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Charlotte Mason의 교육론과 그 교육실습적 시사

        김혜나(Kim, Hye-na),이우진(Lee, Woo-jin) 공주교육대학교 글로벌인재교육센터 2020 교육실습연구 Vol.2 No.2

        이 글은 예비 교사들이 교육실습을 수행해가면서 확립해야 할 바람직한 교사상을 Mason이란 인물의 교육철학과 교육원리를 통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녀는 어린이 교육과 부모교육, 그리고 교사 교육에 있어 가장 영향력 있는 영국의 교육자 가운데 한 사람으로 평가되는 인물이다. 먼저 Mason의 교육목적론은 교육실습에 있어 예비 교사들에게 교육의 목적을 어디에 두어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해주고 있다. Mason은 교육의 목적을 ‘배움을 대한 사랑과 배움을 통한 행복’에 두었다. 이는 또한 Mason의 아동관인 ‘자기교육적 존재로서의 어린이’와 교육원리인 ‘자기교육의 원리’와도 연결되고 있다. 현재 우리 사회는 단순한 ‘지식이나 기술의 전수’가 아닌 ‘역량 강화’를 지향하는 교육을 요청하고 있다. 곧 예비 교사들은 어린이들이 ‘자기교육적 존재’로서 그들 자신을 믿고, 또 그들에게 배움 자체에 대한 즐거움을 지니게 하기 위한 방법을 고안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Mason의 인간관에서 볼 수 있듯이 예비 교사들은 ‘사회 계층과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은 동등하게 교육받아야 한다’는 교육적 평등관을 지녀야 할 것이다. 예비 교사들은 ‘어린이를 인간으로서 존중받아야 하는 인격체로서의 존재’로서 파악해야 한다. 특히 현재 우리의 교육 현장에는 사회 계층에 따른 차이는 물론이고 다문화 사회가 되어가는 시점에서 소외당하고 차별당하는 어린이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예비 교사들은 ‘모든 어린이는 인종, 국가, 혈연에 상관없이 그 자체로 존엄하며, 동일한 지적 욕구가 있으며 동일한 교육받을 권리가 있음’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Mason의 교육철학과 교육원리에서 가장 중점이 되는 부분은 ‘The education is life’이었다. 바로 ‘교육은 삶을 통해 지속하는 것’이며, ‘교육은 생명이기에 살아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말은 무엇보다 예비 교사들이 ‘인격적 지성인으로서 훌륭한 교사가 되기 위해 교육실습뿐만 아니라 자신의 모든 삶을 통해 배우기를 멈추지 않아야 한다’는 것으로서, 평생을 위대한 교육자가 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This article was intended to present the desirable teacher image that prospective teachers should establish as they carry out their education practice through the educational philosophy and principles of the character Mason. She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influential British educators in children’s education, parents’ education, and teacher education.First of all, Mason’s educational purpose theory gives prospective teachers the direction of where to put the purpose of education in education practice. Mason placed the purpose of education on ‘love for learning and happiness through learning’. It is also connected with Mason’s children’s view of ‘children as self-educational beings’ and the educational principle of ‘principles of self-education’. Currently, our society is asking for education aimed at “strengthening capacity” rather than just “transfer knowledge or technology”. Soon, prospective teachers will have to try to come up with ways to make children believe in themselves as ‘self-educational beings’ and to make them enjoy learning itself. In addition, as seen in Mason’s human view, prospective teachers will have to have an educational sense of equality that ‘everyone, regardless of social class, should be educated equally’. Prospective teachers should identify children as ‘a person who should be respected as a human being’. In particular, there are children who are alienated and discriminated against at a time when they are becoming a multicultural society, as well as differences among social classes in our educational field now. Therefore, prospective teachers should keep in mind that “all children are dignified in themselves, regardless of race, country or blood ties, have the same intellectual needs and have the same right to education”. Above all, the most important part of Mason’s educational philosophy and principles was ‘The education is life’. It means that ‘Education is what lasts through life’ and ‘Education is life, so it must be alive’. Most of all, it suggests that prospective teachers should not stop learning not only through education practice but also through all their lives to become good teachers as personality intellectuals, and should constantly strive to become great educators throughout their lives.

      • KCI등재후보

        교양교육과정 평가모형 개발 연구-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김혜나 ( Kim Hye-na ) 대구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과학연구 Vol.0 No.34

        Rapid change of the modern society urges general education to be transformed worldwide, with the emphasi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interdisciplinary skills. In Korea, general education reform at the universities has been given much attention since the 2000s, resulting in the revision of general education objectives and curriculum, and a lot of new programs. However, the reflection on those changes and its effects gave rise to concern for general education assessment, asking what influences they have brought on student experiences and learning outcomes. To answer this question, assessment model development is required that suggests different levels, dimensions, methods, or guidelines to consider for systematic and holistic general education assessment. In this respect,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a model for general education assessment and providing an example of its applica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generic model include the categories or areas of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the levels of assessment, and the stages of curriculum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assessment. Based on this, each university could develop its own model and plan for general education assessment, taking its mission, priorities, and conditions into consideration. The results from each categories, levels, and stages of assessment need to be connected and integrated to derive meaningful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modifications in general education.

      • KCI등재

        대학원생의 학문적 글쓰기 경험에 관한 연구

        김혜나(Kim Hye-Na),김대현(Kim Dae-Hyun),이태영(Lee Tae-Young),강이화(Kang E-Wha)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3 敎育問題硏究 Vol.26 No.1

        We tried to understand graduate students’ experiences on academic writing and their meaning in terms of students’ identity formation as academics. Toward this end, we based on narrative inquiry to explore what experiences four graduate students went through in writing and publishing journal articles. Four stories were constructed by journal writing, conversation and unstructured interviews. We interpreted the stories regarding what difficulties the students experienced in academic writing, how they overcame the difficulties and formed their academic identity based on the experiences. From the results, we suggested implications on education for academic writing of graduate students. 이 연구는 학자 또는 연구자가 되어가는 과정에 있는 대학원생들이 학문적 글쓰기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지 살펴보고, 그들이 학자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그러한 경험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4명의 석․박사과정 학생들의 학술지 논문 집필 및 게재 경험에 관한 현장텍스트를 저널 쓰기, 대화, 비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수집하였다. 학문적 글쓰기에 관한 대학원생들의 이야기는 글쓰기 과정에서 부딪치는 난관과 그것에 대한 극복, 그리고 이를 통해 그들이 어떻게 학자로 성장해 가는지와 관련하여 해석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글쓰기에 있어서 대학원생의 교육과 지도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우수등재

        인간과 자연의 식민화 과정 비판 : 영풍석포제련소를 중심으로

        김혜나(Kim, Hye Na) 비판사회학회 2020 경제와 사회 Vol.- No.125

        낙동강 상류에 위치한 아연공장인 영풍석포제련소는 설립 후 약 50년간 심각한 환경오염과 주민, 노동자의 건강피해를 야기해 왔으며, 최근 들어 공장폐쇄 주장을 둘러싼 갈등이 심화되면서 관련 문제들이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연화광산에서의 광업으로 부터 이어져 온 제련소의 내력을 거슬러 올라가 보면, 일제강점기 전범기업 미쓰비시의 연화광산 개발이라는 사건과 마주하게 된다. 식민지기와 국가의 독립, 전 지구화의 굴곡을 거쳐온 장소파괴의 역사는 구체적 현안들을 넘어 인간과 자연의 관계가 근본적 차원에서 변화해 온 과정을 함축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석포제련소를 하나의 사례이자 통로로 얼굴을 드러내는 거대한 구조를 인간과 자연의 식민화라는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식민주의에 대항하는 담론들의 의미와 한계에 대해 논의한 후, 인간중심적 (탈)식민화 개념을 재구성하기 위한 방안으로 정착형 식민주의와 토착성의 관점을 제안한다. 연화광산과 석포제련소의 여정은 여러 ‘석포들’이 겪어야 했던 닮은 운명과 상호 중첩되면서, ‘식민 이후’에 더욱 일상화되고 지구화된 식민성을 폭로한다. 외부와 내부로 구분되는 식민주의의 도식적 경계를 허물고 정착형 식민주의의 관점에서 석포(들)의 현재적 역사가 지니는 중층성을 재해석함으로써, 토착적 삶의 귀환을 통한 존재와 장소의 탈식민화 가능성을 모색한다. Sukpo Zinc Refinery, owned by Youngpoong Corporation and locat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Nakdong River, has caused serious environmental degradation and health problem of residents and employees for about 50 years since its establishment. As an argument on its closure is raised, conflicts between pros and cons as well as public concern about the refinery are getting heightened. In its history, the Yonhwa mountain, which has provided ores to the two former mining offices and the refinery of Youngpoong until the 1980s and 1990s, was first developed by Mitsubishi in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Beyond the specific soci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there has been a fundamental change in the human-nature and eco-social relationship in the long process of place destruction through the history of colonization, national dependence, and globalization. This paper attempts to understand a repetitive and inflective structure of colonization of humans and nature through the window of Sukpo. After discussing the discourses on colonialism, it suggests settler colonialism and indigeneity as a way of reconceptualizing the anthropocentric notion of (de)colonization. The path of Yonhwa Mine and Sukpo Refinery overlaps with ‘other Sukpos’ that suffered a similar fate and discloses the deep-rootedness of globalized everyday colonialism even ‘after colonialism’. The paper interprets the complicated colonial present from the perspective of settler colonialism, deconstructing boundaries between the internal and external, and searches for the possibilities of repatriation of indigenous life and decolonization of beingand-plac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전 지구적 자본주의, 민족국가, 그리고 대학

        김혜나 ( Hye Na Kim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2

        이 연구는 전 지구적 자본주의 체제로의 변화에 따라 민족국가와 대학의성격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분석함으로써, 대학 시장화 문제를 거시적 맥락과의 관계속에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먼저 전 지구적 자본주의의 개념과 문제점에 대해 살펴본 후, 근대 국가를 뒷받침했던 자유주의와 전 지구적 자본주의의 대표적 이데올로기인 신자유주의를 구분하여 각각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국가와 대학의 성격 및 역할을 비교하고 그로 인한 영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자유주의에서 신자유주의로의 이행에서 핵심이 되는 것은 시장 질서를 인위적, 적극적 유지의 대상으로 보는 관점과 시장 및 다른 부문 간의 경계 약화라고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기조 하에 국가와 대학은 시장 테크놀로지를 적극적으로 대학에 적용함으로써 대학이 기업으로 변모하는 과정을 재촉해 왔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자본-국가-대학의 거시적 관계 메커니즘 속에서 현대 대학의 변화를 이해하는 데 기여할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글에서는 대학 시장화에 대한 역사적 저항 및 이론적 대안의 예를 제시하고, 전 지구적 자본주의의 거시적 수준과 국가 및 대학의 미시적 수준을 고려한 종합적 관점에서 대학의 미래에 대해 고민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university marketization within a broader context by analyzing the significant changes in the nature of the nation-state and the university with the advent of global capitalism. Toward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global capitalism and the important problems it has caused. Then, based on the distinction between liberalism and neoliberalism, it discusses how each perspective has differently conceptualized and constructed the rationales and the practices of the nation-state and the university. At the heart of the global capitalism, the market order is considered as an object to be artificially maintained by the state and the boundaries between the market and other spheres blurred. In this context, the nation-state and the university enthusiastically adopt market technologies to the university, making it an enterpris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further understanding on the modern university with regard to the complex mechanism among the capital, the state, and the university. Based on the results, it provides brief examples of historical countercurrents and theoretical alternatives to the marketization of the university and suggests conceiving the future of the university with the sophisticated understanding on the reality, including both macro and micro level.

      • KCI등재

        CBAM 실행 수준에 관한 국내 연구물들의 성격 분석

        김혜나(Kim, Hye-Na)․,김대현(Kim, Dae-Hyun)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0 敎育思想硏究 Vol.24 No.2

        본 연구는 CBAM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국내의 연구물들이 실행 수준의 단계 구분, 측정방법, 평가 목적과 활용 등에서 어떤 성격을 지니는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위해 CBAM을 창시하고 발전시켜 온 학자들의 저서와 논문들, 그리고 국내 논문들을 두루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우선, 국내의 연구들 중에는 CBAM의 제안자들 이 제시한 8단계 수준을 그대로 적용한 연구도 있었지만, Moore et al.(1984)이나 Lee-Kang(1993)등이 제시한 단계 구분을 따르거나 국내의 교육 시스템을 참작하여 실행 수준을5단계나 7단계로 조정한 연구들이 다수를 차지함을 확인하였다. 측정 방법의 면에서 국내연구들은 대부분 설문 조사를 통하여 실행 수준을 측정하였으며, 심층 면담이나 관찰을 이 용한 연구는 그 수가 매우 적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실행 수준을 측정하는 목적에 있어서 실행을 위한 지원 대책을 강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연구보다는 실행 수준을 단순히 파악하는 것에 머무는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실행 수준 연구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characteristics of theses and dissertations related to Levels of Use(LoU) of CBAM in Korea in terms of levels, measurement tool, and purpose of measurement. Toward this end, research conducted by CBAM authors, and LoU-related theses and dissertations in Korea were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majority of theses and dissertations in Korea adopted modified levels of use, which were five or seven levels, rather than following original eight levels suggested by CBAM developers. For measurement tool, most theses and dissertations assessed LoU employing questionnaire, while very few used focused interview. None of them adopted observation for their measurement. As well as, the purpose of LoU measurement for most theses and dissertations were classified into summative purpose, which meant that the focus was not on establishing relevant interventions according to teachers’ LoU, but simply checking levels of use of the innov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ointed out problems of LoU-related theses and dissertations in Korea, and suggested recommendations on where those could improv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