with Jacques Lacan’s perspective on psychoanalysis. In explaining one of the keys to Freud’s metapsychological system, ‘deferred action’,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desire that is at the center of Lacan’s theory and practice is substantial. A similar perspective, in Hal Foster’s essay “An Archival Impulse”(2004), Foster speculates ‘archival impulse’ as an obscure plan disturbing relatively symbolic order. From Lacan’s viewpoint, it means the process of approach to the creative structure rather than a conservative desire of summoning the others (superior, father, king). Referring to Derrida’s essay on archival desire of which underlies a deferred action caused by a desire of the others, this paper aims to find the positivity by navigating through methodological archival work

      • KCI등재

        집단적 기억 개념을 통한 동시대 한국 미술 사례 분석 - ‘만들어진 전통’의 전복과 비물질적 기념비 -

        배혜정 ( Bae Hyejeong ),김홍중 ( Kim Hongjoong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7 예술과 미디어 Vol.16 No.2

        피에르 노라(Pierre Nora)는 『기억의 장소(Les Lieux de Memoire)』의 서두에서 “요즘 우리가 기억에 대해 그토록 이야기를 많이 하는 것은 이제 더 이상 기억이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언급하며 망각에 저항하는 기억에의 요청을 주지하였다. 기억에의 요청은 세월호 사고 이후 상황들과 위안부와 관련된 논쟁 등 근래 한국 사회에서도 공명한다. 이는 기억이 단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차원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에서는 집단적 기억 연구의 선구자라 할 수 있을 모리스 알박스(Maurice Halbwachs)의 논의를 필두로 기억의 사회적 성격을 고찰하였다. 알박스에 따르면 공동의 기억은 공동체의 정체성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이다. 나아가 근대 이후 위로부터의 정체성 만들기는 도구적 사용으로 ‘만들어진 전통’으로 기능한다. 이러한 에릭 홉스봄(Eric Hobsba um)의 ‘만들어진 전통’ 논의를 통해 전반부에서는 최정화(1961-)와 함경아(1966-) 작가의 몇몇 작품들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을 통하여 이들 작가들은 위로부터의 기억 만들기를 통찰하고 이에 대하여 전복을 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논문의 후반부는 기념비라는 집단적 기억의 표상 형식을 고찰하는 것에서 출발하였다. 역사와 함께해 온 기념비 문화는 20세기 초반 사회·역사적 상황과 예술에서의 재현의 문제로 인하여 다른 양상을 보인다. 그러나 기억에의 요청은 이러저러한 사회적·자연적 재난의 현장에서 여전히 공명한다. 정연두(1969-)와 백현주(1983-) 작가는 각각 동일본 해일과 세월호 사고를 작품 속에서 다루었다. 이러한 트라우마의 기억은 이들 작업의 기념비적 성격을 통하여 트라우마를 극복하는 성찰로 나아가는 것으로 기능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논문은 이러한 두 작가의 작업을 ‘비물질적 기념비’로 정의하고 비경험자의 트라우마와 성찰을 고찰한 도미닉 라카프라의 역사적 트라우마 논의를 통해 이 과정을 살펴보았다. Pierre Nora notes in Realms of Memory that “we speak so much of memory because there is so little of it left.” Such a request for memory is also raised in Korean society, apropos of the Sewol Ferry Disaster and the debates of Japanese sex slaves in Korea. For this reason, memory is an issue not at an individual level but at a social one. I want to demostrate a few art works of Korea contemporary art related collective memory and trauma of community. It begins with a discussion raised by Maurice Halbwachs, a progenitor of researching collective memory. He argues that collective memory is essential to maintaining a community’s identity. Also, according to Eric Hobsbaum, since modern times, forging identity from above has had instrumental use as ‘Invention of tradition.’ The artists to be reviewed in the first half of this thesis in regards to this discussion by Hobsbaum are Choi Jeonghwa(1961-) and Ham Kyungah(1966-). These artists seem to have insight into making memory from above and intend to overturn it. The second half of this paper starts from a consideration of ‘monuments’ as a representation of collective memory. Monuments has taken on a different form due to the social and historical situations of the early 20thcentury and the problem of representation in art. However, our request for memory echoes at the scenes of diverse social and natural disasters. Jung Yoendoo(1969-) and Heaven Baek(1983-) re-spectively dealt with the Tohoku earthquake and tsunami and the Sewol ferry disaster. I want to review the monumental trait of their works as a overcoming the social trauma related such disasters. This process will be reviewed through discussionson ‘historical trauma’ and ‘working through’ by Dminick LaCapra who provides a broad-ranging inquiry into the problem of trauma.

      • KCI등재

        New PAPR Reduction Method for Spatial Modulation

        Yulong Shang(상위롱),Hojun Kim(김호준),Hongjoong Kim(김홍중),Taejin Jung(정태진) 한국통신학회 2014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9 No.1(통신이론)

        In this paper, a new peak-to-average power ratio (PAPR) reduction method for spatial modulation(SM) is presented. By using the matrix with all non-zero elements to precode the signals before transmitting, the transmit power is scattered over all transmit antennas for achieving the goal of PAPR reduction. If this matrix is also an unitary matrix, the distribution of transmit power over transmit antennas will be uniform and it also could retain the characteristic of avoiding inter channel interference (ICI) due to the orthogonality of unitary matrix. In case of a non-ideal amplifier, the proposed method can produce a considerable improvement that increases with a number of transmit antennas in performance. Furthermore, the new scheme achieves an identical performance with conventional one in the case of ideal amplifi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