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yper Parameter Tuning Method based on Sampling for Optimal LSTM Model

        Hyemee Kim(김혜미),Ryeji Jeong(정례지),Hyerim Bae(배혜림)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4 No.1

        As the performance of computers increases, the use of deep learning, which has faced technical limitations in the past, is becoming more diverse. In many fields, deep learning has contributed to the creation of added value and used on the bases of more data as the application become more divers. The process for obtaining a better performance model will require a longer time than before, and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find an optimal model that shows the best performance more quickly. In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ing a tuning process that changes various elements of the neural network model is used to improve the model performance. Except Gride Search and Manual Search, which are widely used as tuning methods, most methodologies have been developed focusing on heuristic algorithms. The heuristic algorithm can get the results in a short time, but the results are likely to be the local optimal solution. Obtaining a global optimal solution eliminates the possibility of a local optimal solution. Although the Brute Force Method is commonly used to find the global optimal solution, it is not applicable because of an infinite number of hyper parameter combinations. In this paper, we use a statistical technique to reduce the number of possible cases, so that we can find the global optimal solution.

      • KCI등재

        다문화가정 아동청소년과 비다문화가정(한국인 부모가정) 아동청소년의 학교적응 비교 연구

        김혜미(Kim, Hyemee),문혜진(Moon, Hey Jin) 한국사회복지학회 2013 한국사회복지학 Vol.6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과 비다문화가정 아동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을 비교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 아동·청소년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여러 혼동 변수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다문화/비다문화가정 아동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비교함으로써 두 집단간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다문화가정 아동청소년은 평균적으로 비다문화 가정에 비해 학교생활 적응 수준이 낮은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매칭방법을 통하여 개인과 가족특성, 부모의 양육방식의 특성을 조정한 이후에는 두 집단 간 학교생활 적응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외국인 부/모를 가진 다문화가정 자녀라는 특성이 이들의 학교생활에 위험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는다는 점을 알려주며, 다문화가정 자녀의 취약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다문화 가정 여부와 무관하게 자녀의 학교생활 적응에는 자아탄력성과 긍정적 양육방식이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아 탄력성을 강화시키는 개입의 필요성과 아동청소년 뿐 아니라 그들의 가족까지를 포괄하는 개입을 통해 학교생활적응을 제고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School adjustment has been a popular topic among scholars in multicultural family studies, and they commonly report poor adjust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owever, without subjects for comparison, these findings may be considered premature. This study investigated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y comparing their adjustment level to that of children from families with Korean parents. By using the matching procedure, this study examined whether children's multicultural family background attributes to their school adjustment with children's observable characteristics paired and matched. For the analyses, the first and fourth wave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data were used. When the school adjustment level was examined before the matching procedure, the school adjustment level was indeed lower among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family status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school adjustment. However, when two groups were paired and matched using matching, the family background had no significant effect, indicating that school adjustment is not predicted by their multicultural family status.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are also discussed in the paper.

      • KCI우수등재

        성인기 자아존중감 변화와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김혜미(Kim, Hyemee),문혜진(Moon, Hey Jin),장혜림(Chang, Hae-Lim) 한국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사회복지학 Vol.67 No.1

        사회복지 실천현장과 학술 연구 분야에서 자아존중감의 중요성은 점차 높아지고 있으나, 자아존중감과 자아존중감의 변화에 대한 국내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자아존중감의 변화과정에 주목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추정하는데 목적을 두며, 특히 개인별 특성 요인과 더불어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개인내 변화요인의 영향을 동시에 추정함으로써 자아존중감의 변화 과정을 입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분석 대상을 연령층으로 구분하여 영향 요인들의 효과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생애주기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변화 과정을 조망하였다. 한국복지패널 1~8차 자료 중 19세 이상 성인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다수준 성장 모델을 적용한 결과, 성별, 교육수준과 같은 고정된 개인별 특성 뿐 아니라 가족, 사회적 관계, 고용 및 혼인상태 등 변화 요인들이 자아존중감의 발달궤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영향이 연령층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이 확인되었다. 이는 자아존중감이 성별과 같은 개인적 특성과 더불어 심리사회적 상태 등의 복합적 산물이며, 상태적 특성을 가진 자기개념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개인의 상황적 욕구에 대한 적합한 대응을 통해 자아존중감이 향상될 수 있음을 함의한다.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development of self-esteem from young adulthood to old age, as well as predictors of change in self-esteem over time. The eight waves of Korean Welfare Panel Data(KOWEPS) were used for analyses, and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15,511 individual aged 19 years and above were included. The multilevel growth curve model was specified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 shows that the self-esteem trajectory differed across different age groups with those in early adulthood and adulthood showed an increasing linear trajectories while the old age showed a declining slope. Furthermore, predictors of changes in self-esteem also differed across the age groups that while depression and relationship variables were constant in predicting self-esteem change for all three age groups, some variables such as marital status, poverty status, and employment status predicted individuals in certain age groups. Such results demonstrate the need to understand and examine the change in self-esteem at the individual level.

      • KCI등재

        농촌지역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실무자의 서비스 전달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김혜미(Hyemee Kim) 한국농촌사회학회 2013 農村社會 Vol.23 No.2

        본 연구는 농촌 지역의 다문화가족지원 서비스에 대한 연구로 지난 2000년대 중반부터 중점적으로 기획되고 실행되어 온 정부의 다문화가족지원사업이 농촌 지역에서 어떻게 실행되고 있는지 파악하고, 서비스 제공자들의 경험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경상북도 내 농촌 지역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근무하는 서비스 제공자들과의 면접을 통해 서비스 제공 경험 및 어려움에 대해 탐색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현 서비스전달체계의 한계점을 파악하고, 농촌의 다문화가족지원사업에 대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찾고자 한다. This study was set out to examine the service delivery system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in rural area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rvice providers working in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in Gyeong Sang Buk Do to identify difficulties and problems related to delivering services to the users. The findings indicate that service providers indeed experience a number of difficulties in operating and providing services to multicultural families from recruiting both the users and the providers, to having restricted budget to operate services that are not feasible in rural areas.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policy are provided.

      • KCI등재

        한국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우울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김혜미(Hyemee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7

        본 연구의 목적은 후천적 시각장애인에 대한 우울 실태와 이들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실태조사 2014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출생 1년 이후부터 시각 장애를 가지게 된 20~60세 사이의 성인이며 최종 분석에 포함된 대상자 수는 235명이다.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 실시 결과,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약 20%가 우울증상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증상 경험을 예측하는 요인으로는 인구사회학적 요인 중에서는 연령, 성별, 결혼여부가 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건강 관련 요인으로는 흡연여부, 일상생활 스트레스 수 준, 주관적 건강상태가 유의한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장애관련 요인으로는 장애기간 및 일상생활 수행능력 수준이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밝혀졌다. 종합적으로 본 결과는 국내 거주하는 후천적 성인 시각장애인의 많은 수가 우울과 같은 심리적 어려 움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를 위한 예방 및 개입 방안 마련이 시급함을 알려준다. 아직까지 장애인 복지 및 장애인 대상 서비 스 분야에서 이들에 대한 관심 및 서비스 마련이 미흡한만큼 추후 중도에 실명 혹은 시각손실을 경험하게 된 장애인에 대한 제도적인 고려가 요구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depressive symptoms of individuals who became visually impaired and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ymptom. For the analysis,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Survey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y 2014 was used. Adults between the ages of 20 and 60 years who became visually impaired after the first year of birth were included with a total of 235 individuals in the final sample.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their depressive symptoms, a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about twenty percent of the respondents reported having depressive symptoms in the past year. Among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age, gender, and marital status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predictors, while smoking status, stress level, and self-reported health status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health-related predictors. Among the disability-related factors, the length of disability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level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likelihood of experiencing the symptom. The results indicate the need for practitioners working with visually impaired populations to be better aware of the risks of depression and develop a wide array of preventive measures and techniques to work with individuals suffering from depression.

      • KCI등재후보

        다문화사회: 한국과 중국의 사례 연구

        김혜미 ( Kim Hyemee ),이진경 ( Lee Jin Gyung ) 인천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9 사회과학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세계화의 흐름 속에 다문화사회로 진입한, 혹은 도약하고자 하는 중국과 한국 사회 내 다문화와 이주민 관련 정책을 검토하는 연구이다. 문헌연구를 통해 각 국의 외국인 거주 현황 및 정책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의 경우 국내 거주 외국인이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정책이 국제결혼을 통해 형성된 다문화가족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중국의 경우 소수민족 대상 정책은 한족과 동일하게 시행되고 있으나 새로이 유입되고 있는 이민자에 대한 정책은 전반적으로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Korea and China have recently gained reputations as desirable destination countries for potential migrants across Asia. Though two countries have very different approaches in perceiving, treating, and accepting migrants, they also share similarities in that they both host a large number of individuals and families with Chinese and Korean citizenship as well as their descend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n aim to examine social policies for ethnic minorities and immigrants in each country as an effort to build better understanding of policy implications for many of the immigrants residing in each country. Through literature and policy reviews, the findings reveal that both countries are far from holding multicultural stance in their policy implications, and that their policies and programs are yet limited and confined to certain groups of immigrants.

      • KCI등재

        사회복지사가 비판적 사회운동가로 변해가는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김혜미(Kim, Hyemee),김성천(Kim, Sung Chun)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21 한국사회복지교육 Vol.56 No.-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들의 비판적 사회운동가로 변화과정과 경험을 탐색하여 그 함의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일반적 질적 연구 방법’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운동가로 변화과정은 ‘성과주의 폐해 자각’ ‘출구 없는 당사자의 문제를 목도’ ‘주류 사회복지 실천방법에 대해 저항하기’ ‘아웃사이더 되기’ ‘사회운동 지속요인과 미래’로 나타났다. 미시적이고 제도권 실천이 중심적으로 이루어지는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비판적 사회운동을 경험한 사회복지사의 경험과 변화과정을 통해 거시적 사회복지실천의 필요성을 발견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rocess and experience of change as a critical social activist of social workers and seek its implications. A gener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performed. The process of transforming the study participants into social activists was found to be performance s perception of harmful effects, purpose of problems of parties without exits, resisting how to practice mainstream social welfare, and continuing social movements and the future. The necessity of macroscopic social welfare practice was discovered through the experience and change process of social workers who experienced critical social movements in the social welfare practice field where microscopic and institutional practices are centered.

      • KCI등재
      • KCI등재

        다문화가족 여성 배우자의 건강에 대한 탐색연구

        김혜미(Kim, Hyem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족 여성 외국인 배우자의 건강수준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며, 특히 출신국가에 따라 이들의 건강수준과 영향요인이 다르게 나타나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2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가중치를 적용한 총 165,451명의 한국계 중국인, 중국, 베트남, 필리핀 출신 여성 배우자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베트남과 필리핀출신 여성이 인식하는 건강수준이 한국계 중국인과 중국인 여성배우자의 건강수준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더 나아가 이들의 건강수준을 설명하는 요인의 상대적 영향력 역시 출신국가별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특히 한국계 중국인 여성과 베트남 여성이 차별경험에 더 취약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공통적으로 모든 여성들에게 있어 배우자와의 관계 만족도는 건강수준을 설명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파악되어 이들의 건강에 대한 이해와 실천적 예방, 개입에 있어서는 이에 대한 고려가 필수적임을 알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이민자 건강 연구에 있어서는 출신국가에 따른 특성 및 이들이 이민자로서 가지는 한국에서의 지위 및 경험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에 기반한 보건정책 및 실천전략의 마련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health status of female foreign spouses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whether within-group difference exists depending on their country of origin in health status as well as determinants of their health status. For the analyses, data from the 2012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was used and a total of 165,451 spouses from China (both Korean-Chinese and Han Chinese), Vietnam, and The Philippines were included. The result showed that Vietnamese and Filipino women were healthier than Korean-Chinese and Han Chinese. The determinants and their size of the effect also varied across four groups of women. The results of this study highlight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immigrant women in the context of their ethnic background for interventions of their health. In addition, understanding their status and experiences in Korea must be in place for immigrant health studies, and potential differences by their country of origin must be considered in the development of health policies and practice.

      • KCI등재

        한국 화교의 정체성 유형에 대한 연구

        김혜미 ( Kim Hyemee ),이병철 ( Lee Byung Chul ),이진경 ( Lee Jin Gyung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7 社會科學硏究 Vol.43 No.2

        본 연구는 한국에 거주하는 화교의 경험과 이에 근거하여 정체성 적응 유형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둔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근거이론 방법을 채택하여 수도권 지역에 거주 중인 총 10명의 화교를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개방코딩단계에서 31개의 개념과 13개의 하위범주, 6개의 범주가 도출 되었다. 축코딩 결과로써 인과적 조건은 적대적 환경이고 중심현상은 깊은 소외감이었다. 맥락적 조건은 자기 보호이며 중재적 조건은 소속감으로 하였다. 상호작용전략은 한국 사회에 대한 이해로 나타났으며 거주유형이 구분 되어 하나는 정착하면서도 나그네 마음을 갖고 있는 `정주형(定住型) 나그네` 또 다른 하나는 일반적인 `나그네`로 구분 되었다. 선택코딩에서는 핵심범주를 생활로부터 이별 준비와 정착 노력으로 했고 유형은 `정주형(定住型) 나그네 마음`과 `나그네 마음`으로 분류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한국사회에 또 하나의 구성원인 화교의 삶에 대한 이해와 향후 화교를 포함한 다문화가족 및 다문화사회 정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Chinese diasporas, also known as Hwa-Gyo have lived in Korea over a hundred years though they are hardly recognized as legitimate members of society. While previous studies have made various effort to explore their identity, only few have based their findings on in-depth interviews with Hwa-Gyo. This study was thus set out to explore ever-changing identities of Hwa-Gyo, and to derive identity typology from their narratives following the methods suggested by the Ground Theor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n Hwa-Gyo individuals residing 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a total of 31 concepts, 13 sub-categories, and six categories were extracted from the transcribed narratives. With hostile environment as causal condition and the deep sense of isolation as core phenomenon, two identity types were identified: grounded wanderers and the wonderers. The findings reveal that despite their long immigration history, Hwa-Gyo individuals still feel isolated and consider themselves torn between the world they live in, Korea, and supposedly home to which they feel little or less connection. Such findings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discourse of multiculturalism in Korea, and the implications are further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