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교재의 연결 어미 ‘-고’ 분석 연구

        김형복(Kim, Hyoung-Bok),김문기(Kim, Mun-Gi)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9 한국민족문화 Vol.73 No.-

        본고에서는 기존 한국어 교재에 제시되어 있는 한국어 연결 어미 ‘-고’의 의미 기능, 문법적 특징, 학습 자료(예문과 연습 문제)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는 본고의 목적이 한국어 교사가 연결 어미 ‘-고’를 교수-학습하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내용 지식을 체계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기 때문이다. 먼저 연결 어미 ‘-고’의 의미 기능은 한국어 교재마다 조금씩 차이를 보였으며, 한국어 문법 교육 관련 자료에서도 역시 차이가 있었다. 그러므로 의미 기능의 종합적 검토를 통한 체계화가 필요했다. 다음으로 연결 어미 ‘-고’의 문법적 특징으로는, 선행절과 후행절에 나타나는 주어 일치의 제약, 선행절 시제 실현의 제약, 분포적 제약, 선 · 후행절의 순서 제약 등을 살펴보았다. 여기에서도 마찬가지로 교재마다 그 제시 내용이 차이를 보였으며, 정확하고 일관된 문법적 정보의 제시가 필요했다. 마지막으로 예문이나 연습 문제의 경우에도 그것이 연결 어미 ‘-고’의 의미 기능에 따라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제시되었는지, 해당 의미 기능의 예나 연습 문제로서의 의의를 제대로 갖추고 있는지 검토하였다. 이러한 검토의 결과는 연결 어미 ‘-고’의 교수-학습 내용을 체계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며, 한국어 교사가 ‘-고’에 대한 수업 설계를 할 때 도움이 될 것이다. 나아가 한국어 교재를 개발할 때, 문법 항목의 제시 방법과 내용 구성 등에 참고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s a comprehensive review about Korean coordinative ending ‘-go(-고)’ presented in the existing Korean textbooks: the semantic functions, grammatical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materials such as examples and exercis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able Korean teachers to understand the knowledge of the coordinative ending ‘-go’ systematically. Because we think it is necessary for them to teach the coordinative ending ‘-go’. First, the semantic functions of the coordinative ending ‘-go’ were different in each Korean textbook. There were also differences between Korean grammar education materials and Korean textbooks. So we think it is necessary to systematize it through a comprehensive review of semantic functions. Second, we examined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ordinative ending ‘-go’, including subject matching constraint, tense matching constraint and so on.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about these things were different, so we think the presentation of accurate and systematic grammatical information was necessary. Third, we examined the examples and exercises in Korean textbooks if they were presented clearly and distinctively according to the semantic functions of the coordinative ending ‘-go’, and if they were suitable to the semantic functions. The results of our review also will contribute to the organization of the teaching-learning contents of the coordinative ending ‘-go’. In addition, it will be helpful for Korean teachers to design teaching-learning contents for the coordinative ending ‘-go’ and to develop Korean textbooks. And our review will be a reference for the presentation of grammar items and the composition of contents.

      • KCI등재

        몽골과 한국 설화 비교를 통한 한국 문화 교재 구성 방안 연구

        김형복(Kim, Hyoung-Bok),이행선(Lee, Haeng-Su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7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18

        본 논문에서는 몽골의 설화를 대상으로 하여 그와 유사한 한국 설화를 선정한 다음, 두 설화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문화 비교의 관점에서 한국 문화 교재의 구성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몽골 지역은 유목 생활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교육이 기록된 책(또는 교재)으로 이루어지기보다는, 구전에 의한 옛이야기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러므로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들 역시 옛이야기를 통한 한국어 학습에 흥미를 보인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논문에서는 다음의 사항을 살펴보았다. 먼저 기존 한국 문화교재를 분석하여 개발 방향을 살펴보고 그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몽골과 한국 설화 비교를 통한 한국 문화 교재의 구성 원리를 다음 5가지로 제안했다. 첫째, 몽골인 학습자에게 친숙하여 학습 동기와 흥미가 쉽게 유발되고 스키마 활성화가 용이한 몽골 설화를 이용한다. 둘째, 모티브가 유사한 두 나라의 설화 비교를 통해 양국 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인식함으로써 문화 간 의사소통이 원활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양국의 설화 비교를 통해 습득한 문화 내용은 한국 생활 적응에 필요한 문화 행위로 전이될 수 있도록 연습 활동을 해야 한다. 넷째, 옛이야기인 설화를 바탕으로 문화교육이 이루어진다고 해서 그 내용이 과거 전통 문화에만 국한되어서는 안 되며 현대한국 문화와 연계해야 한다. 다섯째, 문화 학습도 결국은 한국어 사용을 통해 이루어지고 그 목표도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것이므로, 문화 학습 활동은 읽기, 말하기, 쓰기, 듣기의 언어 기능과 통합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교재 개발 원리를 바탕으로 몽골 설화 〈거북이와 원숭이〉와 한국 설화 〈구토설화〉를 예시로 하여 실제 단원의 개발을 통해 단원 구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In this paper, I tried to find a way to construct Korean cultural textbooks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by comparing Korean folktales with representative stories of Mongolian stories. Since the Mongolian region is based on nomadic life, the learning was done by old stories based on oral traditions rather than books and textbooks. As a result, Mongolian Korean learners were interested in learning Korean through old stories. The significance and effect of Korean language learning through storytelling has already been discussed in several studies. I analyzed the Korean cultural textbooks developed so far and examined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pointed the problems out. Most of Korean textbooks are conveying Korean cultural knowledge unilaterally, and the activity of comparing learner’s culture with Korean culture is also fragmentary. First of all, as in this paper, there were no textbooks to suggest and compare Korean culture, starting with learner-centered interest and culture.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the following five principles as the constitution principle of Korean culture textbook comparing Mongolian and Korean folktales. First, Mongolian folktale, which is familiar to Mongolian learners, facilitates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est and facilitates schema activation. This is a learner-centered textbook in that it is approached by learner interest and learner culture. Second,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between cultures should be improved by comparing the tales of two countries with similar motifs.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ization have become a crucial issue. Therefore, by comparing two tales, learners can understand and accept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the two cultures. Third, cultural contents acquired through the comparison of narratives of both countries should be transferred to cultural activities necessary for adaptation of life in Korea. The most useful way to transfer cultural knowledge to cultural activities is "comparison". It is necessary for the textbook to design various exercises so that the learners can actively compare cultures out of the fragmentary cultural comparison activities. Fourth, because the cultural education is based on the story of the old story, its content should not be confined to the traditional culture in the past, but should be linked with modern Korean culture. Because it is meaningful to the learners how the value of the past has changed in the past. In other words, foreign learners need to understand how Koreans think and act in everyday life. Fifth, cultural learning should be integrated with language functions of reading, speaking, writing and listening, because cultural learning is eventually achieved through using Korean language and its goal is to improve Korean communication skills. Finally, based on the principle of developing these textbooks, this paper develops and presents actual units by exemplifying Mongolian tale 〈A turtle and a monkey〉 and Korean folk tale 〈A turtle and a rabbit〉.

      • KCI등재

        한국어 문법 교육을 위한 ‘달라고’와 ‘주라고’ 연구

        김형복(Kim, Hyoung-Bok),김문기(Kim, Mun-Gi)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코기토 Vol.- No.95

        본고에서는 한국어 문법 항목 ‘달라고’와 ‘주라고’를 대상으로 그 쓰임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한국어 교사들이 이들의 차이점을 교수-학습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어 교재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 교재에서는 ‘달라고’와 ‘주라고’의 구별 기준을, 어떤 행위가 화자를 위한 것인지 아니면 다른 사람을 위한 것인지에 따르는 것으로 보았다. 하지만 실제 언어생활에서는 그와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본고에서는 그 이유를 다음과 같은 측면에 초점을 두어 살펴보았다. 첫째, 어휘적 측면에서 국어사전의 뜻풀이를 볼 때, ‘달다’는 화자나 주체에게 가까워지는 동작성을 나타내었지만, ‘주다’는 화자나 주체에게서 멀어지는 동작성을 나타내었다. 둘째, 표현의 측면에서 발화 상황의 참여자들 중 누구의 시점에서 어디에 초점을 두어 표현하는가에 따라 ‘달라고’와 ‘주라고’가 사용된다고 보았다. 이는 ‘인용’의 기본적 속성 때문에 그것을 누구의 시점으로 보고 표현했는지를 반영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특히, ‘주다’는 화자의 시점이 어떻게 바뀌는가의 여부에 따라 화자나 주체에게서 멀어지는 동작뿐만 아니라 그와 정반대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동작에도 쓰인다는 것이다.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use of Korean grammar ‘dallago(달라고)’ and ‘jurago(주라고)’. Through this, we tried to help Korean teachers to teach and learn their differences. For this purpose, first of all we reviewed Korean textbooks. As a result, ‘dallago(달라고)’ and ‘jurago(주라고)’ in Korean textbooks has been seen the distinction between as following the criteria and whether an act was for the speaker or for another person. But it was different from that in real language life. In this paper, we have focused on the following aspects. First, from a lexical point of view, ‘dallago(달라고)’ showed the movement of getting closer to the speaker or the subject, but ‘jurago(주라고)’ showed the movement of moving away from the speaker or the subject. Second, from the point of view of expression, ‘dallago(달라고)’ and ‘jurago(주라고)’ were used depending on which of the participants in the situation of utterance was expressed from the whose perspective. It was identified as reflecting whose perspective was viewed and expressed due to the basic nature of ‘quotation’. Especially, depending on whether the speaker"s point of view, ‘juda(주다)’ was used not only to move away from the speaker or subject, but also to show the opposite direction.

      • KCI등재
      • KCI등재

        고급 단계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연구 : 언어 기술 및 전략 개발을 위하여

        김형복(Kim, Hyoung-Bok) 동남어문학회 2008 동남어문논집 Vol.1 No.26

        A Study on Ways to Develop Advanced Korean Textbooks for Improving Language Skills and Strategies. Dongnam Journal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26.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esent ways to develop advanced Korean textbooks for building up four language skills. For this purpose, above all, I examined the current advanced Korean language textbooks, focusing on the language skills, the language strategies and the unit organization of textbooks. Considering the results, I gave demonstrations of the improved design of advanced textbooks. First, advanced Korean textbooks should include various language skills and strategies for cultivating Korean proficiency. Second, four language activities should be integrated into the same language skills and the scheme of learning items. Third, effective language activities should be designed as the whole process of learning Korean language, not focusing on learning results. Last, unit organization of textbooks should be based on Korean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in the Korean language classroom. I hope that these can help to develop advanced Korean textbooks for improving Korean proficiency.(Inje University)

      • KCI등재

        몽골인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 연구

        김형복(Kim, Hyoung-Bok),이행선(Lee, Haeng-Su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7 한국민족문화 Vol.65 No.-

        본 논문에서는 몽골인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을, 몽골과 한국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설화를 활용하여 문화 비교 관점에서 모색하였다. 몽골은 전통적으로 유목 생활을 기반으로 하였기 때문에 학습이 책보다는 구전에 의한 옛이야기에 의해 이루어져 그들에게 설화는 아주 친숙한 소재이다. 그래서 몽골인 학습자들의 한국 문화 학습에 설화를 활용하면, 흥미 유발과 배경지식 활성화에 유용하다. 그리고 몽골설화를 활용한 한국 문화 학습은 학습자 중심이라 할 수 있다. 그동안의 한국 문화 수업이나 문화 교재는 한국 문화에서 출발하여 한국 문화 지식을 전달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이다. 또한 모티브가 유사한 양국의 설화에서 나타나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학습자가 비교함으로써, 학습자 스스로 자연스럽게 자국의 문화와 한국의 문화를 객관적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배경으로, 본 논문에서는 다음의 사항을 살펴보았다. 먼저, 설화 비교를 통한 한국 문화 교육의 의의를 밝혔다. 결혼이주여성은 한국가정 안에서 생활해야 하는 특수한 상황이기 때문에 일방적인 한국 문화 수용만을 강조할 수 없다. 그러므로 결혼이주여성들의 모국 문화의 근간을 유지하면서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 수반을 강조해야 한다. 양국의 설화비교는 그런 점에서 의의가 깊다. 둘째, 결혼이주여성들에게 유의미한 몽골 설화로 〈팔 없는 여인〉, 그에 대응하는 한국 설화 〈손 없는 색시〉의 문화 교육적 중요성을 언급하였다. 두 설화는 주인공이 여성이며, 특히, 여성이 일생 동안 수행하게 되는 딸, 아내, 며느리, 어머니로서의 역할이 분명히 드러난다. 그리고 ‘결혼’을 통해 결혼이주여성들이 직·간접적으로 접하게 되는 여러 문제들이 설화 속에 나타나 있기 때문에 교육적 의의가 있다. 셋째, 두 설화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설화 속에 공통으로 드러나는 문화 교육 요소를 선정하였다. 먼저 가족 관계에 초점을 두고 문화 교육요소를 추출하였으며, 설화의 주요 모티브인 ‘손’과 관련한 관용어를 언어 문화 교육 요소로 제시하였다. 넷째,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설화 비교를 통한 한국 문화 수업의 모형을, ‘설화 읽기 교수-학습’과 ‘문화 교수-학습’으로 나누고, 그 실제를 수업 활동을 예로 들어 제시하였다. In this paper, we searched for a method of Korean culture education for Mongolian marriage migrant women from the viewpoint of cultural comparison using folktales common to Mongolia and Korea. Since Mongolia is traditionally based on nomadic life, the learning is done by word of mouth rather than by books. As a result, storytelling is very familiar to Mongolian speaking learners. Therefore, using the folktales in the Korean culture education of Mongolian learners is very useful for stimulating interest and activating background knowledge. And Korean culture education using Mongolian folktales can be for the Learner-Centered Approach. Because, Korean culture classes have focusing on delivery Korean cultural knowledge culture in the textbooks so far. In addition, the learners can naturally perceive his own culture and Korean culture objectively by comparing the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ales with similar motifs. We have discussed the following points. First, I explained the significance of cultural education through comparison of folktales. We can not force the marriage migrant women to accept Korean culture unilaterally because there are special circumstances in which they should live with Korean fami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while maintaining the foundation of their culture. Comparing the folktales of both countries is significant in that respect. Second, I mentioned the importance of the cultural education comparing folktales, between the Mongolian folktale 〈The woman without arms〉and the Korean folktale 〈The bride without hands〉. The hero of two stories are female. In particular, The hero of two stories play many roles as lifelong daughters, wives, daughters-in-law, and mothers. It is significant because there are many problems through "marriage" to marriage migrant women directly or indirectly. Third, we selected the elements of cultural education which are common in two stori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m. We extracted the elements of cultural education from the stories focusing on human relations, and idioms related to "hand". Fourth, based on these discussions, I suggested the model of the Korean culture class based on the comparison of the folktales. It is divided into "folktales reading teaching–learning’ and "cultural teaching–learning". I presented the actual practice of the class as an example.

      • KCI등재

        중국과 한국 설화를 활용한 한국 문화 교재 개발 방안 연구

        김형복 ( Kim Hyoung-bok ),김문기 ( Kim Mun-gi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19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53 No.-

        In this article, we tried to find out the principle of development of Korean cultural textbooks from the viewpoint of cultural comparison by comparing two similar folktales between China and Korea. And we searched for the method of unit composition of cultural textbooks. Because folktales are familiar to learners and useful for stimulating learners' interest and background knowledge, it would be useful for students' learning of Korean culture. In addition, learners can naturally learn their own culture and Korean culture objectively by compar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stories with similar motifs. With this background in mind, we have looked at the following points in this paper. First of all, we suggested to select and use Chinese folktales that are familiar to Chinese learners. It is to find out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the culture inherited in the narrative by contrasting it with the similar folktales those of Korean narrative. The contents of the cultural education are mainly related to the perception culture of the Koreans, and the cultural exercise activities suggested various things in connection with speaking and writing. Next, we developed a model of unit composition of Korean cultural textbooks that reflect the principles of development of Korean cultural textbooks. Finally, based on these discussions, we developed an actual unit by exemplifying the Chinese tale < Ho-on-jeon > and the Korean tale < Brother and sister who became sun and moon >. (Inje Univ. · Dong-A Univ.)

      • KCI등재

        ‘-으면’과 ‘-다면’의 연구 방법에 대한 제언

        김문기(Kim, Mun-Gi),김형복(Kim, Hyoung-Bok)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1 한국민족문화 Vol.78 No.-

        본고에서는 일반적으로 ‘가정적 조건’의 의미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으면’과, ‘가정’의 의미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다면’에 대해 조금 다른 관점으로 접근해 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여러 국어사전에서 이들에 대한 뜻풀이를 어떻게 처리했는지와, 몇몇 앞선 연구들에서 ‘-으면’과 ‘-다면’을 어떻게 구별하였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으면’은 ‘조건’의 의미를, ‘-다면’은 ‘가정’의 의미를 나타내는 것으로 그 의미 기능을 구분해야 함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으면’과 ‘-다면’의 의미 기능을 판단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제시했는데, 그 중 핵심적인 것은 선·후행절과 관련된 ‘상황’과 ‘화자의 인식’으로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으면’과 ‘-다면’의 자연스러운 쓰임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선·후행절에서의 시제 실현 양상과 어떠한 관련성을 맺고 있는지 살펴보았으며, 이들 연결 어미와 대응되는 접속 부사를 ‘그러면’과 ‘그렇다면’으로 상정하여 이들의 교체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In this paper, we have taken a slightly different approach to the ‘-eumyeon’ which is known to function as a meaning of ‘supposition condition’ in general, and ‘-damyeon’ which is known to function as a meaning of ‘supposition’. To this end, we first looked at how the Korean dictionary and some of the previous studies dealt with ‘-eumyeon’ and ‘-damyeon’. Through this, we classify the meaning function of ‘-eumyeon’ represents the meaning function of ‘condition’, and the meaning function of ‘-damyeon’ represents the meaning of ‘supposition’. And we presented some considerations when judging the semantic function of ‘-eumyeon’ and ‘-damyeon’. We judged that the keys of these were regarded as ‘situation’ and ‘speaker"s perception’ related to the preceding and succeeding clauses. Based on these results, we examined the natural uses of ‘-eumyeon’ and ‘-damyeon’. In addition, we considered the possibility of replacing the subordinate connective ending ‘-eumyeon’ with the connection adverb ‘geureomyeon’, and the subordinate connective ending ‘-damyeon’ with the connection adverb ‘geureohdamyeon’.

      • KCI등재후보

        중등도 이상의 무지 외반증에서 근위 초승달형 절골술의 효과

        이윤태,김형복,윤한국,Lee, Yoon-Tae,Kim, Hyoung-Bok,Yoon, Han-Kook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10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14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trospectively analyze the clinical and radiologic results of the proximal crescentic osteotomy for moderate to severe hallux valgus deformity.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rch 2001 and March 2008, 55 patients (71 feet) who had undergone crescentic osteotomy and distal soft tissue procedure for hallux valgus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one year.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15.8 months (12~28 months) and the average age at the time of surgery was 49.8 years (20~69 years). We analyzed the hallux valgus angle (HVA), the first-second intermetatarsal angle (IMA), the length of 1st metatarsal bone and the position of medial sesamoid in preoperative and the last follow-up radiographs. The American Othope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score and patient satisfaction were measured by modifying Johnson's method which were used for clinical outcome assessments. Results: The HVA and the IMA were 36.2 and 15.8 degrees preoperatively, and 10.8 and 3.9 degrees at the last follow-up, respectively. The amount of shortening of 1st metatarsal bone averaged $2.3{\pm}1.1$ rum postoperatively. The medial sesamoid position improved from a preoperative average of grade 6.6 to the last follow-up average of grade 1.9. The AOFAS score improved from a preoperative average of 45.3 points to an average 90.6 points at the last follow-up. The patient's satisfaction was completely satisfied in 61 cases (85.9%), satisfied with minor reservations in 6 cases (8.5%), satisfied with major reservations in 2 cases (2.8%), and dissatisfied in 2 cases (2.8%). Conclusion: Proximal crescentic osteotomy produced satisfactory results for moderate to severe hallux valgus deform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