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의 문제음주 발달궤적의 잠재계층 분류와 영향요인

        권태연 ( Kwon Taeyeon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20 사회복지연구 Vol.51 No.4

        본 연구는 성인의 문제음주 발달궤적에 있어 다른 양상을 띠는 잠재계층을 구분하고 생태체계 이론을 토대로 그 계층을 이루는 구체적인 요인들을 밝혀냄으로써 성인들의 문제음주를 예방할 수 있는 근거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7-14차년도의 자료를 활용하여 준모수적 집단중심 방법을 적용한 잠재계층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5개 잠재계층이 도출되었으며, 이는 연구기간 내내 큰 변화 없이 적정 음주를 유지하는 비문제음주 집단(53.6%), 저수준 문제음주 집단(27.8%), 문제음주 감소 집단(8.5%), 문제음주 증가 집단(8.6%), 고수준 문제음주 집단(1.5%)으로 명명하였다. 다항로짓분석 결과, 인구사회학적 요인에서는 성별이, 개인적 요인에서는 자아존중감이, 가족 요인에서는 가족관계만족도가 모든 잠재계층을 분류하는데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위 잠재계층별 예측 요인들도 상이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성인기 문제음주의 예방과 개입을 위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identified latent classes that have different patterns in the level of problem drinking and examined specific factors that make up the class based on the ecosystem model, thereby presented evidence that can prevent problems drinking among adults. Using Year 7 to Year 14 data from Korea Welfare Panel Survey, a latent class analysis was conducted applying Nagin’s semi-parametric group-based modeling. Five distinct latent groups were identified. It was named the non-problem drinking group (53.6%) that maintains adequate drinking without significant change throughout the study period, low-level problem drinking group (27.8%), problem drinking decreasing group (8.5%), problem drinking increasing group (8.6%) and high level problem drinking group (1.5%). Result from multinominal logit analysis showed that gender in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self-esteem in the personal factor, an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the family factor were predictors that commonly affect the classification of all latent classes. In addition, predictive factors of the latent class were also different. Based on these findings, social welfare implications for th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problem drinking in adulthood were suggested.

      • KCI등재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권태연(Taeyeon Kw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1

        본 연구는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결혼이주여성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인구사회학적 요인(연령, 교육수준 월소득, 수급여부, 동거기간), 개인체계 요인(한국어 능력수준,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감, 다문화지향성), 가족체계요인(배우자관계만족도, 자녀관계만족도, 부부대화시간, 의사결정 수준), 사회체계요인(사회적지지, 모임참여, 차별경험,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이용 경험)으로 구분하여 통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2015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의 결혼이주여성 14,464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체계 요인 즉, 개인체계, 가족체계, 사회체계 요인들 모두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개인체계 요인과 가족체계 요인이 생활만족도의 설명력을 높이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러 요인들 중 배우자만족도가 생활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요인중에서는 소득수준이, 개인체계 요인중에서는 우울감이, 가족체계 요인에서는 배우자 관계만족도가, 사회체계 요인중에서는 사회적 차별경험이 가장 큰 예측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결혼이주여성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개입이나 증진을 위해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포괄적인 요인들이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classified the predi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level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to socio-demographic factors (age, education, personal system factors (Korean proficiency, self-rated health, depressed mood, multicultural attitude), family system factors (spouse relationship satisfaction, 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couple conversation time, decision-making status), and social factors (social support, social capital, experience of social discrimination,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use) based on ecosystem perspectives and comprehensively examined their effects. The data for 14,464 married immigrant women from the National Survey on Multicultural Families 2015 were analyzed through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all ecosystem factors- that is personal, family, and social system factors-significantly affected life satisfaction level of married immigrant women and especially personal and family system factors increased the predictability on their satisfaction. Second, among all predictors, spouse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the factor most strongly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Finally, the income variable among socio-demographic factors, depression among personal system factors, spouse relationship satisfaction among family system factors, and experience of social discrimination among social system factors all showed the strongest significant effects on the life satisfaction level of married immigrant wome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mprehensive factors based on the ecosystem perspectives to intervene and promote the life satisfac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아동,청소년 우울 예방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권태연 ( Taeyeon Kwon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5 사회복지연구 Vol.46 No.3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 대상 우울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결과를 통합분석하여보다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실증적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아동·청소년 대상의 우울 예방 프로그램의 평균 효과크기를 검증하고, 조절변인에 따라 효과크기가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메타분석을 위해 국내에서 발표된 학위논문 및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분석논문은 72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CMA(Comprehensive Meta-Analysis) 2.0 software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에서 실시된 아동청소년 우울예방 프로그램의 평균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결과변수로 활용한 우울, 불안, 자살생각, 자아존중감 모두 중간이상의 강한 효과크기를 보였다. 둘째, 아동·청소년 우울예방 프로그램의 효과는 불안의 경우에는 연구간 효과크기가 동질적인 것으로 나타난 반면 우울, 자살생각, 자아존중감의 경우의 연구간 효과크기가 동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예방 프로그램의 조절변인으로 설정한 성별 구성, 대상 연령, 예방활동 종류, 프로그램 내용, 집단크기, 프로그램 개입회기, 1회기당 진행시간의 조절변인에 따른 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1)집단의 성별구성은 자살생각의 경우에만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 집단에서의 평균효과 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2)연령은 자살생각의 효과크기에만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예방활동의 종류는 우울과 자살생각에 조절효과가 있었으며, 선택적 예방활동이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반면 자아존중감의 경우에는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프로그램 내용은 자아존중감의 효과크기에만 조절효과가 있었으며, 현실치료, 인지행동치료, 예술치료, 게슈탈트 치료의 평균효과 크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우울과 자살생각의 경우에는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집단크기는 우울, 자살생각, 자아존중감에 조절효과가 없었다. (5)개입회기는 우울에만 조절효과가 있었으며 개입회기가 10회기 이상일수록 평균효과 크기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회기당 진행시간이 60분 이상일수록 평균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연구의 함의 및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a meta-analysis to integrate research on the prevention of depressive symptoms and to suggest practical basis developing more effective program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This study estimated the average effect size of the depressive symptoms prevention programs and the difference of the effect size across the moderators. Published articles and dissertations were reviewed and synthesized with meta-analysis. All 72 studies that met inclusion criteria were included. Comprehensive Meta-Analysis 2.0 software was used for meta-analysis.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calculating the average effect size across all studies, the average effect of depressive symptoms, anxiety, suicide thought, and self-esteem used as outcome variables of depressive symptoms prevention programs were moderate. Second, the effect size of anxiety was heterogenous across studies, whereas the effect size of depressive symptoms, suicide thought, and self-esteem was not homogenous across studies. The results of moderator analysis are as follow. (1) Only participant age was significant predictor of effect size at the anxiety. (2) Type of prevention program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effect size at the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e thought, and selective prevention programs were most effective. (3) Contents of prevention programs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effect size just only at the self-esteem. At the effect size, reality therapy was most effective, followed by cognitive behavioral contents, art activation contents using arts(music, meditation, reading) and gestalt therapy. (4) Group size was not a significant predictor of effect size at the depressive symptom, suicide thought and self-esteem. (5) Intervention duration was a significant moderator of effect size at the depressive symptoms and the effect size of the longer intervention programs 10 session the length of a s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Programs more than 60minutes per one session produced stronger effect sizes, meanwhile ware not significant. Based on the findings, the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were discussed.

      • KCI등재

        1인가구의 박탈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 생애주기별 차이를 중심으로

        권태연(Taeyeon Kwon)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21 현상과 인식 Vol.45 No.3

        본 연구는 1인가구의 문제음주 수준을 파악하고 박탈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을 생애주기별 및 영역별 박탈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한국복지패널 15차 자료를 활용하였다. 최종 분석에는 1인가구 2,09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인가구의 문제음주 수준은 중장년기의 경우 문제음주의 절단점인 8점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기에서 노년기에 이르기까지 총 박탈은 1인가구의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요인이었다. 셋째, 20-34세의 경우 직업경제적 박탈이, 35-49세의 경우 사회적 박탈과 주거박탈이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이었다. 그리고 50-64세의 경우 사회보장 박탈이, 65세 이상의 경우 사회적 박탈과 건강의료 박탈이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1인가구의 문제음주에 대한 예방과 개입을 위한 실천적 및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level of problem drinking and verified the effects of deprivation on problem drinking of single person households by life cycle and area of deprivation. Data from the Wave 15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was used. The final sample for the analyses included data from 2,092 single person household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problem drinking of single person households was higher than the cutoff point of 8 in the middle age, indicating the level of harmful drinking. Second, from young adult to old age, total deprivation was a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problem drinking in single-person households. Third, job and economic deprivation for 20-34 years old and social deprivation and housing deprivation for 35-49 years old were significant predictors affecting problem drinking in single-person households. And deprivation of social security for those aged 50-64 and deprivation of health and medical care for those aged 65 and over were significant predictors affecting problem drinking in single-person households. Based on these findings,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th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problem drinking of single person household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휴대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요인 비교

        권태연 ( Taeyeon Kwon ) 인천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사회과학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초등학생 및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스마트폰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요인들은 문제행동이론과 생태체계이론에 따라 개인, 가족, 학교, 인구사회학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동청소년패널 2018의 초4패널과 중1패널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초4 코호트 2,607명, 중1 코호트 2,590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 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초등학교 4학년과 중학교 1학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초등학생과 중학생 모두개인 요인의 설명력이 가장 컸으며, 아동 및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의 예측요인이 다르게 나타났다. 초등학생과 중학생 스마트폰 중독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자아존중감, 사회적 위축, 학업성취만족도, 부모의 스마트폰 의존, 자율성·강요·비일관적 양육태도, 부모와 함께 보내는 시간이 유의미한 예측 요인이었다. 반면 또래관계, 교사관계, 성별, 가구소득은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울, 스마트폰 사용시간은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아동 및 청소년기 스마트폰 중독 예방 및 개입을 위한 맞춤형 근거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identified predictors influencing on smart-phone addic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Predictors affecting smart-phone addiction were classified into individual, family, school, and demographical factors based on problem behavior theory and ecosystem theory. Data from the 4th grade elementary school panel and 1st grade middle school panel of Children and Youth Panel 2018 were utilized and a total of 5,907 data were used for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o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the greatest explanatory power of individual factors, and predictive factors of smartphone addic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ere different. Factors influencing the smartphone addiction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common were self-esteem, social withdrawl, satisfaction with academic achievement, parental dependence on smartphones, autonomy, coercion, inconsistent parenting attitude, and time spent with parents.In addition, depression and smartphone usage time were found to be predictors affecting only the smartphone addi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these results, I tried to present tailored suggestions for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smartphone addic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KCI등재

        1인가구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

        권태연(Taeyeon Kwon) 한국자료분석학회 2024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6 No.1

        본 연구는 생애주기별 1인가구의 행복 수준과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자료는 한국인의 행복연구 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최종분석은 1인가구로 응답한 20세 이상 성인 1,42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청년기, 중장년기, 노년기의 생애주기별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1인가구의 행복수준은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청년기에서 노년기로 갈수록 낮아졌다. 특히 청년기에 비해 중장년기와 노년기의 행복수준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1인가구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은 생애주기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생활수준 만족도와 미래 안정성에 대한 만족도, 우울, 사회적 지지는 모든 생애주기의 1인가구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 예측요인이었다. 반면 청년기에는 안전감이, 중장년기에는 타인에 대한 신뢰, 사회적 평등 인식, 주관적 건강상태, 스트레스가, 노년기에는 자원봉사활동과 동네환경 만족도, 공동체 소속감 만족도만이 1인가구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예측 요인이었다. 이를 토대로 1인가구의 행복 증진을 위한 정책적 및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level of happiness and verified the effect of psycho-social factors on happiness of single person households by life cycle. Data from the Wave 2 of the Korean Happiness Study was used. The final sample for the analyses included data from 1,452 adults aged 20 or older who responded as a single-person household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for each life cycle of youth, middle age, and old ag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happiness level of all single-person households was found to be average and decreased from youth to old age. In particular, the level of happiness in middle-aged and old age was found to be relatively low compared to youth. In addition, psychosocial factors affecting the happiness of single-person households were different by the life cycle. Satisfaction with standard of living, satisfaction with future stability,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were common predictive factors that affected the happiness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all life cycles. On the other hand, only a sense of safety in youth, trust in others, social equality, self-rated health status, and stress in middle-aged age, and volunteer activities and satisfaction with neighborhood environment and community belonging in old age were the only new predictive factors that affected the happiness of single-person households. Based on this,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happiness of single-person households were suggest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